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연경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연경황후는 명나라 경태제의 황후이다. 왕씨는 1445년 경태제와 혼인하여 성왕비가 되었고, 경태제가 즉위하면서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경태제가 조카를 폐하고 친아들을 황태자로 세우려 하자 반대하다 폐위되었으며, 탈문의 변 이후 예왕비로 강등되었다. 1507년에 사망한 후 정덕제에 의해 황후로 복원되었고, 사후 정혜안화경황후의 시호를 받았다. 남명 시대에는 효연숙의정혜안화보천공성경황후로 시호가 추가되었으며, 능묘는 경태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7년 사망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1507년 사망 - 호소카와 마사모토
호소카와 마사모토는 무로마치 막부 말기의 세키가와 가문 당주이자 관령으로, 명응의 정변을 통해 쇼군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기행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호소카와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후계자 문제로 인한 암살 사건으로 요절하여 가문이 쇠락하게 되었다. - 1427년 출생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1427년 출생 - 심주
심주는 중국 명나라 시대의 화가, 서예가, 문인으로 시, 서예, 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산수화와 화훼화에 뛰어났고 오파를 창시하여 문인화 발전에 기여했다. - 명나라의 추존황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추존황후 - 효원정황후
효원정황후는 명나라 황족으로 만력제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태창제의 태자비가 되었으나, 태창제 즉위 전에 사망 후 아들인 천계제에 의해 황후로 추존되었다.
| 효연경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휘 | 왕씨 (汪氏) |
| 출생 | 선덕 2년 (1427년) |
| 출생지 | 순천부 |
| 사망 | 정덕 원년 12월 23일 (1507년 1월 5일) |
| 사망지 | 순천부 |
| 능묘 | 경태릉 |
| 씨족 | 왕 (汪) |
| 아버지 | 왕영 (汪瑛) |
| 배우자 | |
| 배우자 | 경태제 |
| 결혼 | 1449년 ~ 1457년 (폐위) |
| 자녀 | 고안공주, 2공주 |
| 칭호 | |
| 즉위 전 | 성왕비 |
| 재위 | 황후 (1449년 ~ 1452년) |
| 시호 | 효연숙의정혜안화보천공성경황후 (孝淵肅懿貞惠安和輔天恭聖景皇后) |
2. 생애
효연경황후는 금오위 삼품 지휘사였던 왕천의 손녀로, 정통 연간에 예왕 주기옥(후의 경태제)의 정실이 되었다. 두 명의 딸을 낳았다.
몇 십 년이 지난 후, 정덕 원년 12월 23일(1507년 1월 5일)에 서거하였다.[1] 왕오의 건의로 비의 예로 장례를 치르고, 황후의 예로 제사를 지냈다. '''정혜안화경황후'''라는 간소한 시호를 받았고, 남명 홍광 원년(1645년)에 '''효연숙의정혜안화보천공성경황후'''로 시호가 고쳐졌다.
2. 1. 초기 생애와 혼인
정통 10년(1445년), 왕씨는 주기옥(朱祁钰)과 혼인하여 성왕비(郕王妃)가 되었다.[1] 토목의 변으로 남편 주기옥이 황제가 되자, 왕씨는 황후가 되었다. 왕씨는 금오위 삼품 지휘사였던 왕천의 손녀이며, 아버지 왕영은 정1품 도독에 봉해졌다.성격이 격한 여성이었지만, 현숙한 아내로서 명성이 높았다.
2. 2. 황후 시절과 폐위
정통 10년(1445년), 왕씨는 성왕(郕王) 주기옥과 혼례를 치러 성왕비(郕王妃)가 되었다. 토목의 변으로 남편 주기옥이 황제가 되자, 왕씨는 황후가 되었다.[1] 그러나 경태 3년(1452년)에 경태제는 귀비 항씨가 황자를 낳자 왕씨를 폐위하였다. 탈문의 변으로 경태제가 폐위당하자, 폐후 왕씨는 성왕비로 다시 강등되었다.[1]성격이 격했지만 현숙한 아내로서 명성이 높았다. 경태 3년(1452년), 경태제는 조카인 황태자 주견심(후의 성화제)을 폐하고, 친아들 주기제를 황태자로 세우려 했다. 왕황후는 이에 반대했지만, 경태제는 격노하여 왕씨를 폐하고, 대신 항씨(주기제의 어머니)를 황후로 세웠다(경태 연간에 사망).
2. 3. 폐위 이후
경태 3년(1452년), 경태제는 귀비 항씨가 황자를 낳자 왕씨에 대한 총애가 사라졌고, 얼마 지나지 않아 황후 왕씨를 폐위시켰다.[1] 탈문의 변으로 경태제가 폐위되자, 폐후 왕씨는 성왕비로 다시 강등되었다.[1]성격이 격한 여성이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숙한 아내로서 명성이 높았다. 경태 3년(1452년), 경태제는 조카인 황태자 주견심(후의 성화제)을 폐하고 친아들 주기제를 황태자로 세우려 했다. 왕황후는 이에 반대했지만, 경태제는 격노하여 왕씨를 폐하고, 대신 항씨(주기제의 어머니)를 황후로 세웠다(경태 연간에 사망). 탈문의 변 후, 왕씨는 예왕비로 강등되었다.
몇 십 년이 지난 정덕 원년 12월 23일(1507년 1월 5일)에 왕씨는 서거하였다.[1] 의 건의에 의해, 비의 예로 장례를 치르고, 황후의 예로 제사를 지냈다. 또한, '''정혜안화경황후'''라는 간소한 시호가 내려졌다. 남명에서 홍광 원년(1645년), '''효연숙의정혜안화보천공성경황후'''의 시호로 고쳐졌다.
3. 사후
왕씨는 사망 이후 황후로 복원되면서 정혜안화경황후(貞惠安和景皇后)로 추시되었다. 이후 남명 홍광제가 즉위하여 건문제와 경태제 일가를 복원할 때 시호를 추가하여 효연숙의정혜안화보천공성경황후(孝淵肅懿貞惠安和輔天恭聖景皇后)로 다시 추시하였다. 능묘는 금산의 경태릉(景泰陵)이다.
4. 시호
왕씨는 사후 황후로 복원되면서 정혜안화경황후(貞惠安和景皇后)로 추시되었다.[1] 이후 남명의 홍광제가 즉위하면서 건문제와 경태제 일가를 복원할 때 시호를 추가하여 효연숙의정혜안화보천공성경황후(孝淵肅懿貞惠安和輔天恭聖景皇后)로 다시 추시하였다.[1] 능묘는 금산의 경태릉(景泰陵)이다.[1]
5.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비고 |
|---|---|---|
| 공주 | 정성 공주(正成公主) | |
| 공주 | 고안군주(固安郡主) | 경태제의 첫째 딸 |
| 공주 | 경태제의 둘째 딸 | |
| 공주 | 고안공주(固安公主)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