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강은 '크다' 또는 '왕'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삼국 시대부터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하여, 삼국 시대를 거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부상했다.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수도와 관련된 중요한 하천으로 자리 잡았으며, 근대 이후에는 교량 건설과 한강종합개발사업을 통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변화했다. 현재 한강은 다양한 생태계를 품고 있으며, 여러 작품의 배경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하천 - 금강
금강은 전북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충남과 전북 경계를 따라 서해로 흐르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수송로이자 백제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현대에는 댐과 하굿둑이 건설되어 농공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에 활용된다. - 충청북도의 하천 - 요도천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요도천에 대한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한강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 한강 - 난지한강공원
난지한강공원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한강공원이다.
| 한강 | |
|---|---|
| 지도 정보 | |
![]() | |
![]() | |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한강 |
| 다른 이름 | 漢江 |
| 어원 | 백제 한자, "한수"(漢水). 고대 한국어 "한가람" (큰 강)의 음차로 추정됨. |
| 로마자 표기 | Hangang |
| 한자 표기 | 漢江 |
| 일본어 표기 | かんこう |
| 영어 표기 | Han River |
| 위치 | |
| 국가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행정 구역 (대한민국) | 강원특별자치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
|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황해북도 |
| 물리적 특징 | |
| 길이 | 508km |
| 유역 면적 | 35,770km² |
| 평균 유량 | 613m³/s |
| 평균 유량 측정 위치 | 한강대교, 서울특별시 |
| 최대 유량 | 22900 m³/s |
| 최대 유량 시기 | 2006년 7월 16일 |
| 최소 유량 | 16.78 m³/s |
| 최소 유량 시기 | 1998년 12월 15일 |
| 발원지 및 하구 | |
| 발원지 | 태백산맥 금대봉 |
| 발원지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
| 하구 | 황해 |
| 하구 위치 | 김포시 김포반도 서북단,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계 |
| 수계 | |
| 하천 체계 | 한강 독립 수계 |
| 오른쪽 지류 | 섬강 북한강 중랑천 공릉천 임진강 |
| 왼쪽 지류 | 달천 청미천 복하천 경안천 안양천 아라천 |
| 기타 정보 | |
| 특징 | 대한민국에서 유역 면적이 가장 넓은 강 |
| 특징 |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 |
2. 명칭
한강은 '크다' 또는 '왕'을 의미하는 순우리말 '한'에서 유래했으며, '한가람'이라고도 불린다.[13] 한자로는 漢江(한강)으로 표기하는데, 이는 순우리말 '한'을 한자로 음차하여 표기한 것이 정착된 것이다.[46]
한강은 압록강, 두만강과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강으로, 과거에는 한천(韓川) 또는 아리수(阿利水)라고도 불렸다. ‘한’은 한국어로 ‘왕’ 또는 ‘크다’라는 뜻이다. 과거 한글을 사용하지 않던 시대에 ‘한’을 나타내기 위해 ‘漢江’을 빌려 쓴 것이 정착되었다.[46]
역사적으로 한강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대수'(帶水)라고 불렸으며, 광개토대왕릉비에는 '아리수'(阿利水)로 기록되어 있다.[13] 백제에서는 '욱리하'(郁利河)[14] 또는 '웅녀하'라고 불렀고, 고구려는 '아리수'라고 불렀다. ''삼국사기''에는 '한산하'(漢山河) 또는 '북독'(北瀆)으로 기록되어 있다.[15][16] 신라에서는 '왕봉하' 또는 '한산하'라고 불렀다. 고려 시대에는 '열수'(洌水)라고도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경강'(京江)이라고도 불렸다.[19][20]
19세기 영어 자료에서는 '한강' 또는 'Hang Kang'으로 기록되었다. '아리수'는 현대 한국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옛 이름 중 하나이며, 오늘날 한강에서 취수한 수돗물의 브랜드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3. 역사

한강에는 잔점박이물범, 중국게 등의 수생생물과 청둥오리, 왜가리, 검은딱새, 검은목황새 등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서울 중심부의 여의도와 고양시의 장항습지는 람사르협약 등록지이다.[47][48]
하구 부근(임진강과의 합류부 이하)은 북한과의 군사분계선이 설정되어 있어 민간 선박의 항해가 제한된다.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 6월 28일, 조선인민군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서울 시내의 한강 인도교(한강대교)가 대한민국 국군에 의해 폭파되었을 때 많은 피난민이 휘말려 희생되었다(한강 인도교 폭파 사건).
1960년대 이후 한국의 고도 경제 성장을 한강에 빗대어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른다.
1982년~1986년에는 1988년 서울올림픽 관련 사업을 겸하여 한강 종합 개발 사업이 실시되었다.[49] 강폭과 평균 수심이 조정되었고, 여기서 나온 골재는 건설 자재 등으로 사용되었다. 한강 종합 개발 사업은 하천 정비, 시민 공원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한강을 시민들의 여가 공간으로 만들었다.[50]
2013년 3월, 서울특별시는 한강의 콘크리트 호안을 철거하고 여의도 등에 “'''한강의 숲'''”을 조성하는 계획 등을 담은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 구상”을 발표했다.[51]
3. 1. 고대 및 중세
구석기 시대부터 한강 유역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 을축년 대홍수 때 암사동 선사유적지에서 신석기 유적이 발견되면서 신석기 시대에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
청동기 시대에는 백제를 비롯한 마한의 소국들이 한강에 자리를 잡았는데, 그중 하남 위례성에 도읍한 백제가 한강 일대를 차지하였다. 이후 고구려가 한강을 차지했고, 진흥왕 때 신라가 한강을 차지했다. 이처럼 한강 유역을 소유하면 나라가 번영했다는 것에서 한강이 한반도에서 중요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한강을 '아리수'[63], 백제는 '욱리하'라 했다.[64] 신라는 한강의 상류를 '이하', 하류를 '왕봉하'라 하였다.[65]
고려 시대에는 한강 유역 대부분을 양광도가, 북한강 유역은 교주도가 관할했고, 남경과 12목 중 광주목·충주목·청주목이 있었다. 당시 한강은 '열수', '사평도', '사리진' 등으로 불렸다.[66] 문종 21년(1067년)에 한강 유역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서울(당시 양주)이 남경으로 승격되었고, 우왕 8년(1382년) 9월에 수도가 한양(현 서울)으로 천도되었다. 그러나 정치적·사회적 혼란과 풍수지리설에 따른 불길한 징조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이듬해 2월에 수도는 다시 개경으로 환도되었다.[25] 공양왕 2년(1390년) 9월에 수도가 다시 한양으로 천도되었으나, 여러 재난과 불길한 징조로 인해 이듬해인 1391년 2월에 다시 개경으로 환도되면서 고려 시대의 수도 이전 문제는 종결되었다.
3. 2. 근대 및 현대
조선 말 개항 이후, 한강에는 증기선이 운항하기 시작했다. 1900년에는 최초의 근대식 철교인 한강철교가 건설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대한민국 국군은 조선인민군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한강대교를 폭파했다(한강 인도교 폭파사건).[31] 1951년 초, 서울 주변 한강 지역에서는 중국 인민지원군과 미국 주도 유엔군 사이에 상당한 규모의 전투(썬더볼트 작전)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초기 수십 년 동안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 증가로 한강은 심각하게 오염되었다. 비록 상업 및 수송에서의 중추적인 역할은 상실했지만, 한강은 여전히 대한민국 수도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한강에서 조정 경기가 열렸다.[31] 이후 한강 정화를 위한 정부 주도의 환경 노력이 집중되었다.
1986년에는 북한이 상류 댐의 물을 방류하여 하류에 홍수를 일으켜 서울을 공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1986년 한국의 물 부족 사태).[32]
2000년 7월, 미군은 한강과 연결된 하수 시스템에 희석된 포르말린 75.7L를 투기했다고 인정했다. 한강은 약 1200만 명의 한국인의 식수원이기 때문에, 일부 한국인들은 대규모 시위를 벌이며 미군이 한국의 환경 규정을 무시했다고 비난했다. 시민 운동가들은 한강 물로 채운 장난감 로켓을 미군 주요 기지로 발사하기도 했다. 녹색당은 이전에 미군이 한강에 독성 화학 물질 약 60갤런을 투기했다고 비난하며, "...사람들이 장기간 화학 물질에 노출되면 폐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물에 녹으면 물고기와 기타 수생 생물을 죽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33][34] 이 사건은 봉준호 감독의 2006년 영화 '괴물'에 영감을 주었다.
1960년대 이후 한국의 고도 경제 성장을 한강에 빗대어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른다.
1982년부터 1986년까지는 1988년 서울 올림픽 관련 사업을 겸하여 한강 종합 개발 사업이 실시되었다.[49] 이 사업으로 강폭은 725~1175m로 넓어졌고, 평균 수심은 2.5m로 조정되었다. 여기서 나온 바라스, 자갈 등 약 7000㎥ 중 약 5300㎥는 건설 자재(골재)로 매각되었고, 골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토사 1555㎥는 하천 공사 부지 조성 및 올림픽 도로 조성의 성토재로 사용되었다. 하상 정비를 위한 저수로 굴착 공사비를 업체에 의뢰했다면 약 1500억원을 지출해야 했지만, 골재 매각 덕분에 오히려 업체로부터 2000억원을 받았다. 한강 종합 개발 사업은 저수로 정비, 분류 하수관로 건설, 하천 부지 고수부지 조성, 올림픽 도로 건설, 하천 부지의 시민 공원화를 주요 내용으로 했다. 하천 부지에 조성된 한강 시민 공원은 13개 지역, 총면적 693㎢에 달했다. 체육 시설, 오락 시설, 낚시터 등 서울 시민이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녹지 공간과 시설을 갖추어 한강을 단순한 ‘흐르는 물’이 아닌 ‘물의 공원’으로 만들고자 했다.[50]
2012년에는 대형 컨테이너선과 여객선이 통항할 수 있는 18km 길이의 아라뱃길이 완공되어,[35] 서울 김포시 인근 한강과 인천광역시를 연결했다.
2013년 3월, 서울특별시는 한강의 콘크리트 호안을 철거하고 여의도 등에 “'''한강의 숲'''”을 조성하는 계획 등을 담은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 구상”을 발표했다.[51]
2018년 11월 4일, 북한과 한국 각 10명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이 한강 하구 공동이용수역 조성을 위한 남북 공동 조사에 착수했다.[36][37] 이 수역은 양측 군사 당국의 보호 아래 민간인들이 관광, 생태 보호, 골재 채취 등을 위해 하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었다.[36][37] 2018년 11월 5일, 비무장지대와 접경한 한국 강원도와 경기도 의회는 파주시 도라산역에서 "평화 협력 협약"에 서명하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지역 차원의 승인을 내주었다.[38]
4. 지형과 지질
한강 유역은 주로 해발 300m에서 500m 사이 높이의 산이 분포한 저산성 구릉지이다. 한강의 지류들은 수지상 하계망을 이루지만, 가평, 춘천 등 경춘가도 부근에는 단층에 의한 직각상 하계망이 발달해 있다.
한강 유역의 대부분은 경기 지괴 지역에 속하며, 남한강 일부는 옥천 지향사대에 속한다. 북한산부터 철원 사이의 광주산맥 부근과 관악산에는 화강암 저반이 발달하였다. 양수리부터 하류 사이의 서울 지역은 연천계 편암과 편마암, 그리고 중생대 말기의 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강 남쪽에서부터 동북 쪽으로는 준편마암류와 편암류의 암석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남한강을 비롯한 차령산맥 부근은 화강암이 발달했는데, 불국사 화강암과 함께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이 옥천지향사대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있다.[76][77]
충적층은 한강의 상류에서 평균 5.29m, 중류에서 5.97m, 하류에서 6.95m의 두께로 나타났다.
5. 지류
한강에는 국가하천 19개, 지방1급 하천 15개, 지방2급 하천 886개 등 총 920여 개의 하천이 합류한다.[78] 남한강은 한강의 본류이며, 북한강은 경기도 양평군의 양수리에서 남한강과 합류한다.
| 남한강 | 북한강 | 한강 본류 |
|---|---|---|
임진강 합류점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부터 하구까지는 조강(祖江)이라 불린다.
5. 1. 발원지~양수리 구간

한강 본류는 특정 구간별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명칭은 주로 해당 지역의 큰 합수머리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한강의 최상류 발원천은 금대봉 북쪽 정상부의 고목나무샘 (태백시 창죽동)에서 시작되며,[57] 이 물줄기는 금대봉골이라는 골짜기를 따라[56] 산 중턱의 검룡소 (태백시 창죽동)까지 흘러내려온다. 태백시청은 검룡소가 고목나무샘보다 하류에 위치하지만, 금대봉골 유로 상에서 가장 큰 샘이라는 점을 들어 검룡소를 한강의 발원지로 홍보하고 있다.
한강이 '하천'으로서 법적인 관리를 받기 시작하는 지점은 태백시 상사미동 디디기벌 인근이며,[62] 여기서부터 아우라지로 유명한 송천 합류점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까지의 구간은 골지천(骨只川)이라 불린다. 송천 합류점에서 동대천 합류점 (정선군 정선읍 가수리)까지는 조양강(朝陽江), 동대천 합류점에서 평창강 합류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까지는 동강(東江), 평창강 합류점에서 북한강 합류점(양평군 양서면 양수리)까지는 남한강(南漢江)으로 불린다.
5. 2. 양수리 이후 구간
6. 교통
서울에는 한강의 남쪽과 북쪽에 각각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가 건설되어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한다.[1]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7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등은 철교를 통해 한강을 건너며, 5호선과 분당선, 서해선은 하저터널을 통해 한강 본류를 관통한다.[1] 경의중앙선은 북한강을 철교로 가로지르며, 8호선과 신분당선도 앞으로 한강 본류를 관통할 예정이다.[1]
6. 1. 교량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한강을 가로지르는 여러 교량이 건설되었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지점부터 황해에 유입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한 교량은 모두 32개이다.[79] 이들 교량 대부분은 자정과 오전 1시까지 야간 조명을 밝힌다.[80]
| 한국어 명칭 | 비고·경유 노선 |
|---|---|
| 일산대교 | 지방도 제98호선·지방도 제356호선(유료도로) |
| 김포대교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 행주대교 | 국도 제39호선 |
| 방화대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 마곡철교 | 인천국제공항철도 |
| 가양대교 |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
| 월드컵대교 | |
| 성산대교 | 국도 제1호선·국도 제48호선 |
| 양화대교 | 국도 제6호선·국도 제77호선 |
| 당산철교 | 서울 지하철 2호선 |
| 서강대교 | 서울특별시도 국회대로 |
| 마포대교 | 국도 제46호선·서울특별시도 제60호선 |
| 원효대교 | 서울특별시도 여의대로 |
| 한강철교 | 경부선 |
| 한강대교 |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
| 동작대교 | 서울특별시도 동작대로 서울 지하철 4호선(철도·도로 병용교) |
| 반포대교 잠수교 | 서울특별시도 제31호선(이층교) 잠수교는 홍수 시 통행 금지 |
| 한남대교 |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영어의 일부 |
| 동호대교 | 서울특별시도 논현로 서울 지하철 3호선(철도·도로 병용교) |
| 성수대교 |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
| 영동대교 | 국도 제47호선·지방도 제23호선 |
| 청담대교 | 동부간선도로(자동차 전용도로) 서울 지하철 7호선(이층교·철도·도로 병용교) |
| 잠실대교 | 국도 제6호선·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
| 잠실철교 | 서울 지하철 2호선(철도·도로 병용교) |
| 올림픽대교 | 서울특별시도 제60호선 |
| 천호대교 | 국도 제43호선·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
| 광진교 | 서울특별시도 구천면로 |
| 구리암사대교 |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 |
| 강동대교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 미사대교 | 서울양양고속도로 |
| 팔당대교 | 국도 제45호선 |
| 팔당댐 관리교 | 주말·공휴일에만 소형차 통과 가능, 그 외는 통행 제한 |
| 남한강·북한강으로 | |
6. 2. 도로 및 지하철
서울에서 한강의 북쪽에는 강변북로가, 남쪽에는 올림픽대로가 건설되어 서울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한다.[1]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7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등은 철교를 통해 한강을 건넌다.[1] 5호선과 분당선, 서해선은 하저터널을 통해 한강 본류를 관통하고, 경의중앙선은 북한강을 철교로 가로지른다.[1] 8호선과 신분당선도 앞으로 한강 본류를 관통할 예정이다.[1]| 한국어 명칭 | 비고·경유 노선 |
|---|---|
| 일산대교 | 지방도 98호·356호(유료도로) |
| 김포대교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 행주대교 | 국도 39호 |
| 방화대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 마곡대교 | 인천국제공항철도 |
| 가양대교 | 서울특별시도 禾谷路 |
| 성산대교 | 국도 1호·48호 |
| 양화대교 | 국도 6호·77호 |
| 당산철교 | 서울교통공사 2호선 |
| 서강대교 | 서울특별시도 국회대로 |
| 마포대교 | 국도 46호·서울특별시도 60호 |
| 원효대교 | 서울특별시도 여의대로 |
| 한강철교 | 경부선 |
| 한강대교 | 서울특별시도 21호 |
| 동작대교 | 서울특별시도 동작대로 서울교통공사 4호선(철도도로병용교) |
| 반포대교 잠수교 | 서울특별시도 31호(이층교) 잠수교는 홍수 시 통행 금지 |
| 한남대교 | 서울특별시도 41호 아시아 하이웨이|Asia Highway영어 1호선 |
| 동호대교 | 서울특별시도 논현로 서울교통공사 3호선(철도도로병용교) |
| 성수대교 | 서울특별시도 51호 |
| 영동대교 | 국도 47호·지방도 23호 |
| 청담대교 | 서울 도시고속도로: 동부간선도로(자동차 전용도로) 서울교통공사 7호선(이층교·철도도로병용교) |
| 잠실대교 | 국도 6호·서울특별시도 71호 |
| 잠실철교 | 서울교통공사 2호선(철도도로병용교) |
| 올림픽대교 | 서울특별시도 60호 |
| 천호대교 | 국도 43호·서울특별시도 50호 |
| 광진교 | 서울특별시도 구천면로 |
| 구리암사대교 | 서울특별시도 92호 |
| 강동대교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 미사대교 | 서울-양양고속도로 |
| 팔당대교 | 국도 45호 |
| 팔당댐공도교|팔당댐공도교한국어 | 주말·공휴일에만 소형차 통과 가능, 그 외는 통행 제한 |
| 남한강·북한강으로 | |
7. 한강시민공원
1980년대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된 한강시민공원은 서울 시민들의 대표적인 휴식 공간이다. 축구장, 수영장, 자전거 도로, 산책로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85] 여의도, 잠실, 뚝섬 등 12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50]
8. 생태
한강의 수변 지역은 대부분 버드나무 종류가 우점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아까시나무가 흔하게 발견된다. 2022년 기준으로 한강 주변에는 1299종의 식물이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 종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41]
한강에는 총 19과 69종의 어류가 기록되었는데, 이는 2017년 조사와 유사한 수치이다. 주요 하천의 어종은 비교적 풍부했으며, 서울시 보호종인 둑중개, 돌고기, 황복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 둑중개와 황복은 한국 고유종이다. 한강 본류에서는 꼼치, 쏘가리, 참갈겨니가 우점종이었고, 지류에서는 몰개, 왜몰개, 붕어가 우점종이었다.[41]
총 13종의 동물이 확인되었는데, 여기에는 수달, 너구리, 두더지, 스라소니 등이 포함된다. 본류에서는 수달이 자주 관찰되었고, 지류에서는 야생 고양이와 개가 흔히 발견되었다. 법적으로 보호받는 종으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분류된 수달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분류된 스라소니가 있다. 수달은 생태계 건강을 평가하는 지표종 역할을 하며, 배스나 블루길과 같은 외래종을 섭취함으로써 수생태계의 조절자 역할을 한다.[41]
한강에는 잔점박이물범, 중국게 등의 수생생물과 청둥오리, 왜가리, 검은딱새, 검은목황새 등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서울 중심부의 여의도와 고양시의 장항습지는 람사르협약 등록지이다.[47][48]
2013년 3월에는 한강의 콘크리트 호안을 철거하고 여의도 주변 등에 “'''한강의 숲'''”을 조성하는 계획 등을 담은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 구상”을 서울특별시가 발표했다.[51]
9. 관련 작품
한강을 배경으로 하거나 한강과 관련된 사건이 등장하는 드라마와 영화는 다음과 같다.
9. 1. 드라마
- 아스팔트 사나이 (1995년)
-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2010년)
- 국가가 부른다 (2010년)
- 자이언트 (2010년)
- 황금의 제국 (2013년)
9. 2. 영화
참조
[1]
서적
Hangaram (the big river; 한가람)
[2]
웹사이트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2013
http://rhms.river.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2-12-31
[3]
웹사이트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2013
http://rhms.river.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2-12-31
[4]
기타
[5]
웹사이트
Monthly Status & Predictions Report on Water Resources, January 2014
http://www.hrfco.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4-01-13
[6]
기타
[7]
기타
Geumdae Peak (금대봉, 金臺峰, Geumdaebong)
[8]
웹사이트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2013
http://rhms.river.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2-12-31
[9]
웹사이트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2013
http://rhms.river.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2-12-31
[10]
웹사이트
https://mediahub.seo[...]
[11]
논문
Historic River Flowing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2004-06-01 # Summer issue assumed to be June
[12]
뉴스
한강다리
https://news.seoul.g[...]
월간서울
1999-09-01 # September issue assumed to be September 1st
[13]
간행물
한강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5
[13]
간행물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1
[13]
간행물
경강,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
서울역사박물관
2018
[13]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4]
서적
삼국사기
[15]
웹사이트
물환경정보시스템 <우리나라 강 이야기>
https://web.archive.[...]
2020-09-06
[16]
웹사이트
한강의 다양한 명칭
https://hangang.seou[...]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추정)
[17]
웹사이트
한강의 명칭
https://hangang.seou[...]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추정)
[18]
간행물
표준 국어 대사전
국립국어원
1999
[19]
웹사이트
한강의 역사적 명칭
https://hangang.seou[...]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추정)
[20]
웹사이트
https://www.me.go.kr[...]
[21]
웹사이트
한강의 시대별 역사
https://hangang.seou[...]
[22]
웹사이트
위례성 (慰禮城)
https://encykorea.ak[...]
[23]
서적
한강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5
[24]
웹사이트
한국 고대 사료 Db
https://db.history.g[...]
[25]
논문
조선 개국 초 한양 천도(遷都) 논쟁
2009
[26]
논문
왜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했나?
2007
[27]
웹사이트
태조 이성계는 즉위후 불과 16일만인 1392년 8월 3일에 도평의사사에게 한양천도를 명하여 태조3년(1394년) 10월 25일(음력) 천도를 실현하였다.
https://hangang.seou[...]
[28]
논문
조선후기 충청도 조운제도의 변화와 금강 일대 군현의 세곡운송
2022
[29]
논문
대동법에 동조했던 '공(貢)'의 경세 담론들
2022
[30]
웹사이트
조선시대법령자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31]
뉴스
Seoul mates return to Korea – 25 years later
https://worldrowing.[...]
World Rowing
2013-09-01
[32]
뉴스
North Korea Opens Dam Flow, Sweeping Away 6 in the South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33]
웹사이트
Hürriyet Daily News
http://www.hurriyetd[...]
[34]
뉴스
U.S. Apologizes for Dumping Chemical
https://www.latimes.[...]
LA Times
2000-07-25
[35]
논문
경인 아라뱃길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https://www.dbpia.co[...]
2013-05
[36]
웹사이트
(LEAD) Koreas begin joint waterway survey along western border
https://en.yna.co.kr[...]
2018-11-05
[37]
웹사이트
Two Koreas begin joint waterway inspection on shared use of Hangang River Estuary
https://www.youtube.[...]
2018-11-05
[38]
웹사이트
South and North launch joint hydrographic survey of Han and Imjin estuaries
http://english.hani.[...]
[39]
웹사이트
한반도 지질 현황
http://nationalatlas[...]
[40]
뉴스
Mt. Namsan Picked as Seoul's No. 1 Scenic Attraction
http://english.chosu[...]
2011-04-28
[41]
웹사이트
한강의 생명
https://parks.seoul.[...]
2024-11-08
[42]
웹사이트
Water, nature and people
http://english.kwate[...]
[43]
논문
Preservation of the Hangang's Ecology
2004
[44]
웹사이트
Han River
https://www.britanni[...]
2024-11-08
[45]
웹사이트
KWRA-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https://web.archive.[...]
2007-10-01
[46]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47]
웹사이트
Han River-Bamseom Islets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2-06-21
[48]
웹사이트
Janghang Wetland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1-05-20
[49]
웹사이트
한강종합개발사업
https://namu.wiki/w/[...]
[50]
서적
ドキュメントソウル五輪(下)
潮出版社
1991
[51]
뉴스
漢江、コンクリート撤去して“7万株”森の公園
http://japan.hani.co[...]
2013-03-22
[52]
웹사이트
원 출처에는 2004년~2013년의 유량 평균이 연 단위로 제시되어 있었으나, 위키백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를 초 단위로 변환하였음. 변환 후 소수점 이하 버림.
[53]
웹사이트
보도 자료 — 2014년 1월 월간 수자원 현황 및 전망
http://www.hrfco.go.[...]
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2014-09-03
[54]
기타
2006-07-16
[55]
기타
1998-12-15
[56]
간행물
월간 山 특별부록 2008년 9월호 함백산(금대봉/대덕산/매봉산)
조선일보사
2008-09-01
[57]
서적
한국하천일람 — 2012.12.31 기준
http://rhms.river.go[...]
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2013-12-31
[58]
서적
우리가람 길라잡이 — 우리 강을 찾아서…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2007
[59]
뉴스
한강-한강강?·'Hangang River-Han River' 표기에 와글와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12-02
[60]
웹인용
"한강 영문 표기 'Hangang River'로…Han River 아니에요"
https://www.news1.kr[...]
2024-12-10
[61]
웹사이트
한강소개
https://www.me.go.kr[...]
[62]
일반
[63]
간행물
광개토왕릉비
396
[64]
서적
삼국사기
[65]
서적
삼국사기
[66]
웹사이트
한강소개
https://www.me.go.kr[...]
[67]
웹인용
물환경정보시스템 '우리나라 강 이야기'
https://web.archive.[...]
2020-09-06
[68]
뉴스
영동, 잠실지구 개발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70-06-16
[69]
뉴스
잠실종합 개발 확정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74-08-01
[70]
웹인용
물환경정보시스템 '우리나라 강 이야기'
https://web.archive.[...]
2020-09-06
[71]
뉴스
한강 종합계발 준공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86-09-10
[72]
뉴스
여의도 한강공원 1년 만에 준공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09-09-25
[73]
뉴스
경제성없는 경인운하, 정책적으로 강행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09-01-15
[74]
웹인용
물환경정보시스템 <우리나라 강 이야기>
https://web.archive.[...]
[75]
웹사이트
한강소개
https://www.me.go.kr[...]
[76]
웹사이트
유역특성
http://www.wamis.go.[...]
[77]
웹사이트
한반도 지질 현황
http://nationalatlas[...]
[78]
웹인용
물환경정보시스템 <우리나라 강 이야기>
https://web.archive.[...]
[79]
text
[80]
뉴스
[트래블] 겨울, 도시, 불빛 순간을 가두다
http://news.khan.co.[...]
경향닷컴
2007-12-27
[81]
문장
[82]
문장
[83]
문장
[84]
문장
[85]
뉴스
자전거 산책도로 2백50리 조성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4-08-02
[86]
뉴스
서울시 수영장 전면 리모델링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