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는 벨라루스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선수 시절에는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소비에트 연방 대표팀에서 73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고, 1988년 UEFA 유로 1988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클럽 경력으로는 디나모 민스크, 유벤투스, US 레체, 감바 오사카 등에서 뛰었으며, 2003년에는 벨라루스 축구 연맹에 의해 벨라루스의 골든 플레이어로 선정되었다. 지도자 경력으로는 NK 크라스 레펜의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의 해외 진출 축구 감독 - 샤르헤이 바로우스키
샤르헤이 바로우스키는 FC 디나모 민스크 선수로 활약하고 소련 국가대표팀으로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벨라루스 국가대표팀과 여러 클럽을 지도하며 우승을 기록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벨라루스의 해외 진출 축구 감독 - 알략산드르 쿨치
알략산드르 쿨치는 벨라루스 축구 선수 출신 감독으로, 선수 시절 고멜마쉬 고멜에서 프로 데뷔 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의 여러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벨라루스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 보유 및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고, 은퇴 후 FK 호멜 감독, 디나모 모스크바 임시 감독, 디나모-2 모스크바 감독을 역임했다.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세르게이 예브게니예비치 알레이니코프 |
원어 이름 (러시아어) | Сергей Евгеньевич Алейников |
원어 이름 (벨라루스어) | Сяргей Яўгенавіч Алейнікаў |
출생일 | 1961년 11월 7일 |
출생지 |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민스크 |
신장 | 1.82m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
![]() |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해당 정보 없음 |
1981–1989 | 디나모 민스크 (220경기, 31골) |
1989–1990 | 유벤투스 (30경기, 3골) |
1990–1992 | 레체 (59경기, 2골) |
1993–1996 | 감바 오사카 (83경기, 14골) |
1996 | IK 오데볼드 (5경기, 0골) |
1997 | 아나니 (0경기, 0골) |
1998 | 코릴리아노 (9경기, 1골) |
총 경기 수 | 406 |
총 득점 수 | 51 |
국가대표 경력 | |
1983–1984 | 소비에트 연방 올림픽 (4경기, 1골) |
1984–1991 | 소비에트 연방 (73경기, 6골) |
1992 | CIS (4경기, 0골) |
1992–1994 | 벨라루스 (4경기, 0골) |
감독 경력 | |
1998–1999 | 아나니 |
2000–2001 | U.S. 폰테데라 1912 |
2003 | 토르페도-메탈루르크 모스크바 |
2003 | 비드노예 |
2003–2005 | 코페르티노 유스 아카데미 |
2005–2007 | 유벤투스 유스 아카데미 |
2007–2008 | 크라스 |
2011–2012 | 크라스 |
2014 | 다이나바 알리투스 |
수상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우승 (1988년) |
2. 선수 경력
벨라루스 SSR의 민스크 출신으로, 1981년 디나모 민스크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미드필더로서 활약하며 1982년 팀의 소비에트 톱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1984년부터 소련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약하며 1986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8, 1990년 FIFA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특히 유로 1988에서는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소련 해체 후에는 독립국가연합(CIS)과 벨라루스 대표로도 활동했다. 국가대표팀 통산 기록은 81경기 6골이다.[3][7]
1989년 이탈리아의 유벤투스로 이적하여 1990년 UEFA컵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경험했으며,[10] 이후 US 레체, 일본의 감바 오사카, 스웨덴의 IK 오데볼드 등 여러 클럽을 거쳐 1998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003년 11월, UEFA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벨라루스 축구 연맹으로부터 지난 50년간 가장 뛰어난 벨라루스 선수로 선정되어 벨라루스 골든 플레이어 상을 받았다.[4][9]
2. 1. 클럽 경력
알레이니코프는 1981년 디나모 민스크에 입단하며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1989년까지 디나모 민스크 소속으로 뛰었으며, 1982년에는 클럽 역사상 첫 소련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다.미드필더였던 그는 UEFA 유로 1988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9] 1989년 이탈리아의 명문 클럽 유벤투스로 이적했다. 1989-90 시즌 팀의 UEFA컵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에 기여했다.[10]
1990년에는 레체로 이적하여 두 시즌 동안 활약했다. 이후 1993년 일본으로 건너가 J리그의 감바 오사카에 입단하여 활약했다.[11] 2012년 기준으로 J리그에서 뛴 유일한 벨라루스 국가대표 선수이다.
1996년에는 스웨덴의 오데볼드에서 잠시 활약한 뒤, 이탈리아 세리에 D의 치타 디 아냐니와 코릴리아노를 거쳐 1998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은퇴 후에는 주로 유소년 팀이나 하부 리그 클럽을 지도했다. 2003년에는 러시아의 토르페도-메탈루르크 모스크바 감독을 잠시 맡기도 했다. 2013년에는 유벤투스 레전드 팀의 일원으로 베갈타 센다이와의 친선 경기에 출전했다.
2. 1. 1. 클럽 경기 기록
wikitext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컵 (소련컵, 코파 이탈리아, 일왕배 포함) | 리그컵 (J리그컵 포함) | 대륙 대회 | 총계 | ||||||||||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디나모 민스크 | 1981 | 소련 탑 리그 | 14 | 0 | – | 14 | 0 | |||||||||
1982 | 21 | 8 | – | 21 | 8 | |||||||||||
1983 | 29 | 2 | – | 29 | 2 | |||||||||||
1984 | 31 | 3 | – | 31 | 3 | |||||||||||
1985 | 32 | 5 | – | 32 | 5 | |||||||||||
1986 | 21 | 6 | – | 21 | 6 | |||||||||||
1987 | 28 | 2 | – | 28 | 2 | |||||||||||
1988 | 28 | 3 | – | 28 | 3 | |||||||||||
1989 | 16 | 2 | – | 16 | 2 | |||||||||||
총계 | 220 | 31 | – | 220 | 31 | |||||||||||
유벤투스 | 1989–90 | 세리에 A | 30 | 3 | 8 | 0 | – | 12 (UEFA컵) | 0 | 50 | 3 | |||||
레체 | 1990–91 | 세리에 A | 29 | 0 | – | – | 29 | 0 | ||||||||
1991–92 | 세리에 B | 30 | 2 | – | – | 30 | 2 | |||||||||
총계 | 59 | 2 | 0 | 0 | – | – | 59 | 2 | ||||||||
감바 오사카 | 1993 | J1리그 | 15 | 0 | 2 | 1 | 5 | 1 | – | 22 | 2 | |||||
1994 | 32 | 6 | 0 | 0 | 3 | 1 | – | 35 | 7 | |||||||
1995 | 36 | 8 | 4 | 1 | – | – | 40 | 9 | ||||||||
1996 | 0 | 0 | 0 | 0 | 0 | 0 | – | 0 | 0 | |||||||
총계 | 83 | 14 | 6 | 2 | 8 | 2 | – | 97 | 18 | |||||||
오데볼드 | 1996 | 알스벤스칸 | 5 | 0 | – | – | 5 | 0 | ||||||||
치타 디 아냐니 | 1997–98 | 나치오날레 디레탄티 | 0 | 0 | – | – | 0 | 0 | ||||||||
코릴리아노 | 1997–98 | 나치오날레 디레탄티 | 9 | 1 | – | – | 9 | 1 | ||||||||
경력 총계 | 406 | 51 | 14 | 2 | 8 | 2 | 12 | 0 | 440 | 55 |
2. 2. 국가대표팀 경력
벨라루스 SSR의 민스크에서 태어난 알레이니코프는 1984년 3월 28일 서독과의 경기에서 소련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9] 그는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대표로 총 73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3][7]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헝가리와의 경기에서 인상적인 골을 넣으며 소련의 토너먼트 진출에 기여했다.[9] 유로 1988에서는 조별 리그 잉글랜드전에서 득점하는 등 활약하며 팀의 준우승을 이끌었다. 비록 결승전에서는 네덜란드에 0-2로 패했지만, 알레이니코프는 대회 모든 경기에 출전했다.[9] 그는 1990년 FIFA 월드컵에도 참가했다.
소련 해체 후인 1992년에는 독립국가연합(CIS) 대표팀 소속으로 4경기에 출전하여 유로 1992에 참가했다.[7] 벨라루스가 독립한 이후에는 벨라루스 대표팀에서 4경기를 뛰었으며,[3][7] 1994년 UEFA 유로 1996 예선에서 룩셈부르크를 상대로 한 경기가 그의 마지막 국가대표 경기가 되었다.
2003년 11월, UEFA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벨라루스 축구 연맹은 알레이니코프를 지난 50년간 가장 뛰어난 벨라루스 선수로 선정하여 벨라루스 골든 플레이어 상을 수여했다.[4][9]
2. 2. 1. 국가대표팀 경기 기록
wikitext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
소비에트 연방 | 1984 | 6 | 0 |
1985 | 14 | 1 | |
1986 | 10 | 1 | |
1987 | 8 | 1 | |
1988 | 15 | 2 | |
1989 | 7 | 0 | |
1990 | 5 | 0 | |
1991 | 8 | 1 | |
합계 | 73 | 6 | |
독립국가연합 (CIS) | 1992 | 4 | 0 |
합계 | 4 | 0 | |
벨라루스 | 1992 | 1 | 0 |
1993 | 2 | 0 | |
1994 | 1 | 0 | |
합계 | 4 | 0 |
- '''주요 국가대표팀 경력'''
- * 소비에트 연방
- ** 1986년 FIFA 월드컵 (4경기 1득점)
- ** 1988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5경기 1득점)
- ** 1990년 FIFA 월드컵 (3경기)
- * 독립국가연합 (CIS)
- ** 1992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경기)
- * 벨라루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에는 주로 유소년 팀이나 하위 리그 클럽을 지도했다. 2003년 러시아의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Торпедо-Металлург"|FC 토르페도-메탈루르그 모스크바rus 감독에 취임했지만, 8경기 만에 경질되었다.
2007-08 시즌에는 이탈리아 아마추어 리그인 Promozione|프로모치오네ita에 속한 NK Kras Repen|NK 크라스 레펜ita의 감독을 맡았다. 이후 2011년 여름부터 2012년 10월 30일까지 다시 이 팀의 감독을 지냈다.
4. 수상 경력
'''디나모 민스크'''
- 소비에트 최고 리그: 1982
'''유벤투스'''
'''소비에트 연방'''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988
'''개인'''
- 벨라루스 올해의 축구 선수: 1984, 1986, 1988
- UEFA 주빌리 어워드 벨라루스 골든 플레이어: 2004[9]
4. 1. 클럽
'''디나모 민스크'''- 소비에트 최고 리그: 1982
'''유벤투스'''
4. 2. 국가대표팀
- 소비에트 연방: 1984년부터 1992년까지 72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
- * 1986년 FIFA 월드컵: 4경기 출전, 1골 기록.
- * UEFA 유로 1988: 준우승, 5경기 출전, 1골 기록.
- * 1990년 FIFA 월드컵: 3경기 출전.
- CIS 대표팀: 4경기에 출전했다.
- * UEFA 유로 1992: 2경기 출전.
- 벨라루스: 4경기에 출전했다.
4. 3. 개인
벨라루스 올해의 축구 선수에 1984년, 1986년, 1988년 세 차례 선정되었다.1981년 FC 디나모 민스크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1989년까지 활동했으며, 1982년에는 클럽 역사상 최초의 소비에트 최고 리그 우승을 경험했다.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는 1984년 3월 28일 서독과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9]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헝가리전에서 인상적인 골을 기록하며[9] 소련의 토너먼트 진출에 기여했다. 준우승을 차지한 UEFA 유로 1988에서는 조별 리그 잉글랜드전에서 득점하며 팀의 결승 진출을 도왔고, 결승전 패배에도 불구하고 모든 경기에 출전했다. UEFA 유로 1992에는 CIS 대표로 참가했다.
유로 1988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9] 1989-90 시즌 이탈리아의 유벤투스 FC로 이적하여 리그 30경기 3골을 기록했으며, UEFA컵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차지했다.[10] 이후 세리에 A의 US 레체에서 두 시즌을 보낸 뒤, 1993년 일본 J리그의 감바 오사카로 이적했다. 1994년 5월 4일 주빌로 이와타와의 경기에서 J리그 데뷔골을 넣었으며,[11] J리그 통산 83경기 14골을 기록했다.[11] 이후 스웨덴의 IK 오데볼드를 거쳐 이탈리아 세리에 D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012년 기준으로 J리그에서 활동한 유일한 벨라루스 국가대표 선수이다.
은퇴 후에는 주로 유소년 팀이나 하위 리그 클럽을 지도했다. 2003년에는 러시아의 FC 토르페도 메탈루르그 모스크바 감독을 맡았으나 8경기 만에 경질되었다.
2004년 UEFA 주빌리 어워드에서 벨라루스 축구 협회에 의해 벨라루스 골든 플레이어(지난 50년간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9] 2013년에는 유벤투스 레전드 팀의 일원으로 베갈타 센다이와의 친선 경기에 출전했다.
상 | 수상 연도 |
---|---|
벨라루스 올해의 축구 선수 | 1984년, 1986년, 1988년 |
UEFA 주빌리 어워드 벨라루스 골든 플레이어 | 2004년[9] |
참조
[1]
웹사이트
Gli eroi in bianconero: Sergej ALEJNIKOV
https://www.tuttojuv[...]
Tutto Juve
2019-11-05
[2]
웹사이트
Сергей Алейников е новият спортен директор на Локомотив (Пловдив)
https://plovdivnews.[...]
[3]
웹사이트
Sergei Yevgenyevich Aleinikov -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06-02-18
[4]
웹사이트
Golden Players take centre stage
http://www.uefa.com/[...]
uefa.com
2003-11-29
[5]
뉴스
TMW VIAREGGIO - Novara, Aleinikov: "Farò strada in Italia"
http://www.tuttomerc[...]
TuttoMercatoWeb
2009-02-10
[6]
뉴스
Aleinikov, sotto la Rocca nel nome del padre
http://www.levalli.i[...]
2018-01-31
[7]
NFT
[8]
웹사이트
https://www.football[...]
[9]
뉴스
ラウドルップ、ストイコヴィッチ、リュングベリ…ユーロでプレーした歴代外国人Jリーガーを振り返る
https://www.excite.c[...]
www.excite.co.jp
[10]
뉴스
Sergey Aleinikov
http://www.legioner.[...]
legioner.kulichki.com
[11]
뉴스
アレイニコフ
https://data.j-leagu[...]
data.j-league
[12]
웹사이트
PAGENAMEBASE
https://www.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