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경 (명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경은 명나라 중기의 무관으로, 푸젠성 출신이다. 1517년 진사가 된 후 저장성, 베이징 등지에서 관직을 역임했으며, 가정제의 총애를 받으며 승진을 거듭했다. 양광총독으로 재임하며 광서 등협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고, 베트남의 막 왕조와 외교적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이후 왜구 토벌을 위해 임명되었으나, 조문화와의 갈등과 정치적 암투에 휘말려 1555년 처형되었다. 사후 혐의가 벗겨지고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산동순무 - 송응창
    송응창은 명나라 관료로서 임진왜란 때 경략으로 조선에 파병되어 평양 수복에 기여했으나, 석성과의 갈등과 당쟁으로 은퇴 후 《경략복국요편》을 저술했으며, 산동순무 시절 행정 능력을 인정받은 위엄 있는 인물이다.
  • 명나라의 산동순무 - 손광 (명나라)
    손광은 명나라 만력제 치세에 활약한 문신이자 저술가로, 북방 방어에 힘썼으며 40여 종의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 1492년 출생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492년 출생 -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로렌초 2세 데 메디치는 1492년 피렌체에서 태어나 메디치 가문의 일원으로 피렌체의 영주와 우르비노 공작을 지냈으며, 마들렌 드 라 투르 도베르뉴와의 결혼으로 딸 카트린 드 메디시스를 두었으나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장경 (명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장경
본명채경 (蔡經)
연이 (延彝)
반주 (半洲)
시호양민 (襄敏)
출생지후관현 (현재의 푸저우, 푸젠성), 중국
사망일1555년 11월 12일
관직
최종 관직남경 병부상서 (南京兵部尚書)
주요 경력산동안찰사 (山東按察使)
양광총독 (兩廣總督)
남직례, 절강, 산동, 광동, 광서, 복건 총독 (南直隸、浙江、山東、廣東、廣西、福建總督)
주요 활동
군사 활동등협칠구 요족 반란 진압 (藤峽七峒瑤族民變)
가정 왜구 방어 (嘉靖倭寇之亂)
생애
초기 생애 및 관직가정 14년 진사 급제 후, 산동안찰사, 광동순무 등을 역임
양광총독 시기요족 반란 진압에 공헌
남방 총독 시기가정 왜구 방어 임명
초기에 왜구 격퇴에 성공했으나, 모함으로 인해 처형됨
관련 인물
전임왕수인 (양광총독)
후임도섭 (양광총독), 주충 (남직례, 절강, 복건 총독)

2. 생애

2. 1. 어린 시절

장경은 고향 후관현(侯官縣)에서 키가 큰 사람으로 알려졌다. 장경의 부친은 한때 채씨(蔡氏)로 고쳤다가 장씨로 돌아왔다. 때문에 장경은 정덕(正德) 12년(1517) '채경(蔡經)'이라는 이름으로 진사(進士)가 되었고, 이후 채경이라는 이름으로 20년 가까이 살았다.

2. 2. 초기 관직 생활

장경은 푸젠성 푸저우시 호관현(侯官縣, 현재의 푸저우시) 출신으로, 키가 큰 인물이었다. 그는 1517년에 채경(蔡京)이라는 이름으로 진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저장성 자싱시의 지방관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1521년부터 1525년까지 재직했으며, 그 후 수도 베이징으로 올라가 급사중(給事中)으로 근무했다. 가정제의 총애를 받아 순조롭게 승진하여 태복사 소경(太僕寺少卿), 대리사 우소경(大理寺右少卿), 우부도어사(右副都御史), 그리고 산둥의 순무를 역임했다. 1537년에는 병부시랑(兵部侍郎)의 지위로 광둥과 광시의 총독으로 승진했다.

2. 3. 양광총독 시절

양광총독(兩廣總督)으로서 장경은 명나라 서남 변경 일대 분쟁을 담당해야 했다. 당시 광시성(廣西)의 경우, 성화(成化) 원년(1465) 한용과 가정 7년(1528) 왕수인(王守仁)의 대규모 진압 작전에도 불구하고, 광서 동남 지역 등협(藤峽, Rattan Gorge) 일대의 산적과 요족(瑤族)의 저항은 오랫동안 문제되어 왔다. 수십년 동안 등협의 우거진 협곡에서 수 천 명에 달하는 도적들은 숨어지내면서 검강(黔江) 유역을 따라 마을을 습격하고 노략을 일삼았다. 가정 18년(1539), 지방 소동 진압이라는 명목 하에 장경은 51,000여 명의 군대를 이끌고 등협으로부터 요족과 산적을 축출하였고, 1,350개의 수급을 획득하였으며 남녀 3,000여 명의 항복을 받았다. 이 작전은 등협 일대로 명조의 통제가 어느 정도 미치게 하였고, 명과 전쟁 직전에 있었던 안남(安南, 베트남)에도 명의 군사력을 보였다.

안남(安南)의 경우, 가정 6년(1527) 명의 조공하던 레 왕조(黎朝)가 막당중(莫登庸)에 의해 전복되었고, 막당둥은 새 황제로 등극하면서 막 왕조(莫朝)를 열었다. 명조는 축출당한 레씨들을 지지하고 찬탈자 막씨를 처벌하고자 가정 17년(1538) 원정대를 안남으로 파견하였다.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던 장경은 상소를 올려, 자신이 관할하는 병력과 자원으로는 원정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가정제는 상소를 통해 원정을 미루었지만, 다음해에 다시 원정에 착수하였다. 동의하지 않은 정책을 따라야 하는 장경은 막당중과 화친을 꾀하면서도 동시에 화친을 명군이 승리한 것으로 꾸몄다. 장경은 총대장 모백온(毛伯溫)에게 변경에 군대를 배치하되 막당중 군대와 전투는 벌이지 말 것을 지시하였다. 변경에 명군이 주둔하는 것은 막당중의 항복을 받아내기에 충분할 만큼 위협적이었다. 장경은 막당중이 명조에 항복 서신을 작성할 것을 주선하였다. 가정 19년(1540), 진남관(鎭南關)에서 막당중은 명조에 대한 항복을 선언하였다. 명조는 막당중이 안남 북부를 통치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이를 통해 큰 전쟁은 막을 수 있었다.

계속해서 장경은 광서 서부 소수민족과 해남도(海南島)를 진압하였고, 이를 통해 우도어사(右都御史) 관함을 받게 되었다. 가정 23년(1544)까지 장경은 서남 지역에 남아 있다가 부친상(丁父憂)으로 사직하였다.

2. 3. 1. 광시 등협 지역 반란 진압

양광총독(兩廣總督)으로서 장경은 명나라 서남 변경 일대 분쟁을 담당해야 했다. 당시 광시성(廣西)의 경우, 성화(成化) 원년(1465) 한옹과 가정 7년(1528) 왕양명의 대규모 진압 작전에도 불구하고, 광서 동남 지역 등협(藤峽, Rattan Gorge) 일대의 산적과 요족의 저항은 오랫동안 문제되어 왔다. 수십년 동안 등협의 우거진 협곡에서 수 천 명에 달하는 도적들은 숨어지내면서 검강(黔江) 유역을 따라 마을을 습격하고 노략을 일삼았다. 가정 18년(1539), 지방 소동 진압이라는 명목 하에 장경은 51,000여 명의 군대를 이끌고 등협으로부터 요족과 산적을 축출하였고, 1,350개의 수급을 획득하였으며 남녀 3,000여 명의 항복을 받았다. 이 작전은 등협 일대로 명조의 통제가 어느 정도 미치게 하였고, 명과 전쟁 직전에 있었던 안남(安南, 베트남)에도 명의 군사력을 보였다.

안남의 경우, 가정 6년(1527) 명의 조공하던 레 왕조막당중에 의해 전복되었고, 막당중은 스스로 새로운 막 왕조의 황제를 선언했다. 명나라 조정은 축출된 레 가문에 편을 들었고 1538년 베트남에 원정군을 파견하여 찬탈자를 처벌하려 했다.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던 장경은 황제에게 상소하여, 자신이 관할하는 병력과 자원으로는 원정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가정제는 상소 때문에 작전을 보류했지만, 이듬해 다시 거론했다. 동의하지 않는 정책을 따라야 할 의무가 있었던 장경은 막당중과의 평화를 모색하는 한편, 그 평화를 명나라의 승리로 묘사하려 했다. 그는 원정군 총사령관 모백온(모백온/毛伯溫중국어)에게 국경에 병력을 집중시키되 막군과 전투를 벌이지 말라고 조언했다. 중국군의 국경 주둔만으로도 막당중을 항복시키기에 충분했다. 장경은 막당중과 협력하여 막당중이 명나라 조정에서 수용 가능한 항복 서신을 쓰도록 했다. 결국 막당중은 1540년 진남관에서 명나라에 대한 복종을 선언했고, 명나라는 막당중이 베트남 북부를 통치하도록 허락했다. 대규모 전쟁은 회피되었다.

계속해서 장경은 광서 서부 소수민족과 하이난섬을 진압하였고, 이를 통해 우도어사(右都御史, minister of War and right censor-in-chief) 관함을 받게 되었다. 가정 23년(1544)까지 장경은 서남 지역에 남아 있다가 유교식 상례에 따라 부친의 사망을 애도하기 위해 그의 직책을 사임했다.

2. 3. 2. 베트남 막 왕조와의 외교적 해결

안남(安南, 베트남)의 경우, 가정 6년(1527) 명의 조공하던 레 왕조(黎朝, Lê dynasty)가 막당중(莫登庸, Mạc Đăng Dung)에 의해 전복되었고, 막당둥은 새 황제로 등극하면서 막 왕조(莫朝, Mạc dynasty)를 열었다. 명조는 축출당한 레씨들을 지지하고 찬탈자 막씨를 처방하고자 가정 17년(1538) 원정대를 안남으로 파견하였다.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던 장경은 상주문을 올려, 자신이 관할하는 병력과 자원으로는 원정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가정제는 상주문을 통해 원정을 미루었지만, 다음해에 다시 원정에 착수하였다. 동의하지 않은 정책을 따라야 하는 장경은 막당중과 화친을 경성하면서도 동시에 화친을 명군이 승리한 것으로 꾸몄다., 장경은 총대장 모백온(毛伯溫)에게 변경에 군대를 배치하되 막당중 군대와 전투는 벌이지 말 것을 지시하였다. 변경에 명군이 주둔하는 것은 막당중의 항복을 받아내기에 충분할 만큼 위협적이었다. 장경은 막당중이 명조에 항복 서신을 작성할 것을 주선하였다., 가정 19년(1540), 진남관(鎭南關, Zhennan Pass, Trấn Nam Quan)에서 막당중은 명조에 대한 항복을 선언하였다. 명조는 막당중이 안남 북부를 통치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이를 통해 큰 전쟁은 막을 수 있었다.

베트남에서는 레 왕조가 통치하는 명나라의 조공국이 1527년 막당중에 의해 전복되었고, 막당중은 스스로 새로운 막 왕조의 황제를 선언했다. 베이징의 명나라 조정은 축출된 레 가문에 편을 들었고 1538년 베트남에 원정군을 파견하여 찬탈자를 처벌하려 했다. 장경은 현지 상황을 예리하게 인식하고 있었기에, 그의 영토 지휘하의 인력과 자원이 그러한 작전을 지원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황제에게 상소하여 전쟁을 반대했다.

가정제는 상소 때문에 작전을 보류했지만, 이듬해 다시 거론했다. 동의하지 않는 정책을 따라야 할 의무가 있었던 장경은 막당중과의 평화를 모색하는 한편, 그 평화를 명나라의 승리로 묘사하려 했다., 그는 원정군 총사령관 모백온(毛伯溫중국어)에게 국경에 병력을 집중시키되 막군과 전투를 벌이지 말라고 조언했다. 중국군의 국경 주둔만으로도 막당중을 항복시키기에 충분했다. 장경은 막당중과 협력하여 막당중이 명나라 조정에서 수용 가능한 항복 서신을 쓰도록 했다., 결국 막당중은 1540년 진남관에서 명나라에 대한 복종을 선언했고, 명나라는 막당중이 베트남 북부를 통치하도록 허락했다. 대규모 전쟁은 회피되었다.

2. 4. 왜구 토벌과 죽음

가정 33년(1554년) 양력 6월 17일, 장경은 총독강남•강북•절강•산동•복건•호광제군(總督江南•江北•浙江•山東•福建•湖廣諸軍)에 임명되어 연안 6개 성을 관할하게 되었다. 그는 군사 업무에 집중하기 위해 남경병부상서 직무에서 해임될 것을 요청하였고, 양력 11월 8일에 요청이 받아들여졌다.

당시 동부 해안은 왜구의 공격에 시달리고 있었다. 장경은 상해 동남부 자림(柘林)에 있는 왜구의 근거지를 공격하기 위해 산동, 광서, 호광(湖廣)에서 보강 병력을 소환하였다. 6천 명의 산동 용병이 먼저 도착했지만, 왜구에게 대패하여 해산되었다. 장경은 11,000명에 이르는 광서성 장족(壯族)의 '낭병(狼兵)'을 소환하여 병력이 도착하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장경의 무기력함은 비판을 받았다.

가정제는 장경에게 진군을 명하는 한편, 병부시랑(兵部侍郞) 조문화를 절강에 파견하여 군대를 통솔하게 하고 장경에게 출병을 재촉하게 하였다. 장경은 조문화보다 자신의 관직이 높았기 때문에 그와 협력하는 것을 거절하였다. 그러나 조문화는 수보대학사 엄숭의 부하였기 때문에 영향력이 컸다. 조문화는 장경에게 왜구 소탕을 지시했지만, 장경은 반대하였고, 심지어는 조문화와 전략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 이에 조문화는 장경이 사익을 위해 작전 수행을 고의로 미루고 있다는 보고를 올렸다. 일각에서는 조문화가 엄숭의 후광을 입고 장경에게 뇌물을 요구하였으나 장경이 거절하자, 호종헌에게 장경을 탄핵할 것을 지시하였다고 한다.

장경은 지원병을 기다리면서 자림에 주둔한 왜구들을 굶겨 자림에서 나오게 하려는 계획이었다. 가정 34년(1555년) 4월 20일(양력 5월 10일), 왜구들은 자림을 떠났고, 명군은 가흥현(嘉興縣) 북쪽 왕강경에서 잠복해 있다가 왜구들을 습격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이 전투에서 장경은 부총(副總) 유대유, 참장(參將) 노당, 참장 탕극관 등과 함께 수군과 육군을 거느리는 한편, 낭병을 이끌고 왜구를 공격하였다. 탕극관은 수군을 거느리고 중간에 출격하였으며, 유대유와 노당은 전후로 협공하여 석당만(石塘灣), 천사와(川沙洼), 왕강경(王江涇)에서 대승을 거두었고 적 1900여 명을 참살하였으며, 왜구 5천 명을 생포하였다. 역사에서는 이를 '왕강경대첩'이라고 칭한다.

대승에도 불구하고 조문화의 장경 탄핵 상주가 북경에 도착하였다. 조문화의 후견인 엄숭은 가정제에게 왕강경 대승은 장경이 왜구 소탕 능력이 충분히 있었다는 증거이며, 그럼에도 장경은 조문화로부터 비난을 듣고 나서야 공격을 가하였다고 말하였다. 가정제는 대노하였고, 그해 5월 17일(양력 6월 5일) 장경을 체포할 것을 지시하였다. 가정제는 왜구 퇴치에 적극 힘쓰지 않았다는 죄명으로 장경을 체포하였다. 엄숭은 하오에게 장경과 이천총을 사형에 처하라는 뜻을 전달했다. 10월 초1일, 장경, 탕극관, 이천총, 양계성 등은 서시(西市)에서 처형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대부분 장경이 억울하게 죽었다고 하였다.

2. 5. 사후

엄숭의 장경에 대한 고소는 엄숭의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대학사(大學士) 서계와 여본의 승인도 있었다. 이들은 왜구의 피해를 입은 강남(江南) 출신으로 장경의 지휘 상황을 잘 알고 있었다. 장경은 북경으로 소환되자 세 대학사에게 1만여금의 뇌물을 주려 하였으나 거절당했다. 가정제는 장경을 태만의 본보기로 삼고자 변명에도 불구하고 사형에 처하였다. 가정 32년(1555) 11월 12일, 장경은 엄숭을 비판하던 양계성과 함께 처형되었다. 장경의 총독직은 권한이 너무 강력하여 후계자들의 관할은 남직례, 절강, 복건으로만 제한되었다.

후대 저술자들은 왕강경대첩에도 불구하고 장경이 사형당한 것을 비극으로 여겼다. 세 대학사의 만장일치에도 불구하고, 많은 저술자들은 장경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엄숭과 조문화에게 돌렸다. 만력 28년(1600) 7월 5일, 장경에 대한 혐의가 벗겨지고 공식 직함이 회복되었으며, 양민(襄敏)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3. 평가

참조

[1] 서적 『명사(明史)』 卷308 「엄숭열전(嚴嵩列傳)」
[2] 간행물 『가정동남평왜통록(嘉靖東南平倭通錄)』 기록
[3] 간행물 『헌징록(獻徵錄)』 卷16 「대학사서공계전(大學士徐公階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