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노 미쓰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노 미쓰코는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으로 교고쿠노쓰보네로 불렸다. 1633년에 고코묘 천황을 낳았으며, 이후 여러 황족을 배출했다. 1654년에 준삼궁에 올랐으나 고코묘 천황이 사망한 후 미부인의 원호를 받고 출가했다. 소노 미쓰코의 존재로 소노 가문은 번성했으며, 그녀의 묘는 센뉴지 내 쓰키노와 능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노가 - 소노 구니코
소노 구니코는 고미즈노오인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레이겐 천황을 낳았으며, 준삼궁으로 추증되고 신코기몬인이라는 원호를 받았다. - 소노가 - 소노 사치코
메이지 천황의 후궁인 소노 사치코는 소노 모토사치 백작의 딸로, 메이지 천황과의 사이에서 2남 6녀를 두었으며, 메이지 천황 사후에는 데이메이 황후의 여관장을 지냈고, 가도에 재능을 보여 우타카이하지메에서 선가를 받기도 했다. - 고미즈노오 천황 - 자의 사건
자의 사건은 1627년 도쿠가와 막부가 천황의 권위를 약화시키고 종교계를 통제하려다 고미즈노 천황이 자색 법복을 수여한 것을 문제 삼아 칙허를 무효화하고 관련 승려들을 처벌한 사건이다. - 고미즈노오 천황 - 소노 구니코
소노 구니코는 고미즈노오인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레이겐 천황을 낳았으며, 준삼궁으로 추증되고 신코기몬인이라는 원호를 받았다. - 1656년 사망 - 김집 (1574년)
사계 김장생의 아들이자 조선 중기 문신이자 예학자인 김집은 율곡 이이, 성혼의 성리학과 송익필의 예학을 계승하고 인조반정 공신을 비판하는 등 강직한 성품을 보였으며, 『신독재문집』 등의 저서를 남기고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조선 후기 예학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쳐 문묘에 배향되고 동방 18현에 오르는 영예를 누렸다. - 1656년 사망 - 주앙 4세
주앙 4세는 1640년 포르투갈 독립을 쟁취하고 스페인과의 복고 전쟁을 이끈 브라간사 공작 출신의 국왕으로, 외교적 군사적 성과와 더불어 음악가로서 문화 예술 발전에도 기여했으며 그의 딸은 잉글랜드 국왕과 결혼했다.
| 소노 미쓰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소노 미츠코 |
| 원어 이름 | 園 光子 |
| 작위 |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 |
| 작위2 | 고코묘 천황의 생모 |
| 별호 | 미부인 (壬生院) |
| 생애 | |
| 출생일 | 게이초 7년 (1602년) |
| 사망일 | 메이레키 2년 2월 11일 (1656년 3월 6일) |
| 향년 | 55세 |
| 매장지 | 센뉴지 센잔츠키노와릉 |
| 가족 관계 | |
| 배우자 | 고미즈노오 천황 |
| 자녀 | 고코묘 천황 슈쵸 법친왕 겐쇼 여왕 소쵸 여왕 황녀 (카츠라노미야) |
| 아버지 | 소노 모토타다 |
2. 생애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으로 들어가 '''교고쿠노쓰보네(京極局)'''로 불렸다. 간에이 10년(1633년)에 고코묘 천황을 낳았고, 그 후에도 슈쵸 법친왕, 겐쇼 여왕, 소쵸 여왕, 황녀 (카쓰라노미야)를 낳았다. 고코묘 천황의 치세 때인 조오 3년(1654년) 8월 18일, 준삼궁에 올랐으나, 같은 해 9월 20일 고코묘 천황이 승하했다. 같은 해 10월 6일에 다음 천황인 고사이 천황으로부터 미부인(壬生院)의 원호를 선하받았고, 10월 26일에 출가했다.
국모가 된 소노 미쓰코의 존재로 인해, 출신 가문인 소노가의 지위는 크게 높아졌다. 미쓰코의 아버지인 모토타다에게는 쇼호 2년(1645년)에 좌대신으로 추증되었다. 미쓰코의 오빠인 곤다이나곤 소노 모토나리의 딸 쿠니코도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이 되어 레이겐 천황을 낳았다. 국모를 두 명이나 배출한 소노가는 이후 크게 번창하였다.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센잔쵸의 센뉴지 내에 있는 쓰키노와 능에 묘가 있다.
2. 1. 황실 후궁
소노 미쓰코는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으로, '''교고쿠노쓰보네(京極局)'''로 불렸다. 간에이 10년(1633년)에 고코묘 천황을 낳았고, 그 후에도 슈쵸 법친왕, 겐쇼 여왕, 소쵸 여왕, 황녀 (카쓰라노미야)를 낳았다. 고코묘 천황의 치세 때인 조오 3년(1654년) 8월 18일, 준삼궁에 올랐으나, 같은 해 9월 20일 고코묘 천황이 승하했다. 같은 해 10월 6일에 다음 천황인 고사이 천황으로부터 미부인(壬生院)의 원호를 선하받았고, 10월 26일에 출가했다.국모가 된 소노 미쓰코의 존재로 인해, 출신 가문인 소노가의 지위는 크게 높아졌다. 미쓰코의 아버지인 모토타다에게는 쇼호 2년(1645년)에 좌대신으로 추증되었다. 미쓰코의 오빠인 곤다이나곤 소노 모토나리의 딸 쿠니코도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이 되어 레이겐 천황을 낳았다. 국모를 두 명이나 배출한 소노가는 이후 크게 번창하였다.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센잔쵸의 센뉴지 내에 있는 쓰키노와 능에 묘가 있다.
2. 2. 고코묘 천황 즉위와 사망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으로 '''교고쿠노츠보네(京極局)'''로 불렸다. 간에이 10년 (1633년)에 고코묘 천황을 낳았다. 그 후에도, 슈쵸 법친왕ㆍ겐쇼 여왕ㆍ소쵸 여왕ㆍ황녀 (카츠라노미야)를 낳았다. 고코묘 천황의 치세 때인 조오 3년 (1654년) 8월 18일, 준삼궁에 올랐으나, 같은 해 9월 20일, 고코묘 천황이 승하했다. 같은 해 10월 6일에 다음 천황인 고사이 천황으로부터 미부인 (壬生院)의 원호를 선하받았고, 미츠코는 10월 26일에 출가했다.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센잔쵸의 센뉴지 내에 있는 쓰키노와 능에 묘가 있다.국모가 된 그녀의 존재로, 출신 가문인 소노가의 지위는 크게 높아졌고, 미츠코의 아버지인 모토타다에게는 쇼호 2년 (1645년)에 좌대신으로 추증되었다. 미츠코의 오빠인 곤다이나곤 소노 모토나리의 딸 쿠니코도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이 되어 레이겐 천황을 낳았다. 국모를 두명이나 배출한 소노가는 이후 크게 번창하였다.
2. 3. 가문의 번영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으로 들어가 '''쿄고쿠노츠보네(京極局)'''로 불렸다. 간에이 10년 (1633년)에 고코묘 천황을 낳았다. 그 후에도, 슈쵸 법친왕ㆍ겐쇼 여왕ㆍ소쵸 여왕ㆍ황녀 (카츠라노미야)를 낳았다. 고코묘 천황의 치세 때인 조오 3년 (1654년) 8월 18일, 준삼궁에 올랐으나, 같은 해 9월 20일, 고코묘 천황이 승하했다. 같은 해 10월 6일에 다음 천황인 고니시 천황으로부터 미부인 (壬生院)의 원호를 선하받았고, 미츠코는 10월 26일에 출가했다.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센잔쵸의 센뉴지 내에 있는 쓰키노와 능에 묘가 있다.국모가 된 그녀의 존재로, 출신 가문의 지위는 크게 높아졌고, 미츠코의 아버지인 모토타다에게는 쇼호 2년 (1645년)에 좌대신으로 추증되었다. 미츠코의 오빠인 곤다이나곤 소노 모토나리의 딸 쿠니코도 고미즈노오 천황의 후궁이 되어 레이겐 천황을 낳았다. 국모를 두명이나 배출한 소노가는 이후 크게 번창하였다.
2. 4. 사망
고코묘 천황이 쇼오 3년(1654년) 9월 20일에 붕어하자, 같은 해 10월 6일에 다음 고사이 천황으로부터 닌부인의 원호를 선하받았으며, 미츠코는 10월 26일에 출가했다.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 이즈미야마정에 있는 센뉴지 내의 겟린료에 묘가 있다.국모가 된 그녀의 존재로 출신 가문인 소노가의 지위는 크게 올랐다. 미츠코의 아버지인 모토토에는 쇼호 2년(1645년)에 좌대신이 추증되었다. 또한 미츠코의 오빠인 곤다이나곤 소노 모토히사의 딸 구니코도 고미즈노 천황의 후궁이 되어 레이겐 천황을 낳았다. 국모를 두 명이나 배출한 소노가는 그 후 크게 번영했다.
3. 평가
4.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