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득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득공은 1748년에 태어나 1807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이다. 서얼 출신으로, 박지원의 문하에서 북학파의 학문을 배웠으며, 규장각 검서관을 지냈다. 그는 발해사를 연구하여 '남북국 시대' 개념을 정립하고, 《발해고》를 저술하는 등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또한, 《경도잡지》, 《고운당필기》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며, 시문에도 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지원 (1737년) - 홍대용
    홍대용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서양 천문학 지식을 접하고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사헌부 감찰과 영주군수를 역임하며 실학적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다.
  • 박지원 (1737년) - 박규수
    박규수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북학 사상을 계승하여 개항과 통상을 주장했으며, 개화파 인사들에게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북학파 - 북학의
    《북학의》는 박제가가 조선 후기 사회와 학문 풍조를 비판하며 백성 빈곤 해결을 위한 실용적 대안으로 상업 발전, 농업 기술 개량, 무역 확대를 주장하고 소비를 통한 생산 증대를 강조하는 북학파의 주요 논의를 담은 책이지만, 중국 문명 숭배와 조선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북학파 - 이규경
    이규경은 19세기 조선의 학자로서, 60권의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저술하고 실학 사상을 계승하며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여 초기 개화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807년 사망 - 제롬 랄랑드
    제롬 랄랑드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서, 달의 시차 측정과 핼리 혜성 계산에 기여했으며, 랄랑드 상을 제정하여 천문학 발전에 공헌했다.
  • 1807년 사망 - 앙겔리카 카우프만
    앙겔리카 카우프만은 18세기 신고전주의 미술에 기여한 스위스 출신 화가로, 로열 아카데미 오브 아츠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초상화와 역사화를 주로 제작했다.
유득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득공
한자 이름柳得恭
출생일1748년 12월 24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일1807년 10월 1일
사망지조선 한성부
혜보(惠甫), 혜풍(惠風)
영재(泠齋), 영암(泠菴), 가상루(歌商樓), 고운거사 (古芸居士), 고운당(古芸堂), 은휘당(恩暉堂)
관직
직책조선의 경기도 포천군 군수
임기1786년~1787년
경력
경력옛 동인계 성향 남인 이탈파 세력 출신의 관료 겸 실학자, 사상가, 문인, 저술가
분야실학
당파노론계 낙론 성향 북학파 잔존 중심 세력
가족 관계
배우자전주 이씨 부인
자녀유본예(아들)
부모유춘(부), 남양 홍씨 부인(모)
친인척유한상(친조부)
유연(숙부)
홍이석(외조부)
이옥(이종사촌)
이집(이종사촌)
기타 정보
임금조선 정조
국적조선
성별남성
주요 저작발해고

2. 생애

유득공은 1748년 한성부에서 진사 유춘과 남양 홍씨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증조부 유삼익과 외할아버지 홍이석이 서자였고, 할머니 우계 이씨 부인 역시 이서우의 서녀였기 때문에 서얼 신분을 타고났다.[2][3]

남인 가계 출신이었으나, 박지원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노론 북학파로 전향하였다.

1752년 아버지 유춘이 사망하자 남양 외가로 이사했고, 1757년 한성으로 돌아왔다. 18~19세부터 시를 짓기 시작해 능했으며, 20세 이후 박지원에게 배우고 이덕무, 박제가를 만나 평생 교류했다. 중국 고전 서적을 탐독하고, 만주, 몽골 등 여러 지역에 관심을 가지며 청나라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났다.

1773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서얼 출신이라 관직에 제한이 있어 학문과 역사 연구에 몰두하였다.

1779년 정조의 서얼허통으로 규장각 검서관에 임명되어, 박제가, 이덕무, 서이수와 함께 '규장각 4검서'로 불렸다.[1] 발해사가 국사에서 제외된 것을 한탄하였다.[1]

포천 현감, 제천군수, 양근군수, 가평 군수 등을 역임했고,[1] 외직에서도 규장각 검서 직함을 유지하며 실사구시를 주장, 산업 진흥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

1800년 정조 승하 후 관직을 내려놓고 은거, 국내 옛 도읍지를 유람하고 베이징을 방문하여 기행문, 소설, 역사서 등을 남겼다. 1807년 59세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가계

1748년 12월 24일(영조 24년 음력 11월 5일) 한성부에서 진사(進士) 유춘(柳瑃: 1726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1752년 7월 26일(음력 6월 16일)[2])과 남양 홍씨 부인(1725년 7월 25일(음력 6월 16일)~1801년 9월 12일(음력 8월 5일)[3])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유춘(柳璉)은 16세 때인 1741년 1년 연상인 남양 홍씨, 홍이석의 딸과 결혼하여 7년 만에 외아들 유득공을 낳았다. 그러나 유득공의 증조부인 유삼익(柳三益)과 외할아버지 홍이석(洪以錫)이 서자였기 때문에 그는 태어나면서 서얼 신분을 타고났다. 또한 그의 할머니 우계 이씨 부인 역시 이서우의 서녀였다.

그는 본래 남인 가계로 그의 외5대조 홍석신은 만전당 홍가신(晩全堂 洪可臣)과 사촌 간이며, 홍가신의 손자인 남인의 중진 홍우원은 그의 외증조부뻘 되는 친족이었다. 또한 외외증조부 이서우 역시 남인의 중진이었다. 그러나 그는 연암 박지원의 문하에 들게 되었고, 이후 노론 북학파로 전향한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암기력에 능하였다. 후에 호를 영재(泠齋)라 하고 다른 호로는 영암(泠庵), 고운당(古芸堂) 등이 있는데, 특히 고운당은 지명으로 운동(芸洞)이라고도 불리던 한성부 교서관동(校書館洞, 후일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가 부근)에 그가 오랫동안 살면서 지은 당호(堂號)이다.

2. 2. 초기 생애

1752년(영조 28년) 아버지 유춘이 사망하자 남양의 외가로 이사했다. 1757년 8세가 되자 외가에서 한성으로 돌아왔다. 유득공은 18~19세부터 시짓기를 배워 능했으며, 20세 이후에는 북학파인 박지원에게 배우고 이덕무, 박제가를 만났는데, 이후 그들과 평생 교류했다.

그는 좋은 시를 짓기 위해 여러 책을 읽었다. 그는 다른 북학파 인사들과 마찬가지로 훌륭한 시를 짓기 위해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문학 작품들을 섭렵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다양한 독서를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삼국지수호전을 비롯, 중국의 고전 서적을 다양하게 구해서 독서하였다. 구하기 어려운 책은 직접 빌려서 탐독하고 이를 필사본으로 베껴서 자신의 집에 비치해 두고 계속 읽었다. 또한 만주, 몽골, 타타르, 회회(回回, 이슬람), 인도, 베트남(安南), 라오스(南掌), 미얀마(緬甸), 타이완, 일본, 류큐 및 서양의 홍모번(紅毛番, 영국), 프랑스(프랑스), 네덜란드 등의 존재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청나라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 뒤 자신의 시문을 모은 《영재집(冷齋集)》을 출간하고 1772년에는 한국의 역대 시문을 엮은 《동시맹(東詩萌)》을 편저하였다.

1773년(영조 49년) 생원시에 합격, 생원(生員)이 되었다. 그 뒤 영조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그는 서얼인 탓에 관직에 제한이 있었고, 그는 출사 대신 지기들을 만나며 학문과 역사 연구에 몰두하였다.

2. 3. 관료 생활

1779년 7월 13일(정조 3년 음력 6월 1일) 정조가 서얼허통을 내리면서 시문, 글짓기와 해박한 지식이 인정되어 특별히 규장각 검서관(奎章閣 檢書官)에 임명되었다.[1] 이때 박제가, 이덕무, 서이수(徐理修)와 함께 '규장각의 4검서'라 불렸다.[1] 규장각 검서로 근무하며 궁중에 소장된 한국, 중국, 일본의 사료를 접할 기회를 얻었다.[1] 그는 여러 역사서를 읽고, '고려시대의 역사가들이 통일신라를 남조로, 발해를 북조로 하는 국사 체계를 세우지 않았던 것이 영원히 옛 땅을 되찾는 명분을 잃게 되었다.'라며 발해사가 국사에서 제외된 것에 한탄하였다.[1]

시문과 재주에 능하여 정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서얼 출신이라는 신분 제약에서 벗어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1] 1786년 포천 현감(抱川縣監), 제천군수(堤川郡守), 1788년 양근군수(楊根郡守), 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 사도시주부(司寺侍主簿)를 거쳐 1792년 가평 군수(加平郡守)를 지냈다.[1]

외직(外職)에 있으면서도 규장각 검서(檢書) 직함을 가져 이덕무, 박제가, 서이수(徐理修)와 함께 4검서로 불렸다.[1] 그는 북학파의 거장 박지원의 제자로 이덕무 등과 더불어 실사구시(實事求是)로 산업 진흥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 박제가, 이덕무, 이서구(李書九)와 함께 한학 4가(漢學四家)라고도 불리었다.[1]

2. 4. 은퇴와 말년

1800년 8월 18일 그를 아끼던 정조가 갑작스럽게 승하하자, 풍천도호부사(豊川都護府使)에서 스스로 관직을 내려놓고 은거하였다. 그는 개성, 평양, 공주 등과 같은 국내의 옛 도읍지를 유람하였고, 두 차례에 걸쳐 중국 베이징에 연행(燕行)하고 돌아와 자신이 본 문물과 경험을 토대로 기행문과 소설, 역사서 등의 뛰어난 저술을 남겼다. 1807년 10월 1일(순조 7년 음력 9월 1일)에 5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3. 사상과 업적

유득공은 실학 사상에 기반하여 북학파 활동을 하였으며, 역사 연구에 있어서도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벗어나 북방 중심으로 역사관을 넓혀갔다. 18~19세부터 시짓기를 배워 능숙했으며, 20세 이후에는 박지원에게 배우고 이덕무, 박제가를 만나 평생 지기로 교류했다.

그는 좋은 시를 짓기 위해 여러 책을 읽었고, 중국 고전 서적을 다양하게 구해 독서하였다. 구하기 어려운 책은 빌려서 탐독하고 필사하여 소장했다. 또한 만주, 몽골, 타타르, 회회(이슬람), 인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타이완, 일본, 류큐 및 서양의 홍모번(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청나라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났다.

그 결과 《발해고》와 《사군지》를 저술하여 북방사를 조명하였다. 《발해고》에서는 발해의 옛 땅 회복을 주장했고, 《사군지》에서는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히려 했다. 그의 발해사 연구는 정약용, 한치윤 등 후대 연구자에게 영향을 주었다.[4]

《발해고》를 통해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자로 보고, 신라와 발해가 병존했던 시기를 남북국 시대로 규정했다.[4] 그는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했다고 자처한다면 고구려의 후신인 발해 역사까지 포함된 남북국사를 썼어야 했는데 그러지 않았다고 비판하였다.[4] 그의 연구는 발해사에 대한 초기 연구로, 정약용, 한치윤 등의 연구에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3. 1. 실학 사상과 북학파 활동

1752년(영조 28년) 아버지 유춘이 사망하자 남양의 외가로 이사했다. 1757년 8세가 되자 외가에서 한성으로 돌아왔다. 유득공은 18~19세부터 시짓기를 배워서 능했다. 20세 이후에는 북학파인 박지원에게 배우고 이어 이덕무, 박제가를 만났는데, 이후 유득공은 그들과 평생의 지기로 교류했다.

그는 좋은 시를 짓기 위해 여러 책을 읽었다. 그는 다른 북학파 인사들과 마찬가지로 훌륭한 시를 짓기 위해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문학 작품들을 섭렵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다양한 독서를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삼국지수호전을 비롯, 중국의 고전 서적을 다양하게 구해서 독서하였다. 구하기 어려운 책은 직접 빌려서 탐독하고 이를 필사본으로 베껴서 자신의 집에 비치해 두고 계속 읽었다. 또한 만주, 몽골, 타타르, 회회(回回, 이슬람), 인도, 베트남(安南), 라오스(南掌), 미얀마(緬甸), 타이완, 일본, 류큐 및 서양의 홍모번(紅毛番, 영국), 프랑스(프랑스), 네덜란드 등의 존재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청나라 일변도, 청나라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 뒤 자신의 시문을 모은 《영재집(冷齋集)》을 출간하고 1772년에는 한국의 역대 시문을 엮은 《동시맹(東詩萌)》을 편저하였다.

1773년(영조 49년) 생원시에 합격, 생원(生員)이 되었다. 그 뒤 영조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그는 서얼인 탓에 관직의 제한이 있었고, 그는 출사 대신 지기들을 만나며 학문 연구와 역사 연구에 몰두하였다.

3. 2. 역사 연구

유득공은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벗어나 북방 중심으로 역사관을 넓혀갔다. 그 결과 《발해고》와 《사군지》를 저술하여 북방사를 조명하였다. 《발해고》에서는 발해의 옛 땅 회복을 주장했고, 《사군지》에서는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히려 했다. 그의 발해사 연구는 정약용, 한치윤 등 후대 연구자에게 영향을 주었다.[4]

3. 2. 1. 《발해고》 저술과 남북국 시대론

그는 최초로 발해사에 관심을 갖고, 발해사가 고구려의 유민들에 의해 건국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그는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자로 보았고,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조선 역사의 체계 안에 포함시켜야 함을 주장했다. 또한 기존의 통일신라설에 이의를 제기하고 신라와 발해가 병존했던 시기를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로 규정했다.[4]

그는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출발하여 점차로 북방 중심으로 변모해갔고, 그 결과 《발해고》, 《사군지》를 저술하여 북방의 역사를 조명하려는 노력을 시도했다. 그는 《발해고》를 통하여 발해의 옛 땅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피력하였고, 《사군지》에서는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발해고》 머리말에서 유득공은 역사가 신라사 중심으로 된 것을 고려의 탓이라 보았다. 유득공은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하였다고 자처한다면 당연히 고구려의 후신인 발해 역사까지도 포함된 남북국사(南北國史)를 썼어야 했는데 그러지 않았다고 비판하였으며, 발해를 세운 대조영의 대씨(大氏)가 고구려의 유민이었고 발해의 땅도 원래 고구려 땅이었으며 고구려인들이 구성된 국가임을 기록하여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임을 주장하였다.[4] 그의 연구는 발해사에 대한 초기 연구의 하나이며 그의 역사 인식은 나중에 정약용(丁若鏞), 한치윤(韓致奫) 등의 연구 업적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3. 2. 2. 기타 역사 연구

그는 최초로 발해사에 관심을 갖고, 발해사가 고구려의 유민들에 의해 건국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그는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자로 보았고,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조선 역사의 체계 안에 포함시켜야 함을 주장했다. 또한 기존의 통일신라설에 이의를 제기하고 신라와 발해가 병존했던 시기를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로 규정했다.[4]

그는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출발하여 점차 북방 중심으로 변모해갔고, 그 결과 《발해고》, 《사군지》를 저술하여 북방의 역사를 조명하려는 노력을 시도했다. 그는 《발해고》를 통하여 발해의 옛 땅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피력하였고, 《사군지》에서는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발해고》 머리말에서 유득공은 역사가 신라사 중심으로 된 것을 고려의 탓이라 보았다. 유득공은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하였다고 자처한다면 당연히 고구려의 후신인 발해 역사까지도 포함된 남북국사(南北國史)를 썼어야 했는데 그러지 않았다고 비판하였으며, 발해를 세운 대조영의 대씨(大氏)가 고구려의 유민이었고 발해의 땅도 원래 고구려 땅이었으며 고구려인들이 구성된 국가임을 기록하여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임을 주장하였다.[4] 그의 연구는 발해사에 대한 초기 연구의 하나이며 그의 역사 인식은 나중에 정약용(丁若鏞), 한치윤(韓致奫) 등의 연구 업적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4. 저서


  • 경도잡지(京都雜誌)
  •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
  • 발해고(渤海考)
  • 사군지(四郡志)
  •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 《영재집》
  • 《앙엽기(盎葉記)》

5. 평가

유득공은 시문에 뛰어났으며, 규장각 검서로 재직했기 때문에 궁중에 비치된 국내외 자료들을 접할 기회가 많아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저서를 남겼다. 그는 한국사의 독자적인 발전과 체계화를 위해 역사 연구 대상을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는 단군조선에서 고려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이 세운 21개 국가의 도읍지를 답사하여 역대 국가들의 도읍지들의 전도(奠都) 및 번영을 읊은 43편의 회고시로서 역사의 전개 과정에서 민족의 주체 의식을 되새겨보려는 역사 의식이 잘 나타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1]

6.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유춘(柳瑃)? - 1752년
어머니남양 홍씨외조부 홍이석의 장녀
부인전주 이씨
아들유본예(柳本藝)
숙부유련(柳璉)
외조부홍이석1687년 - 1742년, 이원현감 역임, 병마절도사 홍시주의 서자
외조모우계 이씨송곡 이서우의 서녀


7. 유득공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http://people.aks.ac[...]
[2] 서적 선부군 묘지
[3] 서적 선비 행장
[4] 서적 발해고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