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리그는 일본의 프로 축구 리그로, 1980년대 후반 일본의 FIFA 월드컵 유치 노력과 함께 일본 축구 협회 주도로 발족되었다. 1993년 5월 15일, 베르디 가와사키와 요코하마 마리노스의 경기를 시작으로 출범했으며, 현재 J1, J2, J3의 세 개 디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J리그는 지역 밀착, 100년 비전, 클럽 라이선스 제도 등을 통해 일본 축구의 발전과 지역 스포츠 문화 형성에 기여해왔으며, 다양한 국제 리그와의 협력을 통해 아시아 축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축구단 - J2리그
J2리그는 일본 프로축구 2부 리그로, J1리그와 승강제를 통해 운영되며, 1999년 10개 클럽으로 시작하여 현재 20개 클럽이 참가, 상위 2팀은 J1리그로 자동 승격하고 하위 3팀은 J3리그로 강등되며, 리그 규모와 시스템은 변화를 거쳐 2026-27 시즌부터 추춘제로 변경될 예정이다. - 일본의 축구단 -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안드레스 이니에스타는 FC 바르셀로나와 스페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수많은 우승을 차지하고 "마법사"로 불린 스페인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로, 2010년 월드컵 결승골과 2012년 유로 MVP를 수상했으며 2024년 은퇴했다. - 일본의 프로 스포츠 리그 - 퍼시픽 리그
퍼시픽 리그는 1949년 태평양 야구 연맹으로 출범하여 198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6개 구단으로 구성되어 난카이, 니시테쓰, 한큐, 세이부 등의 강세 시대를 거쳐 스즈키 이치로, 마쓰자카 다이스케 같은 스타 선수들의 활약과 돔 구장 시대, 지역 밀착 정책, 리그 재편, 그리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왕조 시대를 거쳐 1975년부터 지명 타자 제도를 운영하며 센트럴 리그와의 교류전 및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통해 일본 시리즈 진출팀을 결정한다. - 일본의 프로 스포츠 리그 -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는 1949년 일본 프로야구 재편으로 출범하여 팀 합병과 해체를 거쳐 현재 6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통해 일본 시리즈 진출팀을 결정하는 일본 프로야구의 핵심 리그이다. - J리그 - FC 이마바리
1976년 창단된 FC 이마바리는 오카다 다케시 감독의 '오카다 메소드' 도입과 꾸준한 성장을 통해 2024년 J2리그에 승격한 일본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유소년 팀과 여자 축구팀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J리그 - 에히메 FC
에히메 FC는 1970년 창단된 일본의 축구 클럽으로, 2006년 J2리그에 승격하여 시코쿠 지방 최초의 J리그 클럽이 되었고, 2023년 J3리그 우승으로 J2리그에 복귀했으며, 오렌지색과 검은색을 상징색으로 사용한다.
J리그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일본 프로 축구 리그 |
로마자 표기 | Nihon Puro Sakkā Rīgu |
약칭 | J리그 |
영어 이름 | Japan Professional Football League |
다른 이름 | 메이지 야스다 J리그 |
![]() | |
창립 | 1991년 11월 1일 |
첫 시즌 | 1993년 |
참가 팀 수 | 60 |
리그 수준 | 1–3 |
리그 단계 | J1리그 J2리그 J3리그 |
국내 컵 대회 | 천황배 후지필름 슈퍼컵 |
리그 컵 대회 | J리그 YBC 르뱅컵 |
대륙 컵 대회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FC 챔피언스리그 2 |
최다 우승팀 | J1: 가시마 앤틀러스 (8회 우승) J2: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3회 우승) J3: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2회 우승) |
최근 우승팀 | J1: 비셀 고베 (2회 우승) J2: 시미즈 에스펄스 (1회 우승) J3: 오미야 아르디자 (1회 우승) |
현재 시즌 | 2024 시즌 |
다음 시즌 | 2025 J1리그; 2월 14일 – 12월 6일 2025 J2리그; 2월 15일 – 11월 29일 2025 J3리그; 2월 15일 – 12월 6일 |
웹사이트 | J리그 공식 웹사이트 |
운영 조직 | 일본 프로 축구 리그 (법인) |
관련 회사 | J리그 (기업) |
조직 및 운영 | |
이전 명칭 | 일본 사커 리그(JSL) |
CEO | 야노노무라 요시카즈 (J리그 위원장) |
모토 | |
참가 팀 | J1:20, J2:20, J3:20 |
분류 | J리그 클럽 라이선스 제도 참조 |
TV 중계 | 특기 사항 참조 |
스폰서 | #협찬 단체 참조 |
관련 대회 | |
창립자 | |
승격 | |
강등 | |
웹사이트 | J리그.jp |
각주 | 인터넷 방송 사업자 DAZN이 1차 방영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터넷 방송을 하는 것 외에, J리그가 각 방송국에 영상 제공을 하고 있다. |
기타 정보 | |
용어집 | J리그에서는 'J리그'를 포함한 모든 일본어 표기에서 'J'를 전각 문자 'J'로 쓰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위키백과에서는 표기 지침에 따라 반각으로 표기한다. |
AFC 소속 리그 정보 | |
국가 | 일본 |
대륙 | AFC |
하위 리그 | 일본 풋볼 리그 |
최근 우승팀 | 비셀 고베 (J1리그) 시미즈 에스펄스 (J2리그) 오미야 아르디자 (J3리그) |
최다 우승 | 가시마 앤틀러스 (8회) |
홈페이지 | jleague.jp |
2. 역사
J리그는 1993년 10개 클럽으로 출범한 일본의 프로 축구 리그이다. 출범 이전 일본 축구는 일본 사커 리그(JSL)라는 아마추어 리그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시설 부족, 낮은 인기 등 여러 한계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일본 축구의 수준 향상과 대중화를 위해 일본 축구 협회(JFA) 주도로 프로 리그 창설이 추진되었다.[2][3][4]
초창기 J리그는 큰 인기를 누렸으나, 경제 불황 등의 영향으로 위기를 맞기도 했다. 이에 리그는 1999년 J2리그를 창설하여 2부 리그 시스템을 도입하고, 'J리그 백년구상'과 같은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며 지역 밀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후 2014년에는 J3리그를 신설하여 3부 리그 체제를 갖추었다. 2024 시즌 개막 기준으로 J리그는 J1, J2, J3 각각 20개 클럽, 총 60개 클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8], 아시아 축구 연맹(AFC) 주관 대회에도 꾸준히 참가하며 아시아 축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리그는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2026년-2027년 시즌부터 추춘제로 전환할 예정이다.[8]
J리그는 일본 축구 수준 향상, 풍부한 스포츠 문화 진흥, 국제 교류 증진이라는 3가지 기본 이념[20] 아래 운영되고 있으며, 페어플레이 정신과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중시하는 활동 방침을 가지고 있다.[21] J리그의 발전 과정은 크게 출범 이전 시기, 초창기, 위기와 확립기, 지역 밀착과 발전기, 그리고 현재와 미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시기별 주요 사건과 변화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발족 이전 ( ~ 1992)
J리그가 발족되기 전 일본 축구의 환경은 전반적으로 열악했다. 1965년부터 일본 사커 리그(JSL)라는 사회인 축구 리그가 운영되었지만, 경기당 평균 관중 수는 1,000명에서 3,000명 수준에 머물렀고, 천황배를 포함해도 연간 총 관중은 20~30만 명 정도에 불과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발전조차 지방 소규모 경기장에서 열렸음에도 관중석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상위권 사회인 팀들도 연습 시설이 부족했고, 경기장 잔디는 겨울이면 누렇게 변색되거나 비가 오면 물에 잠기는 등 관리가 미흡했다. 선수 대부분은 회사 업무와 축구를 병행하는 아마추어였기 때문에 축구에 전념하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 축구 인프라는 아시아 내에서도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 축구의 인기와 수준을 높이기 위해 프로화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이 1968년 멕시코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잠시 호황기를 누리기도 했으나, 1980년대 들어 JSL은 전 세계적인 축구 침체와 맞물려 쇠퇴기를 맞았다.[2][3] 팬들의 관심은 줄어들었고 경기장 시설은 낙후되었으며, 국가대표팀의 경쟁력도 다른 아시아 강팀들에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JSL 참가팀 다수는 프로화가 시기상조라는 입장이어서 프로화 논의는 쉽게 진전되지 못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일본의 FIFA 월드컵 유치 노력과 맞물려 일본 축구 협회(JFA)가 주도적으로 프로 리그 창설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JFA는 프로 리그 모델을 연구하기 위해 유럽, 특히 독일의 분데스리가를 참고하여[4] 일본 실정에 맞는 프로 리그를 구상했다. 1989년, JFA는 프로리그 평가 위원회를 구성했고, 1990년에는 프로 클럽의 기준을 마련했다. 이에 JSL 소속 15~20개 클럽이 프로리그 참가 의사를 밝혔다.
1990년, J리그 참가 조건의 세부 사항이 결정되면서 새로운 프로 축구 리그의 규정이 확립되었다. 핵심 원칙 중 하나는 클럽 명칭에 지역명과 애칭을 사용하고, 기업명은 배제하는 것이었다. 이는 특정 기업 구단의 인기에 의존하기보다 지역 사회와의 밀착을 통해 리그 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려는 J리그 사무국의 의도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침은 일본 프로야구처럼 기업명을 사용하길 원했던 일부 구단, 특히 당시 도쿄 베르디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구단주였던 와타나베 쓰네오 등과 J리그 초대 회장 가와부치 사부로 사이에 갈등을 유발하기도 했다.[164] 와타나베는 기업명 배제가 비현실적이라고 비판하며 요미우리 계열 언론을 통해 한동안 '요미우리 베르디'라는 명칭을 고수했다. 가와부치는 훗날 이 논쟁 덕분에 J리그의 지역 밀착 이념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22]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92년 2월, J리그에 참가할 10개 클럽과 연고지가 최종 발표되었다. 참가 클럽은 다음과 같다.[2][3]
- 기존 JSL 1부 리그 소속 8개 클럽: 감바 오사카,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나고야 그램퍼스, 산프레체 히로시마, 우라와 레즈, 베르디 가와사키, 요코하마 플뤼겔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기존 JSL 2부 리그 승격 1개 클럽: 가시마 앤틀러스
- 신생 클럽 1개: 시미즈 에스펄스
이와 함께 일본 사커 리그(JSL)는 1991-92 시즌을 끝으로 폐지되었고, 일본 풋볼 리그로 명칭을 변경하여 준프로 리그로 재편되었다. J리그는 1993년 공식 개막에 앞서, 1992년에 10개 클럽이 참가하는 리그컵 대회인 J리그컵 대회를 개최하여 새 시즌을 준비했다.
2. 2. J리그 출범 초기 (1993 ~ 1996)
1993년 5월 15일, 베르디 가와사키와 요코하마 마리노스의 경기로 J리그가 공식 출범했다. 당시 프로야구, 골프, 스모 외에는 프로 스포츠가 드물었던 일본 사회에 J리그 출범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매주 최소 한 경기가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고, 경기장에는 많은 관중이 몰렸다. 관련 상품 판매도 호조를 보였으며, 'J리그'는 1993년 일본의 신조어·유행어 대상 및 10대 히트 상품에 선정되기도 했다.[165]초기에는 전성기가 지난 해외 유명 선수들을 영입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1994년 FIFA 월드컵 이후에는 높은 연봉을 제시하며 전성기에 가까운 스타 플레이어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했다. 이러한 열기 속에 1994년 J리그는 경기당 평균 19,598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현재까지 깨지지 않는 최고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출범 초기 J리그는 "프로야구의 축구판"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국제 시세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선수 연봉은 이후 구단들의 경영난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비록 이러한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하지만, 이 시기를 통해 일본 내 축구의 인지도가 크게 향상되었고, 이는 장기적으로 일본 축구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세계적인 선수 및 감독들과의 긍정적인 관계 구축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리그 운영 방식은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전기(1st Stage)와 후기(2nd Stage) 리그로 나누어 각 스테이지 우승팀이 챔피언 결정전을 치르는 방식을 채택했다. 무승부 시에는 연장전과 골든골 제도, 승부차기를 통해 승패를 가렸다. 1995년에는 승점제가 처음 도입되었으며, 1996년에는 단일 시즌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등번호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선발 선수에게 1번부터 11번, 교체 선수에게 12번부터 16번을 배정하는 고정 등번호제를 시행했다.[166]
출범 당시 도쿄를 연고지로 희망했던 구단도 있었다. 요미우리 축구단은 도쿄 국립경기장, 니시가오카 축구장 등 여러 경기장을 검토했으나 국립 시설이거나 야간 조명 설치 불가 등의 문제로 무산되었고, 결국 가와사키의 토도로키 육상 경기장을 증개축하는 조건으로 연고지를 확보하여 베르디 가와사키가 되었다.[167] 미쓰비시 중공업 축구단 역시 에도가와구 육상 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하려 했으나 수용 인원 미달 및 증개축 협상 난항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가와부치 사부로 당시 J리그 의장의 중재로 우라와시(현 사이타마시)와 연결되어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로 연고지를 정했다.[168] 결국 도쿄에는 연고 구단 없이,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여러 구단이 돌아가며 중립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나, 매 시즌 모든 구단이 이곳에서 홈경기를 개최한 것은 아니었다. 한편, 1993년 J리그와 리그컵 2관왕을 차지하며 최고 인기 구단으로 부상한 베르디 가와사키는 그해 말 도쿄로의 연고지 이전을 추진했으나, 출범 1년 만의 연고지 이전이 지역 밀착이라는 리그 이념에 반하고 특정 구단으로의 인기 집중을 우려한 J리그 연맹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69]
1994년에는 주빌로 이와타와 벨마레 히라츠카가 승격하여 12개 구단 체제가 되었고, 1995년에는 세레소 오사카와 가시와 레이솔이 합류하여 14개 구단으로 늘어났다. 1996년에는 교토 퍼플 상가와 아비스파 후쿠오카가 승격하며 16개 구단 체제가 되었다.
1996년 J리그 연맹은 'J리그 백년 구상'을 발표했다. 이는 기업 중심의 구단 운영에서 벗어나 지역 사회에 뿌리내리는 스포츠 클럽 모델을 지향하는 이념이다. 축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스포츠 시설과 클럽 활동을 장려하여, 축구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전체의 스포츠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70] 하지만 같은 해, 일본 경제 불황의 영향 등으로 리그 평균 관중 수가 10,131명으로 감소하며 초창기의 열기가 다소 꺾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2. 3. 위기와 확립 (1997 ~ 2000)
J리그 출범 초기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1994년 19,598명에 달했던 평균 관중 수는 일본 경제 불황의 영향 등으로 인해 1997년에는 10,131명으로 급감했다. 또한 1996년에 새로 합류한 팀들의 수준 미달 논란과 함께 리그 수준 저하 및 팀 수 과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팬들이 원치 않았던 2002년 FIFA 월드컵의 대한민국·일본 공동 개최 결정 역시 인기 하락의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당시 일본 대표팀의 에이스였던 나카타 히데토시가 대표팀 경기에 몰린 팬들에게 J리그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호소할 정도였다.결정적으로 1998년, 주요 스폰서의 지원 중단으로 재정난에 빠진 요코하마 플뤼겔스가 같은 연고지의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흡수 합병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J리그 최초의 클럽 해산 사례로 리그 운영에 큰 충격을 주었다. 요코하마 플뤼겔스는 1999년 1월 1일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 우승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J리그 사무국은 리그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1998년에는 'J리그 100년 구상'을 발표하여, 리그 100주년이 되는 2092년까지 전국 100개의 프로 축구 클럽 창설을 목표로 제시했다. 또한 클럽들이 지역 사회와 밀착하여 스폰서십을 확보하고 풀뿌리 활동을 강화하도록 장려했다.
다른 주요 해결책으로 1999년 리그 시스템 개편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일본 풋볼 리그(JFL)에서 9개 클럽, J리그에서 강등된 1개 클럽(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을 받아들여 J2리그(J2)를 창설했다. 이로써 J리그는 1부 리그인 J1리그(J1) 16개 클럽, 2부 리그인 J2 10개 클럽으로 구성된 총 26개 클럽의 2부 제도를 갖추게 되었다. 기존의 JFL은 일본 풋볼 리그(JFL)라는 이름의 3부 리그로 재편되었다. 2부제 도입은 J리그 참가의 문턱을 낮추어 전국 각지에서 J리그 참가를 목표로 하는 클럽들이 생겨나는 계기가 되었다. 같은 해, 승부차기 제도가 폐지되고 무승부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정규 시간 승리 시 3점, 연장전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을 부여하는 새로운 승점 제도가 시행되었다.
2000년에는 미토 홀리호크가 J2리그에 새로 가입하여 J2리그는 11개 클럽으로 운영되었다.
2. 4. 지역 밀착과 발전 (2001 ~ 2007)
2001년부터 장기간 침체되었던 J리그 관객 동원수가 크게 호전되었다. 특히 알비렉스 니가타와 같은 지방 도시 클럽들이 부상했다. J리그 출범 초기의 미디어 주도 인기와 달리, 2001년 이후의 인기 회복은 지역 밀착과 지방 도시의 로컬리즘에 기반한 측면이 강했다. 연고지를 프랜차이즈가 아닌 '홈타운'으로 부르며 지역 주민들에게 '우리 마을의 클럽'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고, 이는 서포터라 불리는 열성적인 팬층을 확보하여 관중 수 증가로 이어졌다. 과거 소수 기업이 클럽을 소유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스폰서가 참여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시민들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클럽들이 다수 등장하는 등 운영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2002년 FIFA 월드컵 개최를 계기로 전국 각지에 경기장 시설이 확충되면서 더 많은 관중이 경기를 관람할 수 있게 된 것도 리그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J리그는 지방 소도시까지 기반을 넓히며 리그 규모를 착실히 확대했고, 전국적으로 J리그의 이념이 점진적으로 확산되었다. 과거 대도시에서만 가능하다고 여겨졌던 프로 스포츠 클럽 운영이 지방에서도 성공할 수 있음을 증명하면서, J리그 참가를 목표로 하는 클럽들이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한편, 2001년에는 가와사키시를 연고로 하던 베르디 가와사키가 도쿄도로 연고지를 이전하며 팀명을 '도쿄 베르디 1969'로 변경했다.[171] 도쿄 베르디는 FC 도쿄와 함께 도쿄도 조후시에 위치한 아지노모토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 두 팀 간의 경기는 도쿄 더비로 불리게 되었다. 리그 운영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2004년에는 승강 플레이오프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2005년 시즌부터 J1리그는 참가 클럽 수를 16개에서 18개로 확대하고, 전기리그(1st Stage)와 후기리그(2nd Stage)로 나누어 진행하던 양대 리그제 및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제도를 폐지하며 유럽식 단일 리그제를 채택했다.
이 시기 J리그 클럽들은 아시아 클럽 대항전에도 점차 비중을 두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2007년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과정에서 홍콩 등 아시아 지역에서 팬층을 확보하기도 했다.[6]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2007년에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하며, 2002년 대회 개편 이후 J리그 클럽 최초의 우승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5]
2. 5. 현재와 미래 (2008 ~ 현재)
2008년 7월, J리그 이사회는 J2리그를 최대 22개 클럽까지 확장하는 미래 구상을 승인했다. 리그 전체 수준 유지를 위해 JFL과의 교체는 당분간 보류하고, 22개 클럽이 모두 채워지면 J2리그와 JFL 간의 승강제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2012년 FC 마치다 젤비아와 마쓰모토 야마가 FC가 JFL에서 승격하면서 J2리그는 22개 클럽을 채웠고, 이에 따라 J2리그와 JFL 간의 승강제가 도입되어 FC 마치다 젤비아가 첫 해에 강등되었다.2009년 시즌부터는 세 가지 주요 변화가 있었다. 첫째,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클럽 수가 4개로 늘어났다. 둘째, J1리그에서 강등되는 클럽 수가 3개로 증가했다. 셋째, AFC 선수 쿼터가 도입되어 각 클럽은 총 4명의 외국인 선수를 보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중 한 자리는 일본을 제외한 AFC 회원국 선수에게 할당되었다.
2013년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권고에 따라 J리그 클럽 라이센스 제도를 도입했다. 이는 AFC 회원 자격 요건 중 하나로, 2012년부터 클럽이 리그에 잔류하거나 상위 리그로 승격하는 기준 중 하나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2014년에는 JFL로 강등되었던 FC 마치다 젤비아를 포함한 준가맹 팀들을 중심으로 J3리그가 출범하여 3부 리그 체제로 발전했다.[172] 또한 J리그는 타이 프리미어리그, 베트남 V-리그 등 동남아시아 프로 축구 리그들과 협정을 맺고 협력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J3리그에는 동남아시아 선수 쿼터가 신설되어 선수 교류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2015년에는 J1리그에 플레이오프 제도를 다시 도입하여 시즌을 전·후기 리그로 나누고, 각 리그 우승팀 및 연간 승점 상위 팀들이 참가하는 챔피언십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우승팀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173] 그러나 이 방식은 팬들의 부정적인 반응과 일반 대중의 낮은 관심으로 인해 2017년에 다시 폐지되고 단일 시즌 방식으로 돌아갔다.
2018년에는 J1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제도가 다시 도입되었다. 이후 J3리그에는 2019년 반라우레 하치노헤, 2020년 FC 이마바리, 2021년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2022년 이와키 FC, 2023년 나라 클럽과 FC 오사카가 차례로 참가했다.
2023년 시즌부터는 J3리그와 JFL 간의 승강제가 도입되었다.[7] 또한, 유럽 리그 일정 및 AFC 챔피언스리그와의 조율, 여름철 경기 회피, 국제 대회 일정 충돌 방지 등을 위해 2026-27 시즌부터 가을에 시작하여 봄에 마치는 추춘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 변경안은 2023년 12월 19일, 60개 J리그 클럽의 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8]
2024년 시즌부터는 J1, J2, J3리그 모두 20개 팀 체제로 운영되며, J리그컵은 J1, J2, J3의 60개 모든 클럽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개편되었다. 이는 리그 가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성장 전략의 일환이다. 2025년에는 도치기 시티 FC와 고치 유나이티드 SC가 J리그에 가입할 예정이며, 이와테 그룰라 모리오카와 YSCC 요코하마는 정회원 자격을 상실할 예정이다.
한편, J리그 클럽들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도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다. 초기에는 이동 거리 등의 문제로 큰 비중을 두지 않았으나, A리그의 동아시아 편입, FIFA 클럽 월드컵 도입, 아시아 시장의 성장 등으로 점차 중요성이 커졌다.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2007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를 계기로 홍콩에서 상당한 팬층을 확보하기도 했다.[6] 지속적인 노력으로 2007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 2008년 감바 오사카가 연속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J리그의 경쟁력을 입증했다.[5] 이러한 성과 덕분에 AFC는 J리그에 2009 시즌부터 4장의 출전권을 부여했다. 또한, 2008 시즌부터 천황배 우승팀은 다음 해 AFC 챔피언스리그에 바로 참가할 수 있도록 규정이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1년의 시차가 있었다.)
3. 구성
현재 J리그는 1부, 2부, 3부 리그로 구성되어 있다. 2024 시즌부터 각 디비전은 20개 클럽으로 운영된다.
1993년 10개 클럽으로 출범한 J리그는 1998년까지 단일 리그(최대 18개 클럽)로 운영되었다. 1999년 "J리그 디비전 2"(현 J2리그)가 출범하며 2부 리그 체제가 되었고, 2014년에는 "J3리그"가 신설되어 현재의 3부 리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16] J3리그는 일본 축구 리그 시스템상 아마추어 최상위 리그인 일본풋볼리그(JFL)와 동등한 수준으로 여겨지나, 참가 조건이나 경기장 규정 등에서 J1, J2와 차이가 있다.
1999년 2부 리그 출범과 함께 유럽 리그 방식의 승강 제도가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J1 하위 2팀 강등, J2 상위 2팀 승격 방식이었고,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J2 3위 팀과 J1 16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가 시행되었다. 2009년부터는 J2 상위 3팀 자동 승격, J1 하위 3팀 자동 강등으로 변경되었다. 단, J2 팀은 리그가 정한 J1 리그 프랜차이즈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승격 또는 플레이오프 참가 자격을 얻는다. 현재까지 자격 미달로 승격이 거부된 사례는 없다.
2012년부터 J2리그는 3위부터 6위 팀을 대상으로 승격 플레이오프를 도입했다. 초기에는 준결승 단판 승부에서 무승부 시 순위가 높은 팀이 승리하는 방식이었으나, 이후 변경되었다.
J3리그는 2013년 출범 당시 우승팀 자동 승격, 준우승팀은 2017년까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는 상위 2팀이 자동 승격되었다. 2024년부터는 3위부터 6위 팀이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자가 세 번째 승격팀이 된다. 또한 2023년부터 J3 리그와 일본풋볼리그(JFL) 간의 승강 제도가 도입되었다.
리그 운영 방식 면에서는, 2004년까지 J1 리그 시즌이 전기와 후기로 나뉘어 각 우승팀이 챔피언십 시리즈를 치렀으나(1996년 제외), 2005년부터 18개 팀으로 확대되면서 단일 시즌제가 채택되었다. 현재 J1 리그는 20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더블 라운드 로빈으로 경기를 치른다. 2015년에 잠시 전후기제가 부활했으나 2016년에 다시 폐지되었다.
아시아축구연맹(AFC) 주관 클럽 대회(AFC 챔피언스리그 등) 출전권은 J1리그 상위 팀에게 주어진다. 2024시즌 결과에 따라 기본적으로 J1리그 상위 3개 클럽이 AFC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한다.[19]
2024시즌 개막 시점에서 일본 41개 도도부현에 연고지를 둔 총 60개 클럽(J1, J2, J3 각 20개 클럽)이 J리그에 참가하고 있다.[18]
3. 1. 정회원 클럽 (2025시즌 기준)
2025년 시즌 클럽 편성[49]을 기준으로 한 총 60개 클럽 목록이다.- 클럽의 카테고리 및 게재 순서는 2023년 12월 19일 J리그 발표[49]의 순서를 따른다.
- 클럽명은 일본 축구 협회에 등록된 팀명이 아니라 J리그에서 사용하는 "호칭"을 나타낸다.[49]
- 홈구장은 2024년 시점에서 J리그 코퍼레이트 사이트에 표기된 구장[50]을 동 자료의 표기에 따라 기재한다.
지역 | 클럽명(호칭) | 활동 지역 / 홈타운 (홈구장) | 카테고리 | 가맹 연도 |
---|---|---|---|---|
홋카이도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HOKKAIDO Consadole SAPPORO | 홋카이도 / 삿포로시를 중심으로 한 전도 (다이와 하우스 프레미스트 돔〈삿포로시 도요히라구〉) | J2 | 1998년 |
동북 | 반라우레 하치노헤 Vanraure HACHINOHE | 아오모리현 / 하치노헤시 외 3시 11정 2촌 (프라이후즈 스타디움〈하치노헤시〉) | J3 | 2019년 |
베갈타 센다이 Vegalta SENDAI | 미야기현 / 센다이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유어텍 스타디움 센다이〈센다이시 이즈미구〉) | J2 | 1999년 |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Blaublitz AKITA | 아키타현 / 아키타시 외 5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소유 스타디움〈아키타시〉) | J2 | 2014년 | |
몬테디오 야마가타 Montedio YAMAGATA | 야마가타현 / 야마가타시, 텐도시, 쓰루오카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ND소프트 스타디움 야마가타〈텐도시〉) | J2 | 1999년 |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 FUKUSHIMA United FC | 후쿠시마현 / 후쿠시마시 외 3시 3정을 중심으로 한 전현 (토호- 민나노 스타디움〈후쿠시마시〉) | J3 | 2014년 | |
이와키 FC IWAKI FC | 후쿠시마현 / 이와키시 외 1시 6정 2촌 (하와이안즈 스타디움 이와키〈이와키시〉) | J2 | 2022년 | |
관동 | 가시마 앤틀러스 KASHIMA Antlers | 이바라키현 / 가시마시 외 5시 (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시〉) | J1 | 1991년 |
미토 홀리호크 MITO Hollyhock | 이바라키현 / 미토시 외 10시 4정 1촌 (케이스덴키 스타디움 미토〈미토시〉) | J2 | 2000년 | |
도치기 SC TOCHIGI SC | 도치기현 / 우쓰노미야시 (칸세키 스타디움 도치기〈우쓰노미야시〉) | J3 | 2009년 | |
도치기 시티 FC TOCHIGI City Football Club | 도치기현 / 도치기시 (CITY FOOTBALL STATION〈도치기시〉) | J3 | 2025년 | |
자스파 군마 Thespa GUNMA | 군마현 / 마에바시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쇼다쇼유 스타디움 군마〈마에바시시〉) | J3 | 2005년 | |
우라와 레즈 URAWA Reds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시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사이타마시 미도리구〉) | J1 | 1991년 | |
오미야 아르디자 OMIYA Ardija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시 (NACK5 스타디움 오미야〈사이타마시 오미야구〉) | J2 | 1999년 | |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JEF United CHIBA | 지바현 / 지바시, 이치하라시 (후쿠다 전자 아레나〈지바시 추오구〉) | J2 | 1991년 | |
가시와 레이솔 KASHIWA Reysol | 지바현 / 가시와시 (산쿄 프론티어 카시와 스타디움〈카시와시〉) | J1 | 1995년 | |
FC 도쿄 FC TOKYO | 도쿄도 / 도쿄도 (아지노모토 스타디움〈조후시〉) | J1 | 1999년 | |
도쿄 베르디 TOKYO Verdy | 도쿄도 / 도쿄도 (아지노모토 스타디움〈조후시〉) | J1 | 1991년 | |
FC 마치다 젤비아 FC MACHIDA Zelvia | 도쿄도 / 마치다시 (마치다 기온 스타디움〈마치다시〉) | J1 | 2012년 (2013년에 탈퇴하고 2014년에 재가맹) | |
가와사키 프론탈레 KAWASAKI Frontale | 가나가와현 / 가와사키시 (Uvance 토도로키 스타디움 by Fujitsu〈가와사키시 나카하라구〉) | J1 | 1999년 | |
요코하마 F·마리노스 YOKOHAMA F. Marinos | 가나가와현 / 요코하마시, 요코스카시, 야마토시 (닛산 스타디움〈요코하마시 고호쿠구〉) | J1 | 1991년 | |
요코하마 FC YOKOHAMA FC | 가나가와현 / 요코하마시 (닛파쓰 미쓰자와 구기장〈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 | J1 | 2001년 | |
쇼난 벨마레 SHONAN Bellmare | 가나가와현 / 히라쓰카시 외 8시 11정 (레몬가스 스타디움 히라쓰카〈히라쓰카시〉) | J1 | 1994년 | |
SC 사가미하라 S.C. SAGAMIHARA | 가나가와현 / 사가미하라시 외 4시 1정 (사가미하라 기온 스타디움〈사가미하라시 미나미구〉) | J3 | 2014년 | |
반포레 고후 Ventforet KOFU | 야마나시현 / 고후시, 니라사키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고후시〉) | J2 | 1999년 | |
호쿠리쿠 | 마쓰모토 야마가 FC MATSUMOTO Yamaga F.C. | 나가노현 / 마쓰모토시 외 4시 3정 4촌 (산프로 알윈〈마쓰모토시〉) | J3 | 2012년 |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AC NAGANO Parceiro | 나가노현 / 나가노시 외 6시 5정 5촌 (나가노 U 스타디움〈나가노시〉) | J3 | 2014년 | |
알비렉스 니가타 Albirex NIIGATA | 니가타현 / 니가타현 전현 20시 6정 4촌 (덴카 빅스완 스타디움〈니가타시 추오구〉) | J1 | 1999년 | |
카탈레 도야마 Kataller TOYAMA | 도야마현 / 도야마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도야마현 종합 운동공원 육상 경기장〈도야마시〉) | J2 | 2009년 | |
츠바이겐 가나자와 Zweigen KANAZAWA | 이시카와현 / 가나자와시 외 3시 2정을 중심으로 한 전현 (가나자와 고고 카레이스 스타디움〈가나자와시〉) | J3 | 2014년 | |
도카이 | 시미즈 에스펄스 SHIMIZU S-Pulse | 시즈오카현 / 시즈오카시 (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시즈오카시 시미즈구〉) | J1 | 1991년 |
주빌로 이와타 Júbilo IWATA | 시즈오카현 / 이와타시 외 7시 1정 (야마하 스타디움 (이와타)〈이와타시〉) | J2 | 1994년 | |
후지에다 MYFC FUJIEDA MYFC | 시즈오카현 / 후지에다시 외 4시 2정 (후지에다 종합 운동공원 축구장〈후지에다시〉) | J2 | 2014년 | |
아술 클라로 누마즈 Azul claro NUMAZU | 시즈오카현 / 누마즈시 (아이타카 광역 공원 다목적 경기장〈누마즈시〉) | J3 | 2017년 | |
나고야 그램퍼스 NAGOYA Grampus | 아이치현 / 나고야시, 도요타시, 미요시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도요타 스타디움〈도요타시〉) | J1 | 1991년 | |
FC 기후 FC GIFU | 기후현 / 기후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기후 메모리얼 센터 나가라가와 경기장〈기후시〉) | J3 | 2008년 | |
간사이 | 교토 상가 FC KYOTO Sanga F.C. | 교토부 / 교토시 외 15시 4정 (상가 스타디움 바이 KYOCERA〈가메오카시〉) | J1 | 1996년 |
감바 오사카 Gamba OSAKA | 오사카부 / 스이타시 외 7시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스이타시〉) | J1 | 1991년 | |
세레소 오사카 Cerezo OSAKA | 오사카부 / 오사카시, 사카이시 (요도코우 사쿠라 스타디움〈오사카시 히가시스미요시구〉) | J1 | 1995년 | |
FC 오사카 FC OSAKA | 오사카부 / 히가시오사카시 (히가시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장 (히가시오사카시)) | J3 | 2023년 | |
비셀 고베 Vissel KOBE | 효고현 / 고베시 (노에비아 스타디움 고베〈고베시 효고구〉) | J1 | 1997년 | |
나라 클럽 NARA Club | 나라현 / 나라시, 미사토정을 중심으로 한 전현 (로트 필드 나라〈나라시〉) | J3 | 2023년 | |
중국 | 가이나레 돗토리 Gainare TOTTORI | 돗토리현 / 돗토리시 외 4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Axis 버드 스타디움〈돗토리시〉) | J3 | 2011년 |
파지아노 오카야마 Fagiano OKAYAMA | 오카야마현 / 오카야마시, 구라시키시, 쓰야마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시티라이트 스타디움〈오카야마시 기타구〉) | J1 | 2009년 | |
산프레체 히로시마 Sanfrecce HIROSHIMA | 히로시마현 / 히로시마시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히로시마시 나카구〉) | J1 | 1991년 | |
레노파 야마구치 FC Renofa YAMAGUCHI FC | 야마구치현 / 야마구치현 전현 13시 6정 (이신 미라이후 스타디움〈야마구치시〉) | J2 | 2015년 | |
시코쿠 | 카마타마레 사누키 Kamatamare SANUKI | 가가와현 / 다카마쓰시, 마루가메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피카라 스타디움〈마루가메시〉) | J3 | 2014년 |
도쿠시마 보르티스 TOKUSHIMA Vortis | 도쿠시마현 / 도쿠시마시 외 6시 4정을 중심으로 한 전현 (나루토·오쓰카 스포츠 파크 포카리스웨트 스타디움〈나루토시〉) | J2 | 2005년 | |
에히메 FC EHIME FC | 에히메현 / 마쓰야마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닌지니아 스타디움〈마쓰야마시〉) | J2 | 2006년 | |
FC 이마바리 FC IMABARI | 에히메현 / 이마바리시 (아식스 사토야마 스타디움〈이마바리시〉) | J2 | 2020년 | |
고치 유나이티드 SC KOCHI United SC | 고치현 / 고치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고치현립 하루노 종합 운동공원 육상 경기장〈고치시〉) | J3 | 2025년 | |
규슈 | 아비스파 후쿠오카 Avispa FUKUOKA | 후쿠오카현 / 후쿠오카시 (베스트 일렉트릭 스타디움〈후쿠오카시 하카타구〉) | J1 | 1996년 |
기라반츠 기타큐슈 Giravanz KITAKYUSHU | 후쿠오카현 / 기타큐슈시 (미쿠니 월드 스타디움 기타큐슈〈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 | J3 | 2010년 | |
사간 도스 Sagan TOSU | 사가현 / 도스시 (에키마에 부동산 스타디움〈도스시〉) | J2 | 1999년 | |
V·파렌 나가사키 V Varen NAGASAKI | 나가사키현 / 나가사키시, 이사하야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트랜스코스모스 스타디움 나가사키〈이사하야시〉) | J2 | 2013년 | |
로아소 구마모토 Roasso KUMAMOTO | 구마모토현 / 구마모토시 (에가오 건강 스타디움〈구마모토시 히가시구〉) | J2 | 2008년 | |
오이타 트리니타 OITA Trinita | 오이타현 / 오이타시, 벳푸시, 사이키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레조낙 돔 오이타〈오이타시〉) | J2 | 1999년 | |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Tegevajaro MIYAZAKI | 미야자키현 / 미야자키시, 신토미정, 니시토시 (이치고 미야자키 신토미 축구장〈코츠군 신토미정〉) | J3 | 2021년 |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 KAGOSHIMA United FC | 가고시마현 / 가고시마시 (시라나미 스타디움〈가고시마시〉) | J3 | 2016년 | |
FC 류큐 FC RYUKYU | 오키나와현 / 오키나와시를 중심으로 한 전현 (타픽 현총 히야곤 스타디움〈오키나와시〉) | J3 | 2014년 |
4. 우승
일본 축구 최상위 리그 챔피언, J2리그 및 전신 리그 우승팀, J3리그 및 전신 리그 우승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를 참고하라.
J리그의 각 디비전별 시즌 우승 클럽과 클럽별 누적 우승 횟수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시즌별 우승 클럽
시즌 | 우승 | 준우승 |
---|---|---|
1993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4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5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6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7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8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9 | 가와사키 프론탈레 | FC 도쿄 |
2000 | 콘사돌레 삿포로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2001 | 교토 상가 FC | 베갈타 센다이 |
2002 | 오이타 트리니타 | 세레소 오사카 |
2003 | 알비렉스 니가타 | 산프레체 히로시마 |
2004 | 가와사키 프론탈레 | 오미야 아르디자 |
2005 | 교토 상가 FC | 아비스파 후쿠오카 |
2006 | 요코하마 FC | 가시와 레이솔 |
2007 | 콘사돌레 삿포로 | 도쿄 베르디 |
2008 | 산프레체 히로시마 | 몬테디오 야마가타 |
2009 | 베갈타 센다이 | 세레소 오사카 |
2010 | 가시와 레이솔 | 반포레 고후 |
2011 | FC 도쿄 | 사간 도스 |
2012 | 반포레 고후 | 쇼난 벨마레 |
2013 | 감바 오사카 | 비셀 고베 |
2014 | 쇼난 벨마레 | 마쓰모토 야마가 |
2015 | 오미야 아르디자 | 주빌로 이와타 |
2016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 시미즈 에스펄스 |
2017 | 쇼난 벨마레 | V-파렌 나가사키 |
2018 | 마쓰모토 야마가 | 오이타 트리니타 |
2019 | 가시와 레이솔 | 요코하마 FC |
2020 | 도쿠시마 보르티스 | 아비스파 후쿠오카 |
2021 | 주빌로 이와타 | 교토 상가 FC |
2022 | 알비렉스 니가타 | 요코하마 FC |
2023 | 마치다 젤비아 | 주빌로 이와타 |
2024 | 시미즈 에스펄스 | 요코하마 FC |
2025 |
시즌 | 우승 | 준우승 |
---|---|---|
1993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4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5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6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7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8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1999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0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1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2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3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4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5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6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7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8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09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10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11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12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13 | 출범 이전 | 출범 이전 |
2014 | 츠바이겐 가나자와 |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
2015 | 레노파 야마구치 | 마치다 젤비아 |
2016 | 오이타 트리니타 | 도치기 SC |
2017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도치기 SC |
2018 | FC 류큐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
2019 | 기라반츠 기타큐슈 | 더스파구사쓰 군마 |
2020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사가미하라 |
2021 | 로아소 구마모토 | 이와테 그루자 모리오카 |
2022 | 이와키 FC | 후지에다 MYFC |
2023 | 에히메 FC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
2024 | 오미야 아르디자 | FC 이마바리 |
2025 |
4. 2. 클럽별 우승 횟수
- '''J1리그'''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가시마 앤틀러스 | 8 | 2 | 1996, 1998, 2000, 2001, 2007, 2008, 2009, 2016 | 1993, 1997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5 | 4 | 1995, 2003, 2004, 2019, 2022 | 2000, 2002, 2013, 2021 |
가와사키 프론탈레 | 4 | 4 | 2017, 2018, 2020, 2021 | 2006, 2008, 2009, 2022 |
주빌로 이와타 | 3 | 3 | 1997, 1999, 2002 | 1998, 2001, 2003 |
산프레체 히로시마 | 3 | 1 | 2012, 2013, 2015 | 1994 |
감바 오사카 | 2 | 3 | 2005, 2014 | 2010, 2015, 2020 |
도쿄 베르디 | 2 | 1 | 1993, 1994 | 1995 |
비셀 고베 | 1 | 0 | 2023, 2024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1 | 5 | 2006 | 2004, 2005, 2007, 2014, 2016 |
나고야 그램퍼스 | 1 | 2 | 2010 | 1996, 2011 |
가시와 레이솔 | 1 | 0 | 2011 | |
시미즈 에스펄스 | 0 | 1 | 1999 | |
베갈타 센다이 | 0 | 1 | 2012 | |
FC 도쿄 | 0 | 1 | 2019 |
- '''J2리그'''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 3 | 0 | 2000, 2007, 2016 | |
가와사키 프론탈레 | 2 | 0 | 1999, 2004 | |
교토 상가 | 2 | 1 | 2001, 2005 | 2021 |
가시와 레이솔 | 2 | 1 | 2010, 2019 | 2006 |
쇼난 벨마레 | 2 | 1 | 2014, 2017 | 2012 |
알비렉스 니가타 | 2 | 0 | 2003, 2022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 | 1 | 2008 | 2003 |
베갈타 센다이 | 1 | 1 | 2009 | 2001 |
FC 도쿄 | 1 | 1 | 2011 | 1999 |
방포레 고후 | 1 | 1 | 2012 | 2010 |
오미야 아르디자 | 1 | 1 | 2015 | 2004 |
오이타 트리니타 | 1 | 1 | 2002 | 2018 |
주빌로 이와타 | 1 | 1 | 2021 | 2023 |
마쓰모토 야마가 | 1 | 1 | 2018 | 2014 |
요코하마 FC | 1 | 2 | 2006 | 2019, 2022, 2024 |
감바 오사카 | 1 | 0 | 2013 | |
도쿠시마 보르티스 | 1 | 0 | 2020 | |
FC 마치다 젤비아 | 1 | 0 | 2023 | |
시미즈 에스펄스 | 1 | 0 | 2024 | |
세레소 오사카 | 0 | 2 | 2002, 2009 | |
아비스파 후쿠오카 | 0 | 2 | 2005, 2020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드 | 0 | 1 | 2000 | |
도쿄 베르디 | 0 | 1 | 2007 | |
몬테디오 야마가타 | 0 | 1 | 2008 | |
사간 도스 | 0 | 1 | 2011 | |
비셀 고베 | 0 | 1 | 2013 | |
V-파렌 나가사키 | 0 | 1 | 2017 |
- '''J3리그'''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2 | 0 | 2017, 2020 | |
츠바이겐 가나자와 | 1 | 0 | 2014 | |
레노파 야마구치 | 1 | 0 | 2015 | |
오이타 트리니타 | 1 | 0 | 2016 | |
FC 류큐 | 1 | 0 | 2018 | |
이와키 FC | 1 | 0 | 2022 | |
에히메 FC | 1 | 0 | 2023 | |
오미야 아르디자 | 1 | 0 | 2024 | |
도치기 SC | 0 | 2 | 2016, 2017 |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 | 0 | 2 | 2018, 2023 | |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 0 | 1 | 2014 | |
마치다 젤비아 | 0 | 1 | 2015 | |
로아소 구마모토 | 1 | 0 | 2021 | |
SC 사가미하라 | 0 | 1 | 2020 | |
이와테 그루자 모리오카 | 0 | 1 | 2021 | |
후지에다 MYFC | 0 | 1 | 2022 | |
FC 이마바리 | 0 | 1 | 2024 |
5. 기타 관련 대회
;자국 대회
-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1921년~현재)
- J리그 올스타전 (1993년~현재)
- 슈퍼컵 (1994년~현재)
- J리그컵 (1992년~현재, 1995년 미개최)
- J리그 승강결정전 (2004년~2008년, 2012년~현재)
;폐지된 대회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glossary
http://www.jfa.jp/do[...]
Japan Football Association
2019-02-24
[2]
웹사이트
Football finds a home in Japan
https://www.fifa.com[...]
FIFA.com
2013-12-22
[3]
웹사이트
When Saturday Comes - How Japan created a successful league
http://www.wsc.co.uk[...]
Wsc.co.uk
2013-12-22
[4]
웹사이트
German Bundesliga, Japanese Football Share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https://bleacherrepo[...]
2020-09-19
[5]
웹사이트
Asian Debate: Is Japan Becoming Asia's Leader?
http://www.goal.com/[...]
Goal.com
2012-08-19
[6]
웹사이트
川崎Fが香港でブレーク中、生中継で火
http://www.nikkanspo[...]
NikkanSports
2008-03-08
[7]
보도자료
Promotion and Relegation between J3 and JFL from 2023 Season
https://aboutj.jleag[...]
J.League
2023-12-20
[8]
뉴스
J. League board approves August start to season from 2026
https://www.japantim[...]
2023-12-20
[9]
보도자료
2023 Jリーグ クラブ編成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2-12-21
[10]
웹사이트
スタジアム情報一覧
https://aboutj.jleag[...]
2023-07-26
[11]
보도자료
Jリーグ百年構想クラブ 審査結果について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11-17
[12]
보도자료
Jリーグ入会審査 (J3) 結果について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11-17
[13]
문서
9 clubs from J1 league
[14]
문서
9 clubs from New JFL and one club from Japanese Regional Leagues
[15]
웹사이트
用語集(ターミノロジー)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01-07
[16]
보도자료
明治安田生命保険相互会社とJリーグタイトルパートナー契約を締結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4-02-09
[17]
보도자료
明治安田生命とのタイトルパートナー契約更新について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4-02-09
[18]
문서
J1 club's U-23 team in J3 league (2016-2020)
[19]
보도자료
2025/26シーズンAFCクラブ競技会の出場枠について(修正版)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4-02-09
[20]
웹사이트
About Jリーグ
http://www.jleague.j[...]
Jリーグ.jp
2017-03-21
[21]
웹사이트
スポーツの自立を目指して Jリーグ20年
http://www.nippon.co[...]
nippon.com
2017-03-21
[22]
웹사이트
正平調 2023年5月16日
https://www.kobe-np.[...]
2024-02-11
[23]
Youtube
川淵さんが語るレッドブルへの大宮の株式譲渡の件。「企業名は外せ」の真意とは/川淵さんの一番ショックだった思い出「ののチャンネル #33」
https://www.youtube.[...]
[24]
웹사이트
【Jリーグ秘話】川淵三郎が激白「クラブ名から企業外し」はどうやって実現したか「許していたら成功はなかった」
https://www.asagei.c[...]
2024-10-22
[25]
웹사이트
Jリーグ初代チェアマンの川淵三郎さん、チーム名へ柔軟な姿勢示しネットざわつく「企業名も認める方向?」「ジェフ許されていた」
https://www.chunichi[...]
2024-10-22
[26]
보도자료
RB大宮株式会社 クラブプロパティ変更のお知らせ
https://www.rbomiya.[...]
RB大宮
2024-12-29
[27]
웹사이트
いまだ無敗の快進撃! RBライプツィヒってどんなチーム!?
https://www.redbull.[...]
2024-12-29
[28]
서적
フットボールサミット第1回
カンゼン
2010-11-19
[29]
서적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別冊 春季号「まるごとJリーグ完全版〜栄光の記憶15年〜」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30]
웹사이트
長沼健さん、ご逝去 (スポーツ総合研究所 広瀬一郎Blog)
https://web.archive.[...]
[31]
서적
ワールドカップは誰のものか―FIFAの戦略と政略
文藝春秋
[32]
웹사이트
武田修宏「Jリーグ批判」に見る、物言えぬチェアマンと“無責任”幹部の暴走ぶり
https://www.cyzo.com[...]
株式会社サイゾー
2017-07-06
[33]
보도자료
「公益社団法人」への移行について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34]
웹사이트
カンボジアリーグとのパートナーシップ協定締結について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3-06-06
[35]
웹사이트
シンガポールリーグとのパートナーシップ協定締結について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3-06-06
[36]
보도자료
2014Jリーグ クラブ編成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3-12-17
[37]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スーパーリーグとのパートナーシップ協定締結について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4-01-27
[38]
문서
ロゴ等で用いられている表記は「'''明治安田生命 J.LEAGUE'''」
[39]
웹사이트
イラン・プロフェッショナル・フットボールリーグとのパートナーシップ協定締結について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5-01-26
[40]
웹사이트
マレーシア・スーパー・リーグとのパートナーシップ協定締結について
http://www.jleague.j[...]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5-02-08
[41]
웹사이트
カタール・スターズリーグとのパートナーシップ協定締結について
http://www.jleague.j[...]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5-06-09
[42]
보도자료
JTLにJリーグが加盟、9競技13団体に
https://japantopleag[...]
日本トップリーグ連携機構
2016-03-30
[43]
보도자료
オーストラリア・Aリーグとの戦略的連携協定の締結について
http://www.jleague.j[...]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6-05-02
[44]
보도자료
スペイン ラ・リーガとの戦略的連携協定の締結について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7-06-22
[45]
웹사이트
2020シーズンJ3リーグへの参加辞退について|FC東京オフィシャルホームページ
http://www.fctokyo.c[...]
2023-02-24
[46]
웹사이트
2024Jリーグ 大会方式等の変更点について
https://www.jleague.[...]
Jリーグ
2023-12-20
[47]
문서
ロゴ等で用いられている表記は「'''明治安田 J.LEAGUE'''」
[48]
웹사이트
2024シーズン以降のリーグ構造・大会方式について
https://www.jleague.[...]
Jリーグ
2023-02-17
[49]
보도자료
2024 Jリーグ クラブ編成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3-12-19
[50]
웹사이트
スタジアム情報一覧
https://aboutj.jleag[...]
2024-03-20
[51]
문서
1992年から1995年に「特別活動地域」として九州地方の3県をホームタウンとほぼ同権限の地域と位置づけた。
[52]
문서
JFLから9クラブ(秋田・福島・町田・相模原・YS横浜・長野・金沢・藤枝・琉球)、[[地域リーグ (サッカー)|地域リーグ]]([[東北社会人サッカーリーグ|東北リーグ]])から1クラブ(盛岡)。
[53]
웹사이트
Jリーグ配分金規程(2022/1/1 改正)
https://aboutj.jleag[...]
2022-11-19
[54]
보도자료
2021年度配分金について
https://aboutj.jleag[...]
公益財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10-13
[55]
웹사이트
J1優勝15・5億円 理念強化配分金の詳細発表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07-16
[56]
보도자료
Jリーグ新たな成長戦略とリーグ組織の構造改革について
https://aboutj.jleag[...]
公益財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10-13
[57]
보도자료
2015 Jリーグ 日程発表について
http://www.jleague.j[...]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4-12-25
[58]
웹사이트
週末にサッカー観戦ができないすべての人へ。
https://www.jleague.[...]
2022-12-25
[59]
문서
このときは横浜Mが三ツ沢、横浜Fは九州への「遠征」、あるいは国立での開催などがあった。
[60]
문서
[[ゴールデンウィーク]]・[[お盆]]等年数回の平日に行われる場合でも、どちらかが火曜日、もう一方は水曜日。
[61]
뉴스
Jリーグと『DAZN』の契約で「サッカーがお茶の間から街に出て行くサービスに」
https://www.soccer-k[...]
2016-07-20
[62]
문서
ラグビーワールドカップの影響で8連続アウェイゲームとなった2019年のFC東京など。
[63]
문서
開幕から4連続アウェイゲームとなった2021年の秋田など。
[64]
웹사이트
年度別入場者数推移
https://data.j-leagu[...]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4-12-09
[65]
PDF
Jリーグ スタジアム観戦者調査2013 サマリーレポート
https://aboutj.jleag[...]
2024-11-09
[66]
PDF
Jリーグ スタジアム観戦者調査2014 サマリーレポート
https://aboutj.jleag[...]
2024-11-09
[67]
PDF
Jリーグ スタジアム観戦者調査2015 サマリーレポート
https://aboutj.jleag[...]
2024-11-09
[68]
PDF
Jリーグ スタジアム観戦者調査2016 サマリーレポート
https://aboutj.jleag[...]
2024-11-09
[69]
PDF
Jリーグ スタジアム観戦者調査2017 サマリーレポート
https://www.jleague.[...]
2024-11-09
[70]
PDF
Jリーグ スタジアム観戦者調査2018 サマリーレポート
https://www.jleague.[...]
2024-11-09
[71]
PDF
Jリーグ スタジアム観戦者調査2019 サマリーレポート
https://www.jleague.[...]
2024-11-09
[72]
웹사이트
Jリーグ観戦体験分析レポート 2023シーズン版
https://www2.deloitt[...]
デロイトトーマツ
2024-07-30
[73]
웹사이트
J1の入場者数は世界で第6位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5-10
[74]
웹사이트
Jクラブホームスタジアム一覧(2024年2月23日現在)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4-12-10
[75]
웹사이트
通算データ - クラブ別入場者数
https://data.j-leagu[...]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4-12-09
[76]
웹사이트
2023年度クラブ決算一覧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4-12-09
[77]
서적
Jクラブ歴代ユニフォーム完全カタログ 西日本編
えい出版社
[78]
뉴스
スポンサー募集! Jリーグユニ背面下部の広告解禁
https://www.nikkansp[...]
2015-12-15
[79]
보도자료
Jリーグオフィシャルネーム&ナンバー導入について ~2021シーズンから全クラブの選手番号・選手名の書体統一を決定~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09-15
[80]
보도자료
2021シーズン トップチームユニフォームについて
http://www.kufc.co.j[...]
鹿児島ユナイテッドFC
2021-01-18
[81]
웹사이트
No.180 Jリーグも固定番号制に
http://www.soccertal[...]
1997-02-17
[82]
뉴스
Jリーグ背番号変更が可能に スポニチ2018年5月30日
https://www.sponichi[...]
2018-05-30
[83]
웹사이트
GK権田修一57番にユンカー77番、Jリーグ背番号規定改定で99番まで自由選択可能に
https://web.gekisaka[...]
2023-01-09
[84]
간행물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2003年5月27日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85]
보도자료
2012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TANGO 12(タンゴ12)”を使用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1-12-19
[86]
문서
Jリーグ20周年記念試合球として、5月から1ヶ月弱の期間限定で使用された。
[87]
보도자료
2014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brazuca(ブラズーカ)』を使用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3-12-09
[88]
보도자료
2015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コネクト15』を使用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4-12-09
[89]
보도자료
2016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ERREJOTA(エレホタ)』を使用 2016Jリーグヤマザキナビスコカップ 特別デザイン試合球を使用
http://www.jleague.j[...]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5-12-15
[90]
보도자료
2017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クラサバ(KRASAVA)』を使用
http://www.jleague.j[...]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6-12-13
[91]
보도자료
2018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テルスター18(TELSTAR18)』を使用 2018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 特別デザイン試合球を使用【Jリーグ】
https://www.jleague.[...]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7-12-12
[92]
뉴스
2019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コネクト19(CONEXT19)』を使用 2019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 特別デザイン試合球を使用
https://www.jleague.[...]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8-12-12
[93]
보도자료
2020明治安田生命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ツバサ(TSUBASA)』を使用 2020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 特別デザイン試合球を使用
https://www.jleague.[...]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9-12-10
[94]
보도자료
2021明治安田生命Jリーグ公式試合球として『CONEXT21(コネクト21)』を使用 2021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では特別デザイン試合球を使用【Jリーグ】
https://www.jleague.[...]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12-15
[95]
웹사이트
2022明治安田生命Jリーグ、2022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 公式試合球として『コネクト21(CONEXT21) 』を使用【Jリーグ】:Jリーグ.jp
https://www.jleague.[...]
2022-02-16
[96]
보도자료
2022明治安田生命Jリーグ、2022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 公式試合球として『アル・リフラ(AL RIHLA)』を5月21日より使用【Jリーグ】
https://www.jleague.[...]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2-05-16
[97]
웹사이트
2023明治安田生命Jリーグ、2023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公式試合球として 『オーシャンズ(OCEAUNZ) 』を使用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3-01-24
[98]
보도자료
Jリーグ30周年記念試合球 『KOTOHOGI 30(コトホギ 30)』~30周年記念マッチより1か月間 2023明治安田生命Jリーグ公式試合球に~
https://www.jleague.[...]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3-04-12
[99]
웹사이트
2024明治安田Jリーグ、2024JリーグYBCルヴァンカップ 公式試合球として『コネクト24』を使用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3-12-19
[100]
웹사이트
徳島“代役監督”務めた甲本コーチ、10戦4勝でバトンタッチへ「選手に助けられた」
https://web.gekisaka[...]
2021-04-14
[101]
보도자료
2021Jリーグ担当審判員決定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1-01-28
[102]
보도자료
2020シーズンのビデオアシスタントレフェリー導入試合について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9-09-24
[103]
보도자료
2021・2022シーズンのビデオアシスタントレフェリー導入試合について【Jリーグ】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11-17
[104]
PDF
2018明治安田生命J1・J2・J3リーグ戦試合実施要項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8-12-10
[105]
웹사이트
Jリーグ30周年記念企画 RADWIMPSがJリーグの新たな“アンセム”を制作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3-02-16
[106]
PDF
J リーグ規約(平成26年1月21日改正)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107]
문서
2011年までのオフィシャルスポンサーに当たるリーグ戦最上位スポンサーカテゴリー
[108]
문서
J3リーグのオフィシャルパートナー広告
[109]
문서
2014年予選スポンサー
[110]
문서
2022年8月までのスポンサー
[111]
문서
陸上競技場の広告掲示場所
[112]
문서
陸上競技場の広告掲示場所
[113]
문서
明治安田生命保険のスポンサーシップ
[114]
보도자료
Jリーグオフィシャルブロードキャスティングパートナー決定
http://www.jleague.j[...]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7-01-25
[115]
보도자료
Jリーグ、DAZN、NTTグループ 「スマートスタジアム事業」協業契約締結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6-07-20
[116]
보도자료
2017年Jリーグトップパートナー&オフィシャルテクノロジーパートナー契約決定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7-06-30
[117]
문서
1999年から2014年までのトップパートナー
[118]
문서
ヤマザキナビスコの社名変更
[119]
문서
富士ゼロックスの社名変更
[120]
문서
2014年J3リーグオフィシャルスポンサー
[121]
보도자료
JリーグオフィシャルECプラットフォームパートナー決定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7-04-24
[122]
문서
2023年までのオフィシャルECプラットフォームパートナー
[123]
보도자료
2015年Jリーグサポーティングカンパニー契約決定
http://www.jleague.j[...]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5-11-24
[124]
보도자료
2017年Jリーグサポーティングカンパニー契約決定
https://www.jleague.[...]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7-05-25
[125]
보도자료
2022年Jリーグサポーティングカンパニー契約決定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2-04-11
[126]
보도자료
2023年Jリーグサポーティングカンパニー契約(更新)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3-04-06
[127]
보도자료
2024年Jリーグサポーティングカンパニー契約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4-05-14
[128]
보도자료
株式会社電通と「Jリーグ マーケティングパートナー」契約に基本合意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3-12-17
[129]
문서
공식 스폰서 겸무
[130]
문서
1997년부터 2004년까지의 챔피언십 冠 스폰서
[131]
문서
로손 티켓의 J리그 공식 티켓 스테이션 업무
[132]
보도자료
【2005-2007 Jリーグオフィシャルスポンサー】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04-12-21
[133]
보도자료
GEコンシューマー・ファイナンス株式会社がJリーグオフィシャルスポンサーに決定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134]
뉴스
「マスターカード」契約解除 Jリーグスポンサー、今季途中で サッカー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08-12
[135]
문서
2012년 폐지
[136]
문서
2015년까지 게재 지속
[137]
보도자료
2020年JリーグオフィシャルVAR・フェアプレーパートナー契約決定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0-01-31
[138]
문서
J리그 어소시에이트 설명
[139]
보도자료
Jリーグ - 2015年Jリーグアソシエイト契約決定
http://www.jleague.j[...]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5-01-30
[140]
뉴스
J1湘南の新スタジアム負担「無理」 平塚市長がチェアマンに直訴へ
https://www.asahi.co[...]
2024-02-29
[141]
웹사이트
秋田や鹿児島、琉球らに“施設基準の例外適用”J1ライセンス…Jリーグは新スタ構想で「一定の進捗を確認」と強調
https://web.gekisaka[...]
2024-10-26
[142]
웹사이트
【街 みらい】北九州市政点検 ミクスタ揺れる成否 ギラ降格で減収、運営費重く
https://www.nishinip[...]
2024-11-08
[143]
웹사이트
「J」の価値、再定義の道 村井満・前Jリーグチェアマン Jリーグ30年を温ねて(4)
https://www.nikkei.c[...]
2024-10-26
[144]
Youtube
野々村チェアマンに訊く!「税リーグってよばれてますけど」
https://www.youtube.[...]
[145]
PDF
会社説明会 質疑応答の要約
https://d2utiq8et4vl[...]
2024-12-13
[146]
보고서
Jリーグは誰のものか
https://www.anahd.co[...]
株式会社ANA総合研究所
2024-10-26
[147]
웹사이트
スタジアム・アリーナ改革 ガイドブック <第2版>平成30年12月
https://www.meti.go.[...]
スポーツ庁・経済産業省
2024-10-26
[148]
웹사이트
職業野球団に対して支出した広告宣伝費等の取扱について(昭和29年8月10日付け直法1-147号・国税庁長官発国税局長宛文書)
https://www.nta.go.j[...]
2024-12-22
[149]
웹사이트
2020年度 第5回Jリーグ理事会後チェアマン定例会見発言録
https://www.jleague.[...]
2024-12-31
[150]
웹사이트
悲願のJ1昇格、岡山・木村正明オーナーが振り返る社長時代「濃厚な16年」だったJ2時代の改革
https://shikiho.toyo[...]
2024-12-22
[151]
웹사이트
ファンが、地域が、クラブを支える浦和レッズ独自の運営術に迫る
http://www.ris-keiei[...]
立正大学経営学部
2024-12-28
[152]
웹사이트
Jリーグの会員クラブに対して支出した広告宣伝費等の税務上の取扱いについて(令和2年5月11日付け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Jリーグ)専務理事 木村正明発国税庁課税部審理室長 北村厚宛文書)
https://www.nta.go.j[...]
2024-12-22
[153]
웹사이트
Jリーグの会員クラブに対して支出した広告宣伝費等の税務上の取扱いについて(取引等に係る税務上の取扱い等に関する照会(同業者団体等用))
https://www.nta.go.j[...]
2024-12-22
[154]
웹사이트
日本初「外資オーナー」 割安で魅力 広告価値に課題も
https://www.nikkei.c[...]
2024-10-23
[155]
웹사이트
Jリーグの空洞化とチーム作り
https://www.sponichi[...]
2024-10-26
[156]
웹사이트
空洞化するJリーグ? 「世界基準」へ、32年目でめざすべき姿は
https://digital.asah[...]
2024-10-26
[157]
웹사이트
次々と欧州へ。日本サッカーのブランド力向上の半面、確実に進むJリーグの空洞化。打開策を見出せなければ、代表との格差はますます
https://www.soccerdi[...]
2024-10-26
[158]
웹사이트
東京23区の新スタ構想も! Jリーグが「リプランニング推進チーム」発足、10テーマを議論へ
https://web.gekisaka[...]
2021-04-06
[159]
뉴스
【独自】Jリーグのクラブ数、上限を60に…競技レベル維持へ拡大路線見直し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8-28
[160]
뉴스
Jリーグ、プレミア化 最上位リーグ新設、外国人枠撤廃など検討「推進チーム」たち上げ
https://hochi.news/a[...]
2021-04-06
[161]
웹사이트
~上場も考慮した資本流動性の研究~株式異動に関わるルール・規則の改定について
https://www.jleague.[...]
Jリーグ
2022-03-01
[162]
뉴스
Jリーグ、クラブの株式上場解禁 コロナ苦境加味し緩和
https://www.nikkei.c[...]
2022-03-01
[163]
웹사이트
Jリーグ新たな成長戦略とリーグ組織の構造改革について
https://www.jleague.[...]
公益社団法人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22-11-15
[164]
저널
J리그의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목표로 해라! 베르디의 야망
[165]
뉴스
'불황' 일본 10대 히트상품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3-12-03
[166]
뉴스
変動制から固定制に。Jリーグの背番号事情と共に振り返る“サンフレ背番号”の系譜
https://www.hiroshim[...]
ATHLETE web
2024-03-01
[167]
서적
《94年版・Jリーグ・ここまで暴露(バラ)せば殺される》
https://www.amazon.c[...]
株式会社あっぷる出版社
[168]
서적
「J」の履歴書 日本サッカーとともに
https://www.amazon.c[...]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9-09-26
[169]
뉴스
ベ르ディ, 도쿄 이전 YES 가와 부치 위원장 GO 사인
http://www.yomiuri.c[...]
스포츠호치
2015-12-26
[170]
웹사이트
J리그 백년구상
http://www.j-league.[...]
J. LEAGUE
2015-01-27
[171]
뉴스
베르디, 도쿄 이전 YES 가와 부치 위원장 GO 사인
http://www.yomiuri.c[...]
스포츠호치
2015-12-26
[172]
뉴스
일본 프로축구, 내년 3부리그 신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2-27
[173]
뉴스
日 J리그, 2015년부터 단일리그 버리고 PO 회귀
http://isplus.live.j[...]
일간스포츠
2013-10-23
[174]
문서
일본의 지역 축구 연맹 지역 의한 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