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숙효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효황후는 명나라 경태제의 황후이다. 본래 예왕 주기옥의 측실이었으며, 경태제 즉위 후 귀비로 봉해졌다. 아들 주견제가 태자가 된 후 왕씨를 폐하고 황후가 되었으나, 아들이 요절하고 경태제마저 폐위되면서 시호가 추탈되었다. 영종 복위 후에는 능묘가 파헤쳐지고 친족이 폄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56년 사망 - 한확
    한확은 조선 초 문신으로, 명나라 외교에서 활약하며 세종 대에 사신으로 공물 면제를 주청하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어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조의 명나라 책봉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명나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 1456년 사망 - 순평군
    순평군은 조선 정종의 서자로 순평군에 봉해졌으며, 순창 설씨와 혼인하여 자녀를 두고 유배, 파면, 복권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학문을 시작하여 효경을 배우고 사망하여 시호는 충간이다.
  • 폐위된 왕·황후 -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프랑스 왕 루이 16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사치스러운 생활과 정치적 관여로 프랑스 혁명 시기 비난을 받아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나, 최근에는 재평가되고 있다.
  • 폐위된 왕·황후 - 캐서린 하워드
    헨리 8세의 다섯 번째 왕비 캐서린 하워드는 자유분방한 성격과 과거 행실, 간통 혐의로 런던탑에서 참수당한 잉글랜드 귀족 여성으로, 그녀의 삶은 권력 다툼과 여성의 불안정한 지위를 보여주는 비극적인 사례이며 초상화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명나라의 황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황후 - 인효문황후
    명나라 영락제의 황후 인효문황후는 서달의 딸로 학문을 좋아했으며, 정난의 변 당시 베이징을 지키고 황후가 된 후 문화 사업에 힘쓰며 불교 관련 사업을 지원했다.
숙효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항온현(沆穩賢)
시호숙효황후(肅孝皇后)
씨족항(杭)씨
아버지항욱(杭昱)
배우자경태제
자녀회헌태자(懷獻太子) 주견제
생애
즉위 (황후)경태(景泰) 3년 5월 2일 (1452년 5월 20일)
폐위 (황후)경태(景泰) 7년 2월 21일 (1456년 3월 26일)
사망경태(景泰) 7년 2월 21일 (1456년 3월 26일)
사망 장소순천부, 자금성
매장지청릉(清陵)
기타
재위 기간1452년 ~ 1456년
계승왕황후
계승자효장예황후
추증 시호숙효황후(肅孝皇后)

2. 생애

항씨는 서민 항욱의 딸로 태어났다. 정통 연간에 예왕 주기옥(훗날의 경태제)의 저택에 들어가 측실이 되었다. 주견제朱見濟|주견제중국어를 낳았고, 토목의 변으로 경태제가 즉위하자 귀비가 되었다.

경태 3년 (1452년), 경태제는 조카 황태자 주견심(훗날의 성화제)을 폐하고, 친아들 주견제를 황태자로 세우려 했다. 왕황후가 반대했지만, 경태제는 격노하여 왕씨를 폐하고 항씨를 황후로 세웠다. 아버지 항욱은 정3품 지휘사에 봉해졌다. 그러나 이듬해 주견제는 요절했다. 경태 7년 (1456년) 2월, 항황후는 붕어했다. '''숙효황후'''(肅孝皇后)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탈문의 변 이후, 중조한 영종은 친아들 주견심이 폐태자가 된 원한을 잊지 않고, 항씨의 시호를 박탈하고, 항씨의 능묘를 파헤치고, 항씨의 친족을 폄하했다.

2. 1. 황후 이전

항씨는 원래 성왕(郕王) 주기옥의 측실이었다. 토목의 변으로 주기옥이 경태제로 즉위하자 귀비로 진봉되었고, 황자 주견제를 태자로 바꾼 후에는 황후 왕씨를 폐하고 황후가 되었다.[1] 그러나 몇 달 못가 황태자 주견제는 세상을 떠났고, '''회헌태자'''(懷獻太子)라는 시호를 받았다.[1] 경태 7년(1456년)에 황후 항씨도 붕어하였다.[1]

2. 2. 황후 시절과 죽음

항씨는 성왕(郕王) 주기옥의 측실이었다. 토목의 변으로 인해 주기옥이 경태제로 즉위하자 귀비로 진봉되었고, 황자 주견제를 태자로 책봉한 후에는 황후 왕씨를 폐하고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몇 달 못가 황태자 주견제는 세상을 떠났고, 회헌태자(懷獻太子)라는 시호를 받았다. 경태 7년(1456년)에 황후 항씨도 붕어하였다.[1] 황후가 죽은 지 1년쯤에 경태제가 폐위당하고, 회헌태자는 세자(世子)로 격하되었으며, 황후 항씨도 그 지위를 추탈당했다.[1]

시호는 숙효황후(肅孝皇后)이나,[1] 경태제가 폐위당한 이후로 황후의 시호도 추탈되었다. 능묘는 미상이다.[1]

2. 3. 사후

경태제가 폐위된 후, 항씨는 황후의 시호가 추탈되었고, 능묘는 미상이다.

3. 자녀

경태제의 유일한 아들 주견제(회헌태자)를 낳았으나, 1453년에 요절하였다. 회헌태자는 시호이다.[1]

4. 기타

경태제의 황후였던 항씨는 경태제가 폐위된 후 황후 지위와 시호가 추탈되었으며, 능묘는 알려지지 않았다.

4. 1. 드라마

2016년 중국 드라마 여의 명비전에서 류스스가 숙효황후를 연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