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결하신 동정녀시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결하신 동정녀시여는 1800년대 후반 그리스 정교회 주교였던 성 아테네의 넥타리오스가 쓴 마리아 찬송가이다. 이 찬송시는 비잔틴 음악으로 편곡되어 널리 불리며, 특히 동방 정교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곡은 그리스어 원문과 여러 언어의 번역본이 있으며, 한국 정교회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성 아테네의 넥타리오스는 1800년대 후반 그리스 정교회의 주교로 서품되었다. 그는 주교 재임 기간 동안 기도와 묵상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으며, 수도 생활에 헌신했다. 그의 영적인 삶과 동정녀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헌신은 그에게 다양한 종교 시를 쓰도록 영감을 주었고, 그 중 많은 작품이 그가 살아 있을 때와 1920년 사망한 후에 출판되었다.
이 찬송가는 24개의 연(기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연 뒤에는 "하례하나이다, 비혼의 신부여(Χαῖρε νύμφη ἀνύμφευτε)"라는 후렴구가 따른다.[6] 24개의 연은 절(1, 2, 3, 4), 곡조(A, B, Γ), 반복(α, β)으로 구분된다.
2. 역사
그가 쓴 많은 시 중 하나는 "아그니 파르테네" 또는 "순결하신 동정녀시여"이다. 아테네 섬에 전해지는 전설에 따르면, 성 넥타리오스는 꿈에서 테오토코스를 뵙고 이 시를 기록해 달라는 요청을 받은 후 이 시의 내용을 썼다고 한다. 이 시는 9개의 곡조를 가진 정경과 매우 유사하게 쓰여졌다. 이 원고는 그의 수도원 침실에 있는 그의 기도 탁자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이 시는 나중에 1905년 그의 저서인 "지극히 거룩하신 테오토코스이자 영원한 동정녀 마리아를 위한 시와 찬송의 테오토카리온"에 비전례적인 사용과 개인적인 교화를 위한 시적 찬송가로 출판되었으며, 여기에는 다른 많은 유사한 시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이 시의 후렴구를 포함한 선별된 구절은 그리스 아토스 산의 시몬페트라 수도원에서 비잔틴 음악 표기법으로 설정되었다. 그 결과 "순결하신 동정녀"라는 비잔틴 그리스어 찬송가가 탄생했다. 수도원은 이 작품을 ''프살티리온 테르프논'' (프살티리온 테르프논/Ψαλτήριον Τερπνὸνgrc, "즐거운 시편")이라는 책으로 출판했다.
2. 1. 성 네크타리오스와 원문
성 아테네의 넥타리오스는 19세기 후반 그리스 정교회의 주교였다. 그는 주교 재임 기간 동안 기도와 묵상, 수도 생활에 헌신했다. 그의 영적인 삶과 동정녀 마리아에 대한 헌신은 그에게 종교 시를 쓰는 영감을 주었고, 많은 작품이 출판되었다.
아뉴스 파르테네는 성 넥타리오스가 쓴 시 중 하나이다. 아테네 섬의 전설에 따르면, 성 넥타리오스는 꿈에서 테오토코스를 뵙고 시를 기록해 달라는 요청을 받은 후 이 시를 썼다고 한다. 원고는 그의 수도원 침실에 있는 기도 탁자에서 볼 수 있다.
이 시는 1905년 "지극히 거룩하신 테오토코스이자 영원한 동정녀 마리아를 위한 시와 찬송의 테오토카리온"에 비전례적인 사용과 개인적인 교화를 위한 시적 찬송가로 출판되었다. 또한, 시의 선별된 구절은 그리스 아토스 산의 시몬페트라 수도원에서 비잔틴 음악 표기법으로 설정되어 "순결하신 동정녀"라는 비잔틴 그리스어 찬송가가 탄생했다. 수도원은 이 작품을 ''프살티리온 테르프논'' (즐거운 시편)이라는 책으로 출판했다.
2. 2. 비잔틴 음악으로의 편곡
20세기 후반, 그리스 아토스 산의 시모노페트라 수도원 수도사들은 이 시의 후렴구를 포함한 선별된 구절을 비잔틴 음악 표기법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순결하신 동정녀"라는 비잔틴 그리스어 찬송가가 탄생했으며, 수도원은 이 작품을 "즐거운 시편"이라는 책으로 출판했다.[3][4]
1970년대에는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의 수사 그레고리(Hieromonk Gregory)가 이 찬송가를 현대적인 곡조로 편곡했다.[5] 그는 크리스마스 시즌에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갔다가 서양 합창단이 그린슬리브스 곡조에 맞춰 이 아기는 누구인가?를 부르는 것을 듣게 되었다. 그는 이 노래에 매료되어 성 넥타리오스의 시의 가사에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성 넥타리오스의 시에 맞춰 멜로디를 개작했고, 이 곡은 동방 정교회 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 찬송가는 대사순절 동안의 아카티스트와 같이 테오토코스에게 헌정된 예배 등, 미국 전역의 교구에서 전례 봉사 후에 퇴장 찬송으로 불린다. 이 곡의 폭발적인 인기는 성 아이기나의 넥타리오스가 현대의 인기 있는 성인이 된 것에 기인한다.
이 찬송가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교회 슬라브어의 표준(러시아) 변종 버전은 발람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번역했다.
2. 3. 현대의 보급과 논란
이 찬송가는 그리스를 비롯한 전 세계 정교회 공동체로 빠르게 퍼져나갔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3][4] 특히 그리스에서는 콘서트 곡으로 자주 연주되며, 미국 등지의 교구에서는 전례 봉사 후에 퇴장 찬송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이 찬송가를 성찬 찬송가나 저녁 기도(Vespers) 예식을 시작하는 찬송가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그레고리 신부와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의 형제들은 이 찬송가가 전례용이 아닌 개인적인 신앙심을 고취하기 위한 비전례 종교 노래로 불려야 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이 곡의 폭발적인 인기는 성 아이기나의 넥타리오스가 현대의 인기 있는 성인이 된 것에 기인한다. 최근 이 찬송가의 러시아어 가상 연주가 있었다.[5]
3. 내용
그리스어 텍스트 (1905) 음역 (음소) 영어 번역 (운율)
처음 세 개의 연(1-3)은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의 속성을 묘사하고, 네 번째 연(4)은 중보 기도로 구성된다.
'''교회 슬라브어 변형'''[9][10]
:마리에, 데보 치스타야, 프레스비야타야 보고로디체,
:'''R''': 라두이자, 네베스토 네네베스토나야.
:차리체, 마티 데보, 루노, 베흐 포크리바유쉬체, '''R'''
:프레비스샤야 네베스니흐 실, 넷바르노에 시야니에, '''R'''
:리코프 데비치히 라도스테 이 안겔로프 프레비스샤야, '''R'''
:네베스 체스트나야 실로 이 스베테, 파체 베흐 스베토프, '''R'''
:체스네이샤야 블라디치체 베흐 네베스니흐 보이느스트, '''R'''
:베흐 프라오트세프 나데즈도, 프로로코프 이스폴네니에, '''R'''
:프 포드비제흐 티 포모시체, 키보테 보가 슬로바, '''R'''
:이 데밤 리코바니에, 이 마테렘 오트라도, '''R'''
:체로무드리야 나스타브니체, 두쉬 나쉬흐 오치쉬체니에, '''R'''
:포크로베, 쉬르쉬 이블라카, 이 스트라주쉬치흐 프리스타니시체, '''R'''
:네모쉬니흐 포크로프 이 자스투프니체, 나데즈도 네나데즈니흐, '''R'''
:마리에, 마티 흐리스타, 이스틴나고 보가, '''R'''
:아아로노프 제즐레 프로쟈브쉬, 소수데 티호이 라도스티, '''R'''
:베흐 시리흐 이 브도프 우테셰니에, 브 베다흐 이 스코르베흐 포모시체, '''R'''
:스비아쉔나야 이 네포로치나야 블라디치체 베세페타야, '''R'''
:프리클로니 코 므네 밀로세르디에 보제스벤나고 시나, '''R'''
:호다타이체 스파세니야, 프리파다야, 브즈이바유 티, '''R'''
아뉴스 파르테네는 동정녀 마리아의 순결성, 거룩함, 하느님의 어머니로서의 지위 등을 찬양하며, 마리아를 통해 하느님께 중보 기도를 드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6] 이는 정교회의 마리아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정교회 신자들의 신앙심을 고취하는 데 기여한다.
찬송가는 크게 4개의 연으로 나뉘며, 각 연은 다시 세 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6] 1연에서는 마리아를 "순결하신 동정녀", "흠 없는 테오토코스", "하늘보다 높으신 분" 등으로 칭송하며, 2연에서는 "영원한 동정녀", "온 세상의 여주인", "체루빔보다 더 귀중하고 세라핌보다 더 영광스러운 분" 등으로 묘사한다. 3연에서는 마리아를 "체루빔의 노래", "천사들의 찬가", "구원의 항구" 등으로 비유하며, 4연에서는 마리아에게 죄에서 구원해주시고 영원한 생명을 주시기를 간청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6][8]
각 절은 그리스어 원문, 음역, 영어 번역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후렴구("기뻐하라, 결혼하지 않은 신부여")가 반복된다.[6] 교회 슬라브어 번역본도 존재한다.[9][10]
3. 1. 가사 구성
이 찬송가는 24개의 연(기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연 뒤에는 "하례하나이다, 비혼의 신부여(Χαῖρε νύμφη ἀνύμφευτε)"라는 후렴구가 따른다.[6] 24개의 연은 절(1, 2, 3, 4), 곡조(A, B, Γ), 반복(α, β)으로 구분된다.
그리스어 텍스트 (1905) | 음역 (음소) | 영어 번역 (운율) |
---|---|---|
처음 세 개의 연(1-3)은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의 속성을 묘사하고, 네 번째 연(4)은 중보 기도로 구성된다.
'''교회 슬라브어 변형'''[9][10]
:마리에, 데보 치스타야, 프레스비야타야 보고로디체,
:'''R''': 라두이자, 네베스토 네네베스토나야.
:차리체, 마티 데보, 루노, 베흐 포크리바유쉬체, '''R'''
:프레비스샤야 네베스니흐 실, 넷바르노에 시야니에, '''R'''
:리코프 데비치히 라도스테 이 안겔로프 프레비스샤야, '''R'''
:네베스 체스트나야 실로 이 스베테, 파체 베흐 스베토프, '''R'''
:체스네이샤야 블라디치체 베흐 네베스니흐 보이느스트, '''R'''
:베흐 프라오트세프 나데즈도, 프로로코프 이스폴네니에, '''R'''
:프 포드비제흐 티 포모시체, 키보테 보가 슬로바, '''R'''
:이 데밤 리코바니에, 이 마테렘 오트라도, '''R'''
:체로무드리야 나스타브니체, 두쉬 나쉬흐 오치쉬체니에, '''R'''
:포크로베, 쉬르쉬 이블라카, 이 스트라주쉬치흐 프리스타니시체, '''R'''
:네모쉬니흐 포크로프 이 자스투프니체, 나데즈도 네나데즈니흐, '''R'''
:마리에, 마티 흐리스타, 이스틴나고 보가, '''R'''
:아아로노프 제즐레 프로쟈브쉬, 소수데 티호이 라도스티, '''R'''
:베흐 시리흐 이 브도프 우테셰니에, 브 베다흐 이 스코르베흐 포모시체, '''R'''
:스비아쉔나야 이 네포로치나야 블라디치체 베세페타야, '''R'''
:프리클로니 코 므네 밀로세르디에 보제스벤나고 시나, '''R'''
:호다타이체 스파세니야, 프리파다야, 브즈이바유 티, '''R'''
3. 2. 신학적 의미
아뉴스 파르테네는 동정녀 마리아의 순결성, 거룩함, 하느님의 어머니로서의 지위 등을 찬양하며, 마리아를 통해 하느님께 중보 기도를 드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6] 이는 정교회의 마리아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정교회 신자들의 신앙심을 고취하는 데 기여한다.찬송가는 크게 4개의 연으로 나뉘며, 각 연은 다시 세 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6] 1연에서는 마리아를 "순결하신 동정녀", "흠 없는 테오토코스", "하늘보다 높으신 분" 등으로 칭송하며, 2연에서는 "영원한 동정녀", "온 세상의 여주인", "체루빔보다 더 귀중하고 세라핌보다 더 영광스러운 분" 등으로 묘사한다. 3연에서는 마리아를 "체루빔의 노래", "천사들의 찬가", "구원의 항구" 등으로 비유하며, 4연에서는 마리아에게 죄에서 구원해주시고 영원한 생명을 주시기를 간청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6][8]
각 절은 그리스어 원문, 음역, 영어 번역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후렴구("기뻐하라, 결혼하지 않은 신부여")가 반복된다.[6] 교회 슬라브어 번역본도 존재한다.[9][10]
4. 한국 정교회에서의 수용
한국 정교회에서도 아뉴스 파르테네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신자들 사이에서 애창되는 찬송가 중 하나이다. 한국어로 번역되어 불리기도 하며, 특히 대사순절 기간이나 성모 마리아 축일에 자주 불린다. 한국 정교회는 비잔틴 전례를 따르므로, 아뉴스 파르테네는 한국 정교회 신자들에게 중요한 신앙적 의미를 지닌다. 아뉴스 파르테네는 종교적 화합과 평화를 상징하는 찬송가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찬송가는 1970년대에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의 수사 그레고리(Hieromonk Gregory)에 의해 처음으로 곡으로 만들어졌다. 그는 크리스마스 시즌에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갔다가 서양 합창단이 그린슬리브스 곡조에 맞춰 이 아기는 누구인가?를 부르는 것을 듣고 성 넥타리오스의 시에 맞춰 멜로디를 개작했다. 이 곡은 동방 정교회 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 찬송가는 영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그리스에서 콘서트 곡으로 가장 흔하게 연주된다. 미국 전역의 교구에서 전례 봉사 후에 퇴장 찬송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곡의 폭발적인 인기는 성 아이기나의 넥타리오스가 현대의 인기 있는 성인이 된 것에 기인한다. 교회 슬라브어의 표준(러시아) 변종 버전은 발람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번역했다.[3][4]
5. 가사
24개의 기원은 절(1, 2, 3, 4), 곡조(A, B, Γ) 및 반복(α, β)으로 구분된다.
그리스어 텍스트 (1905) | 음역 (음소) |
---|---|
5. 1. 그리스어 원문 및 음역
24개의 기원은 절(1, 2, 3, 4), 곡조(A, B, Γ) 및 반복(α, β)으로 구분된다.
'''교회 슬라브어 변형'''[9][10]
:마리에, 데보 치스타야, 프레스비야타야 보고로디체,
:'''R''': 라두이자, 네베스토 네네베스토나야.
:차리체, 마티 데보, 루노, 베흐 포크리바유쉬체, '''R'''
:프레비스샤야 네베스니흐 실, 넷바르노에 시야니에, '''R'''
:리코프 데비치히 라도스테 이 안겔로프 프레비스샤야, '''R'''
:네베스 체스트나야 실로 이 스베테, 파체 베흐 스베토프, '''R'''
:체스네이샤야 블라디치체 베흐 네베스니흐 보이느스트, '''R'''
:베흐 프라오트세프 나데즈도, 프로로코프 이스폴네니에, '''R'''
:프 포드비제흐 티 포모시체, 키보테 보가 슬로바, '''R'''
:이 데밤 리코바니에, 이 마테렘 오트라도, '''R'''
:체로무드리야 나스타브니체, 두쉬 나쉬흐 오치쉬체니에, '''R'''
:포크로베, 쉬르쉬 이블라카, 이 스트라주쉬치흐 프리스타니시체, '''R'''
:네모쉬니흐 포크로프 이 자스투프니체, 나데즈도 네나데즈니흐, '''R'''
:마리에, 마티 흐리스타, 이스틴나고 보가, '''R'''
:아아로노프 제즐레 프로쟈브쉬, 소수데 티호이 라도스티, '''R'''
:베흐 시리흐 이 브도프 우테셰니에, 브 베다흐 이 스코르베흐 포모시체, '''R'''
:스비아쉔나야 이 네포로치나야 블라디치체 베세페타야, '''R'''
:프리클로니 코 므네 밀로세르디에 보제스벤나고 시나, '''R'''
:호다타이체 스파세니야, 프리파다야, 브즈이바유 티, '''R'''
5. 2. 한국어 번역
는 아에기나의 성 네크타리오스가 작곡한 마리아 찬송가 중 하나이다.[6]이 찬송가는 24개의 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연은 절(1, 2, 3, 4), 곡조(A, B, Γ), 반복(α, β)으로 구분된다.
다음은 한국어 번역 가사이다.:[6]
그리스어 원문 | 한국어 번역 |
---|---|
5. 3. 교회 슬라브어 번역
이 찬송가는 24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절은 그리스어 원문, 음역, 영어 번역으로 나뉜다.[6] 각 절은 특정한 구조(1, 2, 3, 4), 곡조(A, B, Γ), 반복(α, β)을 따른다.그리스어 텍스트 (1905) | 음역 (음소) | 영어 번역 (운율) |
---|---|---|
교회 슬라브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9][10]
:마리에, 데보 치스타야, 프레스비야타야 보고로디체,
:'''R''': 라두이자, 네베스토 네네베스토나야.
:차리체, 마티 데보, 루노, 베흐 포크리바유쉬체, '''R'''
:프레비스샤야 네베스니흐 실, 넷바르노에 시야니에, '''R'''
:리코프 데비치히 라도스테 이 안겔로프 프레비스샤야, '''R'''
:네베스 체스트나야 실로 이 스베테, 파체 베흐 스베토프, '''R'''
:체스네이샤야 블라디치체 베흐 네베스니흐 보이느스트, '''R'''
:베흐 프라오트세프 나데즈도, 프로로코프 이스폴네니에, '''R'''
:프 포드비제흐 티 포모시체, 키보테 보가 슬로바, '''R'''
:이 데밤 리코바니에, 이 마테렘 오트라도, '''R'''
:체로무드리야 나스타브니체, 두쉬 나쉬흐 오치쉬체니에, '''R'''
:포크로베, 쉬르쉬 이블라카, 이 스트라주쉬치흐 프리스타니시체, '''R'''
:네모쉬니흐 포크로프 이 자스투프니체, 나데즈도 네나데즈니흐, '''R'''
:마리에, 마티 흐리스타, 이스틴나고 보가, '''R'''
:아아로노프 제즐레 프로쟈브쉬, 소수데 티호이 라도스티, '''R'''
:베흐 시리흐 이 브도프 우테셰니에, 브 베다흐 이 스코르베흐 포모시체, '''R'''
:스비아쉔나야 이 네포로치나야 블라디치체 베세페타야, '''R'''
:프리클로니 코 므네 밀로세르디에 보제스벤나고 시나, '''R'''
:호다타이체 스파세니야, 프리파다야, 브즈이바유 티, '''R'''
참조
[1]
문서
Melody based on the notation due to Nancy Chalker Takis (2006)
http://newbyz.org/ag[...]
[2]
웹사이트
ΙΕΡΑ ΜΗΤΡΟΠΟΛΙΣ ΥΔΡΑΣ (Metropolis of Hydra, Spetses and Aegina)
http://www.imhydra.g[...]
2019-04-13
[3]
AV media
Agni Parthene (Church Slavonic)
https://www.youtube.[...]
2024-05-21
[4]
AV media
Byzantine orthodox chant: Agni Parthene / Агни Парфене - Марие, Дево Чистая (Lyric video)
https://www.youtube.[...]
2024-05-21
[5]
AV media
Vox virtuel - Agni parthene / Марие, Дево Чистая
https://www.youtube.[...]
[6]
문서
Orthodox Spirituality Prayers written by St. Nektarios of Aegina
http://www.serfes.or[...]
Bishop Basil of Wichita (William Essey, b. 1948)
2008
[7]
문서
This is the text of 4.Bβ. as published in 1905, exceptionally without rhyme (repeating the second half of 2.Aα). An alternative text is now often sung instead: 4.Bβ. Θερμῶς ἐπικαλοῦμαί σε, ναὲ ἡγιασμένε Thermós epikalúme Se, Naé igiasméne. This translates to “I call upon thee fervently/ thou temple most holy”.
[8]
문서
The current alternative text Thermós epikalúme Se, Naé igiasméne translates to “I call upon thee fervently/ thou temple most holy”.
[9]
서적
Постюбилейное. Книга 1. Философские заметки
https://books.google[...]
ЛитРес
2022-08-30
[10]
서적
Святитель Нектарий Эгинский: жизнеописание
https://books.google[...]
Московское Подворье Свято-Троицкой Сергиевой Лавры
2022-08-30
[11]
문서
Melody based on the notation due to Nancy Chalker Takis (2006)
http://newbyz.org/ag[...]
[12]
웹인용
ΙΕΡΑ ΜΗΤΡΟΠΟΛΙΣ ΥΔΡΑΣ (Metropolis of Hydra, Spetses and Aegina)
http://www.imhydra.g[...]
2019-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