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에르토야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에르토야노는 이베리아 반도 내륙 고원 남부와 시에라 모레나 북쪽의 과도기적 지역에 위치한 도시이다.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석탄 발견 이후 탄광 도시로 발전하여 인구가 급증했다. 현재는 석유화학, 비료, 발전, 태양광 모듈 제조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카스티야-라 만차 지역의 주요 산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1900년 이후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에는 5만 2천 명 이상이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우다드레알도의 자치체 - 몬티엘
몬티엘은 스페인의 역사적인 마을로, 13세기 캄포 데 몬티엘 영지의 중심지였으며, 몬티엘 전투와 페드로 1세 암살, 중세 유대인 공동체로 알려져 있다. - 시우다드레알도의 자치체 - 비야에르모사 (스페인)
비야에르모사는 스페인 시우다드 레알 지방에 위치하며 북위 38도 45분, 서경 2도 52분에 위치하고 면적은 363.01km²인 도시이다. - 스페인의 도시 - 비야레알
비야레알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세라믹 타일 제조업이 발달하고 프리메라리가 축구팀 비야레알 CF의 연고지이며, 산 파스콸 바실리카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푸에르토야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위치 | 스페인 카스티야-라 만차 시우다드 레알 주 |
일반 정보 | |
유형 | 지방 자치체 |
시장 | 아돌포 무니즈 |
면적 | 226.74km2 |
고도 | 708m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여름 시간대 | CEST |
여름 UTC 오프셋 | +2 |
우편 번호 | 13500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인구 통계 | |
2022년 총 인구 | 45539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2. 지리
2. 1. 위치
푸에르토야노는 이베리아 반도 내 내륙 고원의 남부와 시에라 모레나의 북쪽 지역 사이의 과도기적 지역에 위치해 있다.
푸에르토야노는 북쪽의 아르가마시야 데 칼라트라바 평원과 남쪽의 오하일렌 강/Río Ojailénes 계곡을 연결하는 자연적인 통로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약 710미터 높이에서 동서 방향의 작은 산맥이 가로막고 있다.[2][3]
오하일렌 강은 한둘라/Jándula (afluente del Guadalquivir)es (다시 과달키비르 강의 우안 지류)의 지류인데, 원래는 과디아나 강 유역에 속했지만, 나중에는 과달키비르 강 유역으로 편입되었다.
도시 중심부의 북동쪽과 서쪽에 각각 위치한 언덕인 ''세로 데 산타 아나''(900m)와 ''세로 데 산 세바스티안''(880m)이 푸에르토야노를 둘러싸고 있다.[4]
푸에르토야노는 캄포 데 칼라트라바 화산 지역의 남쪽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5] 화산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높은 CO2 함량을 가진 많은 철천수 중 하나인 유명한 ''푸엔테 아그리아''가 있다.
2. 2. 기후
푸에르토야노는 지중해성 기후이다. 겨울은 춥지만 강설량은 많지 않다. 연평균 기온은 13℃에서 14℃이다. 한여름은 건조가 심하며, 40℃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가을과 봄에 강우가 집중되며, 연간 강수량은 300mm에서 600mm이다.3. 역사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이 지역은 선사 시대(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와 호모 안테세소르)에 거주했음이 밝혀졌다.[6] 청동기 시대 무기, 서고트 시대의 묘지가 고대 로마 이후 시대에서 발견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기독교도 (북부) 스페인과 남쪽의 알모아드 무어 칼리파국 사이의 인구가 없는 무인지대의 일부를 형성했다.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에서 스페인이 승리하면서 이 지역은 재정복되었다. 당국은 북부 스페인에서 온 사람들에게 새로 정복된 빈 땅에 정착하도록 장려했다. 푸에르토야노(당시 ''푸에르토플라노'')는 그 직후 작은 마을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1348년 흑사병으로 마을이 황폐화되어 13명만 살아남았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생존자들은 성모 마리아의 가호에 감사하여 13마리의 소를 바칠 것을 약속했고, 이것이 현재 행해지고 있는 축제의 근원이 되었다.
펠리페 2세는 1576년에 푸에르토야노에게 도시(''villa'')의 칭호와 오스트리아 왕가의 문장을 하사했다. 16세기에 직물 산업이 도입되어 가축 사육과 함께 마을의 주 산업으로 성장했다.
1873년 푸에르토야노에서 석탄이 발견되면서 이 도시는 탄광 도시가 되었고 인구가 급증했다.[6]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 석탄 수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석탄 채굴의 경제적 중요성이 정점에 달했고, 역청탄 채굴을 기반으로 한 지역 경제가 국내 시장에서 번성했다.[6] 1920년에 인구는 20,083명에 달했다.[6]
1925년 6월 프리모 데 리베라의 독재 기간 중 왕령을 통해 푸에르토야노는 도시(''Ciudad'')의 칭호를 받았다.[6] 알폰소 13세로부터 도시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1900년부터 1960년까지 푸에르토야노는 처음에는 탄광이, 다음에는 석유 화학 공업이 경제 성장을 촉진시켰다 (이 때문에 노동 조합 운동이 활발했고, 현재도 스페인 사회노동당의 기반이 되고 있다). 1942년에 건설된 석유 화학 공업 시설은 현재 렙솔 YPF의 소유가 되었다. 스페인 내전이 끝나고 1973년 석유 파동까지 푸에르토야노의 경제 활동은 셰일 오일 채굴 방향으로 재조정되었다.[6] 그러나 1960년대에 폐광이 시작되면서, 1970년에 철도가 폐지되었다.[6]
1992년에 마드리드 - 세비야 간의 AVE 노선이 개통되었다.[6] 현재는 태양광 발전 시설이 2곳 건설되는 등, 새로운 환경 관련 사업이 도입되고 있다.[6]
3. 1. 선사 시대 ~ 중세 시대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이 지역은 선사 시대(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와 호모 안테세소르)에 거주했음이 밝혀졌다. 청동기 시대 무기, 서고트 시대의 묘지가 고대 로마 이후 시대에서 발견되었다.이후 이 지역은 기독교도 (북부) 스페인과 남쪽의 알모아드 무어 칼리파국 사이의 인구가 없는 무인지대의 일부를 형성했다.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에서 스페인이 승리하면서 이 지역은 재정복되었다. 당국은 북부 스페인에서 온 사람들에게 새로 정복된 빈 땅에 정착하도록 장려했다. 푸에르토야노(당시 ''푸에르토플라노'')는 그 직후 작은 마을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1348년 흑사병으로 마을이 황폐화되어 13명만 살아남았다.
펠리페 2세는 1576년에 푸에르토야노에게 도시(''villa'')의 칭호와 오스트리아 왕가의 문장을 하사했다.
1245년 콘코르디아에서 푸에르토야노라는 이름이 처음 기록되었다. 시에라 모레나 산맥과 캄포 데 칼라트라바 사이에 있는 푸에르토야노는 풍부한 천연 목초지를 가지고 있었다. 주로 양을 기르기 위해 토지가 개척되었다. 그 후 가축 사육으로 푸에르토야노는 번영했지만, 14세기에 유럽을 덮친 흑사병의 대유행에 휘말려 불과 13가족을 제외하고 주민이 사망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생존자들은 성모 마리아의 가호에 감사하여 13마리의 소를 바칠 것을 약속했다. 이것이 현재 행해지고 있는 축제의 근원이 되었다.
3. 2. 근세 ~ 현대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이 지역이 선사 시대(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와 호모 안테세소르)에 거주했음이 밝혀졌다.[6] 청동기 시대 무기, 서고트 시대의 묘지가 고대 로마 이후 시대에서 발견되었다.이후 이 지역은 기독교도 (북부) 스페인과 남쪽의 알모아드 무어 칼리파국 사이의 인구가 없는 무인지대의 일부를 형성했다.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에서 스페인이 승리하면서 이 지역은 재정복되었다. 당국은 북부 스페인에서 온 사람들에게 새로 정복된 빈 땅에 정착하도록 장려했다. 푸에르토야노(당시 ''푸에르토플라노'')는 그 직후 작은 마을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1348년 흑사병으로 마을이 황폐화되어 13명만 살아남았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생존자들은 성모 마리아의 가호에 감사하여 13마리의 소를 바칠 것을 약속했고, 이것이 현재 행해지고 있는 축제의 근원이 되었다.
펠리페 2세는 1576년에 푸에르토야노에게 도시(''villa'')의 칭호와 오스트리아 왕가의 문장을 하사했다. 16세기에 직물 산업이 도입되어 가축 사육과 함께 마을의 주 산업으로 성장했다.
1873년에 석탄이 발견되면서 이 마을은 그 이후로 탄광 도시가 되었고, 인구가 급증했다. 마드리드 - 바다호스 사이에 놓인 철도가 푸에르토야노에도 정차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 석탄 수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석탄 채굴의 경제적 중요성이 정점에 달했고, 역청탄 채굴을 기반으로 한 지역 경제가 국내 시장에서 번성했다. 1920년에 인구는 20,083명에 달했다.
푸에르토야노는 프리모 데 리베라의 독재 기간인 1925년 6월 왕령을 통해 도시(''Ciudad'')의 칭호를 받았다.[6] 알폰소 13세로부터 도시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1900년부터 1960년까지 푸에르토야노는 처음에는 탄광이, 다음에는 석유 화학 공업이 경제 성장을 촉진시켰다 (이 때문에 노동 조합 운동이 활발했고, 현재도 스페인 사회노동당의 기반이 되고 있다). 1942년에 건설된 석유 화학 공업 시설은 현재 렙솔 YPF의 소유가 되었다. 스페인 내전이 끝나고 1973년 석유 파동까지 푸에르토야노의 경제 활동은 셰일 오일 채굴 방향으로 재조정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폐광이 시작되면서, 1970년에 철도가 폐지되었다.
1992년에 마드리드 - 세비야 간의 AVE 노선이 개통되었다. 현재는 태양광 발전 시설이 2곳 건설되는 등, 새로운 환경 관련 사업이 도입되고 있다.
3. 3. 현대 (산업화와 그 이후)
1873년 푸에르토야노에서 석탄이 발견되면서 이 도시는 탄광 도시가 되었고 인구가 급증했다.[6]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 석탄 수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석탄 채굴의 경제적 중요성이 정점에 달했고, 역청탄 채굴을 기반으로 한 지역 경제가 국내 시장에서 번성했다.[6] 1920년에 인구는 20,083명에 달했다.[6]1925년 6월 프리모 데 리베라의 독재 기간 중 왕령을 통해 푸에르토야노는 도시(''Ciudad'')의 칭호를 받았다.[6] 스페인 내전이 끝나고 1973년 석유 파동까지 푸에르토야노의 경제 활동은 셰일 오일 채굴 방향으로 재조정되었다.[6] 1900년부터 1960년까지 푸에르토야노는 처음에는 탄광이, 다음에는 석유 화학 공업이 경제 성장을 촉진시켰다.[6] 1942년에 건설된 석유 화학 공업 시설은 현재 렙솔 YPF의 소유가 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폐광이 시작되면서, 1970년에 철도가 폐지되었다.[6]
1992년에 마드리드 - 세비야 간의 AVE 노선이 개통되었다. 현재는 태양광 발전 시설이 2곳 건설되는 등, 새로운 환경 관련 사업이 도입되고 있다.[6]
4. 경제
푸에르토야노는 카스티야-라 만차 지역의 가장 큰 산업 중심지이다. 과거에는 석탄 채굴 도시였지만, 오늘날에는 단 하나의 노천 탄광만이 남아있다.
오늘날 주요 산업은 석유화학 (렙솔), 비료 (페르티베리아), 발전 및 최근에는 태양광 모듈 제조이다. 이 도시는 석탄 산업의 쇠퇴 이후 경제 다변화를 위해 국가 및 EU의 지원을 받았다. 과거에는 가축 사육이 주 산업이었으나, 현재는 직물 산업, 탄광업, 오일 셰일 채굴이 활발하며, 카스티야-라 만차 주 유수의 공업 도시가 되었다.
5. 인구
1900년 7,548명이던 푸에르토야노의 인구는 1910년 10,503명, 1920년 20,083명으로 증가했다. 1930년에는 19,275명으로 감소하였으나 1940년 24,676명, 1950년 34,884명, 1960년 53,136명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1970년에는 53,001명으로 소폭 감소하였고, 1981년 48,747명, 1991년 49,459명으로 감소와 증가를 반복했다. 2000년에는 50,212명, 2010년에는 52,300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6. 자매 도시
- 스페인 코인
7. 주요 명소
푸에르토야노 데헤사 보야 공원 식물원은 도시에 위치해 있다.
8. 유명 인물
- 산티아고 카니자레스, 前 축구 선수.
- 마리아 두에냐스, 작가.
- 크리스티나 가르시아 로데로, 사진 작가.
참조
[1]
웹사이트
Ciudad Real: Población por municipios y sexo. {{!}}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https://www.ine.es/j[...]
2023-12-03
[2]
서적
Mapa Geológico. Memoria explicativa de la hoja n.º 810. Almodóvar del campo
http://info.igme.es/[...]
IGME
[3]
웹사이트
Altitud núcleos de población
https://www.dipucr.e[...]
Diputación Provincial de Ciudad Real
2020-08-03
[4]
서적
Mapa Geológico. Memoria explicativa de la hoja n.º 810. Almodóvar del campo
http://info.igme.es/[...]
IGME
[5]
웹사이트
Volcanismo del Campo de Calatrava
https://previa.uclm.[...]
Universidad de Castilla-La Mancha
[6]
간행물
Real decreto concediendo el título de Ciudad a la Villa de Puertollano, provincia de Ciudad Real
https://www.boe.es/d[...]
1925-06-11
[7]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municipios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2-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