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군다 디비시온 1964-6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군다 디비시온 1964-65는 32개 팀이 참가하여 두 개의 리그로 진행되었다. 라 리가에서 강등된 폰테베드라와 바야돌리드를 포함하여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승격한 바라칼도, 레알 우니온, 사바델, 푸에르토야노가 참가했다. 북부 리그에서는 폰테베드라가 우승하고 사바델이 2위를 차지했으며, 남부 리그에서는 마요르카가 우승하고 말라가가 2위를 기록했다.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해 사바델과 말라가가 라 리가로 승격했으며, 강등 플레이오프에서는 에우로파, 바달로나, 카디스, 콘스탄시아가 잔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축구 - 1964년 AFC 아시안컵
1964년 AFC 아시안컵은 이스라엘에서 이스라엘, 대한민국, 인도, 홍콩 4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이스라엘이 우승, 인도가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했으며 모르데하이 슈피글러와 인데르 싱이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1964년 축구 -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은 스페인에서 개최된 두 번째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로, 스페인이 결승에서 소련을 꺾고 우승했으며 흐세스 마리아 페레다가 MVP를 수상했다. - 1965년 축구 - 196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6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튀니지에서 6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어 가나가 튀니지를 꺾고 우승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 1965년 축구 - 1964-65년 유러피언컵위너스컵
1964-65년 유러피언컵위너스컵은 32개 팀이 참가한 UEFA 주관의 유럽 축구 대회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가 결승에서 TSV 1860 뮌헨을 꺾고 우승했으며,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단판으로 결승전이 치러졌다. - 세군다 디비시온 시즌 - 세군다 디비시온 1940-41
세군다 디비시온 1940-41 시즌은 스페인 축구 리그의 두 번째 티어 리그로, 1, 2조로 나뉘어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팀들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 플레이오프를 거쳐 그라나다 CF, 레알 소시에다드, CD 카스테욘,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승격하고, 레알 아빌레스 CF와 CF 바달로나는 지역 리그로 강등되었다. - 세군다 디비시온 시즌 - 세군다 디비시온 1942-43
세군다 디비시온 1942-43 시즌은 스페인 2부 축구 리그로 24개 구단이 3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은 라리가 승격 플레이오프에, 하위 팀들은 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레알 소시에다드와 CE 사바델이 라리가로 승격했다.
세군다 디비시온 1964-65 | |
---|---|
시즌 정보 | |
대회 | 세군다 디비시온 |
시즌 | 1964–65 |
이전 시즌 | 1963–64 시즌 |
다음 시즌 | 1965–66 시즌 |
결과 | |
우승팀 | 폰테베드라 (북부) 마요르카 (남부) |
승격팀 | 폰테베드라 마요르카 사바델 말라가 |
강등팀 | 오렌세 온테니엔테 레알 우니온 아바란 |
통계 | |
총 경기 수 | 480 |
총 득점 | 1258 |
리그 최다 득점자 | 호세 마리아 리사랄데 (20골) |
최고 골키퍼 | 로드리 (0.43골/경기) |
최대 점수차 홈 승리 | 인다우추 8–0 에우로파 (1964년 10월 18일) |
최대 점수차 원정 승리 | 아바란 0–4 그라나다 (1965년 1월 17일) |
최다 득점 경기 | 레알 히혼 9–2 레알 우니온 (1964년 10월 11일) |
2. 참가 구단의 변동
총 32개 구단이 이번 시즌 리그에 참가했으며, 이들 중 둘은 라 리가에서 강등되었고, 넷은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승격했다.
라 리가에서 강등된 구단은 폰테베드라와 바야돌리드이다.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승격한 구단은 바라칼도, 레알 우니온, 사바델, 그리고 칼보 소텔로이다.
3. 북부 리그
3. 1. 참가 구단
1964-65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북부 리그에는 스페인 북부 지역을 연고로 하는 16개 구단이 참가했다.
구단 | 위치 | 경기장 |
---|---|---|
바달로나 | 바달로나 | 아베니다 데 나바라 |
바라칼도 | 바라칼도 | 라세사레 |
부르고스 | 부르고스 | 엘 플란티오 |
셀타 비고 | 비고 | 발라이도스 |
에우로파 | 바르셀로나 | 세르데냐 |
레알 히혼 | 히혼 | 엘 몰리논 |
오스피탈레트 | 오스피탈레트 데 료브레가트 | 무니시팔 데 데포르테스 |
인다우추 | 빌바오 | 가레야노 |
랑그레오 | 랑그레오 | 간사발 |
오렌세 | 오렌세 | 호세 안토니오 |
오사수나 | 팜플로나 | 산 후안 |
폰테베드라 | 폰테베드라 | 파사론 |
레알 소시에다드 | 산 세바스티안 | 아토차 |
레알 우니온 | 이룬 | 갈 |
사바델 | 사바델 | 크루스 알타 |
레알 산탄데르 | 산탄데르 | 엘 사르디네로 |
3. 2. 리그 순위
{{#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section=북부
|winpoints=2
|update=complete |source=[https://www.bdfutbol.com/es/t/t1964-652a1.html BD푸트볼]
|team1 =PNT|win_PNT=20|draw_PNT=5 |loss_PNT=5 |gf_PNT=48|ga_PNT=17|name_PNT = 폰테베드라|status_PNT=P
|team2 =SAB|win_SAB=16|draw_SAB=7 |loss_SAB=7 |gf_SAB=46|ga_SAB=28|name_SAB = 사바델|status_SAB=O,P
|team3 =SPO|win_SPO=13|draw_SPO=12|loss_SPO=5 |gf_SPO=61|ga_SPO=32|name_SPO = 레알 히혼
|team4 =RSO|win_RSO=13|draw_RSO=6 |loss_RSO=11|gf_RSO=60|ga_RSO=44|name_RSO = 레알 소시에다드
|team5 =CEL|win_CEL=11|draw_CEL=8 |loss_CEL=11|gf_CEL=35|ga_CEL=34|name_CEL = 셀타 비고
|team6 =BUR|win_BUR=10|draw_BUR=9 |loss_BUR=11|gf_BUR=47|ga_BUR=46|name_BUR = 부르고스
|team7 =RAC|win_RAC=10|draw_RAC=9 |loss_RAC=11|gf_RAC=52|ga_RAC=51|name_RAC = 레알 산탄데르
|team8 =IND|win_IND=9 |draw_IND=11|loss_IND=10|gf_IND=47|ga_IND=44|name_IND = 인다우추
|team9 =BAR|win_BAR=11|draw_BAR=6 |loss_BAR=13|gf_BAR=41|ga_BAR=44|name_BAR = 바라칼도
|team10=OSA|win_OSA=11|draw_OSA=6 |loss_OSA=13|gf_OSA=30|ga_OSA=35|name_OSA = 오사수나
|team11=HOS|win_HOS=12|draw_HOS=3 |loss_HOS=15|gf_HOS=48|ga_HOS=56|name_HOS = 오스피탈레트
|team12=LAN|win_LAN=11|draw_LAN=5 |loss_LAN=14|gf_LAN=40|ga_LAN=51|name_LAN = 랑그레오
|team13=EUR|win_EUR=9 |draw_EUR=9 |loss_EUR=12|gf_EUR=30|ga_EUR=43|name_EUR = 에우로파|status_EUR=O
|team14=BAD|win_BAD=7 |draw_BAD=11|loss_BAD=12|gf_BAD=31|ga_BAD=43|name_BAD = 바달로나|status_BAD=O
|team15=OUR|win_OUR=7 |draw_OUR=11|loss_OUR=12|gf_OUR=33|ga_OUR=50|name_OUR = 오렌세|status_OUR=R
|team16=RUN|win_RUN=7 |draw_RUN=8 |loss_RUN=15|gf_RUN=24|ga_RUN=55|name_RUN = 레알 우니온|status_RUN=R
|result1=P |result2=PO |result13=RP |result14=RP |result15=R |result16=R
|hth_BUR=부르고스는 레알 산탄데르와 인다우추에 상대 전적으로 앞서서 윗 순위를 기록하였다: 부르고스 5점, 레알 산탄데르 4점, 인다우추 3점
|hth_RAC=BUR
|hth_IND=BUR
|hth_BAR=바라칼도는 오사수나에 상대 전적으로 앞서서 윗 순위를 기록하였다: 오사수나–바라칼도 2–3, 바라칼도–오사수나 0–0
|hth_OSA=BAR
|hth_HOS=오스피탈레트는 랑그레오와 에우로파에 상대 전적으로 앞서서 윗 순위를 기록하였다: 오스피탈레트 6점, 랑그레오 5점, 에우로파 1점
|hth_LAN=HOS
|hth_EUR=HOS
|hth_BAD=바달로나는 오렌세에 상대 전적으로 앞서서 윗 순위를 기록하였다: 오렌세–바달로나 1–1, 바달로나–오렌세 2–0
|hth_OUR=BAD
|show_limit=5
|class_rules =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골득실; 5) 다득점.
|res_col_header=PQR
|col_P=green1 |text_P=라 리가로 승격
|col_PO=yellow1 |text_PO=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col_RP=red2 |text_RP=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col_R=red1 |text_R=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강등
}}
3. 3. 득점 집계
wikitext
3. 4. 골키퍼 실점률 집계
wikitext이름 | 골 | 경기 | 평균 실점 | 구단 |
---|---|---|---|---|
로드리 | 12 | 28 | 0.43 | 폰테베드라 |
호세 마르티네스 | 27 | 28 | 0.96 | 사바델 |
호세 마리아 코보 | 27 | 28 | 0.96 | 레알 히혼 |
펠리페 가르시아 | 23 | 21 | 1.10 | 바라칼도 |
호세 라몬 이바레체 | 34 | 30 | 1.13 | 셀타 비고 |
폰테베드라의 로드리가 28경기 12실점, 평균 실점 0.43으로 북부 리그 최저 실점률을 기록했다.
4. 남부 리그
4. 1. 참가 구단
1964-65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남부 리그에는 16개 구단이 참가했는데, 이들은 스페인 남부 지역과 카나리아 제도를 연고로 했다.구단 | 위치 | 경기장 |
---|---|---|
아바란 | 아바란 | 라스 콜로니아스 |
알헤시라스 | 알헤시라스 | 엘 미라도르 |
카디스 | 카디스 | 라몬 데 카란사 |
칼보 소텔로 | 푸에르토야노 | 칼보 소텔로 |
아틀레티코 세우타 | 세우타 | 알폰소 무루베 |
콘스탄시아 | 잉카 | 무니시팔 데스 코스 |
그라나다 | 그라나다 | 로스 카르메네스 |
에르쿨레스 | 알리칸테 | 라 비냐 |
말라가 | 말라가 | 라 로살레다 |
마요르카 | 팔마 데 마요르카 | 류이스 시트하르 |
멜리야 | 멜리야 | 알바레스 클라로 |
메스타야 | 발렌시아 | 메스타야 |
온테니엔테 | 온테니엔테 | 엘 클라리아노 |
레크레아티보 | 우엘바 | 무니시팔 |
테네리페 |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 |
바야돌리드 | 바야돌리드 | 호세 소리야 |
4. 2. 리그 순위
{{#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section=South
|winpoints=2
|update=complete |source=[https://www.bdfutbol.com/es/t/t1964-652a2.html BD푸트볼]
|team1 =MAL|win_MAL=18|draw_MAL=6 |loss_MAL=6 |gf_MAL=37|ga_MAL=23|name_MAL = 마요르카|status_MAL=P
|team2 =CDM|win_CDM=16|draw_CDM=6 |loss_CDM=8 |gf_CDM=49|ga_CDM=26|name_CDM = 말라가|status_CDM=O,P
|team3 =VLL|win_VLL=15|draw_VLL=5 |loss_VLL=10|gf_VLL=47|ga_VLL=24|name_VLL = 바야돌리드
|team4 =HER|win_HER=16|draw_HER=2 |loss_HER=12|gf_HER=55|ga_HER=36|name_HER = 에르쿨레스
|team5 =CEU|win_CEU=13|draw_CEU=6 |loss_CEU=11|gf_CEU=39|ga_CEU=38|name_CEU = 아틀레티코 세우타
|team6 =PUE|win_PUE=13|draw_PUE=6 |loss_PUE=11|gf_PUE=40|ga_PUE=42|name_PUE = 칼보 소텔로
|team7 =GRA|win_GRA=11|draw_GRA=10|loss_GRA=9 |gf_GRA=45|ga_GRA=35|name_GRA = 그라나다
|team8 =MES|win_MES=13|draw_MES=5 |loss_MES=12|gf_MES=37|ga_MES=41|name_MES = 메스타야
|team9 =REC|win_REC=13|draw_REC=5 |loss_REC=12|gf_REC=37|ga_REC=35|name_REC = 레크레아티보
|team10=ALG|win_ALG=12|draw_ALG=4 |loss_ALG=14|gf_ALG=30|ga_ALG=30|name_ALG = 알헤시라스
|team11=TEN|win_TEN=11|draw_TEN=6 |loss_TEN=13|gf_TEN=24|ga_TEN=33|name_TEN = 테네리페
|team12=MEL|win_MEL=10|draw_MEL=7 |loss_MEL=13|gf_MEL=24|ga_MEL=34|name_MEL = 멜리야
|team13=CON|win_CON=9 |draw_CON=8 |loss_CON=13|gf_CON=31|ga_CON=41|name_CON = 콘스탄시아|status_CON=O
|team14=CAD|win_CAD=8 |draw_CAD=9 |loss_CAD=13|gf_CAD=35|ga_CAD=44|name_CAD = 카디스|status_CAD=O
|team15=ONT|win_ONT=8 |draw_ONT=5 |loss_ONT=17|gf_ONT=35|ga_ONT=50|name_ONT = 온테니엔테|status_ONT=R
|team16=ABA|win_ABA=6 |draw_ABA=6 |loss_ABA=18|gf_ABA=20|ga_ABA=53|name_ABA = 아바란|status_ABA=R
|result1=P |result2=PO |result13=RP |result14=RP |result15=R |result16=R
|hth_CEU=아틀레티코 세우타는 칼보 소텔로와 그라나다에 상대 전적으로 앞서서 윗 순위를 기록하였다: 아틀레티코 세우타 5점, 칼보 소텔로 4점, 그라나다 3점
|hth_PUE=CEU
|hth_GRA=CEU
|hth_MES=메스타야는 레크레아티보에 상대 골득실로 앞서서 윗 순위를 기록하였다: 레크레아티보–메스타야 1–0, 메스타야–레크레아티보 2–0
|hth_REC=MES
|hth_ALG=알헤시라스는 테네리페에 상대 골득실로 앞서서 윗 순위를 기록하였다: 테네리페–알헤시라스 0–2, 알헤시라스–테네리페 0–1
|hth_TEN=ALG
|show_limit=5
|class_rules =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골득실; 5) 다득점.
|res_col_header=PQR
|col_P=green1 |text_P=라 리가로 승격
|col_PO=yellow1 |text_PO=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col_RP=red2 |text_RP=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col_R=red1 |text_R=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강등
}}
4. 3. 득점 집계
wikitable
4. 4. 골키퍼 실점률 집계
wikitext이름 | 골 | 경기 | 평균 실점 | 구단 |
---|---|---|---|---|
호세 안토니오 오미스트 | 14 | 20 | 0.70 | 알헤시라스 |
호세 비센테 | 23 | 28 | 0.82 | 마요르카 |
후아니토 | 22 | 25 | 0.88 | 말라가 |
후안 이그나시오 오테로 | 23 | 23 | 1.00 | 그라나다 |
안토니오 고메스 | 26 | 25 | 1.04 | 테네리페 |
알헤시라스의 호세 안토니오 오미스트가 20경기 14실점, 평균 실점 0.70으로 남부 리그 최저 실점률을 기록했다.
5. 승격 플레이오프전
1965년 6월 6일, 말라가는 라 로살레다에서 레반테를 4-2로 이겼다. 같은 날 무르시아는 라 콘도미나에서 사바델과 2-2 무승부를 거두었다.
6월 13일, 레반테는 바예호에서 말라가와 0-0으로 비겼지만, 합계 2-4로 말라가가 승리했다. 같은 날 사바델은 크루스 알타에서 무르시아를 1-0으로 이겼고, 합계 3-2로 사바델이 승리했다.
최종적으로 사바델과 말라가가 라 리가로 승격하였다.
6. 강등 플레이오프
1964-65 시즌 북부 리그 13위 에우로파와 14위 바달로나, 남부 리그 13위 콘스탄시아와 14위 카디스는 잔류를 위해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 바달로나는 카르타헤나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5-4로 승리했다. 1차전 카르타헤나에서 열린 경기에서 1-3으로 패배했지만, 2차전 바달로나에서 열린 경기에서 4-1로 승리하여 잔류를 확정지었다.
- 콘스탄시아는 베하르 인두스트리알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1-1을 기록, 팔마에서 열린 3차전에서 연장전 끝에 2-1로 승리했다. 1차전 베하르에서 열린 원정 경기에서 0-1, 2차전 잉카에서 열린 홈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 카디스는 에이바르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2-2를 기록, 마드리드에서 열린 3차전에서 4-1로 승리했다. 1차전 에이바르에서 열린 원정 경기에서 0-2, 2차전 카디스에서 열린 홈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최종 결과, 에우로파, 바달로나, 카디스, 콘스탄시아가 세군다 디비시온에 잔류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