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태나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태나무과는 속씨식물 분류군 중 하나이다. 가죽나무속, 레이트네리아속, 소태나무속 등을 포함하여 총 20개의 속이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태나무과 - 가죽나무
가죽나무는 한국, 몽골,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지만 알레로파시 물질을 생성하여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중국에서는 전통 의학 및 목재로 활용된다. - 소태나무과 - 레이트네리아 플로리다나
레이트네리아 플로리다나는 북아메리카 남동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이탈리아에서 발견된 화석을 통해 초기 플라이스토세까지 이탈리아에 생존했음을 알 수 있다. - 1811년 기재된 식물 - 담팔수
담팔수는 한국 남부 등지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녹백색 꽃과 검보라색 열매를 맺으며 열매는 식용이 가능하고 나무껍질은 염료로 사용되며, 제주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방사선 방호 효과가 있는 갈로타닌을 함유하고 있다. - 1811년 기재된 식물 - 레몬타임
레몬타임은 관상용, 요리용, 약용으로 재배되는 허브로, 꿀 생산, 조경, 샐러드, 허브차, 향신료, 에센셜 오일, 아로마 테라피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며 다양한 품종이 재배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 소태나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2. 하위 분류
소태나무과에는 다음과 같은 속(屬)들이 있다.[10][11]
- 가죽나무속(Ailanthus Desf.)
- 레이트네리아속(Leitneria Chapm.)
- 소태나무속(Picrasma Blume)
- ''Amaroria'' A.Gray
- 브루세아속(Brucea J.F.Mill.)
- ''Castela'' Turpin
- 유리코마속(Eurycoma Jack)
- 짐노스테몬속(Gymnostemon Aubrév. & Pellegr.)
- 호말로레피스속(Homalolepis Turcz.)
- 이리도스마속(Iridosma Aubrév. & Pellegr.)
- 노토스폰디아스속(Nothospondias Engl.)
- 페리에라속(Perriera Courchet)
- 피크로렘마속(Picrolemma Hook.f.)
- 피에르오덴드론속(Pierreodendron Engl.)
- 콰시아속(Quassia L.)
- ''Recchia'' Moc. & Sessé ex DC.
- 시마바속(Simaba Aubl.)
- 시마루바속(Simarouba Aubl.)
- 술라메아속(Soulamea Lam.)
- 가중나무속(Ailanthus)
- 하노아속(Hannoa) Planch
- 오디엔데아속(Odyendea) (Pierre) Engl.
- 사마데라속(Samadera) Gaertn.
- ''Holacantha'' A. Gray
- ''Laumoniera'' Noot.
2. 1. 주요 속
| 속(Genus) | 학명(Scientific Name) | 비고 |
|---|---|---|
| 가죽나무속 | Ailanthus Desf. | 가죽나무 A. altissima (Mill.) Swingle 포함 |
| 레이트네리아속 | Leitneria Chapm. | |
| 소태나무속 | Picrasma Blume | 위고삼 P. quassioides (D. Don) Benn. 포함 |
| Amaroria | A.Gray | |
| 브루세아속 | Brucea J.F.Mill. | 고삼 B. javanica (L.) Merr. 포함 |
| Castela | Turpin | |
| 유리코마속 | Eurycoma Jack | |
| 짐노스테몬속 | Gymnostemon Aubrév. & Pellegr. | |
| 호말로레피스속 | Homalolepis Turcz. | |
| 이리도스마속 | Iridosma Aubrév. & Pellegr. | |
| 노토스폰디아스속 | Nothospondias Engl. | |
| 페리에라속 | Perriera Courchet | |
| 피크로렘마속 | Picrolemma Hook.f. | |
| 피에르오덴드론속 | Pierreodendron Engl. | |
| 콰시아속 | Quassia L. | |
| Recchia | Moc. & Sessé ex DC. | |
| 시마바속 | Simaba Aubl. | |
| 시마루바속 | Simarouba Aubl. | |
| 술라메아속 | Soulamea Lam. | |
| 가중나무속 | Ailanthus | |
| 하노아속 | Hannoa Planch | |
| 오디엔데아속 | Odyendea Pierre ex Engl. | |
| 사마데라속 | Samadera Gaertn. | |
| Holacantha | A. Gray | |
| Laumoniera | Noot. | [10][11] |
2. 2. 제외된 속
- ''알란토스페르뭄(Allantospermum)'' Forman영어 → 이르빙기아과
- ''알바라도아(Alvaradoa)'' Liebm.영어 → 피크라무스과
- ''데스보르데시아(Desbordesia)'' Pierre ex Tiegh.영어 → 이르빙기아과
- ''해리소니아(Harrisonia)'' R.Br. ex A.Juss.영어 → 운향과
- ''이르빙기아(Irvingia)'' Hook.f.영어 → 이르빙기아과
- ''키르키아(Kirkia)'' Oliv.영어 → 키르키아과
- ''클라이네독사(Klainedoxa)'' Pierre ex Engl.영어 → 이르빙기아과
- ''피크라무니아(Picramnia)'' Sw.영어 → 피크라무스과
- ''레키아(Recchia)'' Sessé & Moc. ex DC.영어 → 수리아나과[9]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Simaroubaceae'' DC., nom. con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3-01-17
[2]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tree-of-heaven family (Simaroubaceae) based on chloroplast and nuclear markers
[3]
논문
On Nikagi Oil
1933-05
[4]
논문
The distribution of fatty acids including petroselinic and tariric acids in the fruit and seed oils of the Pittosporaceae, Araliaceae, Umbelliferae, Simarubaceae and Rutaceae
[5]
논문
Establishment and Distribution of ''Ailanthus altissima'' in the Urban Environment
http://www.hort.corn[...]
1986-03
[6]
논문
Invasion of an Old-Growth Forest in New York by Ailanthus altissima: Sapling Growth and Recruitment in Canopy Gaps
[7]
웹사이트
Simaroubaceae DC
https://powo.science[...]
2023-12-16
[8]
웹사이트
GRIN Genera of ''Simaroubaceae''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9]
웹사이트
GRIN genera sometimes placed in ''Simaroubaceae''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0]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tree-of-heaven family (Simaroubaceae) based on chloroplast and nuclear markers
[11]
웹사이트
Simaroubaceae in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Stevens, P. F. (2001 onwards).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9, June 2008 [and more or less continuously updated since].
[12]
간행물
Nouveau Bulletin des Sciences, publié par la Société Philomatique de Par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