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손광 (명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광은 명나라 만력제 치세에 활약한 문신이자 저술가이다. 1570년 향시에 합격하고, 1574년 회시에서 1등을 하여 진사가 되었다. 이후 이부주사, 태상시소경, 우통정 등을 거쳐 산동 지역을 순무하며 군무를 총괄했다. 계료경략총독을 역임하며 북방 방어에 힘썼고, 동정 성공으로 포상을 받았다. 문재와 무략에 능했으며, 서화에도 조예가 깊었다. 말년에는 남경도찰원우도어사, 남경병부상서참찬기무를 지냈으며, 1609년 사직했다. 그는 40여 종, 700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작을 남겼으며, 주요 저서로는 《소흥부지》, 《서화제발》, 《평사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총독 - 호종헌
    호종헌은 명나라 가정제 시기 왜구 토벌에 공을 세운 관리로, 지방관을 거쳐 저장순무 및 총독으로 승진하여 왜구 문제 해결에 힘썼으나, 엄숭 실각 후 탄핵받고 자살했으며 사후 복권되었다.
  • 명나라의 산동순무 - 송응창
    송응창은 명나라 관료로서 임진왜란 때 경략으로 조선에 파병되어 평양 수복에 기여했으나, 석성과의 갈등과 당쟁으로 은퇴 후 《경략복국요편》을 저술했으며, 산동순무 시절 행정 능력을 인정받은 위엄 있는 인물이다.
  • 명나라의 산동순무 - 장경 (명나라)
    장경은 명나라 시대 군인이자 관료로서 가흥현 지현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해 가정제의 총애를 받으며 왜구 토벌과 소수 민족 반란 진압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왕강경 대첩 이후 탄핵으로 처형되었다가 사후 복권되었다.
손광 (명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손광(孫鑛)
군주만력제(萬曆帝)
출생일양력 1543년 4월 21일
국가명(明)
출생지명 절강성(浙江省) 소흥부(紹興府) 여요현(餘姚縣) 손가경(孫家境)
사망일양력 1613년 5월 27일
별명자 문융(文融), 호 월봉(月峰), 호상산인(湖上散人)
학력만력2년(萬曆2年, 1574) 갑술과(甲戌科) 진사(進士)
직업문관(文官), 문장가(文章家)
직책남경병부상서(南京兵部尙書)
종교유교(儒教)(성리학(性理學))

2. 생애

손광은 융경(隆慶) 4년(1570) 순천부(順天府) 향시(鄕試)에서 47등을 차지했다. 만력(萬曆) 2년(1574) 32세에 갑술과(甲戌科) 회시(會試) 1등, 진사(進士) 제2갑(第二甲) 4등을 하였다.[2][3][4] 이후 이부주사(吏部主事), 원외랑(員外郞), 낭중(郞中)을 역임하고, 만력 12년(1584) 2월 태상시소경(太常寺少卿)에 올랐다. 만력 18년(1590) 9월 태상시소경으로 복직하였으며, 만력 19년(1591) 4월 우통정(右通政)으로 승진, 10월에는 좌첨도어사협리원사(左僉都御史協理院事)로 승진하였다. 만력 20년(1592) 4월, 우부도어사순무산동제독영전군무(右副都御史巡撫山東提督營田軍務)로 승진, 만력 21년(1593) 7월 형부좌시랑(刑部左侍郞)으로 승진하였다. 만력 22년(1594) 6월,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겸하였으며, 고양겸(顧養謙)을 대신하여 계료경략총독(薊遼經略總督)에 올랐다. 만력 27년(1599) 9월, 동정(東征)이 성공하여 포상을 받았다.

만력 32년(1604) 10월, 남경도찰원우도어사(南京都察院右都御史)로 복직하였다. 만력 33년(1605) 11월, 남경병부상서참찬기무(南京兵部尙書參贊機務)에 올랐으며, 만력 34년(1606) 5월, 3년 고만(考滿)으로 태자소보(太子少保)에 책봉되었다. 만력 37년(1609) 9월, 남경 하늘에서 울림이 들린 일로 상주를 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직을 요청하여 재가받았다.

손광은 문재와 무략으로 이름이 알려졌을 뿐 아니라, 서화에도 능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손광은 융경(隆慶) 4년(1570) 순천부(順天府) 향시(鄕試)에서 47등을 차지했다.[2] 만력(萬曆) 2년(1574), 32세에 갑술과(甲戌科) 회시(會試) 1등, 진사(進士) 2갑(第二甲) 4등을 하였다.[2][3][4] 이후 이부주사(吏部主事)에 제수되었고, 원외랑(員外郞)과 낭중(郞中)을 역임했다. 만력 12년(1584) 2월, 태상시소경(太常寺少卿)에 올랐으며, 만력 18년(1590) 9월에 복직하였다. 만력 19년(1591) 4월, 우통정(右通政)으로 승진하였고, 10월에는 좌첨도어사협리원사(左僉都御史協理院事)로 승진하였다. 만력 20년(1592) 4월, 우부도어사순무산동제독영전군무(右副都御史巡撫山東提督營田軍務)로 승진하였다.[2]

2. 2. 관직 생활과 북방 방어

손광은 융경(隆慶) 4년(1570) 순천부(順天府) 향시(鄕試)에서 47등을 차지했다. 만력(萬曆) 2년(1574) 32세에 갑술과(甲戌科) 회시(會試) 1등, 진사(進士) 제2갑(第二甲) 4등을 하였다.[2][3][4] 이후 이부주사(吏部主事), 원외랑(員外郞), 낭중(郞中)을 역임하고, 만력 12년(1584) 2월 태상시소경(太常寺少卿)에 올랐다. 만력 18년(1590) 9월 태상시소경으로 복직하였으며, 만력 19년(1591) 4월 우통정(右通政)으로 승진, 10월에는 좌첨도어사협리원사(左僉都御史協理院事)로 승진하였다. 만력 20년(1592) 4월, 우부도어사순무산동제독영전군무(右副都御史巡撫山東提督營田軍務)로 승진, 만력 21년(1593) 7월 형부좌시랑(刑部左侍郞)으로 승진하였다. 만력 22년(1594) 6월,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겸하였으며, 고양겸(顧養謙)을 대신하여 계료경략총독(薊遼經略總督)에 올랐다. 만력 27년(1599) 9월, 동정(東征)이 성공하여 포상을 받았다.

만력 32년(1604) 10월, 남경도찰원우도어사(南京都察院右都御史)로 복직하였다. 만력 33년(1605) 11월, 남경병부상서참찬기무(南京兵部尙書參贊機務)에 올랐으며, 만력 34년(1606) 5월, 3년 고만(考滿)으로 태자소보(太子少保)에 책봉되었다. 만력 37년(1609) 9월, 남경 하늘에서 울림이 들린 일로 상주를 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직을 요청하여 재가받았다.

손광은 문재와 무략으로 이름이 알려졌을 뿐 아니라, 서화에도 능하였다.

2. 3. 남경에서의 활동과 말년

만력(萬曆) 32년(1604) 10월, 남경도찰원우도어사(南京都察院右都御史)로 복직하였다.[2] 만력 33년(1605) 11월, 남경병부상서참찬기무(南京兵部尙書參贊機務)에 올랐다.[2] 만력 34년(1606) 5월, 3년 고만(考滿)으로 태자소보(太子少保)에 책봉되었다.[2] 만력 37년(1609) 9월, 남경 하늘에서 울림이 들린 일로 상주를 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직을 요청하였으며 이를 재가받았다.[2]

손광은 문재와 무략으로 이름이 알려졌을뿐 아니라, 서화에도 능하였다.[2]

3. 저작

손광(孫鑛)은 일생 동안 40여 종, 700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 소흥부(紹興府) 관련 저작

:* 『소흥부지(紹興府志)』 50권 : 산음현의 장원변과 공저하였다.

  • 서법 및 회화 연구 저작

:* 『서화제발(書畵題跋)』 6권

  • 문선(文選) 관련 저작

:* 『금문선(今文選)』 12권

:* 『문선론주(文選論注)』 30권

:* 『문선장구(文選章句)』 28권

  • 경전(經傳) 주석 및 평가

:* 『손월봉평경(孫月峰評經)』 16권

:* 『평시경(評詩經)』 4권

:* 『평서경(評書經)』 6권

:* 『평예기(評禮記)』 6권

:* 『평공양전(評公羊傳)』 12권

  • 사서(史書) 평가

:* 『평사기(評史記)』 130권

:* 『평한서(評漢書)』 120권 (100권, 70권 판본도 있음)

  • 제자백가(諸子百家) 평가

:* 『평한비자(評韓非子)』 20권

:* 『평순자(評荀子)』 20권

:* 『평열자(評列子)』 8권

:* 『평노자(評老子)』 2권

:* 『평장자남화진경(評莊子南華眞經)』 4권

  • 춘추좌전(春秋左傳) 관련 저작

:* 『평춘추좌전(評春秋左傳)』 50권

:* 『춘추좌전상절구해(春秋左傳詳節句解)』 35권

:* 『춘추좌전두림합주(春秋左傳杜林合注)』 50권

  • 기타 저작

:* 『주정서상기(朱訂西廂記)』 2권

:* 『주비당시원(朱批唐詩苑)』 7권

:* 『파공식음록(坡公食飮錄)』 2권

:* 『한비자절초(韓非子節抄)』 2권

:* 『고금한원경거(古今翰苑瓊琚)』 12권

:* 『당시배률변체(唐詩排律辨體)』 10권

:* 『명세술(名世述)』 3권

:* 『인걸편(人傑編)』 3권

:* 『후월절(後越絶)』 10권

:* 『거업편(居業編)』 12권

:* 『회심안정반설리거락사(會心案晶盤雪里居樂事)』 3권

:* 『전조동성경략남추주의(銓曹東省經略南樞奏議)』 20권

:* 『보정반마이동(補訂班馬異同)』 12권

:* 『춘추번로(春秋繁露)』 17권

:* 『손월봉삼자평(孫月峰三子評)』 7권

:* 『황명통기집요(皇明通紀輯要)』 24권

:* 『요강손월봉선생전집(姚江孫月峰先生全集)』 12권

:* 『태사직필(太史直筆)』

:* 『주인여(周人輿)』

:* 『고문사체(古文四體)』

:* 『광고문단편(廣古文短篇)』

:* 『당시품(唐詩品)』

3. 1. 주요 저작

손광(孫鑛)은 일생 동안 40여 종, 700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 소흥부(紹興府) 관련 저작

:* 『소흥부지(紹興府志)』 50권 : 산음현의 장원변과 공저하였다.

  • 서법 및 회화 연구 저작

:* 『서화제발(書畵題跋)』 6권

  • 문선(文選) 관련 저작

:* 『금문선(今文選)』 12권

:* 『문선론주(文選論注)』 30권

:* 『문선장구(文選章句)』 28권

  • 경전(經傳) 주석 및 평가

:* 『손월봉평경(孫月峰評經)』 16권

:* 『평시경(評詩經)』 4권

:* 『평서경(評書經)』 6권

:* 『평예기(評禮記)』 6권

:* 『평공양전(評公羊傳)』 12권

  • 사서(史書) 평가

:* 『평사기(評史記)』 130권

:* 『평한서(評漢書)』 120권 (100권, 70권 판본도 있음)

  • 제자백가(諸子百家) 평가

:* 『평한비자(評韓非子)』 20권

:* 『평순자(評荀子)』 20권

:* 『평열자(評列子)』 8권

:* 『평노자(評老子)』 2권

:* 『평장자남화진경(評莊子南華眞經)』 4권

  • 춘추좌전(春秋左傳) 관련 저작

:* 『평춘추좌전(評春秋左傳)』 50권

:* 『춘추좌전상절구해(春秋左傳詳節句解)』 35권

:* 『춘추좌전두림합주(春秋左傳杜林合注)』 50권

  • 기타 저작

:* 『주정서상기(朱訂西廂記)』 2권

:* 『주비당시원(朱批唐詩苑)』 7권

:* 『파공식음록(坡公食飮錄)』 2권

:* 『한비자절초(韓非子節抄)』 2권

:* 『고금한원경거(古今翰苑瓊琚)』 12권

:* 『당시배률변체(唐詩排律辨體)』 10권

:* 『명세술(名世述)』 3권

:* 『인걸편(人傑編)』 3권

:* 『후월절(後越絶)』 10권

:* 『거업편(居業編)』 12권

:* 『회심안정반설리거락사(會心案晶盤雪里居樂事)』 3권

:* 『전조동성경략남추주의(銓曹東省經略南樞奏議)』 20권

:* 『보정반마이동(補訂班馬異同)』 12권

:* 『춘추번로(春秋繁露)』 17권

:* 『손월봉삼자평(孫月峰三子評)』 7권

:* 『황명통기집요(皇明通紀輯要)』 24권

:* 『요강손월봉선생전집(姚江孫月峰先生全集)』 12권

:* 『태사직필(太史直筆)』

:* 『주인여(周人輿)』

:* 『고문사체(古文四體)』

:* 『광고문단편(廣古文短篇)』

:* 『당시품(唐詩品)』

3. 2. 문학 및 역사 평론

손광(孫纊)은 문학과 역사 평론가이기도 했다. 손광의 일생 저작은 풍부하여 40여종 700여권에 달한다.

관련 저작은 다음과 같다.



기타 저작으로는 『소흥부지(紹興府志)』50권(산음현(山陰縣) 장원변(張元忭)과 공저), 『서화제발(書畵題跋)』6권(서법 회화 연구 저작), 『금문선(今文選)』12권, 『손월봉평경(孫月峰評經)』16권, 『파공식음록(坡公食飮錄)』2권, 『한비자절초(韓非子節抄)』2권, 『고금한원경거(古今翰苑瓊琚)』12권, 『당시배률변체(唐詩排律辨體)』10권, 『명세술(名世述)』3권, 『인걸편(人傑編)』3권, 『후월절(後越絶)』10권, 『거업편(居業編)』12권, 『회심안정반설리거락사(會心案晶盤雪里居樂事)』3권, 『전조동성경략남추주의(銓曹東省經略南樞奏議)』20권, 『보정반마이동(補訂班馬異同)』12권, 『문선론주(文選論注)』30권, 『춘추좌전상절구해(春秋左傳詳節句解)』35권, 『춘추번로(春秋繁露)』17권, 『손월봉삼자평(孫月峰三子評)』7권, 『문선장구(文選章句)』28권, 『춘추좌전두림합주(春秋左傳杜林合注)』50권, 『황명통기집요(皇明通紀輯要)』24권, 『요강손월봉선생전집(姚江孫月峰先生全集)』12권, 『태사직필(太史直筆)』, 『주인여(周人輿)』, 『고문사체(古文四體)』, 『광고문단편(廣古文短篇)』, 『당시품(唐詩品)』 등이 있다.

3. 3. 기타 저작

손광(孫鑛)의 일생 저작은 풍부하여 40여종 700여권에 달한다.

  • 장원변(張元忭)과 공저한 『소흥부지(紹興府志)』 50권
  • 서법 회화 연구 저작인 『서화제발(書畵題跋)』 6권
  • 『금문선(今文選)』 12권
  • 『손월봉평경(孫月峰評經)』 16권


손광은 문학과 역사 평론가이기도 했다. 관련 저작은 다음과 같다.

  • 『평사기(評史記)』 130권
  • 『평한서(評漢書)』 120권(100권, 70권 핀본도 있음)
  • 『평한비자(評韓非子)』 20권
  • 『평순자(評荀子)』 20권
  • 『평공양전(評公羊傳)』 12권
  • 『평시경(評詩經)』 4권
  • 『평서경(評書經)』 6권
  • 『평예기(評禮記)』 6권
  • 『평열자(評列子)』 8권
  • 『평노자(評老子)』 2권
  • 『평장자남화진경(評莊子南華眞經)』 4권
  • 『평춘추좌전(評春秋左傳)』 50권
  • 『주정서상기(朱訂西廂記)』 2권
  • 『주비당시원(朱批唐詩苑)』 7권


기타 저작은 다음과 같다.

  • 『파공식음록(坡公食飮錄)』 2권
  • 『한비자절초(韓非子節抄)』 2권
  • 『고금한원경거(古今翰苑瓊琚)』 12권
  • 『당시배률변체(唐詩排律辨體)』 10권
  • 『명세술(名世述)』 3권
  • 『인걸편(人傑編)』 3권
  • 『후월절(後越絶)』 10권
  • 『거업편(居業編)』 12권
  • 『회심안정반설리거락사(會心案晶盤雪里居樂事)』 3권
  • 『전조동성경략남추주의(銓曹東省經略南樞奏議)』 20권
  • 『보정반마이동(補訂班馬異同)』 12권
  • 『문선론주(文選論注)』 30권
  • 『춘추좌전상절구해(春秋左傳詳節句解)』 35권
  • 『춘추번로(春秋繁露)』 17권
  • 『손월봉삼자평(孫月峰三子評)』 7권
  • 『문선장구(文選章句)』 28권
  • 『춘추좌전두림합주(春秋左傳杜林合注)』 50권
  • 『황명통기집요(皇明通紀輯要)』 24권
  • 『요강손월봉선생전집(姚江孫月峰先生全集)』 12권
  • 『태사직필(太史直筆)』
  • 『주인여(周人輿)』
  • 『고문사체(古文四體)』
  • 『광고문단편(廣古文短篇)』
  • 『당시품(唐詩品)』

4. 가족

증조부는 손신(孫新)으로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추증되었으며 영록대부(榮祿大夫)로 가증(加贈)되었다.[5] 조부 손수(孫燧)는 강서우부도어사(巡撫江西右副都御史)로 재임하였고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렬(忠烈)이고 영록대부(榮祿大夫)로 가증(加贈)되었다.[5] 부친 손승(孫陞)은 남경예부상서(南京禮部尙書)를 지냈으며 태자소보(太子少保)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각(文恪)이다.[5] 전모친은 한씨(韓氏)로 부인(夫人)에 추증되었다.[5] 모친은 양문려(楊文儷)로 봉태부인(封太夫人)이다.[5]

형제로는 이부상서(吏部尙書) 손롱(孫鑨), 예부상서(禮部尙書) 손정(孫鋌), 태복시경(太僕寺卿) 손종(孫錝)이 있었고, 누이로는 손환(孫鐶)이 있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http://m.shufaai.com[...]
[2] 서적 《皇明贡举考》卷五 《续修四库全书》史部第828册
[3] 서적 贡举志五种 上 武汉:武汉大学出版社
[4] 서적 近代中国史料丛刊续辑 785-790 明清进士题名录索引 1-6 文海出版社
[5] 서적 天一阁藏明代科举录选刊 登科录 点校本 宁波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