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조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조귀는 태평천국 운동의 주요 인물로, 배상제회에 가입하여 '천형하범'을 수행하며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주도권을 잡았다. 1851년 금전봉기 이후 서왕에 봉해졌으며, 태평천국 운동 초기 군사 지도자로서 활약했다. 그는 1852년 장사 공략 중 전사했지만, 홍수전은 그의 이름을 기려 칭호를 내리고 그의 아들들에게 귀족 칭호를 부여했다.
소조귀는 광시성 무선현 하마향 출신으로, 배상제회에 가입하였다. 1848년부터 예수의 신탁이라며 ‘천형하범’(天兄下凡)[48]을 수행했고, 야훼의 신탁이라는 ‘천부하범’(天父下凡)[49]을 수행하며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주도권을 쥐었다. 1851년 배상제회가 금전봉기를 일으키자 전군의 주장으로 서왕에 봉해졌다.
2. 초기 생애
2. 1. 출신 배경
소조귀는 광시성 무선현 하마향 출신이다.[1][2] 그는 가난한 농부였지만, 이 지역에서 영향력 있는 지도자가 되었다.[3] 객가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4] 야오족이었다는 주장도 있다.[5] 양수청의 친척이었을 수도 있다.[6] 그는 아내, 아버지, 형제들과 함께 홍수전의 배상제회에 가입했으며, "용맹함과 뛰어난 신체 능력으로 전설적인 명성을 얻었다."[7]
2. 2.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부인 | 양윤교(楊雲嬌) | 1837년 심각한 질병을 앓은 후 하늘을 방문했고, 이후 홍수전으로 추정되는 종교 강사의 도래를 알게 되었다고 주장했다.[9] |
부인 | 홍선교(洪宣嬌) | 일부 자료에서는 소조귀가 첫 번째 부인이 사망한 후 홍수전의 여동생 홍선교와 결혼했다고 주장한다.[10] 그러나 홍수전에게는 여동생이 없었다.[12] 가장 유력한 설명은 양윤교와 홍선교가 동일 인물이며, 양윤교가 윤교에서 선교로 이름을 바꾸었고(발음 문제 때문일 수 있음), 민간 역사가들이 홍수전을 기리기 위해 그녀에게 홍씨 성을 부여했다는 것이다.[14] |
1851년 배상제회가 금전봉기를 일으키자 소조귀는 전군의 주장으로 서왕에 봉해졌다. 이후 많은 공적을 세웠지만, 1852년 9월 창사 공략 중 포탄을 맞고 전사했다.[49]
3. 배상제회 활동
3. 1. 입교 및 초기 활동
소조귀는 광시성 무선현 하마향 출신이다. 배상제회 가입 후 1848년부터 예수의 신탁이라고 하면서 ‘천형하범’(天兄下凡)을 수행했고[48], 야훼의 신탁이라고 하는 ‘천부하범’(天父下凡)[49]을 수행하면서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주도권을 쥐었다.
1848년 가을, 펑윈산과 홍수전이 인근 성에 있는 동안, 소조귀는 [하나님 숭배교]에서 지도자 역할을 맡았다.[15] 이때 소조귀는 예수가 세상에 내려와 그가 혼수상태에 있을 때 예수가 그를 통해 말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16][17][18] 이 주장은 홍수전과 풍운산이 다음 해 여름에 자이산으로 돌아왔을 때 비준되었다.[19][20][21] 예수를 대변하는 소조귀는 하나님 숭배자들에게 교리, 조언 및 리더십을 제공했다.[22] 예수를 대변할 때 소조귀는 홍수전조차 꾸짖을 수 있었는데, 예수는 필연적으로 홍수전보다 더 큰 권위를 가졌기 때문이다.[23][24] 1848년 여름, 소조귀는 홍수전, 풍운산, 양수청, 웨이 창후이, 스다카이와 함께 예수 그리스도와 의형제를 맺었다.[25]
소조귀가 행했던 ‘천형하범’은 배상제회의 결속을 다지는 효과를 가져왔고,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창립자였던 홍수전과 풍윈산으로부터 주도권을 서서히 빼앗아 갔다.
3. 2. 천형하범(天兄下凡)
소조귀는 광시성 무선현 하마향 출신이다. 배상제회 가입 후 1848년부터 예수의 신탁이라고 하면서 ‘천형하범’(天兄下凡)을 수행했고[48], 야훼의 신탁이라고 하는 ‘천부하범’(天父下凡)[49]을 수행하면서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주도권을 쥐었다.
소조귀가 행했던 ‘천형하범’은 배상제회의 결속을 다지는 효과를 가져왔다.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창립자였던 홍수전과 풍운산으로부터 주도권을 서서히 빼앗아 갔고, 이후 태평천국의 발전에 큰 영향을 가져왔다.
1848년 가을, 펑윈산과 홍수전이 인근 성에 있는 동안, 소조귀는 [하나님 숭배교]에서 지도자 역할을 맡았다.[15] 이때 소조귀는 예수가 세상에 내려와 그가 혼수상태에 있을 때 예수가 그를 통해 말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16][17][18] 이 주장은 홍수전과 풍운산이 다음 해 여름에 자이산으로 돌아왔을 때 비준되었다.[19][20][21] 예수를 대변하는 소조귀는 하나님 숭배자들에게 교리, 조언 및 리더십을 제공했다.[22] 예수를 대변할 때 소조귀는 홍수전조차 꾸짖을 수 있었는데, 예수는 필연적으로 홍수전보다 더 큰 권위를 가졌기 때문이다.[23][24] 1848년 여름, 소조귀는 홍수전, 풍운산, 양수청, 웨이 창후이, 스다카이,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와 의형제를 맺었다.[25]
3. 3. 의형제 결성
1848년 가을, 펑윈산과 홍수전이 인근 성에 있는 동안, 소조귀는 하나님 숭배교에서 지도자 역할을 맡았다.[15] 이때 소조귀는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에 내려와 그가 혼수상태에 있을 때 자신을 통해 말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16][17][18] 이 주장은 다음 해 여름 홍수전과 펑윈산이 자이산으로 돌아왔을 때 승인되었다.[19][20][21] 소조귀는 예수 그리스도를 대변하여 하나님 숭배자들에게 교리, 조언 및 리더십을 제공했다.[22] 예수 그리스도를 대변할 때 소조귀는 홍수전조차 꾸짖을 수 있었는데, 이는 예수 그리스도가 필연적으로 홍수전보다 더 큰 권위를 가졌기 때문이다.[23][24] 같은 해 여름, 소조귀는 홍수전, 펑윈산, 양슈칭, 웨이 창후이, 스다카이와 함께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의형제를 맺었다.[25]
4. 태평천국 운동에서의 역할
소조귀는 광시성 무선현 하마향 출신으로, 배상제회에 가입한 후 1848년부터 예수의 신탁이라고 하는 '천형하범'(天兄下凡)[48]과 야훼의 신탁이라고 하는 '천부하범'(天父下凡)[49]을 수행하면서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주도권을 쥐었다. 1851년 배상제회가 금전봉기를 일으키자 전군 주장으로 서왕에 봉해졌으나, 1852년 9월 창사 공략 중 포탄을 맞고 전사했다. 소조귀가 행했던 ‘천형하범’은 배상제회의 결속을 다지는 효과를 가져왔고,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창립자였던 홍수전과 풍운산으로부터 주도권을 서서히 빼앗아 갔으며, 이후 태평천국의 발전에 큰 영향을 가져왔다.
1851년 12월 4일, 옹안 인근의 보급 기지에 대한 청나라의 반격 중에 소조귀는 부상을 입었다.[30] 그 후, 사소한 예외를 제외하고 소조귀는 곧 예수의 목소리로 말하는 것을 멈추었다.[31] 1852년 여름 도주에서 현지 주민 2만 명 이상이 반란에 참여하도록 설득했다.[37]
4. 1. 군사 지도자
소조귀는 광시성 무선현 하마향 출신이다. 배상제회 가입 후 1848년부터 예수의 신탁이라고 하면서 ‘천형하범’(天兄下凡)을 수행했고[48], 야훼의 신탁이라고 하는 ‘천부하범’(天父下凡)[49]을 수행하면서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주도권을 쥐었다. 1851년에 배상제회가 금전봉기를 일으키자 전군의 주장으로 서왕에 봉해졌다.소조귀는 태평천국 운동 초기 태평군 주요 군사 지휘관 중 한 명으로 활동했으며, 1851년 1월 11일 태평군 전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7] 옹안 점령 직후, 홍수전은 소조귀를 부원수(Co-Marshal)로 임명했는데, 원수는 태평천국 조직에서 "최고의 영예"를 나타내는 의례적인 칭호였다.[28] 1851년 12월 4일, 홍수전은 소조귀에게 서왕(西王), 만세야(萬歲爺)의 작위를 수여하며 더 큰 영예를 안겨주었다.[29]
1852년 여름, 태평군이 도주에 주둔하는 동안, 소조귀와 당시 태평천국의 동왕이었던 양수청은 현지 주민들의 호감을 얻고 새로운 병력을 모집하기 위해 세 개의 포고문을 발표했다.[32][33][34] 이 포고문들은 기독교로의 개종 요구, 소수 민족인 만주족의 전복 요구, 그리고 태평천국이 철저히 부패했다고 간주하는 정부의 파괴 요구를 통해 태평천국 운동의 삼위일체 종교-민족주의-정치적 성격을 보여주었다.[35][36]
많은 공적을 세웠지만, 1852년 9월 창사 공략 중에 포탄을 맞고 전사했다.
4. 2. 종교적 영향력
소조귀는 배상제회에 가입한 후 1848년부터 예수의 신탁이라 칭하는 ‘천형하범’(天兄下凡)을 행했다.[48] 또한 야훼의 신탁이라는 ‘천부하범’(天父下凡)을 행하며[49] 양수청과 함께 배상제회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소조귀의 ‘천형하범’은 배상제회의 결속을 다지는 효과를 가져왔고, 양수청과 함께 홍수전과 풍운산으로부터 주도권을 서서히 빼앗아 갔다. 이는 이후 태평천국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1848년 가을, 펑윈산과 홍수전이 다른 지역에 있는 동안, 소조귀는 배상제회에서 지도자 역할을 맡았다.[15] 이때 소조귀는 예수가 세상에 내려와 자신을 통해 말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고,[16][17][18] 이는 홍수전과 펑윈산이 돌아온 후 승인되었다.[19][20][21] 소조귀는 예수를 대변하여 신자들에게 교리, 조언, 리더십을 제공했으며,[22] 심지어 홍수전을 꾸짖을 수도 있었다.[23][24]
4. 3. 포고령 발표
1852년 여름, 태평군이 도주에 주둔하는 동안, 소조귀와 당시 태평천국의 동왕이었던 양수청은 현지 주민들의 호감을 얻고 새로운 병력을 모집하기 위해 세 개의 포고문을 발표했다.[32][33][34] 이 포고문들은 기독교로의 개종 요구, 소수 민족인 만주족의 전복 요구, 그리고 태평천국이 철저히 부패했다고 간주하는 청나라 정부의 파괴 요구를 통해 태평천국 운동의 종교-민족주의-정치적 성격을 보여주었다.[35][36] 이 포고문들은 지주와 학자들의 반대를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지만, 2만 명 이상의 현지인들이 반란에 참여하도록 설득하는 데 기여했다.[37]5. 죽음
소조귀는 1852년 9월 창사 공략 중 포탄을 맞아 전사했다.[42] 홍수전은 소조귀 사후에도 그의 이름으로 칙령을 발표하고 "우사"라는 칭호를 내렸으며,[45] 그의 아들 중 한 명은 귀족 칭호를 상속받아 남경 함락 때까지 소서왕으로 불렸다.[46] 소조귀의 두 아들은 모두 예수의 조카이자 하나님의 손자로 여겨졌다.[47]
5. 1. 장사 전투
1852년 8월 말, 소조귀는 태평천국의 당시 거점인 천주에서 소규모 병력을 이끌고 장사를 점령하려 했다.[38] 9월에 장사에 도착하여 장사를 포위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39] 소조귀는 자신의 고귀한 지위를 나타내는 옷을 입고 머리 위에 큰 깃발을 든 채 병사들을 지휘하기 위해 최전선으로 향했다.[40][41] 그러나 도시 성벽에서 발사된 포탄에 왼쪽 어깨를 맞고 9월 말에 부상으로 사망했으며,[42] 결국 11월에 포위 공격은 중단되었다.[43] 소조귀의 이러한 행동은 중국 역사학자들로부터 "영웅적인 행위가 아닌 '어리석은 충성심과 어리석은 용기'의 또 다른 예"라는 혹독한 비판을 받았다.[44]5. 2. 전사
1852년 8월 말, 소조귀는 태평천국의 거점인 천주에서 소규모 병력을 이끌고 장사를 점령하려 했다.[38] 9월에 장사에 도착하여 장사를 포위했지만,[39]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소조귀는 자신의 지위를 과시하고자 눈에 띄는 옷을 입고 깃발을 든 채 최전선에서 병사들을 지휘했다.[40][41] 그러나 그는 도시 성벽에서 발사된 포탄에 왼쪽 어깨를 맞고 9월 말 부상으로 사망했다.[42] 결국 11월에 포위 공격은 중단되었다.[43] 소조귀의 이러한 행동은 중국 역사학자들로부터 "영웅적인 행위가 아닌 '어리석은 충성심과 어리석은 용기'의 예"라는 비판을 받았다.[44]5. 3. 사후
장사 포위전 중 소조귀는 도시 성벽에서 발사된 포탄에 왼쪽 어깨를 맞고 9월 말에 부상을 입어 사망했다.[42] 11월에 포위 공격은 중단되었다.[43] 중국 역사학자들은 소조귀의 이러한 행동을 "영웅적인 행위가 아닌 '어리석은 충성심과 어리석은 용기'의 또 다른 예"라고 비판했다.[44]홍수전은 소조귀가 사망했음에도 그의 이름으로 칙령을 계속 발표했고, 사후에는 "우사"라는 칭호를 내렸다.[45] 소조귀의 아들 중 한 명은 귀족 칭호를 이어받아 남경 함락 이후 사망할 때까지 소서왕으로 불렸다.[46] 그의 두 아들은 모두 예수의 조카이자 하나님의 손자로 여겨졌다.[47]
참조
[1]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2]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3]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4]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5]
서적
Resistance, Chaos and Control in China: Taiping Rebels, Taiwanese Ghosts and Tiananmen
1994
[6]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7]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8]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9]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10]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11]
서적
The Wobbling Pivot: China Since 1800
2010
[12]
서적
The Wobbling Pivot: China Since 1800
2010
[13]
서적
The Wobbling Pivot: China Since 1800
2010
[14]
서적
The Wobbling Pivot: China Since 1800
2010
[15]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16]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17]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18]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19]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20]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21]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22]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23]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24]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25]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26]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27]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28]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29]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30]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31]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32]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33]
서적
Political Leaders of Modern China: A Biographical Dictionary
2002
[34]
서적
God's Chinese Son
1996
[35]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3
[36]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37]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38]
서적
God's Chinese Son
[39]
서적
God's Chinese Son
[40]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41]
서적
God's Chinese Son
[42]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43]
서적
God's Chinese Son
[44]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45]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46]
서적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47]
서적
God's Chinese Son
[48]
문서
天兄은 예수를 일컫는 말이다.
[49]
문서
天父는 야훼를 일컫는 말이며, 하범은 강림하거나, 입신한다는 의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