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레뽁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레뽁강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인 닥락성에서 시작하여 캄보디아를 거쳐 메콩강으로 합류하는 강이다. 끄롱노강과 끄롱아나강의 합류로 시작되며, 캄보디아에서는 라타나키리 주와 스퉁트렝 주를 통과한다. 과거에는 베트남 중부 고원과 캄보디아, 라오스를 잇는 중요한 수상 교통로 역할을 했으며, 반돈은 번화한 하천 항구 도시로 기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보디아의 강 - 메콩강
메콩강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흐르는 동남아시아의 주요 강으로, 다양한 문화권과 생태계를 연결하며 풍부한 생물 다양성과 어업 자원을 제공하고 수운 교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댐 건설, 환경 오염,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지속 가능한 관리가 요구된다. - 캄보디아의 강 - 사이공강
사이공강은 225km 길이로 남중국해로 합류하며 호찌민시의 식수원이고 사이공항을 이루는 자원이며, 수질 오염과 생태계 보전과 관련된 환경 문제가 존재하는 강이다. - 아시아의 국제 하천 - 한강
한강은 태백산맥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가는 강으로,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져 한강 본류를 이루며, 총 514km의 길이를 가지며, 수운 교통로, 시민공원 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아시아의 국제 하천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세레뽁강 | |
---|---|
개요 | |
다른 이름 | 끄롱 크상 강 (Krông Ksăng) |
어원 | '스레 (Sre)' 부족의 강 |
위치 |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및 캄보디아 북동부 |
강어귀 | 세콩 강 |
수문학적 정보 | |
수원 | 남위 13° 19′ 56″ 동경 108° 08′ 36″ |
강어귀 좌표 | 북위 13° 34′ 09″ 동경 106° 01′ 46″ |
길이 | 406 km |
유역 면적 | 11650 km²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Sông Serepôk (베트남어) |
2. 경로
세레뽁강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닥락성의 안남산맥 서쪽에 있는 끄롱노강과 끄롱아나강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흘러 캄보디아를 거쳐 메콩강으로 합류한다.
2. 1. 베트남
세레뽁강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닥락성의 안남산맥 서쪽에 있는 두 개의 지류인 끄롱노강과 끄롱아나강에서 시작된다. 세레뽁강은 서쪽으로 끄롱아나현, 부온돈현, 애아숩현으로 흘러간다. 캄보디아 영토에 막 들어서면 애아흘레오강이 합류한다.
끄롱노강과 끄롱아나강이 합류하여 베트남-캄보디아 국경까지 가는 길은 약 126km이다. 국경에서 스퉁트렝까지는 약 281km이다.[1]
2. 2. 캄보디아
세레뽁강은 캄보디아 영토에 들어서면 애아흘레오강과 합류한다. 캄보디아에서는 라타나키리 주와 스퉁트렝 주를 통과한다. 스퉁트렝에서는 메콩강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세산강과 합류한 후 세콩강으로 합류한다.[1]
캄보디아 영토로 진입하면서 세레뽁강은 이아 레오강과 이아 드랑강과 합류한다. 스퉁트렝에서 세레뽁강은 톤레 산강으로 흘러 들어가며, 톤레 산강이 메콩강과 합류하는 지점으로부터 상류로 약 37.01km 떨어진 곳에 있다.[2]
로어 세 산 2 댐이 최근 세레뽁강과 톤레 산강의 합류 지점에 건설되었다.[3]
국경에서 스퉁트렝까지는 약 281km이다.[4]
2. 3. 길이
끄롱노강과 끄롱아나강이 합류하여 베트남-캄보디아 국경까지의 길이는 약 126km이다. 국경에서 스퉁트렝까지는 약 281km이다.[1]3. 이용
19세기 후반 도로 기반 시설이 발달하면서, 세레뽁강은 베트남 중부 고원지대와 캄보디아, 라오스 사이의 중요한 수상 교통로 역할을 했다.[1] 라오족과 크메르족은 배를 타고 상류로 가 그곳 사람들과 무역을 했으며, 반돈은 한때 번화한 하천 항구 도시였다.[1] 라오족은 반돈뿐만 아니라 스퉁트렝에도 거주하며 반돈의 특별한 문화 형성에 기여했다.[1]
3. 1. 과거
19세기 후반 도로 기반 시설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 세레뽁강은 베트남 중부 고원과 캄보디아, 라오스를 잇는 중요한 수상 교통로였다. 라오족과 크메르족은 배를 타고 상류로 가서 그곳 사람들과 교역을 했다. 반 돈(부온 돈, 닥락, 베트남)은 한때 번화한 강 항구 도시였다. 라오족은 스퉁트렝과 반 돈에 와서 정착했으며, 반 돈의 특별한 문화적 특징에 크게 기여했다.역사적으로 이 강은 서부와 남중앙 바나르어 사용 인구의 자연적인 경계였다.[1]
3. 2. 현대
19세기 후반, 도로 기반 시설이 발달하면서 세레뽁강은 베트남 중부 고원지대와 캄보디아, 라오스 사이의 중요한 수상 교통로 역할을 했다.[1] 라오족과 크메르족은 배를 타고 상류로 이동하여 그곳 사람들과 무역을 했다.[1] 반돈(닥락성 부온돈현)은 한때 번화한 하천 항구 도시였다.[1] 라오족은 반돈뿐만 아니라 스퉁트렝에도 거주하면서 반돈의 독특한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1]4. 역사적 의의
19세기 후반 도로 기반 시설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 세레뽁강은 베트남 중부 고원과 캄보디아, 라오스를 잇는 중요한 수상 교통로였다. 라오족과 크메르족은 배를 타고 상류로 가서 그곳 사람들과 교역을 했다. 반 돈(닥락성 부온돈현)은 한때 번화한 강 항구 도시였다. 라오족은 스퉁트렝과 반 돈에 와서 정착했으며, 반 돈의 특별한 문화적 특징에 크게 기여했다.
역사적으로 이 강은 서부와 남중앙 바나르어 사용 인구의 자연적인 경계였다.[1]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repok River – Dak Lak Province
https://www.uncoverv[...]
2024-01-24
[2]
웹사이트
Srepok River – Dak Lak Province
https://www.uncoverv[...]
2024-01-24
[3]
웹사이트
Impact of climate change on meteorological, hyd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s in the Lower Mekong River Basin. a case study of the Srepok Basin, Vietnam
https://www.research[...]
2024-01-23
[4]
웹사이트
Quyết định số 1989/QĐ-TTg ngày 01/11/2010
https://thuvienphapl[...]
Thuvien Phapluat Online
2018-12-30
[5]
문서
Số liệu đo đạc theo bản đồ vệ tinh của Google Ma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