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영 계영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영 계영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대한민국 수영 선수들이 800m 계영 종목에서 세운 기록의 변천사를 다룬다. 1960년 남자부에서 최초 기록이 수립된 이후, 1970년대 기록 단축 시기를 거쳐 1980년대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했다.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메달을 획득하고,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기록이 발전했다. 여자부 역시 1966년 최초 기록 이후, 1970년대 기록 단축과 1980년대 국제 경쟁력 강화, 1990년대 이후 꾸준한 발전이 있었다.

2. 남자부

1960년 9월 9일, 서울특별시 서울운동장 야외풀에서 열린 제5회 남녀 종합 수상 선수권 대회에서 김경환, 우후낙, 정관주, 김봉조 선수로 구성된 선발팀이 10분 8초 4의 기록으로 대한민국 남자 계영 800m 첫 기록을 세웠다.[1] 이후 1970년 10월 11일 제51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서울팀이 9분 47초 1로 기록을 단축했다.[2]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한민국 수영 계영 800m 기록 단축이 본격화되었다. 1970년 제51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서울팀이 9분 47초 1을 기록하며 종전 기록(9분 56초 6)을 경신했다.[2] 1971년에는 조오련, 노창수 등이 활약한 양정고가 제17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 대회에서 9분 30초 3을 기록하며 9분 41초 1의 벽을 넘었다.[3]

1976년 제31회 전국 남녀 초중고대학 대항 수영 대회에서 해군이 9분 14초 32를 기록, 9분 23초 37이었던 종전 기록을 깨고 9분 벽을 돌파했다.[4] 이후 1979년 제60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경기도 대표가 8분 56초 41을 기록하며 8분 58초 84였던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5]

1980년대는 대한민국 남자 수영 800m 계영이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한 시기이다. 1980년 경북고는 제35회 전국 남녀 초중고대학 및 일반별 대항 수영 대회에서 8분 51초 81을 기록했고,[6] 같은 해 안양신성고는 제52회 동아수영대회에서 8분 46초 75를 기록하며 기록을 단축했다.[7] 1981년에는 경북고가 제36회 전국 초중고대학일반대항별 수영 대회에서 8분 42초 61로 다시 한번 기록을 경신했다.[8]

1982년 전국체육대회에서는 강원 대표팀이 8분 40초 96, 경남 대표팀이 8분 37초 59를 기록하며 경쟁이 심화되었다.[9] 경기고는 같은 해 제54회 동아수영대회에서 8분 36초 14를 기록했다.[10] 1983년 춘천기계공고는 제38회 전국 수영 대회에서 8분 28초 80의 기록을 세웠다.[11]

1984년 제2회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8분 08초 51을 기록하며 국제 대회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다.[12] 이후 1986년 수영대표공인기록회에서 대표팀은 8분 05초 73을 기록했다.[13]

1990년 베이징에서 열린 제11회 아시안 게임에서 지상준, 임철성, 권상원, 이윤안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대표팀이 7분 46초 83의 기록으로 3위를 차지하며 대한민국 남자 수영 계영 800m 역사상 첫 아시안 게임 메달을 획득했다.[14] 이는 1986년 수영대표공인기록회에서 박상욱, 권상원, 이훈철, 김진명이 기록한 8분 05초 73을 갱신한 기록이다.[13] 1993년 5월 11일 상하이에서 열린 제1회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우철, 방승훈, 이윤안, 김동현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7분 38초 59로 3위를 기록, 종전 7분 43초 66을 갱신했다.[15]

2002년 제14회 아시안 게임에서 최원일, 고윤호, 김방현, 한규철 선수로 구성된 대표팀은 7분 29초 36을 기록했다. 2005년 제4회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한규철, 박태환, 유정남, 한국인이 7분 25초 61로 2위를 차지했다. 2006년 제15회 아시안 게임에서는 임남균, 한규철, 강용환, 박태환이 7분 23초 61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 1. 초기 기록 (1960년대)

1960년 9월 9일, 서울특별시 서울운동장 야외풀에서 열린 제5회 남녀 종합 수상 선수권 대회에서 김경환, 우후낙, 정관주, 김봉조 선수로 구성된 선발팀이 10분 8초 4의 기록으로 대한민국 남자 계영 800m 첫 기록을 세웠다.[1] 이후 1970년 10월 11일 제51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서울팀이 9분 47초 1로 기록을 단축했다.[2]

2. 2. 기록 단축 (1970년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한민국 수영 계영 800m 기록 단축이 본격화되었다. 1970년 제51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서울팀이 9분 47초 1을 기록하며 종전 기록(9분 56초 6)을 경신했다.[2] 1971년에는 조오련, 노창수 등이 활약한 양정고가 제17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 대회에서 9분 30초 3을 기록하며 9분 41초 1의 벽을 넘었다.[3]

1976년 제31회 전국 남녀 초중고대학 대항 수영 대회에서 해군이 9분 14초 32를 기록, 9분 23초 37이었던 종전 기록을 깨고 9분 벽을 돌파했다.[4] 이후 1979년 제60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경기도 대표가 8분 56초 41을 기록하며 8분 58초 84였던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5]

2. 3. 국제 경쟁력 강화 (1980년대)

1980년대는 대한민국 남자 수영 800m 계영이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한 시기이다. 1980년 경북고는 제35회 전국 남녀 초중고대학 및 일반별 대항 수영 대회에서 8분 51초 81을 기록했고,[6] 같은 해 안양신성고는 제52회 동아수영대회에서 8분 46초 75를 기록하며 기록을 단축했다.[7] 1981년에는 경북고가 제36회 전국 초중고대학일반대항별 수영 대회에서 8분 42초 61로 다시 한번 기록을 경신했다.[8]

1982년 전국체육대회에서는 강원 대표팀이 8분 40초 96, 경남 대표팀이 8분 37초 59를 기록하며 경쟁이 심화되었다.[9] 경기고는 같은 해 제54회 동아수영대회에서 8분 36초 14를 기록했다.[10] 1983년 춘천기계공고는 제38회 전국 수영 대회에서 8분 28초 80의 기록을 세웠다.[11]

1984년 제2회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8분 08초 51을 기록하며 국제 대회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다.[12] 이후 1986년 수영대표공인기록회에서 대표팀은 8분 05초 73을 기록했다.[13]

2. 4. 아시안 게임 메달 획득 (1990년대)

1990년 베이징에서 열린 제11회 아시안 게임에서 지상준, 임철성, 권상원, 이윤안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대표팀이 7분 46초 83의 기록으로 3위를 차지하며 대한민국 남자 수영 계영 800m 역사상 첫 아시안 게임 메달을 획득했다.[14] 이는 1986년 수영대표공인기록회에서 박상욱, 권상원, 이훈철, 김진명이 기록한 8분 05초 73을 갱신한 기록이다.[13]

2. 5.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대한민국 남자 수영 800m 계영은 꾸준히 발전했다. 2002년 제14회 아시안 게임에서 최원일, 고윤호, 김방현, 한규철 선수로 구성된 대표팀은 7분 29초 36을 기록했다. 2005년 제4회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한규철, 박태환, 유정남, 한국인이 7분 25초 61로 2위를 차지했다. 2006년 제15회 아시안 게임에서는 임남균, 한규철, 강용환, 박태환이 7분 23초 61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여자부

1966년 6월 18일 제12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대항 수영 경기 대회에서 조남효, 허영애, 장은기, 박계남 선수 (상명여고)가 13분 07초 0의 기록으로 여자부 첫 기록을 세웠다.[16] 이후 1966년 7월 17일 제 회 전국 각급 학교 대항 수상 경기 대회에서 상명여고 팀은 12분 59초 4로 기록을 단축했다.[17] 같은 해 9월 3일 제11회 전국 남녀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조남효, 박계남, 이정순, 남상필 선수 (상명여고)는 12분 24초 4로 다시 한번 기록을 경신했다.[18]

1970년대에 들어 여자부 수영 기록도 꾸준히 단축되었다. 1970년 7월 5일에는 제16회 서울시 남녀 중고대학별 수영 대회에서 상명여고가 11분 12초를 기록했다.[19] 1975년 7월 4일 제7회 해군참모총장배 쟁탈 전국 남녀 초중고교 수영 대회에서 최연숙, 변경숙 등이 소속된 근명여고는 10분 41초 2를 기록했다. 이는 종전 기록 10분 53초 8을 넘어선 기록이다. 1976년 7월 18일 제31회 전국 남녀 초중고대학 대항 수영 대회에서 근명여상은 10분 23초 55를 기록하며 10분 벽 돌파를 눈앞에 두었다.[20] 1976년 8월 7일 제8회 해군참모총장배쟁탈전국초중고수영대회에서 이태희, 구정희, 김활란, 신정수가 소속된 대성여상은 10분 14초 82를 기록하였다.[21] 1976년 8월 23일 제48회 전국남녀학생수영대회에서 최연숙이 소속된 근명여상은 10분 13초 99를 기록하였다.[22] 1976년 10월 14일 제57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근명여상은 10분 08초 56을 기록했다.[23] 이후에도 기록 단축은 이어져 1978년 7월 9일 제 33회 전국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대회에서 김영희, 이태희, 김건자, 구정희가 소속된 대성여상이 9분 52초 61로 10분벽을 깼다.[24] 1978년 8월 4일 제10회 해군참모총장배 남녀 초중고 수영 대회에서 김영희, 이태희, 김건자, 구정희가 소속된 대성여상은 9분 50초 35를 기록하였다.[25] 1979년 7월 16일 제34회 전국 종별 수영 대회에서 상명여중은 9분 38초 10을 기록하였다.[26] 1980년 6월 29일 제26회 서울시초중고대학및일반수영대회에서 상명여중은 9분 21초 69를 기록하였다.[27] 이후에도 계속 기록을 단축하여 1980년 8월 11일에 열린 제 52회 동아수영대회에서 김금희, 송영미, 김선회, 이시은이 소속된 상명여중은 9분 18초 84를 기록하였다.[28]

1980년대 대한민국 여자 수영 계영 800m는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했다. 1985년 7월 25일 제13회 해군참모총장배 전국 수영 대회에서 백주영, 나엄미, 조금현, 김정희가 소속된 대성여상은 9분 09초 02를 기록했다.[29] 1989년 8월 30일 제8회 대통령기 전국 수영 대회에서 이문희, 양한나, 김연미, 김은정으로 구성된 서울팀은 8분 49초 12를 기록했다.[30]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 여자 수영 800m 계영은 꾸준히 발전하였다. 1991년 8월 24일 제4회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이문희, 이창하, 최은미, 이은주로 구성된 대표팀은 8분 44초 13을 기록했다. 같은 해 10월 9일 제72회 전국 체육 대회 (여고부)에서는 김수진, 이미라, 이은주, 이지영이 부산 대표로 출전하여 8분 43초 09를 기록하며 한국 기록을 경신했다. 1992년 9월 19일 제11회 대통령기 전국 수영 대회에서는 사직여고의 김수진, 이지영, 이보은, 이은주가 8분 41초 68로 다시 한번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31] 1993년 8월 13일 93범태평양 수영대회에서 이창하, 정원경, 서현우, 정유진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8분 35초 78로 5위를 기록했다. 1999년 10월 14일 제80회 전국체육대회에서는 노주희, 정은나, 이지현, 조희연으로 구성된 서울 선발팀이 8분 20초 55로 여고부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32] 2002년 제14회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하은주, 김예슬, 김현주, 심민지 선수로 구성된 대표팀은 8분 19초 62를 기록했다. 2005년 11월 3일 제4회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서연정, 이지은, 박나리, 정애현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8분 12초 30으로 2위를 기록했다. 2009년 12월 7일 제5회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김정혜, 박나리, 김서영, 이재영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8분 07초 73으로 3위를 기록했다.[33]

3. 1. 초기 기록 (1960년대)

1966년 6월 18일 제12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대항 수영 경기 대회에서 조남효, 허영애, 장은기, 박계남 선수 (상명여고)가 13분 07초 0의 기록으로 여자부 첫 기록을 세웠다.[16] 이후 1966년 7월 17일 제 회 전국 각급 학교 대항 수상 경기 대회에서 상명여고 팀은 12분 59초 4로 기록을 단축했다.[17] 같은 해 9월 3일 제11회 전국 남녀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조남효, 박계남, 이정순, 남상필 선수 (상명여고)는 12분 24초 4로 다시 한번 기록을 경신했다.[18]

3. 2. 기록 단축 (1970년대)

1970년대에 들어 여자부 수영 기록도 꾸준히 단축되었다. 1975년 7월 4일 제7회 해군참모총장배 쟁탈 전국 남녀 초중고교 수영 대회에서 최연숙, 변경숙 등이 소속된 근명여고는 10분 41초 2를 기록했다.[19] 이는 종전 기록 10분 53초 8을 넘어선 기록이다. 1976년 7월 18일 제31회 전국 남녀 초중고대학 대항 수영 대회에서 근명여상은 10분 23초 55를 기록하며 10분 벽 돌파를 눈앞에 두었다.[20] 이후에도 기록 단축은 이어져 1978년 7월 9일 제 33회 전국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대회에서 김영희 이태희 김건자 구정희가 소속된 대성여상이 9분 52초 61[24]로 10분벽을 깼다. 이후에도 계속 기록을 단축하여 1980년 8월 11일에 열린 제 52회 동아수영대회에서 김금희, 송영미, 김선회, 이시은이 소속된 상명여중은 9분 18초 84를 기록하였다.[28]

3. 3. 국제 경쟁력 강화 (1980년대)

1980년대 대한민국 여자 수영 계영 800m는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했다. 1980년 8월 11일 제52회 동아수영대회에서 김금희, 송영미, 김선회, 이시은이 소속된 상명여중 팀은 9분 18초 84를 기록했다.[28] 1985년 7월 25일 제13회 해군참모총장배 전국 수영 대회에서 백주영, 나엄미, 조금현, 김정희가 소속된 대성여상은 9분 09초 02를 기록했다.[29]

3. 4. 1990년대 이후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 여자 수영 800m 계영은 꾸준히 발전하였다. 1991년 8월 24일 제4회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이문희, 이창하, 최은미, 이은주로 구성된 대표팀은 8분 44초 13을 기록했다.[30][31] 같은 해 10월 9일 제72회 전국 체육 대회 (여고부)에서는 김수진, 이미라, 이은주, 이지영이 부산 대표로 출전하여 8분 43초 09를 기록하며 한국 기록을 경신했다.[31] 1992년 9월 19일 제11회 대통령기 전국 수영 대회에서는 사직여고의 김수진, 이지영, 이보은, 이은주가 8분 41초 68로 다시 한번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31] 1993년 8월 13일 93범태평양 수영대회에서 이창하, 정원경, 서현우, 정유진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8분 35초 78로 5위를 기록했다.[32] 1999년 10월 14일 제80회 전국체육대회에서는 노주희, 정은나, 이지현, 조희연으로 구성된 서울 선발팀이 8분 20초 55로 여고부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다.

4.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9종목에 한국신'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09-10
[2] 뉴스 '51회 국체 한국 신기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0-10-12
[3] 뉴스 '수영서 한국신 8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1-06-21
[4] 뉴스 최윤정(은석국교) 한국신 경향신문 1976-07-19
[5] 뉴스 '수영 궁도 사격서 한국신 또 12'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10-15
[6] 뉴스 김금희 또 한국신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0-07-22
[7] 뉴스 '한국신 18, 대회신 55개 쏟아져'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0-08-12
[8] 뉴스 경북고 계영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1-07-20
[9] 뉴스 수영 신기록 풍작, 서울 종합 1위 한국일보 1981-10-13
[10] 뉴스 '첫날에만 6, 김금희 물속을 나비처럼 혼자 3' 동아일보 1982-08-03
[11] 뉴스 '한국신 9, 대회신 151개'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83-04-25
[12] 뉴스 '중공 독무대 금 7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4-30
[13] 뉴스 수영 한국新 풍년 http://dna.naver.com[...] 매일경제신문 1986-07-19
[14] 뉴스 '한국신 3초82 단축'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0-09-25
[15] 뉴스 '여자 배드민턴 일 꺾고 결승'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3-05-12
[16] 뉴스 '수영에 한국신 7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6-06-20
[17] 뉴스 '수영 여자부 큰 향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6-07-18
[18] 뉴스 '한국신 10, 대회신 14'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6-09-05
[19] 뉴스 조오련(양정) 한국신 셋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0-07-06
[20] 뉴스 최윤정(은석국교) 한국신 동아일보 1976-08-09
[21] 뉴스 여고 계영 8백m 한국신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76-08-09
[22] 뉴스 한우영 또 한국신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76-08-24
[23] 뉴스 열띤 중반전 신기록 풍년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6-10-15
[24] 뉴스 조진아, 배영 200m 한국신 경향신문 1978-07-10
[25] 뉴스 충북 대성여상팀 계영 800m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8-08-05
[26] 뉴스 자유형 100m(여자) 한국신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9-07-17
[27] 뉴스 김금희, 접영 한국신 경향신문 1980-06-30
[28] 뉴스 신기록 러시, 한국신 18 동아일보 1980-08-12
[29] 뉴스 여고 계영 800m서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5-07-26
[30] 뉴스 "池상준 배영 100m서 韓國新"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9-08-31
[31] 뉴스 여자 계영 800m 한국신기록 물살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2-09-20
[32] 뉴스 수영 여자계영 800m 1년만에 한국신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9-10-15
[33] 웹사이트 Hong Kong - 2009 East Asian Games : Swimming Results http://2009eagarchi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