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콩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콩강은 동남아시아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 여러 언어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물의 어머니"를 뜻하는 타이어 "매남콩"에서 유래되었으며, 중국,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여러 국가를 거쳐 남중국해로 흘러든다. 란창강은 메콩강 상류의 중국 내 명칭이며, 콕강, 남오우강, 문강, 세콩강, 톤레삽강 등이 주요 지류이다. 계절풍의 영향으로 수위와 유량이 크게 변동하며, 6개의 구간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메콩강 유역은 아마존강 다음으로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며, 특히 담수어종이 다양하다. 메콩강은 농업, 어업, 수운, 관광 등 유역 국가들의 경제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댐 건설은 전력 생산, 홍수 조절에 기여하지만, 하류 지역의 물 부족, 어획량 감소, 생태계 파괴, 퇴적물 감소 등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메콩강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라오스 루앙프라방 근처의 메콩강
메콩강, 루앙프라방, 라오스
다른 이름중국어 간체: 湄公河 (Méigōng Hé) / 澜沧江 (Láncāng Jiāng)
버마어: မဲခေါင်မြစ် (Megaung Myit)
라오어: ແມ່ນ້ຳຂອງ (Maenam Khong)
태국어: แม่น้ำโขง (Maenam Khong)
크메르어: ទន្លេមេគង្គ (Tônlé Mékôngk)
베트남어: Sông Mê Kông / Sông Cửu Long (九龍)
위치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길이4,350km
유역 면적795,000km²
평균 방류량16,000m³/s
최소 방류량1,400m³/s
최대 방류량39,000m³/s
수원라싸이공마 (拉赛贡玛) 샘
수원 위치궈종무차 산 (果宗木查), 자둬현,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칭하이성
수원 좌표33°42.5'N 94°41.7'E
수원 해발고도5,224m
하구메콩강 삼각주
하구 위치베트남
하구 좌표10.19°N 106.75°E
하구 해발고도0m
지류
왼쪽 지류스레포크강, 남칸강, 타강, 남우강
오른쪽 지류문강, 톤레삽호, 콕강, 루악강

2. 명칭

메콩강은 여러 언어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어원은 타이어 "매남콩"이며, "물의 어머니"를 의미한다.[6] "매남"("Mae Nam")은 큰 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콩"("Khong")은 "강"을 의미하는 고어이다.[7] 초기 유럽 상인들에게는 "Mekon River", "May-Kiang River", "Cambodia River" 등으로 알려졌다.[8]

메콩강은 지역이나 국가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다음과 같다.

}, 扎那曲|중국어 또는 扎曲|Zā Qū중국어 || || 원류부 명칭, 자취(扎曲)는 티베트어 음역

|-

| || 란창강 || || 상류부 명칭, 란창(瀾滄)은 란쌍 왕국의 음역

|-

| 미얀마

| 미얀마어 || မဲခေါင်မြစ်|Mè‘kaung Myitmy || ||

|-

| 라오스

| 라오어 || ແມ່ນ້ຳຂອງ|mɛ̄ː nâːm kʰɔ̌ːŋlo 또는 ນ້ຳຂອງ|nâːm kʰɔ̌ːŋlo || ||

|-

| rowspan=2 | 태국

| 태국어 || แม่น้ำโขง|mɛ̂ː náːm kʰǒːŋth 또는 แม่โขง|mɛ̂ː kʰǒːŋth || ||

|-

| 태국어 || โขง || || 악어를 의미 (คด|kʰótth 또는 โค้ง|kʰóːŋth의 전음이라는 설도 존재)

|-

| rowspan=3 | 캄보디아

| 크메르어 || មេគង្គ|meekoŋkm (라틴 문자 표기: Mékôngk), ទន្លេមេគង្គ|tʊənlee meekoŋkm (라틴 문자 표기: Tônlé Mékôngk) || || 메콩은 타이어에서 유래된 외래어

|-

| 크메르어 || ទន្លេធំ|tʊənlee tʰomŋkm (라틴 문자 표기: Tônlé Thum) || || 본래 크메르어 명칭, 톤레는 '''강''' 또는 호수, 투므는 '''큰, 위대한'''을 의미

|-

| || || || 프놈펜 동쪽에서 '''톤레삽'''과 합류, 지류로 '''바사크강'''

|-

| rowspan=2 | 베트남

| 베트남어 || Sông Mê Kông|soŋm me koŋmvi, Sông Lớn|soŋm lə̌ːnvi 또는 Sông Cửu Long|soŋm kɨ̃w lɔŋvi || || Sông|vi(송: 瀧)은 '''강''', 쏭 런(Sông Lớn)은 '''큰 강''', 꾸우 롱(Cửu Long)은 한자로 구룡(九龍)

|-

| || Hậu Giang|vi (하우장: 후강) 또는 Sông Hậu|vi ('''쏭하우''' : 瀧後), Tiền Giang|vi (티엔장: 전강) 또는 Sông Tiền|vi ('''쏭티엔''' : 瀧前) || || 메콩 삼각주 지대 분기 후 서쪽 물줄기(바사크강 계통)는 Hậu Giang|vi, 동쪽 물줄기는 Tiền Giang|vi

|}

3. 지리

메콩강은 티베트 고원의 "삼강원" (산장위안 국가 자연 보호 구역)에서 발원하여, 티베트 자치구를 지나 동남쪽으로 윈난성으로 흘러 들어간다. 그 후 양쯔강을 동쪽에 두고 살윈강(중국어로 누장)을 서쪽에 둔 헝두안 산맥의 윈난 삼강 지역 보호 구역을 통과한다.

메콩강은 중국-미얀마 국경과 만나 약 10km 동안 국경을 따라 흐르다가 중국, 미얀마, 라오스의 삼각지점에 도달한다. 그곳에서 남서쪽으로 흘러 약 100km 동안 미얀마와 라오스의 국경을 이루다가 미얀마, 라오스, 태국의 삼각지점에 이른다. 이곳은 루악강 (태국-미얀마 국경을 따른다)과 메콩강이 합류하는 지점이기도 하며, 골든 트라이앵글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골든 트라이앵글 삼각지점에서 메콩강은 동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라오스와 태국의 국경을 이루다가, 콘 피 롱이라는 급류를 지나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라오스 내륙으로 들어간다. 그 후 약 400km를 흐르다가 다시 태국과의 국경을 만난다. 메콩강은 다시 동쪽으로 흐르면서 라오스의 수도인 비엔티안을 지나 남쪽으로 약 850km 동안 라오스-태국 국경을 형성하고, 다시 라오스로 흘러 들어가 팍세시를 지난 후 남쪽으로 흘러 캄보디아로 들어간다.

프놈펜에서 메콩강은 톤레삽 강과 호수 시스템과 합류한다. 메콩강의 수위가 낮을 때는 톤레삽이 지류가 되어 물이 호수와 강에서 메콩강으로 흘러들고, 메콩강이 범람할 때는 흐름이 역전되어 메콩강의 홍수가 톤레삽으로 흘러든다.

바사크강은 프놈펜을 지나 메콩강과 합류한 직후 갈라져 나오면서 메콩 삼각주가 시작된다. 바사크강은 서쪽에, 메콩강은 동쪽에 위치하며, 두 강은 이 지점 이후 곧 베트남으로 들어간다. 베트남에서 바사크강은 허우강(Sông Hậu 또는 Hậu Giang)이라고 불리고, 메콩강의 주요 동쪽 지류는 티엔강 또는 티엔장이라고 불린다.

메콩강 유역은 "상부 메콩강 유역"과 "하부 메콩강 유역"으로 나뉜다.[14] 상류 유역은 티베트 자치구, 윈난성 및 동부 미얀마의 유역 부분을 포함하며, 약 2200km 구간으로, 4500m 하강한다. 하류 유역은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하류로 2600km 더 흘러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를 지나 베트남의 복잡한 삼각주 시스템을 통해 남중국해로 들어간다.

메콩강은 대부분 기반암 채널을 통해 흐르며, 지형학적 특징은 비엔티안 주변과 크라티에 하류의 주류의 짧은 구간으로 제한된다.

3. 1. 주요 지류

(상류에서부터 기재)

  • 란창강 - 상류부의 중국 국내에서의 명칭
  • 앙취 - 란창강의 지류
  • 콕강 - 지류
  • Nam Ou|오우강영어 - 지류
  • Mun River|문강영어 - 지류
  • 세콩강 - 지류
  • 톤레삽 (톤레삽강 포함) - 지류
  • 코첸강 - 분류

4. 수문

메콩강 유역은 계절풍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위와 유량이 크게 변한다. 우기인 5월 말~10월에는 수위가 최고에 달하고, 건기 말인 5월경에는 최저를 기록한다.[81]

캄보디아의 메콩강 수위는 바다의 만조 수위보다 낮으며, 베트남의 메콩강은 프놈펜까지 조수 간만의 차에 따라 흐름이 역전된다. 베트남의 메콩 삼각주는 매우 평평하여 홍수에 취약하며, 특히 캄보디아 국경 근처의 안장(An Giang)성과 동탑(Đồng Tháp)성에서 홍수가 자주 발생한다. 메콩 삼각주 지방은 수천 년에 걸쳐 메콩강이 운반한 토사로 만들어진 퇴적 평야이기 때문에 표고차가 거의 없고, 유량이 적은 건기 말에는 남중국해의 조석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만조 시와 간조 시에는 하구 근처의 벰케인에서는 3m, 하구에서 약 100km 떨어진 미토안교 부근에서는 2~2.5 m, 약 200km 떨어진 짜오독에서도 1m 정도의 수위 변화가 조석으로 인해 나타나[81], 감조 하천으로서의 특징도 강하다.

팍세 관측소에서 측정된 월별 평균 유량은 아래와 같다(단위: m3/s, 13년간의 평균은 9000 m3/s).

국가언어명칭발음기타
중국중국어湄公河메이궁(湄公)은 메콩의 음역
티베트어རྫ་ཆུ་|rDza chubo
{{lang|zh|加果空桑貢瑪曲|}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유량2780213018901810254069201434024415239151530079004060


5. 생태

메콩강 유역은 아마존강 다음으로 세계에서 생물 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지역 중 하나이다. 대 메콩 유역(GMS)에는 식물 종 20,000종, 포유류 430종, 조류 1,200종, 파충류 및 양서류 800종,[33] 그리고 약 850종의 담수어(주로 염분 또는 기수에서 발견되는 광염성 종과 도입종 제외)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4] 강 유역의 담수어 중에서는 잉어목(377종)과 메기목(92종)이 가장 종 다양성이 높다.[35]

메콩강에서는 신종이 정기적으로 보고된다. 2009년에는 어류 29종, 조류 2종, 파충류 10종, 포유류 5종, 식물 96종, 양서류 6종 등 145종의 생물이 과학계에 새롭게 알려졌다.[36] 1997년과 2015년 사이에는 매주 평균 2종의 새로운 생물이 발견되었다.[37] 메콩 지역은 16개의 WWF 글로벌 200 생태 지역을 포함하며, 이는 아시아 본토에서 가장 높은 생태 지역 밀집도이다.

메콩강에는 매우 큰 물고기가 많이 서식한다.[38] 최대 1.5m까지 자라고 무게가 70kg에 달하는 ''프로바르부스'' 바브 3종,[39] 최대 길이가 5m에 달하고 폭이 1.9m에 달하는 대형 가오리(''Himantura polylepis'', 동의어 ''H. chaophraya''), 자이언트 팡가시우스(''Pangasius sanitwongsei''), 자이언트 바브(''Catlocarpio siamensis'') 및 고유종인 메콩 자이언트 메기(''Pangasianodon gigas'')가 대표적이다. 특히 메콩 자이언트 메기는 세계에서 가장 큰 물고기 종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세 종은 길이가 약 3m까지 자라고 무게가 300kg에 달할 수 있다.[38] 그러나 댐 건설, 홍수 통제, 남획 등으로 인해 이들의 개체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38]

한때 메콩강 하류 전역에서 흔했던 담수 돌고래의 일종인 이라와디 돌고래(''Orcaella brevirostris'')는 현재 85마리 정도만 남아 매우 희귀하다.[41] 강 안팎에는 수달 (''Lutra perspicillata'')과 어두운고양이(''Prionailurus viverrinus'')와 같은 습지 포유류도 서식한다.

멸종 위기에 처한 샴악어(''Crocodylus siamensis'')는 메콩강의 캄보디아 북부 및 라오스 지역의 작은 고립된 지역에서 발견된다. 바다악어(''Crocodylus porosus'')는 한때 메콩 삼각주에서 톤레삽을 거쳐 그 이상까지 분포했지만, 현재는 이 강에서 멸종되었으며 베트남과 캄보디아에서도 멸종된 상태이다.

메콩강의 어업은 유역 주민들의 주요 식량 공급원이자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메콩강 유역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생산적인 내륙 어업 중 하나이다.[42][47][48][49] 연간 약 200만 톤의 물고기가 어획되며, 이 외에도 거의 50만 톤의 기타 수생 동물이 어획된다.[50] 양식을 통해서는 연간 약 200만 톤의 물고기가 생산된다.[46] 따라서 하류 메콩 유역에서는 연간 약 450만 톤의 물고기와 수생 제품이 생산된다. 어업의 총 경제적 가치는 연간 39억 달러에서 70억 달러 사이로 추정되며, 야생 어획 어업만 연간 20억 달러의 가치를 지닌다.[48]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서 멸종된 큰머리자라는 캄보디아 메콩강 유역(크메르어로 "Kanteay")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다.

6. 역사

메콩강 유역에는 기원전 2100년경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반치앙 유적 등 초기 철기 시대 문화 유적이 발견되었다.[30] 1세기경에는 메콩 삼각주 지역에 푸난 왕국이 번성했으며, 옥 에오 유적에서는 로마 제국의 동전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후 첸라 국가를 거쳐 크메르 제국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 앙코르는 크메르 제국의 대표적인 유적이다.

메콩강을 "메이콩" 강으로 표시한 19세기 지도


1866–1868 메콩 원정의 일원들


1540년 포르투갈인 안토니우 드 파리아가 메콩강을 처음 발견한 유럽인으로 기록되었다. 1563년 유럽 지도에는 메콩강이 묘사되었지만, 상류 지역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선교 및 무역 원정을 보냈고, 1641년에는 네덜란드인 헤릿 판 위스트호프가 비엔티안까지 탐험했다.

19세기 중반 프랑스는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여 1861년 사이공을 점령하고 1863년 캄보디아를 보호령으로 삼았다. 1866년부터 1868년까지 에르네스트 두다르 드 라그레와 프란시스 가르니에가 이끈 메콩 원정은 최초의 체계적인 탐험으로, 메콩강에 폭포와 급류가 많아 항해에 부적합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900년 표트르 쿠즈미치 코즐로프가 메콩강의 발원지를 발견했다.

1893년부터 프랑스는 라오스까지 영향력을 확대하여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설립했다. 이러한 프랑스의 지배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끝났다.

1995년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은 메콩강 위원회(MRC)를 설립하여 메콩강의 사용과 관리를 조정하기 시작했다. 1996년 중국과 미얀마가 MRC의 "대화 파트너"가 되면서, 현재 6개국이 협력하고 있다. 2015년에는 중국 주도로 澜沧江|란창강|란창강중국어-메콩강 협력(LMC)이 발족되어 메콩강 유역 국가 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70]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미국과 중국 간의 영향력 경쟁이라는 측면도 있다.[71]

2024년 8월 5일, 메콩강의 수도 프놈펜 근교에서 끄라쩨주 끄람꼬에 꼬롱까지 약 180km를 연결하는 "프난 테초 운하" 건설이 시작되었다. 캄보디아 정부에 따르면 4년에 걸쳐 관통하며 총 공사비는 17억달러이다. 약 159km 구간의 49퍼센트는 중국 국영 기업이 자금을 출자한다.[82]

7. 경제

메콩강은 유역 국가들의 농업, 어업, 수운, 관광 등 다양한 경제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콩강과 그 지류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9,000만 명에 달하며, 이 지역은 '메콩강 대생활권'이라고 불릴 정도로 광범위하다. 이 생활권에는 중국의 광시 성과 티베트부터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까지 포함된다.[87]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중국은 을 주식으로 하며,[88] 쌀의 종류도 다양하다.

메콩강 유역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생산적인 내륙 어업 지역 중 하나이다.[42][47][48][49] 연간 약 200만 톤의 물고기와 50만 톤의 기타 수생 동물이 어획되며,[50] 양식을 통해 추가로 200만 톤의 물고기가 생산된다.[46] 하류 메콩 유역에서는 연간 약 450만 톤의 물고기와 수생 제품이 생산되며, 어업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39억에서 70억 달러에 이른다. 야생 어획 어업만으로도 연간 20억 달러의 가치가 있다.[48]

메콩강 지류인 송티엔(Song Tien)의 양식장, 동탑 성 베트남


하류 메콩 지역에서는 매년 약 256만 톤의 내륙 어류와 기타 수생 동물이 소비된다.[46] 수생 자원은 하류 메콩 유역 주민들의 식단에서 동물성 단백질의 47~80%를 차지한다.[48][51][52] 물고기는 이 지역에서 가장 저렴한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이며, 어업 감소는 빈곤층의 영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42][51][53][54]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는 물고기가 주식이며, 캄보디아 인구의 약 80%가 메콩강에서 잡힌 물고기로 단백질을 섭취한다. MRC 보고서에 따르면, 메콩강 댐 건설로 인해 2020년까지 수생 생물이 40% 감소하고, 2040년에는 물고기의 80%가 고갈될 것으로 예측된다. 태국은 55%, 라오스는 50%, 캄보디아는 35%, 베트남은 30%의 어류 재고 감소를 겪을 것이다.[55]

하류 메콩 유역 농촌 인구의 3분의 2 이상인 약 4천만 명이 야생 어획 어업에 종사한다. 어업은 특히 강에 생계를 의존하는 빈곤층에게 중요한 소득원이며, 농작물 수확 부진 시 안전망 역할을 한다.[47][48][52] 라오스에서는 농촌 가구의 71%(290만 명)가 어업에 의존하며, 캄보디아 톤레삽 호수 주변에는 120만 명 이상이 어업에 생계를 의존한다.

메콩강 페리, 캄보디아 낙루엉


느린 크루즈 보트, 라오스 파크벵


메콩강은 수천 년 동안 강둑 마을 간의 사람과 물품 운송에 중요한 통로였다. 소규모 보트를 이용한 전통 교역은 오늘날에도 계속되며, 메콩강은 6개 국가를 연결하고 세계와 연결하는 국제 무역로의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

메콩강은 여전히 야생 강이며, 항해 조건은 구간에 따라 다르다. 상부 메콩은 라오스 남부 콘 폭포 북쪽, 하부 메콩은 그 아래 구간으로 정의된다.

상류 메콩강의 좁고 격류인 수역과 연간 수위 변동은 항해에 어려움을 준다. 수위의 계절적 변화는 무역에 직접 영향을 미쳐, 저수기(6월~1월)에는 운송량이 50% 이상 감소한다. 그럼에도 메콩강은 쿤밍과 방콕 간 교통 체인의 중요한 연결 고리로, 매년 약 30만 톤의 상품이 운송된다. 이 무역량은 연간 8~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치앙센 구 항구 등에 새로운 시설이 계획되어 있다.

라오스에서는 50~100 DWT 선박이 지역 무역에 사용되며, 목재, 농산물, 건설 자재 등이 운송된다. 태국은 중국에서 채소, 과일, 농산물, 비료 등을 수입하고, 말린 용안, 어유, 고무 제품 등을 수출한다. 치앙센 항구를 오가는 대부분의 선박은 300DWT 중국 국적 선박이다.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하부 메콩 국가에서는 수로 무역이 성장했다. 프놈펜 항구와 껀터 항구의 물동량은 2009년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나,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감소했다. 2009년 베트남 까이멥에 새로운 심해 항구가 개통되면서 메콩강 무역은 활기를 띠었다. 까이멥 컨테이너 터미널은 15.2m 흘수의 선박을 수용할 수 있어, 프놈펜에서 국제 상품 운송이 용이해졌다.

메콩강을 공유하는 국가 간에는 무역과 통행을 위한 여러 협정이 체결되었다:

  • 1994년 11월, 란창-메콩강을 따라 중국과 라오스 간 화물 및 여객 운송 협정.
  • 1995년 4월 5일, 치앙라이, 메콩강 유역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협력 협정 (제9조, 항해의 자유).
  • 1998년 12월 13일,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 수로 운송에 관한 하노이 협정.
  • 1999년 11월 26일, 비엔티안, 라오스, 태국, 베트남 정부 간 상품 및 인적 국경 통과 촉진 협정.
  • 2000년 4월 20일, 타칠레이크, 중국, 라오스, 미얀마, 태국 정부 간 란창-메콩강 상업 항해 협정.
  • 2000년 9월 7일,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 상품 통과에 관한 프놈펜 협정.
  • 2009년 12월 17일, 프놈펜, 베트남과 캄보디아 간 수로 운송에 관한 새로운 협정.


2016년 12월, 태국 쁘라윳 짠오차 총리 내각은 메콩강 일부 준설 및 바위 노두 철거 계획에 동의했다. 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이 구상한 2015~2025년 국제 란창-메콩강 항해 개선 계획은 윈난성에서 루앙프라방까지 890km 구간을 500톤 화물선이 쉽게 항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6] 중국은 이 지역 무역 확대를 위해 노력해왔다.[57] 이 계획은 2단계로 나뉜다. 1단계(2015~2020)는 환경 및 사회적 영향 조사, 설계 및 평가를 포함하며, 관련 4개국 승인이 필요하다. 2단계(2020~2025)는 중국 쓰마오 구에서 중국과 미얀마 국경 초소까지 259km 구간의 항해 개선을 포함한다.[56] 지역 단체들은 원주민들이 이미 보트를 운행하고 있으며, 급류 폭파 계획은 대형 중국 상업 보트의 연중 운행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58]

2020년 2월 4일, 태국 내각은 97km 강바닥 폭파 및 준설 프로젝트 중단을 결정했다.[59]

8. 환경 문제

메콩강 유역은 댐 건설, 과도한 어획, 수질 오염, 기후 변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메콩강의 수위 감소와 해수 역류로 인해 메콩강 삼각주 지역의 염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70]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도 심각하며, 메콩강은 세계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바다로 가장 많이 배출하는 강 중 하나이다.[67] 라오스비엔티안과 같이 메콩강 대부분 지역의 마을과 도시에서는 하수 처리 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수질 오염이 강의 생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모래 채취는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에서 메콩강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여 강 둑의 불안정, 홍수터에 필수적인 홍수와 퇴적물 공급 감소, 염도 증가, 다양한 종의 교란 및 이동 등 해당 지역과 하류 지역 모두에 다양한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69]

메콩강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환경 문제는 유량 감소[70], 유역 각국에서의 수질 오염과 과도한 어획, 댐 건설과 급류를 완화하는 치수 공사, 그리고 상류부를 영유하는 중국에 의한 하천 주운을 목적으로 한 암초 폭파 등 지형 개변이다.

1990년대에 시작된 중국의 댐 건설은 메콩강 본류에 첫 번째 만완 댐을 시작으로 3개의 댐이 완성되었으며, 추가로 12개의 댐을 계획 중이다. 중국은 윈난성에서 태국, 라오스 북부에 걸쳐 있는 상류부에서 더 큰 선박이 항행할 수 있도록, 장애가 되는 암초를 파괴하고 있다. 이러한 암초는 물고기와 새의 번식 장소이며, 생물의 종류·생식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84]

경제가 미발달한 캄보디아에서는 식량 공급의 대부분을 강에 의존하고 있다. 일 년에 한 번의 범람은 메콩의 지류인 톤레삽 유역을 비옥하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다량의 물을 공급하고 있다.

메콩강 위원회(MRC)는 메콩강 하류에 위치한 국가들을 고려하지 않는 중국의 자세를 비난하며 댐 건설 중지를 요구했지만, 허사가 되었다. 최초의 중국 댐 건설 이후 수위는 하락했고, 잡힌 물고기는 작아졌으며, 어획량은 4분의 1로 감소했다. 치앙라이 항의 거래액은 절반 미만으로 감소했고, 메콩강 돌고래와 매너티를 포함한 많은 종이 멸종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수위 하락으로 페리가 멈춰 서면서 치앙라이에서 루앙프라방까지의 항행은 이전의 8시간에서 2일이 걸리는 것으로 늘어났다.

메콩강에서는 유량이 격감하고 있으며, 메콩 삼각주에서는 해수가 역류하여 어획량 감소, 농지의 염해를 초래하고 있다. MRC는 2021년 2월 12일, 윈난성의 수력 발전을 원인으로 하는 비난 성명을 처음 발표했다. 중국 외교부의 왕이는 2020년 2월, 메콩 유역 국가들과의 외무 장관 회담에서 유량 감소는 강우 부족으로, 중국도 피해자라고 설명했지만, 메콩 상류에서의 물 이용 데이터 공개는 거부하고 있다[70]

중국이 암석과 사주를 준설하고 협곡을 폭파하여 유속을 완화하는 한편, 다른 곳에서는 댐에서 방류를 함으로써 우기-건기라는 자연의 순환을 무시한 일시적인 수량 증가가 또 다른 환경 문제를 일으킨다. 이 문제로 특히 강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은 캄보디아이다. 캄보디아의 농업 생산은 절묘한 수량의 균형 위에 성립되어 있으며, 그것이 무너지면서 15세기에 크메르 제국을 멸망시킨 대규모 기근과 파괴적인 홍수라는 시나리오의 재현이 우려되고 있다.

8. 1. 댐 건설 논란

메콩강 상류에는 중국라오스를 중심으로 다수의 이 건설되어 있으며, 추가 건설 계획도 진행 중이다.[71] 댐 건설은 수력 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 홍수 조절, 관개 용수 확보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하류 지역의 물 부족, 어획량 감소, 생태계 파괴, 퇴적물 감소 등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70] 특히 중국의 댐 건설은 하류 국가들과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메콩강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메콩강의 댐은 수력 발전, 관개 및 기타 용도(예: 물 공급)를 위해 건설되었다. 2024년 2월 현재, 메콩강의 댐 분포는 다음과 같다.

영토수력 발전소(HPPs)관개 댐기타총계
캄보디아19111
윈난성26251061
TAR4004
라오스564666
미얀마1001
태국71592168
베트남2633160
총계12123020371



'''참고''': HPPs = 수력 발전소. CGIAR(국제 농업 연구 자문 그룹) 물, 토지 및 생태계 연구 프로그램 - 대 메콩 '이라와디, 메콩, 홍강 및 살윈강 유역의 댐에 대한 데이터 세트'에서 계산된 데이터. 설치 용량이 15MW 이상인 수력 발전소만 포함; 또는 저수지 면적이 0.5 km2 이상인 댐.

또한 유역 내에 여러 개의 건설 중인 수력 발전소가 있다. 2024년 2월 현재 캄보디아에 1개, TAR에 3개, 라오스에 14개가 건설 중이다.

메콩강의 수력 발전소 중 15개는 메콩강 본류에 있다. 이 중 13개는 중국에, 2개는 라오스에 있다. 라오스에는 현재 본류 댐 1개가 건설 중이며, 중국에도 1개가 건설 중이다.

다음은 메콩강 상류에 건설된 주요 댐의 일부이다.

명칭국적완공발전량
(MW)
궁궈차오 댐(功果橋ダム)중국2008750
샤오완 댐(小湾ダム)중국20134200
만완 댐(漫湾ダム)중국19961500
다차오산 댐(大朝山ダム)중국20031350
눠자두 댐(糯扎渡ダム)중국20175850
징훙 댐(景洪ダム)중국20101750
간란바 댐(橄欖壩ダム)중국n/a150
멍쏭 댐(孟松ダム)중국n/a600



메콩강 하류 국가들은 중국의 댐 건설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메콩강 위원회(MRC)는 중국의 댐 건설 중지를 요구했지만, 중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중국의 댐 건설 이후 수위는 하락했고, 어획량은 감소했으며, 메콩강 돌고래와 매너티를 포함한 많은 종이 멸종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73]

메콩강에서는 유량이 격감하고 있으며, 메콩 삼각주에서는 해수가 역류하여 어획량 감소, 농지의 염해를 초래하고 있다. MRC는 2021년 2월 12일, 윈난성의 수력 발전을 원인으로 하는 비난 성명을 처음 발표했다. 중국 외교부의 왕이는 2020년 2월, 메콩 유역 국가들과의 외무 장관 회담에서 유량 감소는 강우 부족으로, 중국도 피해자라고 설명했지만, 메콩 상류에서의 물 이용 데이터 공개는 거부하고 있다.[70]

가뭄은 기후 변화와 수십 개의 수력 발전 댐과 관련되어 있으며 메콩강 생태계를 손상시키고 있다.[62][63][64] 가뭄이 끝나고 불가피한 홍수가 시작될 때, 전체 하류 메콩강에 걸쳐 홍수 주기 역학에 미치는 메콩강 댐의 영향은 제대로 이해되지 않고 있다.[65]

점점 더 많은 학자, NGO, 과학자들이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국제 사회와 메콩강 위원회에 수력 발전을 줄일 것을 촉구해 왔다. 그들 중 일부는 새로운 수력 발전 프로젝트 건설을 즉시 중단하고, 더 경쟁력 있고 설치 속도가 빠른 태양광 및 기타 형태의 재생 에너지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68]

모래 채취가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에서 메콩강에서 이루어지면서, 강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여 해당 지역과 하류 지역 모두에 다양한 환경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에는 강 둑의 불안정, 홍수터에 필수적인 홍수와 퇴적물 공급 감소, 염도 증가, 다양한 종의 교란 및 이동 등이 포함된다.[69]

9. 국제 관계

메콩강은 여러 국가를 거쳐 흐르는 국제 하천이기 때문에, 유역 국가 간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메콩강 위원회(MRC), 란창강-메콩강 협력(LMC) 등 다양한 국제 협력 체제가 운영되고 있다.

메콩강의 영향력은 강과 그 지류에 의존하는 9,000만 명의 세계인들로부터 발휘된다고 할 수 있다. 전체 영역은 《메콩강 대생활권》이라고 불릴 정도이며 중국의 광시 성과 티베트로부터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에 걸친 메콩강의 영향력이 이 생활권에 포함된다.[87] 동남아시아 지역의 대부분 국가들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에 의존하며[88] 쌀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대한민국은 메콩강 유역 국가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수자원 관리, 농업, 인프라 개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메콩강 유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환경 문제와 수자원 분쟁 해결을 위한 다자간 협력 체제 구축을 지지한다.

10. 사진

라오스에서


메콩강의 새벽


중국, 윈난성 시솽반나 타이족 자치주 징훙 시 부근


라오스 남부


태국 국경 근처


베트남, 껀터의 수상시장

참조

[1] 논문 Pinpointing source and measuring the lengths of the principal rivers of the world https://zenodo.org/r[...]
[2] 웹사이트 State of the Basin Report, 2010 http://www.mrcmekong[...]
[3] 뉴스 A dam-building race threatens the Mekong River https://www.dw.com/e[...] 2019-08-16
[4] 뉴스 Mekong River falls to critical level, sand dunes emerge https://www.bangkokp[...] 2019-10-29
[5] 뉴스 China Limited the Mekong's Flow. Other Countries Suffered a Drought. https://www.nytimes.[...] 2020-04-13
[6] 서적 The Mekong River and the Struggle for Indochina: Water,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Praeger 1999
[7] 문서 Baxter-Sagart
[8] 서적 "A System of Modern Geography ... with Exercises of examination. To which are added treatises on Astronomy and Physical Geography" (n.p.) 1857
[9] 서적 "Universal Gazetteer of the World: A Dictionary, Geographical, Historical and Statistical, of the Various Kingdoms, States, Provinces, Cities, Towns, Forts, Harbors, Rivers, Lakes, Seas, Mountains, &c., in the World ... Also the Census of 1850" Z. & B. F. Pratt 1852
[10] 서적 "A Gazetteer of the World: Brazil–Derry" A. Fullarton 1856
[11] 서적 "The Elements of Modern Geography and General History, on a Plan Entirely New ... New Edition ... Improved, Etc." (n.p.) 1834
[12] 서적 "The East India Gazetteer: Containing Particular Descriptions of the Empires, Kingdoms, Principalities, Provinces, Cities, Towns, Districts, Fortresses, Harbours, Rivers, Lakes, &c. of Hindostan, and the Adjacent Countries, India Beyond the Ganges, and the Eastern Archipelago; Together with Sketches of the Manners, Customs, Institutions, Agriculture, Commerce, Manufactures, Revenues, Population, Castes, Religion, History, &c. of Their Various Inhabitants" J. Murray 1815
[13] 뉴스 Against the flow https://www.bangkokp[...] 2017-01-15
[14]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Hydrology of the Mekong Basin http://www.mekonginf[...] MRC, Vientiane, Laos
[15] 논문 Conflict, migration and land-cover changes in Indochina: a hydrological assessment
[16] 뉴스 The Price of Damming Tibet's Rivers https://www.nytimes.[...] 2015-03-30
[17] 논문 China's Lancang Dam Cascade and Transnational Activism in the Mekong Region: Who's Got the Power?
[18] 뉴스 Mekong River in Golden Triangle drops to lowest level in a century https://www.thaipbsw[...] 2019-07-20
[19] 논문 Surface uplift, tectonics, and erosion of eastern Tibet from large-scale drainage patterns
[20] 논문 River patterns and their meanings
[21] 서적 Large rivers: geomorphology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22] 서적 The Asian monsoon: causes, history, and eff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논문 Thermochronology of mineral grains in the Red and Mekong Rivers, Viet Nam: Provenance and exhumation implications for Southeast Asia
[24] 서적 Continent-Ocean Interactions within East Asian Marginal Seas 2004
[25] 논문 Initiation of the Mekong River Delta at 8 ka: Evidence from the sedimentary succession in the Cambodian lowland
[26] 논문 The Holocen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Tonle Sap, Cambodia
[27] 논문 Holocene delta evolution and sediment discharge of the Mekong River, Southern Viet Nam
[28] 논문 Recent paleoseismic investigations in northern and western Thailand
[29] 뉴스 Salvage Divers Venture Underwater to Find UXOs - The Cambodia Daily https://english.camb[...] 2013-01-24
[30] 서적 Liquid Territories : configurations of geographic space in the cartographic projections of the Mekong River's catchment areas https://surfdrive.su[...]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31] 서적 An Uncertain Future: Biodiversity and Livelihoods Along the Mekong River in Northern Lao PDR The World Conservation Union (IUCN) 2019-08-21
[32] 웹사이트 Agreement on Commercial Navigation on Lancang-Mekong River among the Government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the Union of Myanmar and the Kingdom of Thailand https://www.jcccn.or[...] JCCN 2019-08-21
[33] 웹사이트 First Contact in the Greater Mekong http://www.wwf.dk/dk[...] WWF Greater Mekong Program
[34] 웹사이트 Fishes of the Mekong – how many species are there? http://ns1.mrcmekong[...] Mekong River Commission
[35] 서적 Fish diversity in the Mekong River basin. Academic Press, Elsevier
[36] 웹사이트 New Blood: Greater Mekong New Species Discoveries, 2009 http://awsassets.pan[...] WWF
[37] 뉴스 163 new species, including 'Klingon Newt', discovered https://www.foxnews.[...] Fox News 2016-12-20
[38] 웹사이트 River of Giants: Giant Fish of the Mekong http://assets.worldw[...] WWF Greater Mekong Program
[39] FishBase genus
[40] 서적 FAO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41] 논문 Irrawaddy dolphin demography in the Mekong River: an application of mark–resight models
[42] 웹사이트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of hydropower on the Mekong mainstream http://www.mrcmekong[...] Mekong River Commission
[43] 논문 Potential Effects of Dams on Migratory Fish in the Mekong River: Lessons from the Fraser and Columbia Rivers.
[44] 서적 The Mekong: Biophysical Environment of an International River Basin. Elsevier Publishers
[45] 웹사이트 Largest freshwater fish ever recorded caught in Cambodia https://www.theguard[...] 2022-06-20
[46] 웹사이트 Assessment of Basin-wide Development Scenarios: Technical Note 11: Impacts on Fisheries http://www.mrcmekong[...] Mekong River Commission
[47] 논문 Dams and fisheries in the Mekong Basin
[48] 웹사이트 The Don Sahong Dam and Mekong Fisheries http://www.worldfish[...] World Fish Center 2012-10-12
[49] 서적 Contested Waterscapes in the Mekong Region: Hydropower, Livelihoods and Governance Earthscan
[50] 웹사이트 Consumption and the yield of fish and other aquatic animals from the Lower Mekong Basin http://www.mrcmekong[...] Mekong River Commission
[51] 웹사이트 Give a man a fish..." Contextualising Living Aquatic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Lower Mekong Basin http://sydney.edu.au[...] Australian Mekong Resource Centre, University of Sydney
[52] 논문 Negotiating trade-offs i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Mekong Basin: implications for fisheries and fishery-based livelihoods
[53] 웹사이트 The Don Sahong Dam: Potential Impacts on Regional Fish Migrations, Livelihoods and Human Health http://polisproject.[...] POLIS Project on Environmental Governance, University of Victoria
[54] 논문 The Don Sahong Dam
[55] 뉴스 Dam tests spark crisis https://www.bangkokp[...] 2019-07-20
[56] 뉴스 Locals slam Mekong blasting plan http://www.bangkokpo[...] 2017-01-09
[57] 뉴스 Spare the Mekong http://www.bangkokpo[...] 2016-12-30
[58] 뉴스 China must be sincere on Mekong https://www.bangkokp[...] 2019-07-17
[59] 뉴스 Thais ditch China-led plan to dredge Mekong https://www.straitst[...] 2020-02-06
[60] 웹사이트 Myanmar, Laos start building Mekong River friendship bridge - Xinhua | English.news.cn http://news.xinhuane[...] 2013-03-17
[61] 웹사이트 vientianetimes.org http://www.vientiane[...] 2013-03-17
[62] 뉴스 A dam-building race threatens the Mekong River https://www.dw.com/e[...] 2019-08-16
[63] 뉴스 Mekong River falls to critical level, sand dunes emerge https://www.bangkokp[...] 2019-10-29
[64] 뉴스 China Limited the Mekong's Flow. Other Countries Suffered a Drought. https://www.nytimes.[...] 2020-04-13
[65] 논문 Potential Disruption of Flood Dynamics in the Lower Mekong River Basin Due to Upstream Flow Regulation 2018-12-10
[66] 뉴스 There are 8.3 billion tons of plastic in the world http://www.dw.com/en[...] 2017-07-20
[67] 뉴스 Almost all plastic in the ocean comes from just 10 rivers http://www.dw.com/en[...] 2017-11-30
[68] 웹사이트 Dams and Climate Change Kill the Mekong https://yaleglobal.y[...] Yale University 2019-11-26
[69] 논문 Sand mining in the Mekong Delta: Extent and compounded impacts 2024-05
[70] 뉴스 メコン川流量激減/東南ア 農漁業被害/中国のダム建設影響か」「新たな米中攻防の舞台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2-26
[71] 뉴스 メコン流域国 米中が綱引き/河川管理、中国主導に米反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9-09
[72] 웹사이트 メコン川流域で163種の新種を発見!最新報告を発表 http://www.wwf.or.jp[...] WWFジャパン 2017-08-17
[73] 뉴스 ダム建設に揺れるメコン川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雑誌)日本版 2015-05
[74] 웹사이트 Tram Chim National Park https://rsis.ramsar.[...] 2012-02-02
[75] 웹사이트 Beung Kiat Ngong Wetlands https://rsis.ramsar.[...] 2010-06-16
[76] 웹사이트 Lower Songkhram River https://rsis.ramsar.[...] 2020-04-23
[77] 웹사이트 Xe Champhone Wetlands https://rsis.ramsar.[...] 2010-06-26
[78] 웹사이트 Middle Stretches of Mekong River North of Stoeng Treng https://rsis.ramsar.[...] 2012-01-01
[79] 웹사이트 Nong Bong Kai Non-Hunting Area https://rsis.ramsar.[...] 2001-07-05
[80] 웹사이트 Lang Sen Wetland Reserve https://rsis.ramsar.[...] 2015-05-22
[81] 웹사이트 ベトナム・メコン河下流域における水位変動特性 https://www.tj.kyush[...] 上原克人 2015-03-24
[82] 웹사이트 カンボジアに運河、摩擦の種 中国出資、ベトナムは軍事利用警戒: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digital.asah[...] 朝日新聞 2024-08-06
[83] 웹사이트 The Hydrolancang cascade http://www.probeinte[...] Probe International 2006-06-30
[84] 웹사이트 【ASEAN50年】メコン川流域 中国主導の「水運開発」岩礁爆破に住民反発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08-04
[85] 뉴스 メコン川に大異変、世紀の低水位を記録、深刻な食料危機の恐れも 水が澄む「ハングリーウォーター」現象も発生、6000万人が頼る大河が岐路に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20-02-29
[86] 저널 Pinpointing source and measuring the lengths of the principal rivers of the world
[87] 문서 http://www.un.org/De[...]
[88] 웹인용 IRRI - Events - Mekong Rice Conference 2004 - Home Page http://www.irri.org/[...] 2008-0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