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남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남 박씨는 고려 시대 박응주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명문가로 성장하여 문과 급제자 215명, 상신 7명, 왕비 2명 등을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박상충, 박은, 박세채, 인성왕후, 의인왕후, 박지원 등이 있으며, 조선 후기에는 장동 김씨, 풍양 조씨와 함께 세도 정치를 이끌었다. 반남 박씨는 판관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2015년 기준으로 160,964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남 박씨 - 박은정 (1952년)
    박은정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법철학 분야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대학교수로, 이화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법철학회 회장, 아시아생명윤리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고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겸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자연법, 생명윤리, 인권, 민주주의 등에 대한 연구와 저술 활동으로 학술상과 훈장을 수상했다.
  • 반남 박씨 - 박남춘
    박남춘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 생활을 거쳐 국회의원과 인천광역시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반남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명반남 박씨
한자 표기潘南朴氏
국가조선
영지나주시
가조박응주
로마자 표기Bannam Park Clan
한글 표기반남 박씨
한자 표기潘南朴氏
가타카나 표기반남=바쿠시
역사
시조박응주(朴應珠)
원시조박혁거세(朴赫居世)
인물
주요 인물인성왕후
의인왕후
박지원
수빈 박씨
박규수
박정양
박제순
박영효
박완서
박남춘
박양우
박영선
박상충
박은
박강
박숭질
박용
박응순
박동열
박세당
박세채
박태보
박필균
박종악
박종래
박종경
박윤수
박홍수
박기양
박제빈
분포
집성촌전라남도 나주시, 영암군
충청남도 예산군, 금산군, 논산시
경기도 파주시, 김포시
경상북도 문경시, 봉화군, 예천군, 영주시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전라북도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기타 정보
인구 (2015년)160,964명
각주http://www.bannampark.co.kr 반남박씨대종중

2. 역사

반남 박씨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 명문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조선 후기에는 장동 김씨, 풍양 조씨와 함께 세도정치를 이끌던 가문이었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215명, 상신 7명, 대제학 2명, 왕비 2명, 후궁 1명을 배출하였고, 박세채문묘종묘에 배향되었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시조 '''박응주'''(朴應珠)는 고려 시대에 반남호장(潘南戶長)을 지냈다. 묘는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흥덕리에 있다. 신라 박혁거세의 자손으로, 고종 때(13세기)에는 반남현 호장을 역임했다.

박응주의 현손인 박상충(朴尙衷)은 1353년(공민왕 2년)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하였다.[23]

박상충의 아들인 박은(朴訔)은 1385년(고려 우왕 11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 후 이방원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었으며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으로 봉해졌다.[24]

박응주의 6세손 박견(朴訔)이 조선 태종 때 반남군, 이후 금천부원군에도 임명되어, 대대로 거주하던 지역인 반남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박응주의 묘를 명당으로 사용하여 일족이 번성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반남 박씨 벌 명당에 묘 쓰고 벌 떼처럼 일어났다"는 말이 전해진다.[2]

2. 2. 조선 시대

반남 박씨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 명문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가문이다.

박응주의 현손인 박상충(朴尙衷)은 1353년(공민왕 2년)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하였다.[23]

박상충의 아들인 박은(朴訔)은 1385년(고려 우왕 11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 후 이방원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었으며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으로 봉해졌다.[24]

또한 조선 후기 장동 김씨, 풍양 조씨와 함께 세도정치를 이끌던 가문이었다.

반남 박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15명, 상신 7명, 대제학 2명, 왕비 2명, 후궁 1명을 배출하였고, 박세채문묘종묘에 배향됐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15명, 상신 7명, 대제학 2명, 왕비 2명, 측실 1명을 배출하는 등 많은 정치인과 학자를 배출했다.

성명설명/출처
인성왕후조선 인종의 왕비[8]
의인왕후조선 선조의 왕비[9]
박세채문묘에 배향된 공신[10]
박세당조선의 실학자[11]
수빈 박씨조선 정조의 측실[12]
박지원조선의 실학자[13]
박규수조선의 학자[14]
박태보조선의 학자[15]
박정양조선 말기의 정치인[16]
박영효조선 말기의 정치인[17]
박제순조선 말기의 정치인[18]


2. 3.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 박찬익이 활동했다.[19]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최초의 의사(의사 면허 제1호) 박계양,[20]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을 역임한 기업가 박찬법,[21] 전 국회의원 박찬숙[22] 등이 있다.

시대성명설명
일제강점기박찬익독립운동가[19]
대한민국박계양대한민국 최초의 의사 (의사 면허 제1호)[20]
대한민국박찬법기업가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21]
대한민국박찬숙전 국회의원[22]


3. 분파

분파
판관공파
가선공파
세양공파
도정공파
부윤공파
부솔공파
판서공파
진사공파
참판공파
남일공파
직장공파


4. 항렬자

반남 박씨의 항렬은 모든 파가 동일하다.[25]

15세16세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
세(世)태(泰)필(弼)사(師)口源|구원중국어종(宗)口壽|구수중국어제(齊)口陽|구양중국어승(勝)
영(泳)
口緖|구서중국어찬(贊)口雨|구우중국어
口夏|구하중국어
口雋|구준중국어
천(天)
인(仁)
지(持)
춘(春)
승(承)
헌(憲)
영(寧)
口五|구오중국어
口吾|구오중국어
장(章)
재(宰)
口虎|구호중국어
口純|구순중국어
겸(謙)
선(善)
口旭|구욱중국어
口九|구구중국어
평(平)
두(斗)



반남 박씨의 행렬은 모든 파에서 공통으로 사용한다.[3] 그러나 인구 증가에 따라 27대부터는 행렬자의 선택이 허용되었으며, 다만 동일 가족 내에서는 하나로 통일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世孫|○세손중국어1(시조)2345678910
행렬자--○茂|○무중국어-상○|○중국어--병○|○중국어림○|○중국어○年|○년중국어
○世孫|○세손중국어11121314151617181920
행렬자-응○|○중국어동○|○중국어-세○|○중국어태○|○중국어필○|○중국어사○|○중국어○源|○원중국어종○|○중국어
○世孫|○세손중국어21222324252627282930
행렬자○壽|○수중국어제○|○중국어○陽|○양중국어승○|○중국어○緖|○서중국어찬○|○중국어○雨|○우중국어
○夏|○하중국어
○雋|○준중국어
천○|○중국어
인○|○중국어
지○|○중국어
○春|○춘중국어
○承|○승중국어
헌○|○중국어
영○|○중국어
○世孫|○세손중국어313233343536
행렬자○吾|○오중국어
○五|○오중국어
장○|○중국어
재○|○중국어
○虎|○호중국어
○純|○순중국어
겸○|○중국어
선○|○중국어
○旭|○욱중국어
○九|○구중국어
평○|○중국어
두○|○중국어


5. 인구

潘南 朴氏중국어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39,438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는 160,964명으로 증가하였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반남 박씨는 많은 자치단체의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 미만이지만, 충청남도 금산군(1,245명, 총 인구의 2.48%)에서는 2%를 넘고 있다.[4]

2015년 반남 박씨 인구 비율 1% 이상인 지역[4][5]
지역인구총 인구비율(%)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2동1,580명102,590명1.54%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497명87,169명0.57%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290명31,974명0.91%


6. 집성촌

지역
경기도 파주시, 김포시대종파
전라남도 나주시, 영암군남곽공파
전라북도 무주군, 진안군직장공파
충청남도 예산군부윤공파, 도정공파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부리면5세직장공 상경파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참봉공파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반성부원군파
경상북도 문경시, 예천군숙천부사공파
경상북도 영주시, 안동시, 봉화군판관공파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함양군춘당공파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사직공파
경상북도영주시 가흥2동
전라북도완주군 봉동읍 구미리
경상남도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황해도은율군 이도면 어양리, 장련면[5]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많은 자치단체의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 미만이지만, 충청남도금산군(1,245명, 총 인구의 2.48%)에서는 2%를 넘고 있다.[4]

7. 주요 인물

국가성명설명
고려박상충고려 문신 (문정공파)
고려박은고려 말 조선 전기 문신, 좌명공신 (평도공파)
조선박규조선 초 관찰사, 예조참판, 이조참판 (참판공파 시조)
조선박강조선 전기 문신, 중추원사, 좌익공신, 신기전 (세양공파)
조선박숭질조선 전기 문신, 좌의정, 좌리원종공신 (--공파)
조선인성왕후조선 인종의 왕비
조선의인왕후조선 선조의 왕비
조선박세채종묘문묘 동시 배향공신 (오창공파)
조선박세당조선 실학자 (--공파)
조선박지원조선 실학자 (--공파)
조선박규수조선 학자 (--공파)
조선박태보조선 학자 (--공파)
조선박정양조선 말기 문신 (--공파)
조선박영효조선 말기 관료 (오창공파)
조선박제순조선 말기 관료
조선박천주증호조참판 (사직공파)
조선박세현조선 문신, 통례원 찬의, 증병조참판 (사직공파)
일제강점기박찬익독립운동가 (오창공파)
대한민국박계양대한민국 초대 의사 (의사 면허 제1호) (--공파)
대한민국박찬법기업인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공파)
대한민국박찬숙전 국회의원 (--공파)
대한민국박제혁부천시장 (--공파)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2] 뉴스 반남 박씨 득성 이야기 http://news.sarangba[...] 사랑방뉴스 2008-06-23
[3] 웹사이트 :::반남박씨 홈페이지::: http://www.bannampar[...] 2022-09-06
[4]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5] 웹사이트 박씨(朴氏) 본관(本貫) 반남(潘南)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6] 웹사이트 오류 안내 http://andong.grandc[...] 2022-09-06
[7] 웹사이트 박은 https://terms.naver.[...] 2022-09-06
[8] 웹사이트 인성왕후 https://terms.naver.[...] 2022-09-06
[9] 웹사이트 의인왕후 https://terms.naver.[...] 2022-09-06
[10] 웹사이트 박세채 https://terms.naver.[...] 2022-09-06
[11] 웹사이트 박세당 https://terms.naver.[...] 2022-09-06
[12] 웹사이트 수빈박씨 https://m.terms.nave[...] 2022-09-06
[13] 웹사이트 박지원 https://terms.naver.[...] 2022-09-06
[14] 웹사이트 박규수 https://terms.naver.[...] 2022-09-06
[15] 웹사이트 박태보 https://terms.naver.[...] 2022-09-06
[16] 웹사이트 박정양 https://terms.naver.[...] 2022-09-06
[17] 웹사이트 박영효 https://terms.naver.[...] 2022-09-06
[18] 웹사이트 박제순 https://terms.naver.[...] 2022-09-06
[19] 웹사이트 박찬익 https://terms.naver.[...] 2022-09-06
[20] 웹사이트 박계양 https://terms.naver.[...] 2022-09-06
[21] 뉴스 박찬법 새 회장…박삼구 회장과 동갑친구 ‘45년 금호맨’ https://www.khan.co.[...] 2009-07-29
[22] 뉴스 박찬숙 도운 박찬숙 “난 정치 안해요” http://www.kukinews.[...] 2009-10-29
[23] 인물 박상충
[24] 문서 세종실록 16권, 세종 4년 5월 9일 을축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5] 문서 반남박씨 문중 항렬에 대한 고찰 http://www.bannamp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