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세바스티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세바스티안은 스페인 바스크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바스크어로는 도노스티아(Donostia)라고 불린다.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이 정착한 흔적이 있으며, 1181년 도시 헌장을 받았다. 스페인 왕실의 여름 휴양지로, 19세기 말부터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주요 경제 활동은 상업과 관광업이며, 라 콘차 해변, 바스크 요리,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등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푸스코아도 - 몬드라곤 협동조합
스페인 바스크 지방 몬드라곤에 위치한 몬드라곤 협동조합은 호세 마리아 아리스멘디아리에타 신부가 1956년에 설립한 세계 최대의 노동자 협동조합 기업으로, 금융, 산업, 유통, 지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동자들의 참여와 민주적 의사결정을 통해 운영되며 경제 위기 속에서도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추구하는 협동조합 운동의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 기푸스코아도 - 에이바르
에이바르는 스페인 기푸스코아 주 서쪽에 위치한 도시로, 무기 제조 산업의 중심지였으며 스페인 제2 공화국을 최초로 선포한 곳이자 현재는 산업 및 서비스업, 바스크 대학교 기푸스코아 공과대학 캠퍼스, SD 에이바르 축구 클럽 등 다양한 활동의 중심지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마드리드
마드리드는 스페인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메세타 고원에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와 문화, 밤문화, 미술관, 스포츠 클럽으로 유명하며 국제기구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도시 - 비야레알
비야레알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세라믹 타일 제조업이 발달하고 프리메라리가 축구팀 비야레알 CF의 연고지이며, 산 파스콸 바실리카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산세바스티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도노스티아 / 산세바스티안 |
현지 이름 | ll: eu val: 도노스티아 |
별칭 | 산세, 도노스티, 산세브, 라 벨라 에아소 |
표어 | Ganadas por fidelidad, Nobleza y lealtad (충실, 고귀, 충성으로 얻음) |
행정 | |
국가 | 스페인 |
자치 지방 | 바스크 지방 |
주 | 기푸스코아 주 |
지역 | 도노스티알데아 |
하위 행정 구역 | 21개 동네 |
정부 | |
시장 | 에네코 고이아 |
소속 정당 | EAJ-PNV |
설립 | |
설립일 | 1180년 |
면적 | |
총 면적 | 60.89 km2 |
고도 | |
해발 고도 | 6 m |
인구 | |
총 인구 | 186,095명 |
인구 밀도 | 3686.16명/km2 |
수도권 인구 | 436,500명 |
경제 | |
수도권 GDP (2020년) | 217억 9800만 유로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대 | CEST |
UTC 오프셋 (하계) | +2 |
우편 번호 | |
우편 번호 | 20001–20018 |
지역 번호 | |
지역 번호 | +34 943 (기푸스코아)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시의회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음성 |
2. 명칭
바스크어 형태인 'Donostia'(도노스티아)와 스페인어 형태인 'San Sebastián'(산세바스티안)은 모두 같은 의미인 성 세바스티아누스를 뜻한다. 바스크어 지명에서 'dona/done/doni'(도나/도네/도니) 요소는 "성인"을 의미하며 라틴어 'domine'(도미네)에서 유래되었다. 'Donostia'의 두 번째 부분은 성인의 이름의 축약형을 포함하고 있다.[11] 바스크어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설이 있다. 하나는 '*Done Sebastiáne > Donasa(b)astiai > Donasastia > Donastia > Donostia'라고 주장하며,[12] 다른 하나는 '*Done Sebastiane > *Done Sebastiae > *Done Sebastie > *Donesebastia > *Donasastia > *Donastia > Donostia'라고 주장한다.[13]
산세바스티안은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이다. 초기에는 나바라 왕국의 영토였으나, 1200년 카스티야 왕국에 정복되었다. 이후 가스콘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정착하면서 도시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20] 1265년, 결혼 계약으로 나바라는 산세바스티안 항구 사용권을 얻었다. 가스콘인들은 유럽의 다른 항구 및 가스코뉴와의 무역 발전에 기여했다. 산세바스티안은 밴드 전쟁의 피해를 보지 않은 유일한 도시였으며, 1459년에 기푸스코아에 합류했다.[20] 15세기 초 도시를 둘러싼 성벽이 세워졌고, 1489년 화재로 도시 전체가 파괴되었으나 이후 주로 돌을 사용하여 재건되었다.
1982년까지 공식 명칭은 스페인어로 '''San Sebastián'''(산세바스티안)이었다. 1982년에 두 언어의 명칭을 하이픈으로 연결한 '''Donostia-San Sebastián'''(도노스티아-산세바스티안)으로 변경되었는데[54], 이는 두 언어의 명칭을 연결한 "Donostia-San Sebastián"이라는 덩어리가 공식 명칭임을 의미한다. 2012년에는 "Donostia"와 "San Sebastián"이 각각 공식 명칭이 되었다. 공식 문서 등에서는 두 언어의 명칭을 슬래시로 구분한 '''Donostia / San Sebastián'''(도노스티아 / 산세바스티안)이라는 표기도 사용된다.[55][56][57]
스페인어 "San Sebastián"(산세바스티안)과 바스크어 "Donostia"(도노스티아)는 모두 성 세바스티아누스에서 유래한다. 바스크어 지명에서 dona/dono/doni(도나/도노/도니)라는 요소는 라틴어 domine(도미네)에서 유래하여 성인을 의미하며, 도노스티아의 후반부는 성 세바스티아누스의 축약형인 stia(스티아)이다.[59]
3. 역사
3. 1. 선사 시대 및 고대
현재 산세바스티안 지역에서 인간 정착의 첫 증거는 인차우론도 남쪽과 아스티가라가 사이에 있는 아메차가냐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출토된 석기는 기원전 2만 4천년~2만 2천년경 동물 가죽을 자르는 데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8] 구석기시대 야외 유적 발굴 결과, 당시 정착민들은 호모 사피엔스 사냥꾼들이었으며, 당시 기후가 훨씬 더 추웠음을 알 수 있다.[18]
로마 시대에 산세바스티안은 바르둘리(Varduli)의 영토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산세바스티안 동쪽 17km에 있는 이룬(Irún)에는 오이아소(Oiasso)라는 바스크-로마 도시 유적이 있지만, 오랫동안 문헌 상으로는 산세바스티안이 오이아소로 잘못 인식되어 왔다.
3. 2. 중세
1014년, 레예 수도원에 팜플로나의 산초 3세가 산 세바스티안 수도원을 기증했다는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11] 1181년, 팜플로나의 산초 6세는 이주룸(Izurum) 지역에 도시 헌장(푸에로)을 부여하고, 오리아 강과 비다소아 강 사이의 모든 지역에 대한 관할권을 행사했다.
1200년, 카스티야 왕국의 알폰소 8세가 이 도시를 정복했다.[20] 1265년, 결혼 계약에 따라 나바라는 도시의 항구 사용권을 얻었다.[20]
3. 3. 근세
근대에 들어서면서 산세바스티안은 불안정과 전쟁의 시기를 겪었다. 15세기 후반 나바라 왕국의 쇠퇴와 함께 산세바스티안은 프랑스와 스페인의 국경 최전선에 남겨졌다. 1521년에는 스페인의 나바라 정복의 일부였던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온달리비아에서 스페인과 프랑스의 충돌 당시 스페인에 귀중한 선박 지원을 제공했으며, 이때 산세바스티안이 스페인에 대해 "매우 고귀하고 매우 충실했다"는 사실이 문장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1520년대에는 콤네로스의 난 때 지원군을 파병함으로써 신성 로마 제국카를 5세의 신임을 얻었다.[63]
1660년, 산세바스티안은 인근 생장드뤼즈에서 스페인의 인판타와 루이 14세의 결혼식 동안 왕실 본부로 사용되었다.[63] 1721년, 프랑스의 버윅 공작의 군대에 의해 포위되어 함락되었으나, 프랑스군의 포격은 받지 않아 많은 도시 구조가 재건되었다. 1728년, 카라카스 기푸스코아 회사가 설립되어 아메리카와의 무역을 활성화시켰다.[63]
3. 4. 현대
스페인 독립 전쟁 중이던 1808년, 나폴레옹 1세의 군대가 산세바스티안을 점령했다.[63] 1813년 8월 28일 밤, 영국 해군 소함대가 상륙하여 산타 클라라 섬을 점령하고 프랑스군과 대치했다. 8월 31일, 영국군과 포르투갈군 해방군은 산세바스티안 포위전을 벌여 프랑스군으로부터 도시를 탈환했으나, 자제력을 잃고 도시를 불태웠다.[64]
1813년 도시 파괴 후, 약간의 변경을 거쳐 같은 장소에 도시를 재건했다. 1863년에는 성벽이 허물어지고, 군사 요새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시 확장이 시도되었다.[66] 신고전주의 양식의 파리풍 직선 도로 배치가 미라마르 궁전, 콘차 산책로 등과 조화를 이루었다. 스페인 왕실은 산세바스티안을 여름 별궁으로 선택하고 미라마르 궁전, 아헤테 궁전 등 저택을 건설했고, 스페인 귀족과 외교 사절들도 산세바스티안으로 이주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산세바스티안은 마타 하리(첩보원), 레프 트로츠키(정치가), 모리스 라벨(작곡가) 등 국제적인 문화인과 정치인들의 주목을 받았다. 1930년 8월, 공화파는 스페인 제2공화국으로 이어지는 산세바스티안 협정을 체결했다.
1936년 스페인 내전 발발 초기에는 바스크 민족주의자,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들의 저항으로 국민군이 패배했지만,[69] 같은 해 말 바스크 지방도 국민주의파의 손에 넘어갔다.[70]
1943년, 엘비라 시피토리아에 의해 바스크어 학교(이카스톨라)가 설립되었다. 1953년에는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가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1979년 스페인 최초의 민주적인 지방 선거가 실시되어 바스크 민족주의당(EAJ-PNV)이 승리했다. 1990년대에는 산세바스티안의 신고전주의와 현대주의 건축 가치를 높이기 위한 도시 중심부 개량 사업이 시작되었다.
4. 지리
산세바스티안은 바스크 지방 북부, 비스케이 만 남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우르메아 강 어귀에 자리 잡고 있다. 콘차, 온다레타, 추리올라 등 세 개의 해변과 우르굴, 울리아 산, 아다라 산, 이겔도 등의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다. 시 중심부와 아마라 베리, 리베라스 데 로이올라 지역은 이전의 강바닥에 위치한다.[14]
4. 1. 기후
산세바스티안은 서안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를 보인다.[15] 멕시코 만류의 영향으로 고위도임에도 불구하고 온난하며, 덥지는 않지만 따뜻한 여름과 춥지는 않지만 서늘한 겨울을 가진다. 연중 대부분 흐리거나 구름이 낀 날씨를 보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약 1650mm로 1년 내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한다. 여름철에는 다소 건조하고 햇살이 풍부하며, 평균 강수량은 약 100mm이다. 평균 기온은 1월 8.9°C에서 8월 21.5°C까지 다양하다.[9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13.1°C | 13.8°C | 16.1°C | 17.5°C | 20.7°C | 23.1°C | 25.1°C | 25.7°C | 24°C | 21°C | 16.2°C | 13.5°C | 19.2°C |
평균 기온 (°C) | 8.9°C | 9.4°C | 11.6°C | 13°C | 16.2°C | 19°C | 21°C | 21.5°C | 19.4°C | 16.4°C | 12°C | 9.6°C | 14.8°C |
평균 최저 기온 (°C) | 4.7°C | 5°C | 7°C | 8.5°C | 11.8°C | 14.8°C | 16.9°C | 17.2°C | 14.7°C | 11.8°C | 7.8°C | 5.6°C | 10.5°C |
평균 강수량 (mm) | 157mm | 135mm | 124mm | 156mm | 120mm | 95mm | 85mm | 117mm | 132mm | 167mm | 188mm | 174mm | 1649mm |
평균 강수일수 (≥ 1 mm) | 13 | 12 | 12 | 14 | 12 | 10 | 9 | 10 | 10 | 12 | 13 | 12 | 138 |
평균 상대 습도 (%) | 75 | 72 | 70 | 71 | 72 | 73 | 74 | 75 | 75 | 75 | 76 | 75 | 74 |
평균 일조 시간 | 88 | 108 | 141 | 159 | 182 | 188 | 198 | 197 | 170 | 134 | 96 | 81 | 1750 |
5. 행정 구역
구 이름 |
---|
아이에테 구 |
알차 구 |
아마라 구 |
아마라 베리 구 |
안티구아 구 |
아뇨르가 구 |
아테고리에타-우리아 구 |
에르디알데아 구 |
에히아 구 |
그로스 구 |
이바에타 구 |
인차우론도 구 |
로이올라 구 |
마르투테네 구 |
미라클루스-비데비에타 구 |
파르테 사아라 구 |
수비에타 구 |
6. 정치
1979년 스페인 민주화 이후 첫 지방 선거에서 바스크 민족주의당(EAJ-PNV)이 승리했다. 바스크 민족주의당은 1991년까지 분파인 (EA)와 연합했다. 1991년 스페인 사회노동당(PSOE)의 오돈 엘로르사가 시장으로 당선되어 약 20년 동안 시장직을 역임했다.
2011년 시장 선거에서는 빌두(Bildu)의 후안 카를로스 이사기레가 당선되었다.[72] 이사기레는 취임 직후 시청 청사 내 행사 등에서 사용되는 응접실에서 스페인 국왕의 초상화를 제거했다.[73]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획득 의석 |
---|---|---|---|
BILDU-EA-ALTERNATIBA | 21,110 | 24.29% | 8 |
스페인 사회노동당(PSE-EE/PSOE) | 19,666 | 22.63% | 7 |
국민당(PP) | 16,502 | 18.99% | 6 |
바스크 민족주의당(EAJ-PNV) | 15,587 | 17.93% | 6 |
7. 경제
주요 경제 활동은 상업과 관광이다. 산세바스티안은 스페인에서 가장 잘 알려진 관광지 중 하나이다.[9]
국제 기술 기업 이쿠시(Ikusi)의 본사가 산세바스티안에 있다.
8. 교통
에우스코트렌 트레나(Euskotren Trena), 에우스코트렌(Euskotren) 철도망을 통해 산세바스티안에 철도 서비스가 제공된다. 에우스코트렌은 빌바오(Bilbao) 등지로 가는 열차와 산세바스티안 지하철을 운행하며, 렌페(Renfe)의 세르카니아스 산세바스티안(Cercanías San Sebastián)과 함께 산세바스티안 광역권을 연결한다.[60] 마드리드-헨다예 철도(Madrid–Hendaye railway)를 경유하여 산세바스티안 역(San Sebastián railway station)을 통해 프랑스 앙다이(Hendaye)와 마드리드(Madrid)를 잇는 열차가 자주 운행되며, 프랑스 철도망과 연결된다.[60]
인근 온다리비아(Hondarribia) 시정촌에는 산세바스티안 공항(San Sebastián Airport)이 있다. 빌바오 공항(Bilbao Airport)은 산세바스티안에서 약 98km, 프랑스 비아리츠 공항(Biarritz Pays Basque Airport)은 약 50km 떨어져 있다.[60]
; 항공
: 산세바스티안 반경 120km 이내에는 산세바스티안 공항(San Sebastián Airport), 비아리츠-앙글레-바이온 공항(Biarritz–Anglet–Bayonne Airport), 팜플로나 공항(Pamplona Airport), 빌바오 공항(Bilbao Airport), 비토리아 공항(Vitoria Airport) 등 5개 공항이 있다. 산세바스티안에서 가장 가까운 공항은 동쪽으로 15km 떨어진 온다리비아에 있는 산세바스티안 공항이다. 이 공항은 스페인과 프랑스 국경을 흐르는 비다소아 강(Bidasoa River)에 인접해 있으며, 1800m 길이의 활주로 1개를 갖추고 있다. 국내선만 운항하며, 이베리아 항공(Iberia Airlines)은 마드리드(Madrid), 부엘링 항공(Vueling Airlines)은 바르셀로나(Barcelona)로 각각 정기편을 운항한다. 산세바스티안 공항에서 가장 가까운 국제공항은 프랑스 비아리츠-앙글레-바이온 공항(32km)이며, 스페인 내에서는 빌바오 공항(117km)이다. 빌바오 공항에서는 PESA와 ALSA가 산세바스티안행 버스를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60~90분이다.
; 철도
: 광궤 렌페(Renfe)(스페인 국철)는 산세바스티안 북역을, 협궤 바스크 철도(Euskotren)는 아마라 역(두단식 승강장(Terminal Platform))을 산세바스티안 중심역으로 사용한다. 렌페는 이룬(Irun), 산세바스티안 북역, 톨로사(Tolosa), 수마라가(Zumarraga) 등을 연결하는 통근열차 세르카니아스(Cercanías) 산세바스티안을 운행한다. 바스크 철도는 앙다이(Hendaye)(프랑스), 이룬, 에렌테리아(Errenteria), 아마라 역, 라사르테-오리아(Lasarte-Oria) 등을 연결하는 급행 철도(Rapid Transit) 도노스티아 지하철(Metro Donostialdea)을 운행한다.
: 렌페는 마드리드와 이룬 간 장거리 고속열차 알비아(Alvia)를 운행하며, 일부 열차가 산세바스티안 북역에 정차한다. 알비아에는 렌페 120계 전동차(Renfe Class 120)가 투입된다. 2017년에는 바스크 자치주 3개 주도를 잇는 고속철도(High-speed rail)망 바스크 Y(Y vasca)가 개통될 예정이었으나, 현재(2024년 5월)까지도 건설 중이다. 바스크 Y는 산세바스티안, 비스카야 주(Bizkaia) 주도 빌바오(Bilbao), 알라바 주(Álava) 주도 비토리아-가스테이스(Vitoria-Gasteiz)를 "Y"자 형태로 연결하여 3개 주도 간 이동 시간을 크게 단축할 것이다.
: 몬테 이게르도에는 이게르도 케이블카(Monte Igueldo funicular)가 설치되어 있다. 1912년 개통된 이 케이블카는 붉은색 차체가 특징이며, 표고차 151m를 약 3분 만에 오른다. 몬테 이게르도 정상에는 전망대가 있어 산세바스티안 시가지, 라 콘차 만(La Concha Bay), 산타 클라라 섬(Isla de Santa Clara), 몬테 우르굴(Monte Urgull)을 조망할 수 있다.
; 도로 교통
: 유럽 도로망은 바스크 지방 해안선을 따라 달리는 유료 고속도로 AP-8선과 연결되며, AP-8선은 이룬(Irun), 에이바르(Eibar), 빌바오(Bilbao) 등 스페인 북부 도시들과 산세바스티안을 연결한다. 시내에는 도노스티아 버스(D 버스)라는 근거리 노선 버스가 운행되며, 2005년 기준 시민 1인당 연간 145.36회 탑승하여 스페인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버스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루랄데 버스(Lurraldebus)는 산세바스티안에서 빌바오, 비토리아, 레케이티오(Lekeitio) 등 바스크 자치주 내 다른 도시로 가는 중거리 노선 버스를 운행한다. PESA와 ALSA는 산세바스티안 시내에서 산세바스티안 공항까지 버스를 운행한다.
9. 문화
산세바스티안은 활기 넘치는 문화 도시로, 2016년 브로츠와프(폴란드)와 함께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되었다. "사람들의 에너지의 물결"이라는 모토 아래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연중 개최되며, 특히 여름철에 활발하다.
7월 마지막 주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재즈 축제 중 하나인 산세바스티안 재즈 페스티벌(Jazzaldia)이 열린다. 도시 곳곳에서 다양한 콘서트가 열리며, 무료 공연도 많다. 8월에는 클래식 음악 콘서트가 열리는 산세바스티안 음악 주간이 개최된다. 9월에는 쿠르살 궁전과 비토리아 에우헤니아 극장을 중심으로 5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가 개최된다.
이 외에도 현대 미술과 도시 문화를 다루는 스트리트 지네마(Street Zinema), 호러 및 판타지 영화제, 서핑 영상을 상영하는 서필름 페스티벌(Surfilm Festival) 등 다양한 영화제가 열린다. 산 텔모 박물관은 민족지학, 예술, 시민 문화에 중점을 둔 주요 문화 기관이다.[29]
9. 1. 주요 축제

매년 1월 20일 성 세바스티안 축일에 산세바스티안 시민들은 "탐보라다(Tamborrada)" 축제를 연다. 이 축제는 시민들에게 가장 중요하다. 자정에 알데 사하라/파르테 비에하(구시가지)의 콘스티투시오 광장에서 시장이 산세바스티안 깃발을 게양한다. 24시간 동안 도시 전체는 북소리로 가득 찬다. 성인들은 산세바스티안 행진 때 밤새 요리사와 군인으로 분장하고 도시를 행진한다.[35]
19세기 초 이날에는 구시가지 산타 마리아 교회에서 안티구오 지역 산세바스티안 교회까지 행렬이 있었지만, 악천후로 성벽 안으로 제한되었다. 행사는 군악대 플루트와 북을 동반한 공개 무도회로 마무리되었다. 매일 군인들 행렬이 도시 남쪽 성벽 근위병 교대를 위해 진행되었다. 산세바스티안의 날은 다가오는 카니발을 알리는 첫 축제였기에, 젊은이들이 따라다니며 군사적 태도와 북소리를 흉내 내고, 분수대 양동이를 북으로 썼다.[29] 1860년대~1880년대 실제 군복과 행진, 작곡가 라이문도 사리에기 음악으로 축제가 현재 형태를 갖췄다.[29]
성인들은 보통 ''txokos''(미식가 클럽)에서 저녁 식사를 한다. 전통적으로 남성만 출입 가능했지만, 가장 보수적인 곳도 "탐보라다의 밤"에는 여성을 허용한다. 해산물(전통적으로 뱀장어였지만, 비싸져서 제공 안 됨)로 구성된, 스스로 요리한 정교한 식사를 하고, 고급 와인을 마신다.

스페인어 ''라 세마나 그란데'', 바스크어 ''아스테 나구시아'' 축제는 매년 8월 중순에 열린다. 세계적 규모 국제 불꽃놀이 경연대회가 열려, 여러 국가와 도시 대표팀들이 매일 밤 만 위에서 불꽃놀이를 선보이고, 마지막에 우승팀을 발표한다. 불꽃놀이에 산책로에서 연주하는 라이브 오케스트라 연주가 함께하기도 한다. 참가자들은 종종 몇 시간 전부터 해변과 만가에 자리를 잡는다.[35] 매일 오후 행진 밴드, 스틸트 위 공연자, 바스크 전통 거인 행렬도 포함된다. ''세마나 그란데''는 많은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한다.[36]
9월 초 바스크 주간에는 즉흥 시인(bertsolari) 공연, 바스크 펠로타 경기, 돌 들기 대회(Harrijasotzaileak), 소 끌기 내기(Idi probak), 춤 공연, 사과주 시음 축제 등 바스크 문화 관련 행사가 열린다. 비스카이만 주변 마을 팀들이 콘차의 깃발(Kontxako Bandera)을 놓고 경쟁하는 정선 경주(estropadak)가 중심이다. 결승전이 열리는 일요일, 해안 지역 수천 명 응원자들이 만 전망 좋은 도시 거리와 산책로를 채운다.
산 아가타 전야제는 2월 초나 1월 말 바스크 지방 여러 곳에서 열리는 전통 행사로, 도시 카니발을 앞두고 진행된다. 바스크 전통 농부 복장 사람들이 동네를 돌며 노래하고, 성 아가타 곡조에 맞춰 땅에 막대기를 치는 행위를 한다.[35] 노래하는 사람들은 돈, 음료, 음식 등 소액 기부를 요청한다.

이 축제는 2월 첫째 토요일 열리는 지역 축제로, 다가오는 카니발과 관련 있다. 집시 대장장이 복장 사람들이 거리로 나가 냄비나 프라이팬에 망치나 수저로 리드미컬하게 두드리며, 보통 술집을 돌며 전통 노래를 부른다. 한때 남성 목소리만 있었지만, 지금은 여성도 참여해 노래하며, 주요 행사는 시청에서 열린다. 시립 밴드 행진곡 연주 동안 군중은 냄비와 프라이팬을 두드린다. 1884년 시작되었다.
산토 토마스 축제는 사도 토마스 날인 12월 21일에 열린다. 이른 아침부터 시내 중심부에 노점이 설치되고, 기푸스코아 전역 방문객들이 시내 중심부와 구시가지로 모여드는데, 많은 사람이 전통 바스크 농부 복장을 한다. 노점에서는 전통 농산물을 판매하는데, 주요 음료는 사이다, 인기 간식은 탈로 빵에 싸인 얇은 생 쵸리조 츄이스토라이다. 콘스티투시온 광장에 큰 돼지 한 마리가 전시, 축제 기간 중 추첨해 증정한다.[35]
다른 바스크 도시, 마을처럼 산세바스티안에서도 크리스마스 이브에 올렌체로와 함께 바스크 농부 복장 캐럴 가수들이 거리를 활보하며, 특히 시내 중심가에서 노래 부른 후 바, 상점, 은행 등에서 소액 기부를 요청한다. 때로 올렌체로 합창단이 12월 31일처럼 며칠 후에도 거리를 도는데, 종종 문화, 사회, 정치 단체 및 요구와 관련 있다.
9. 2. 영화 및 음악 축제
산세바스티안은 역동적인 문화 환경을 자랑하며, 특히 여름에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7월 마지막 주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는 재즈 페스티벌인 산세바스티안 재즈 페스티벌(Jazzaldia)이 개최되며, 도시 곳곳의 다양한 장소에서 콘서트가 열리고 무료 입장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8월에는 클래식 음악 콘서트가 열리는 산세바스티안 음악 주간이 15일 동안 개최된다.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는 50년 이상 쿠르살 궁전과 비토리아 에우헤니아 극장을 중심으로 9월에 개최된다.[29]- 7월 마지막 주 – 자스알디아(산세바스티안 국제 재즈 페스티벌)
- 8월 - 산세바스티안 음악 주간
- 9월 -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자스알디아(산세바스티안 국제 재즈 페스티벌)
: 1966년에 처음 개최된 이 재즈 페스티벌은 유럽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재즈 이벤트 중 하나이며, 시내 여러 곳에서 때로는 무료로 재즈 세션이 열린다.
;산세바스티안 음악 주간
: 클래식 음악 축제이며, 8월 한 달 동안 다양한 이벤트가 개최된다.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 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쿠르살 국제회의장 및 공회당과 비토리아 에우헤니아 극장을 장소로 하고 있다. 영화 감독과 배우들은 호텔 마리아 크리스티나 등에 숙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 스포츠
이 도시의 주요 축구 클럽은 레알 소시에다드이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1929년 라리가 창설 멤버이며, 1980년대 초에는 1980-81 시즌과 1981-82 시즌에 라리가 2연패를 달성하며 매우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아노에타 스타디움은 아노에타 스포츠 단지에 위치해 있으며 레알 소시에다드의 홈구장이다.[41] 아노에타 경기장은 럭비 유니온 경기 (비아리츠 올림피크 또는 아비롱 바요나 경기)도 개최된다. LEB 오로의 농구팀 기푸스코아 바스켓은 산세바스티안의 도노스티아 아레나에서 경기를 하고, 리가 나시오날 데 오키 엘로의 아이스하키 클럽인 CHH 추리 우르딘도 있다.
매년 여름에는 유명한 사이클링 대회인 1일 대회 클라시카 데 산세바스티안("산세바스티안 클래식")이 개최된다. 이 사이클링 경주는 UCI 월드 투어의 일부이며 이전에는 전신인 UCI 프로투어와 UCI 로드 월드컵의 일부였다. 2019년부터 여자부 경기도 열리고 있다.
11. 교육
도노스티아-산세바스티안은 주요 대학 도시로 성장했다. 이 도시에는 네 개의 대학교와 한 곳의 고등 음악학교가 있다.
- 바스크 지방대학교(UPV/EHU): 산세바스티안은 이 공립 대학교의 기푸스코아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다.[32]
- 나바라 대학교(University of Navarra): 이 사립 대학교는 산세바스티안에 테크눈(Tecnun)이라는 공학 중심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 데우스트 대학교(University of Deusto): 1956년에 설립된 이 사립 대학교의 산세바스티안 캠퍼스는 다양한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 몬드라곤 대학교(Mondragon University): 이 사립 대학교의 선구적인 요리 과학 학부는 산세바스티안에 있다.
- 무시케네(Musikene): 바스크 지방 고등 음악학교는 산세바스티안에 있다.
중등 교육은 도시와 그 주변 지역의 사회, 문화, 기술, 경제적 수준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혁신적인 연구 센터와 연구 전략을 통해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빌바오, 세비야, 발렌시아 등과 함께 스페인 주요 과학 생산 지역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노스티아-산세바스티안의 과학 생산은 재료 과학, 암 연구,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 건축학, 고분자 과학, 생체 재료, 나노 기술, 로봇 공학, 정보학 등의 분야를 다룬다.
12. 요리
산세바스티안은 바스크 요리로 유명하다. 산세바스티안과 그 주변 지역에는 미슐랭 가이드 별을 받은 레스토랑이 밀집해 있다.[37] 인구 대비 미슐랭 스타 숫자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으며,[38] 일본 교토 다음이다. 2013년 세계 50대 레스토랑(The World's 50 Best Restaurants) 순위에 따르면 세계 10대 레스토랑 중 두 곳이 산세바스티안에 있었다.[39] 이러한 레스토랑 외에도 이 도시는 구시가지와 도시 곳곳의 바에서 찾아볼 수 있는 핀초(타파스와 비슷한 작은 접시 요리)로도 유명하다.
산세바스티안은 바스크 요리 사회의 발상지이기도 하며,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산세바스티안은 요리학 학위를 제공하는 최초의 기관인 바스크 요리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40]
2019년부터 편의점 디저트로 판매되고 있는 바스크 치즈케이크의 발상지도 산세바스티안이다. 현지 바(bar), 라 비냐의 것이 원조라고 자주 이야기된다.
13. 자매 도시
14. 저명한 출신 인물
- 미켈 아르테타(Mikel Arteta) (1982년생): 프리미어리그 클럽 아스널의 감독이자 전 선수.
- 아리츠 아두리스(Aritz Aduriz) (1981년생): 아틀레틱 빌바오에서 활약했던 전 축구 선수. 2015년 라리가 최고 국내 득점자에게 수여되는 사라 트로피 수상.
- 사비 알론소(Xabi Alonso) (1981년생): 톨로사 출생, 산세바스티안에서 성장한 전 프로 축구 선수. 스페인 국가대표팀의 2010년 월드컵 우승 멤버이며, 현재 독일 분데스리가 클럽 바이어 레버쿠젠 감독.
- 칠라르데기(Txillardegi) (호세 루이스 알바레스 엔파란차, José Luis Álvarez Enparantza) (1929~2012): 바스크어 언어학자, 정치인, 작가.
- 알리시아 아마트라인(Alicia Amatriain): 발레 무용수.
- 그레텔 아만(Gretel Ammann) (1947~2000): 철학자, 수필가, 활동가, 급진적 페미니스트, 레즈비언 분리주의자.
- 루이스 아르코나다(Luis Arconada) (1954년생): 레알 소시에다드와 스페인 국가대표팀에서 골키퍼로 활약했던 전 축구 선수.
- 호세 데 아르테체(José de Arteche) (1906~1971): 작가.[42]
- 세라핀 바로하(Serafin Baroja) (1840~1912): 작가, 바스크 문화 옹호자, 자유주의자. 피오 바로하의 아버지.
- 피오 바로하(Pío Baroja) (1872~1956): 98세대 작가.
- 카를로스 비아(Carlos Bea) (1934년생): 연방 판사, 미국 제9순회 항소 법원.
- 알바로 베르메호(Alvaro Bermejo) (1959년생): 작가, 언론인. ''티베트 복음'', ''아틀란티스의 미궁'' 등의 베스트셀러 작가.
- 후안 마누엘 베스네스 이 이리고옌(Juan Manuel Besnes e Irigoyen) (1789~1865): 우루과이 화가, 서예가.
- 빌린츠(Bilintx) (인달레시오 비스카론도, Indalezio Bizkarrondo) (1831~1876): 산세바스티안과 깊은 관련이 있는 낭만주의 시인, 베르소라리. 카를리스트 포격에 맞아 사망.
- 아킬레 브루탱(Achille Broutin) (1860~1918): 펜싱 선수, 무기 수집가.
- 에두아르도 칠리다(Eduardo Chillida) (1924~2002): 조각가. 기념비적인 추상 작품으로 유명.
- 아란차 디아스 데 일라라사 산체스(Arantza Díaz de Ilarraza Sánchez) (1957년생): 바스크 및 기타 언어에 대한 언어 기술과 자연어 처리 연구원.
- 카탈리나 데 에라우소(Catalina de Erauso) (1585년 또는 1592~1650년): 남자로 변장하고 스페인과 아메리카를 여행했던 전 수녀.
- 마리나 데 가바라인(Marina de Gabaráin) (1917~1972): 메조소프라노 오페라 가수.
- 이냐키 가빌론도(Iñaki Gabilondo) (1942년생): 언론인.
-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Alberto Iglesias) (1955년생): 음악 작곡가.
- 미켈 라보아(Mikel Laboa) (1934~2008): 바스크 가수, 작곡가.
- 후아나 라란도(Juana Larando) (1630년경 활동): 바스크 사략선 선장.
- 이마놀 라르사발(Imanol Larzabal) (1947-2004): 바스크 가수, 작곡가.
- 라몬 라스카노(Ramon Lazkano) (1968년생): 작곡가.
- 헤수스 마리아 데 레이사올라(Jesús María de Leizaola) (1896~1989): 1960년 이후 망명 바스크 정부 대통령 역임.
- 레베카 리나레스(Rebeca Linares) (1983년생): 스페인 포르노 배우.
- 길버트 매커레쓰(Gilbert Mackereth) (1892~1962): 제1차 세계 대전 영웅. 용감함으로 군사 십자훈장 수여. 산세바스티안에서 은퇴 후 사망, 산세바스티안에 매장.
- 이케르 마르티네스(Iker Martínez de Lizarduy Lizarribar) (1977년생): 올림픽 요트 선수.
- 훌리오 메뎀(Julio Medem) (1958년생): 영화 감독.
- 이도이아 오타에기(Idoia Otaegui) (1968년생): 바스크 정부 법무부 차관 역임 변호사, 법률가, 교수.
- 안토니오 페냐 이 고니(Antonio Peña y Goñi) (1846~1896): 음악학자.
- 알렉스 우바고(Alex Ubago) (1981년생): 팝 작곡가, 가수. 비토리아 출생, 산세바스티안에서 성장.
- 후안 우가르테(Juan Ugarte) (1980년생): 레알 소시에다드, 렉섬, 크루 알렉산드라에서 활약했던 전 프로 축구 선수.
- 훌리오 우르키호 이바라(Julio Urquijo Ibarra) (1871~1950): 바스크어 언어학자.
- 안드레스 빌라리뇨(Andrés Vilariño) (1951년생): 레이싱 드라이버.
- 페르난도 데 비야누에바(Fernando de Villanueva) (1679년 사망): 1665년부터 1668년까지 스페인령 뉴멕시코 총독.
- 마누엘 사마레뇨 비요리아(Manuel Zamarreño Villoria) (1955~1998): 정치인.
참조
[1]
문서
The title of la bella Easo ("the beautiful Easo")
[2]
뉴스
Eneko Goia, nuevo alcalde de San Sebastián
http://www.diariovas[...]
[3]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GDP) at current market prices by metropolitan regions
https://ec.europa.eu[...]
[4]
뉴스
Donostia (Basque) / San Sebastián (Spanish)
http://www.diariovas[...]
El Diario Vasco
2011-12-29
[5]
간행물
Orden Foral de 27 de julio de 2012, de la Diputación Foral de Gipuzkoa, por la que se modifica el nombre oficial del municipio (incluida su capital) de Donostia-San Sebastián.
https://www.boe.es/d[...]
Agencia Estatal Boletín Oficial del Estado
2012-09-24
[6]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Spanish Statistical Institute)
http://www.ine.es/no[...]
2016-11-29
[7]
웹사이트
Proyecto Audes
https://web.archive.[...]
2011-08-22
[8]
웹사이트
Donostiarra
http://buscon.rae.es[...]
[9]
웹사이트
Geography and Economy of Donostia-San Sebastián
http://www.ingeba.or[...]
2011-07-03
[10]
웹사이트
Wroclaw and San Sebastian: European Capitals of Culture in 2016
https://ec.europa.eu[...]
2015-12-31
[11]
서적
The History of Basque
Routledge
[12]
서적
Apellidos vascos
[13]
웹사이트
Donostia-San Sebastián: Onomástica
http://www.euskomedi[...]
[14]
서적
San Sebastián: La Historia de la Ciudad a través de sus Calles, Plazas, Barrios, Montes y Caminos
Txertoa
[15]
웹사이트
Evolución de los climas de Köppen en España en el periodo 1951-2020 -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 AEMET. Gobierno de España
https://www.aemet.es[...]
2023-09-08
[16]
웹사이트
Méteo climat stats Moyennes 1991/2020 Espagne (page 2)
http://meteo-climat-[...]
2022-06-08
[17]
웹사이트
V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Hondarribia, Malkarroa
http://www.aemet.es/[...]
2015-11
[18]
뉴스
Hallan un centenar de objetos de hace 22.000 años en el parque de Ametzagaina
http://www.diariovas[...]
El Diario Vasco
2007-03-23
[19]
서적
San Sebastián, ciudad marítima.
Museo Naval
[20]
웹사이트
LOS GASCONES EN GUIPÚZCOA
http://atzoatzokoa.g[...]
IMPRENTA DE LA DIPUTACION DE GUIPUZCOA
2011-09-17
[21]
서적
A Young Surgeon in Wellingtons Army: the Letters of William Dent
[22]
웹사이트
San Sebastián en los Siglos XIX y XX
http://www.ingeba.or[...]
Ingeba
2013-08-15
[23]
서적
Flu: The Story of the Great Influenza Pandemic of 1918 and the Search for the Virus That Caused It
Farrar, Straus and Giroux
[24]
서적
Spanish Civil War
[25]
서적
The Spanish Holocaust: Inquisition and Extermination in Twentieth-Century Spain.
HarperCollins
[26]
웹사이트
Inaugurada la nueva estación de autobuses de Donostia
http://www.eitb.eus/[...]
EiTB
2016-12-10
[27]
웹사이트
Parte Zaharra
http://www.donostia.[...]
[28]
서적
Atarikoak
Kutxa
[29]
서적
Historia de San Sebastián
Editorial Txertoa
1995
[30]
웹사이트
La Actividad Económica
http://www.ingeba.or[...]
Ingeba
2013-08-15
[31]
웹사이트
Auzoak eta Herriak: Altza
http://www.donostia.[...]
2013-08-21
[32]
웹사이트
La Estructura Urbana
http://www.ingeba.or[...]
Ingeba
2013-08-15
[33]
웹사이트
Frontón de rebote de Zubieta (In Spanish)
https://www.euskadi.[...]
[34]
뉴스
El TS confirma la validez de la autorización ambiental de la incineradora de Zubieta
https://www.noticias[...]
Noticias de Gipuzkoa
2024-06-24
[35]
웹사이트
La Tamborrada y otras Fiestas
http://www.ingeba.or[...]
Ingeba
2013-08-15
[36]
웹사이트
Great Week - San Sebastian Tourism
https://www.sansebas[...]
2022-10-20
[37]
웹사이트
Donostia-San Sebastián Michelin restaurants
http://www.viamichel[...]
2013-08-12
[38]
웹사이트
The 20 Most Michelin-Starred Cities in the World (PHOTOS)
http://www.huffingto[...]
2011-08-16
[39]
웹사이트
The World's 50 Best Restaurants (1–10)
https://web.archive.[...]
William Reed Business Media Ltd
2013-08-12
[40]
웹사이트
Home – Basque Culinary Center
http://grado.bculina[...]
[41]
웹사이트
Real Sociedad & Levante Promoted To Primera Liga
http://www.goal.com/[...]
Goal.com
2010-06-13
[42]
웹사이트
José Arteche Aramburu
https://dbe.rah.es/b[...]
2021-08-21
[43]
웹사이트
Ciudades Hermanadas
https://www.donostia[...]
Donostia Kultura
2024-01-14
[44]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operation | NKR
http://www.nkr.am/en[...]
2019-10-09
[45]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municipios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5-05-31
[46]
웹사이트
Cifras oficiales de población resultantes de la revisión del Padrón municipal a 1 de enero
http://www.ine.es/dy[...]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5-05-31
[47]
웹사이트
Alcalde
http://www.donostia.[...]
Donostiako Udala - Ayuntamiento de San Sebastián
2015-09-05
[48]
웹사이트
''Donostia'' (Basque) / ''San Sebastián'' (Spanish)
http://www.diariovas[...]
2016-12-12
[49]
웹사이트
Proyecto Audes
http://alarcos.inf-c[...]
2012-02
[50]
웹사이트
Geography and Economy of Donostia-San Sebastián
http://www.ingeba.or[...]
2011-07-03
[51]
웹사이트
San Sebastián será capital europea de la cultura en 2016
http://www.elpais.co[...]
エル・パイス
2011-07-11
[52]
웹사이트
San Sebastián será Capital Cultural en 2016
http://www.diariovas[...]
2011-07-11
[53]
웹사이트
Donostia-San Sebastián to be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in Spain in 2016
http://ec.europa.eu/[...]
2011-07-03
[54]
웹사이트
VARIACIONES DE LOS MUNICIPIOS DE ESPAÑA DESDE 1842
http://www.seap.minh[...]
Ministerio de Administraciones Públicas. Secretaría General Técnica, GOBIERNO DE ESPÑA
2015-05-22
[55]
논문
制度により構築される言語景観 バスク州とナバラ州における基礎自治体改名の実践
共立女子大学国際学部紀要
[56]
웹사이트
Donostia / San Sebastián, nueva denominación oficial
http://www.diariovas[...]
DIARIOVASCO.COM
2015-05-22
[57]
웹사이트
GIPUZKOAKO A.O.—2012ko abuztuaren 7a N.º 150, Donostiako udalerriaren izen ofizialaren aldaketa./B.O. DE GIPUZKOA—7 de agosto de 2012 N.º 150 Modificación del nombre oficial del municipio de Donostia-San Sebastián.
https://ssl4.gipuzko[...]
Gipuzkoako Foru Aldundia
2015-05-22
[58]
웹사이트
サン・セバスティアン
http://www.jata-net.[...]
日本旅行業協会
2014-09-25
[59]
서적
The History of Basque
Routledge
[60]
서적
San Sebastián: La Historia de la Ciudad a través de sus Calles, Plazas, Barrios, Montes y Caminos
Txertoa
2013-08-20
[61]
웹사이트
Hallan un centenar de objetos de hace 22.000 años en el parque de Ametzagaina
http://www.diariovas[...]
2011-09-17
[62]
웹사이트
LOS GASCONES EN GUIPÚZCOA
http://atzoatzokoa.g[...]
IMPRENTA DE LA DIPUTACION DE GUIPUZCOA
2011-09-17
[63]
서적
Historia de San Sebastián
Editorial Txertoa
[64]
서적
A Young Surgeon in Wellingtons Army: the Letters of William Dent
Old Woking
[65]
웹사이트
San Sebastián en los Siglos XIX y XX
http://www.ingeba.or[...]
Ingeba
2013-08-15
[66]
웹사이트
La Estructura Urbana
http://www.ingeba.or[...]
Ingeba
2013-08-15
[67]
뉴스
総選挙で人民戦線派が勝利
東京朝日新聞
1936-02-18
[68]
뉴스
首都マドリッドも包囲される
東京朝日新聞
1936-08-15
[69]
서적
Spanish Civil War
[70]
서적
[71]
웹사이트
エドゥアルド・チリーダ
http://www.ingeba.or[...]
2014-09-27
[72]
웹사이트
スペイン内務省 2011年地方選挙結果
http://resultados201[...]
[73]
웹사이트
Bildu retira el retrato del Rey porque 'no representa a la mayoría de donostiarras'
http://www.elmundo.e[...]
El Mundo
2011-06-24
[74]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San Sebastián / Aeropuerto
http://www.aemet.es/[...]
2011-07
[75]
웹사이트
バスク地方の伝統的な祭り 音楽祭などの催し
http://www.travelinf[...]
日西観光協会
[76]
웹사이트
Tamborrada (Drum Parade)
http://tourism.euska[...]
[77]
웹사이트
La Tamborrada y otras Fiestas
http://www.ingeba.or[...]
Ingeba
2013-08-15
[78]
웹사이트
Nuestras sedes {{!}} Orquesta Sinfónica de Euskadi
https://es.euskadiko[...]
[79]
웹사이트
Coro Easo
https://www.coroeaso[...]
[80]
웹사이트
Donostia-San Sebastián Michelin restaurants
http://www.viamichel[...]
2013-08-12
[81]
서적
地球の歩き方 スペイン 14-15
ダイヤモンド社
2014
[82]
웹사이트
The World's 50 Best Restaurants (1-10)
http://www.theworlds[...]
William Reed Business Media Ltd
2013-08-12
[83]
웹사이트
Pintxos and Tapas Culture
http://www.sansebast[...]
[84]
웹사이트
Degree in gastronomy and culinary arts
http://grado.bculina[...]
[85]
서적
バスク料理大全
誠文堂新光社
2016-06-17
[86]
서적
バスク料理大全
誠文堂新光社
2016-06-17
[87]
문서
디비시온 오노르 위에 설치된 프리미어 리그. 장래에는 스페인뿐만 아니라 포르투갈과 지브롤터의 클럽도 참가할 계획이었지만, 2010년 이후로는 개최되지 않고 있다.
[88]
웹사이트
Wiesbaden's international city relations
http://www.wiesbaden[...]
[89]
웹사이트
Plymouth - Town Twinning
http://www.plymouth.[...]
[90]
웹사이트
交流都市 サンセバスティアン(スペイン)
http://www.city.maru[...]
[91]
문서
1990년 11월 6일에 자매 도시 제휴를 맺었다.
[92]
웹인용
V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Hondarribia, Malkarroa
http://www.aemet.es/[...]
2015-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톡파원 25시' 정동원과 역사·문화 발자취 따라간 여행 | JTBC 뉴스
은퇴 여행 계획한다면 하루 3곳 이상은 금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