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앙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앙 4세는 브라간사 왕조의 초대 포르투갈 국왕으로, 1640년부터 1656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브라간사 공작 테오도지오 2세와 아나 데 벨라스코의 아들로, 1630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브라간사 공작위를 계승했다. 1640년 스페인에 대한 쿠데타를 통해 왕위에 올랐으며, 이후 28년간의 독립 전쟁을 벌여 아들 아폰수 6세 때 독립을 인정받았다. 주앙 4세는 음악가들을 후원하고 작곡을 하는 등 문화 예술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포르투갈 왕정복고와 독립을 이끈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클래식 작곡가 - 디니스
디니스는 1279년부터 1325년까지 포르투갈을 통치하며 왕권 강화, 경제 발전, 포르투갈어 공용어 지정, 대학 설립, 해상 무역 진흥, 농업 발전, 문화 정책 등을 추진했다.
주앙 4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앙 4세 |
로마자 표기 | João IV |
별칭 | 복고왕 |
재위 기간 | 1640년 12월 1일 – 1656년 11월 6일 |
즉위일 | 1640년 12월 15일 |
이전 국왕 | 펠리페 4세 |
다음 국왕 | 아폰수 6세 |
출생일 | 1604년 3월 19일 |
출생지 | 포르투갈 왕국 빌라 비스코자 빌라 비스코자 궁전 |
사망일 | 1656년 11월 6일 |
사망지 | 포르투갈 왕국 리스본 리베이라 궁전 |
매장지 | 브라간사 왕가 묘지 |
왕가 | 브라간사 왕조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 | |
가문 | |
아버지 | 브라간사 공작 테오도시오 2세 |
어머니 | 아나 데 벨라스코 |
결혼과 자녀 | |
배우자 | 루이사 데 구스만 (1633년 결혼) |
자녀 | 브라질 공 테오도시우 베이라 공주 조아나 브라간사의 카타리나 아폰수 6세 페드루 2세 |
군사 복무 | |
복무 국가 | 포르투갈 왕국 |
복무 기간 | 1640년~1656년 |
계급 | 사령관 |
지휘 | 포르투갈 왕국군 |
참전 | 포르투갈 독립 전쟁 |
2. 생애
1576년 외숙 기마랑이스 공작 두아르트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여 주앙은 기마랑이스 공작위를 이어받았다. 1580년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동군연합 관계에 있었으나, 펠리페 2세와는 달리 이후 스페인 국왕들은 포르투갈 귀족들을 소외시키고 정복 전쟁에 필요한 자금을 포르투갈에서 충당하여 포르투갈인들의 불만을 샀다.[16]
주앙 4세는 처음에는 혁명에 주저했으나, 아내 루이사 데 구즈만의 "봉사하며 생을 마치는 것보다 통치하며 죽는 것이 낫지 않겠습니까?"라는 격려를 받고 주모자가 되었다. 1640년 7월 카탈루냐 폭동 진압에 스페인 재상 올리바레스 공작이 포르투갈 병력을 이용한 것이 쿠데타의 촉발제가 되었다.[16]
1640년 12월 1일, 브라간사 공작 주앙은 귀족 40명과 함께 리베이라 왕궁에 난입했고, 카탈루냐 반란으로 병력이 부족했던 스페인군은 속수무책이었다. 같은 해 12월 15일, 주앙 4세는 리스본 대성당에서 즉위했다. 이후 포르투갈 왕정복고전쟁은 28년간 이어졌으며,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은 것은 그의 아들 아폰수 6세 때인 1668년이었다.[17]
2. 1. 초기 생애
주앙 4세는 브라간사 공작 테오도지오 2세와 스페인 귀족 출신의 아나 데 벨라스코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할머니 가마랑이스 공녀 카타리나는 마누엘 1세의 손녀이자 기마랑이스 공작 두아르트 1세의 딸로서 아비스 왕가의 혈통을 잇는 포르투갈의 왕녀였다.
빌라 비소사(Vila Viçosa)에서 태어난 주앙 4세는 1630년 아버지 브라간사 공작 테오도시오 2세가 정신 질환으로 사망하자 브라간사 공작 작위를 계승했다.[5] 1633년에는 루이사 데 구스만과 결혼했다. 주앙은 금발 머리에 평균 키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브라간사 가문은 아비스 왕조 초대 국왕 주앙 1세의 서자였던 아폰수 1세 (브라간사 공작)를 시조로 하는 가문으로, 왕가와도 여러 차례 혼인 관계를 맺은 포르투갈의 유력 귀족이었다. 주앙 4세는 7대 브라간사 공 테오도시오 2세와 그의 아내 아나 데 베라스코 사이에서 태어난 적자였다. 테오도시오 2세의 어머니 카타리나 데 기마랑이스는 마누엘 1세의 여섯째 아들인 두아르트 1세 (기마랑이스 공작)의 딸이었으며, 자신의 권리로 인판타 데 포르투갈(Infanta de Portugal)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었다. 엔히크 1세의 계승자를 결정할 당시, 엔히크 1세의 조카인 카타리나는 차기 왕위 계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2. 2. 포르투갈 왕정 복고
1580년 이후 포르투갈은 스페인과 동군연합 상태에 있었으나, 펠리페 2세와 달리 이후 스페인 국왕들은 포르투갈 귀족들을 소외시키고 정복 전쟁에 필요한 자금을 포르투갈에서 충당하여 포르투갈인들의 불만을 샀다.[16] 특히 스페인 재상 올리바레스 공작이 1640년 카탈루냐 폭동 진압에 포르투갈 병력을 이용한 것이 쿠데타의 촉발제가 되었다.[16]펠리페 2세 (스페인 펠리페 3세)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필리페 3세 (스페인 펠리페 4세)는 포르투갈 문제에 대해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다. 포르투갈 상인에 대한 세금이 인상되었고, 포르투갈 귀족들은 영향력을 잃기 시작했으며, 포르투갈의 정부 직책은 점점 스페인 사람들이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필리페 3세는 포르투갈을 스페인의 속주로 만들려고 했고, 이는 포르투갈 귀족들이 모든 권력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러한 상황은 귀족과 부르주아[1]가 주도한 혁명으로 절정에 달했는데,[1] 이 혁명은 필리페 2세가 포르투갈 왕위에 오른 지 60년 후인 1640년 12월 1일에 실행되었다. 40인의 음모자로 알려진 여러 동료들이 기획한 음모에서 국무장관 미구엘 드 바스콩셀루스(Miguel de Vasconcelos)를 살해하고, 국왕을 대신하여 통치하던 포르투갈의 총독 사보이아의 마가렛을 투옥했다. 필리페의 군대는 당시 30년 전쟁에서 싸우고 있었고 카탈루냐의 혁명에도 대처해야 했는데, 이는 스페인이 반란을 진압하는 능력을 심각하게 저해했다.
몇 시간 만에, 그리고 대중의 지지 속에, 당시 브라간사 공작 8세였던 주앙은 그의 아내의 설득에 힘입어 (전설에 따르면) 포르투갈의 주앙 4세로 추대되었고,[1] 그의 조모인 브라간사 공작 부인 카타리나를 통해 합법적인 계승권을 주장했다.[6]
1640년 12월 1일, 브라간사 공작 주앙은 포르투갈 귀족들과 함께 쿠데타를 일으켜 스페인 총독을 몰아내고 포르투갈의 국왕 주앙 4세로 즉위했다. 같은 해 12월 15일, 주앙 4세는 리스본 대성당에서 즉위했다. 주앙 4세의 즉위는 포르투갈 왕정복고전쟁으로 이어졌으며, 이 전쟁은 28년간 지속되었다.[17]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은 것은 그의 아들 아폰수 6세 때인 1668년이었다.[17]


3. 통치 기간
주앙 4세는 포르투갈을 다스리는 동안 스페인과의 포르투갈 왕정복고전쟁을 치르면서 네덜란드 공화국의 지원을 받았다. 이와 함께 해외에서는 네덜란드가 점령하고 있던 앙골라의 일부와 상투메 섬을 되찾았다.
주앙 4세는 음악 후원자이자 작곡가로, 그의 유명한 작품으로는 교회 합창곡 Crux fidelis|크룩스 피델리스la가 있다. 또한 팔레스트리나와 동시대 음악에 관한 저술을 남겼다.
3. 1. 포르투갈 왕정복고전쟁
주앙 4세는 즉위 직후부터 스페인과 포르투갈 왕정복고전쟁을 치러야 했다.[7] 포르투갈은 프랑스(1641년 6월 1일)와 스웨덴(1641년 8월)과 동맹을 맺었지만,[7] 30년 전쟁의 여파로 인해 국제적인 지원은 제한적이었다. 스페인은 1648년까지 30년 전쟁에, 1659년까지 프랑스-스페인 전쟁에 참전했고, 포르투갈은 1663년까지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에 참전했다. 1644년 몬티주 전투에서 포르투갈군은 스페인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전쟁은 1668년 주앙 4세의 아들 아폰수 6세 때에 포르투갈의 독립이 인정되면서 종결되었다.[17]3. 2. 제국 재건
주앙 4세는 스페인과의 전쟁 중에도 해외 영토 회복에 힘썼다. 1648년 앙골라의 루안다를 네덜란드로부터 탈환하고, 1654년에는 브라질 북부를 회복하여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를 종식시켰다. 그러나 스리랑카의 실론 섬은 네덜란드에 빼앗겼으며, 1656년 콜롬보가 함락되었다.3. 3. 문화 예술 후원
주앙 4세는 음악과 예술의 후원자였으며, 음악에 대해 상당히 정교한 글을 쓴 작가이자 작곡가였다. 그의 치세 동안 그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도서관 중 하나를 수집했지만, 1755년 리스본 지진으로 파괴되었다. 그의 저술에는 팔레스트리나를 옹호하는 글과 "현대 음악의 옹호"(1649)가 있다.[8] 그에게 귀속되는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성실한 십자가(Crux fidelis) 편곡으로, 성주간 동안 교회 합창단 사이에서 매우 인기 있는 작품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알려진 악보는 존재하지 않으며, 1869년 프랑스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양식적 근거로 볼 때,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19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인정된다.[9]1646년, 주앙 4세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를 포르투갈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4. 가족
루이사 데 구스만과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다음은 주앙 4세의 자녀 목록이다.[12]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루이사 데 구스만 (1613년 10월 13일 – 1666년 2월 27일, 1633년 1월 12일 결혼) | |||
테오도시오 | 1634년 2월 8일 | 1653년 5월 13일 | 브라질 공, 9대 브라간사 공작. 어린 나이에 사망. |
아나 | 1635년 1월 21일 | 1635년 1월 21일 | |
조아나 | 1635년 9월 18일 | 1653년 11월 17일 | |
카타리나 | 1638년 11월 25일 | 1705년 12월 31일 | 잉글랜드 왕 찰스 2세의 왕비. |
마누엘 | 1640년 9월 6일 | 1640년 9월 6일 | |
아폰수 6세 | 1643년 8월 21일 | 1683년 9월 12일 | 브라질 공, 10대 브라간사 공작. 포르투갈 왕 (재위: 1656년 ~ 1683년). |
페드루 | 1648년 4월 26일 | 1706년 12월 9일 | 베자 공작, 인판타도 가문의 영주. 포르투갈 왕 (재위: 1683년 ~ 1706년). |
사생아 | |||
마리아 데 브라간사 | 1644년 4월 30일 | 1693년 2월 7일 | 사생녀. |
5. 계보
João IVpt는 빌라 비소사(Vila Viçosa)에서 태어났으며, 1630년 그의 아버지 브라간사 공작 테오도시오 2세(Teodósio II, Duke of Braganza)가 정신 질환으로 사망하자 그를 계승하여 브라간사 공작(Duke of Braganza)이 되었다.[5] 그는 1633년 루이사 드 구즈만(Luisa de Guzmán)과 결혼했다.
참조
[1]
서적
Ideologia Política e Teoria do Estado na Restauração
Biblioteca Geral da Universidade de Coimbra
[2]
문서
Also rendered as Joam in Archaic Portuguese
[3]
백과사전
[4]
서적
The First America: The Spanish Monarchy, Creole Patriots and the Liberal State 1492–1866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5]
서적
1593–1721
https://books.google[...]
[6]
서적
European Treaties Bearing on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Dependencies to 1648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7]
백과사전
[8]
서적
Defensa de la musica moderna contra la errada opinion del Obispo Cyrilo Franco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oimbra
[9]
서적
Grove Dictionary of Music
[10]
간행물
The Immaculate Conception
1960-09
[11]
서적
Legends of the Madonna
[12]
서적
A Concise Gazetteer of the Most Remarkable Places in the World; with brief notices of the principal historical events ... connected with them, etc.
https://books.google[...]
[13]
서적
The story of Portugal
https://books.google[...]
G.P. Putnam's Sons
2018-07-11
[14]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5]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1988-04-15
[16]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1988-04-15
[17]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1988-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