맨위로가기

성대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성대중(成大中, 1732년 ~ 180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입니다. 자는 사집(士執), 호는 청성(靑城)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입니다.

다음은 성대중에 대한 자세한 정보입니다.


  • 생애 및 활동:
  • 1753년(영조 29) 생원시에 합격했습니다.
  • 1756년(영조 32) 정시 문과에 급제했습니다.
  • 1759년(영조 35) 교서관 부정자, 정자, 박사 등을 역임했습니다.
  • 1763년(영조 39) 통신사 조엄을 수행하여 일본에 다녀왔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록(日本錄)』을 저술했습니다.
  • 서얼 출신이었으나 영조의 탕평책으로 청직(淸職)에 임명되었습니다.
  • 1784년(정조 8) 흥해 군수로 재직하며 선정을 베풀었습니다.
  • 1787년(정조 11) 교리가 되었고, 응제(應製)에서 수석을 차지했습니다.
  • 1792년(정조 16) 북청 도호부사가 되었습니다.
  • 정조의 문체반정(文體反正) 때 글을 지어 올려 칭찬을 받았습니다.

  • 학문 및 사상:
  • 노론 낙론계(洛論系)에 속합니다.
  • 북학 사상(北學思想)을 받아들여 홍대용, 박지원,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등과 교류했습니다.
  • 가학(家學) 및 스승에게 전수받은 상수학적(象數學的) 학풍을 북학파에게 계승시켜 북학 사상 형성에 기여했습니다.

  • 저서:
  • 『청성집(靑城集)』
  • 『청성잡기(靑城雜記)』: 18세기 성대중이 남긴 개인 문집으로, '성대중이 쓴 잡다한 기록'이라는 뜻입니다. 처세, 화복, 분별, 행사, 언행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 『선만랑집(仙漫浪集)』
  • 『일본록(日本錄)』

  • 기타:
  • 성대중은 자신의 문집인 『청성잡기』에서 처세와 관련된 내용을 많이 다루었으며, 이 때문에 정민 교수는 『성대중 처세어록』이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습니다.


성대중
기본 정보
성대중 초상
성대중 초상
본관창녕 성씨
중견(仲堅)
청장관(靑莊館)
계산(谿山)
시호문간(文簡)
생애
출생1732년 10월 22일
사망1809년 6월 25일 (음력 5월 13일)
묘소 위치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가족 관계
아버지성이성(成以性)
어머니남양 홍씨
배우자반남 박씨
자녀1남 4녀
아들성기운(成岐運)
경력
주요 관직대사성
대제학
이조판서
한성부판윤
지경연사
예조판서
공조판서
병조판서
형조판서
봉호청성위
저서
주요 저서《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만기요람(萬機要覽)》
《동국역대총목(東國歷代總目)》
《황조롱이》
기타
존경 인물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