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명 (192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인명은 1923년에 태어나 2012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에 입대하여 해병대 창설 멤버가 되었고,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해병대 주요 직위를 역임했다. 1963년 해병대 준장으로 예편한 후 정치에 입문하여 민주당, 공화당, 신민당, 민한당 등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으나, 정치적 문제로 계급 강등과 복권을 겪었다. 말년에는 미국으로 이민하여 한인회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199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대중의 군 복무 관련 증언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병 준장 - 오정근 (1929년)
오정근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관료로, 해병대 중령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 수산청장과 국세청장을 역임하고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세수 증대 기여와 민주주의 후퇴 기여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 민주한국당 당원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민주한국당 당원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 영주시 출신 - 최교일
최교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검사로 임관하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을 거쳐 변호사로 개업 후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법률 관련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성추문 은폐 및 스트립바 방문 강요 논란, 세비 반납 공약 파기 논란 등에 휩싸였다. - 영주시 출신 - 원세훈 (1951년)
원세훈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특별시청에서 공직을 시작해 강남구청장,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가정보원장을 지냈으나,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건설업자 금품 수수, 국정원 예산 횡령 혐의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022년 특별감형되었다.
송인명 (192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송인명 |
한자 표기 | 宋寅明 |
출생일 | 1923년 1월 18일 |
사망일 | 2012년 9월 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주군 안정면 |
사망지 | 미국 뉴욕 주 뉴욕 시티 |
군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
복무 기간 | 1946년 ~ 1963년 |
최종 계급 | [[파일:ROKMC-OF-6.svg|25px]] 대한민국 해병 준장 |
소속 | 해병대 진해교육기지사령부 |
지휘 | 해병대 진해교육기지사령부 부사령관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한국 전쟁 |
학력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
기타 정보 | |
정당 | 무소속 |
2. 생애
송인명은 광복 이후 미 군정 시기인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고, 이후 해병대 창설에 기여하였다. 1963년 해병대 준장으로 예편한 후 정치에 투신하였으나, 대학생 반혁명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강등되기도 하였다.[1][2] 1980년대에는 신민당, 민한당, 민정당 등 여러 정당을 거쳤지만, 결국 정치적 뜻을 이루지 못하고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1988년에는 복권되었고,[3] 미국에서 한인회 활동을 하다 2012년 뉴욕에서 사망하였다.[4][5]
2. 1. 군 복무
1946년 2월 조선해안경비대에 입대하여 소위로 임관했고, 이후 해병대 창설 멤버가 되었다. 한국전쟁 시기에는 해병대 목포경비사령부 부참모장을 역임했으며, 휴전 후에는 해병대 묵호기지사령부 참모장, 해병대 제1연대장, 해병대 진해교육기지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다가 1963년 1월 15일 해병대 준장으로 예편했다.[1][2]2. 2. 정치 활동
1963년 1월 예편 직후 정치계에 투신하여 같은 해 2월 민주당 창당준비대회 대표로 위촉되었다. 이후 공화당에 입당하여 경북 영덕·청송 지구당 위원장에 임명되었으나, 공화당을 탈당하였다. 그해 10월 대학생 반혁명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1964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고 예비역 이등병으로 강등되었다.[1][2]1980년 신민당에 입당했지만, 같은 해 당내 갈등으로 탈당하였다. 1988년 6월, 정치적 문제로 강등되었던 장성들과 함께 계급이 복권되어 예비역 준장으로 복귀하였다.[3] 민한당에 입당하였으나 당내 사정으로 탈당하였고, 민정당 공천 신청에서 탈락한 후 민정당을 탈당하고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미국 동부지역 한인회에서 활동하였으며,[4] 2012년 9월 5일 미국 뉴욕에서 사망하였다.[5]
3. 학력
3. 1. 김대중 병역 논란 관련 증언
1997년 대선을 앞두고 김대중 후보가 군 복무 시비에 휘말렸을 때, 송인명은 김대중이 목포해상방위대에서 복무했다는 사실을 증언했다.[6] 그러나 일각에서는 송인명의 증언이 공식 문서가 아니며, 김대중은 해군에 공식 복무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한다.[7]참조
[1]
뉴스
一部學生反革命隂謀의背後人物 宋寅明{豫備役准將}체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3-11-11
[2]
뉴스
宋寅明에執猶 反革命사건宣告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4-07-02
[3]
뉴스
강등將星등 兵籍회복 병역법改正법률 발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8-06-30
[4]
뉴스
송인명 미동부영남향후회 신임 회장
http://www.koreatime[...]
미주한국일보
2003-02-20
[5]
게시판
재미 워싱톤 해병대전우회 게시판
http://www.rokmcmvd.[...]
[6]
뉴스
'金총재 군복무증언록' 공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8-23
[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pds24.egloos.[...]
2011-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