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 매트로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환 매트로이드는 그래프의 숲들의 집합을 독립 집합으로 갖는 매트로이드이다. 순환 매트로이드의 회로는 그래프의 순환과 일치하며, 접합 매트로이드와 쌍대 관계에 있다. 그래프의 순환, 접합, 숲, 절단 등의 개념은 순환 매트로이드 및 접합 매트로이드에서 회로, 쌍대 회로, 독립 집합, 종속 집합 등과 대응된다. 순환 매트로이드는 항상 유한형 매트로이드이며, 그래프 매트로이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소 신장 트리 알고리즘은 순환 매트로이드의 최소 가중치 기저를 찾는 데 사용되며, 주어진 매트로이드가 그래픽 매트로이드인지 판별하는 알고리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트로이드 이론 - 매트로이드 마이너
매트로이드 마이너는 매트로이드에서 부분집합 제거 또는 제한 연산을 반복하여 얻어지는 매트로이드로, 매트로이드의 성질 보존, 구조 분석, 그래프 이론과의 연결, 여러 종류의 매트로이드, 구조 파악 및 복잡성 분석, 효율적인 테스트 알고리즘 개발 등에 활용된다. - 매트로이드 이론 - 탐욕 알고리즘
탐욕 알고리즘은 각 단계에서 가장 좋아 보이는 선택을 하는 알고리즘 설계 패러다임으로, 최적 부분 구조와 탐욕 선택 속성을 가진 문제에 최적의 해를 보장하며, 다익스트라, 프림, 크루스칼 알고리즘 등에 사용된다. - 평면 그래프 - 다듬은 정육면체
깎은 정육면체는 정육면체의 꼭짓점을 잘라 만든 다면체로, 6개의 정팔각형과 8개의 정삼각형으로 구성되고, 마름모 입방팔면체 등과 연관되며, 데카르트 좌표계와 트리보나치 수열로 꼭짓점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키랄성 및 팔면체 대칭성을 가지며 여러 분야에 활용됩니다. - 평면 그래프 - 정이십면체
정이십면체는 20개의 정삼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볼록 정다면체로, 정반오각기둥 양쪽에 정오각뿔을 붙인 형태이며, 정십이면체와 쌍대 관계를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그래프 이론 -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은 2차원 기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로, 과학, 공학, IT,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정보를 간략하게 나타내고 시각적 사고를 돕는다. - 그래프 이론 -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는 프레겔 강에 놓인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 출발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지 묻는 문제로, 오일러에 의해 그래프 이론적으로 분석되어 해결되었으며 그래프 이론의 탄생에 기여했다.
순환 매트로이드 | |
---|---|
서론 | |
이름 | 그래프 매트로이드 |
다른 이름 | 주기 매트로이드 코사이클 매트로이드 본드 매트로이드 |
정의 | |
기반 집합 | 그래프의 모서리 |
독립 집합 | 모서리 집합이 숲을 형성하는 모서리 집합 |
순환 | 그래프의 순환 |
기반 | 그래프의 최대 신장 숲 |
계수 | 꼭짓점의 수에서 연결 요소의 수를 뺀 값 |
평탄면 | 유도된 숲 |
폐쇄 | 주어진 모서리 집합의 양쪽 끝점을 잇는 경로가 모두 그 집합에 속하는 경우 |
루프 | 루프 모서리 |
코루프 | 다리 (절단 모서리) |
쌍대 | |
쌍대 매트로이드 | 코그래프 매트로이드 (그래프가 평면 그래프인 경우) |
속성 | |
유형 | 매트로이드 |
속성 | 표현 가능 (이진) |
관련 구조 | |
관련 구조 | 그래프 |
2. 정의
(유한 또는 무한) 그래프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변들의 집합 위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매트로이드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첫째는 순환 매트로이드(cycle matroid영어) 이다. 이는 그래프 의 숲(순환을 포함하지 않는 변의 부분 집합)을 독립 집합으로 정의하여 얻어지는 매트로이드 구조이다.[15] 순환 매트로이드의 회로는 그래프 의 순환들과 일치한다.
둘째는 접합 매트로이드(bond matroid영어) 이다. 이는 그래프 의 '''접합'''(최소 절단)을 회로로 가지는 매트로이드 구조이다.[15] 접합 매트로이드는 순환 매트로이드의 쌍대 매트로이드이다.
이 두 매트로이드 구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2. 1. 순환 매트로이드
그래프 가 주어졌을 때, 변의 부분 집합 가 순환을 포함하지 않으면, 즉 숲을 이루면 독립 집합이라고 한다. 이렇게 정의된 독립 집합들의 모임 는 매트로이드의 공리를 만족시키며, 는 매트로이드를 이룬다. 이를 그래프 의 순환 매트로이드(cycle matroid영어) 또는 그래픽 매트로이드(graphic matroid영어)라고 부르고 로 표기한다.[15][3]순환 매트로이드의 독립 집합은 다음 두 가지 주요 조건을 만족한다:
# '''부분 집합에 대한 닫힘:''' 독립 집합(숲)의 어떤 부분 집합도 항상 독립 집합(숲)이다. 숲에서 변을 제거해도 여전히 순환이 없는 숲이 되기 때문이다.
# '''교환 성질:''' 두 독립 집합(숲) 에 대해 이면, 가 여전히 독립 집합(숲)이 되도록 하는 변 가 반드시 존재한다. 이는 숲 가 보다 연결 요소 수가 적다는 사실과 비둘기집 원리로부터 유도된다. 즉, 에는 의 서로 다른 두 연결 요소를 잇는 변 가 존재하며, 이 변을 에 추가해도 순환이 생기지 않는다.[3]
순환 매트로이드 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회로 (Circuit): 의 회로는 그래프 의 단순 순환 (simple cycle)과 정확히 일치한다. 회로는 포함 관계에 대해 최소인 종속 집합이다.
- 기저 (Basis): 의 기저는 그래프 의 신장 숲 (maximal spanning forest)이다. 기저는 포함 관계에 대해 최대인 독립 집합이다.
- 랭크 (Rank): 변의 부분 집합 에 대한 랭크 함수 는 에 포함된 가장 큰 숲의 변의 개수이다. 이는 의 변들로 유도된 부분 그래프의 정점 수를 , 연결 요소 수를 라고 할 때, 로 계산된다.[3]
- 코랭크 (Corank): 순환 매트로이드의 코랭크는 이며, 이는 그래프 이론에서 회로 랭크 또는 순환수 (cyclomatic number)라고 알려진 값과 같다.
어떤 매트로이드가 특정 그래프의 순환 매트로이드와 동형 관계에 있다면, 그 매트로이드를 그래픽 (graphic) 하다고 한다.[3]
2. 2. 접합 매트로이드
그래프 에서 '''절단'''(絶斷, cut영어) 는 제거했을 때 연결 성분의 수가 증가하는 변의 집합을 의미한다. 즉,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두 꼭짓점 가 존재해야 한다.그래프 의 '''접합'''(接合, bond영어) 는 절단의 집합 중에서 부분 집합 관계에 대한 극소 원소이다. 즉,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는 절단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는 절단이 아니다.
의 모든 접합들의 집합을 라고 표기한다.
그래프 의 접합들을 회로로 가지는 매트로이드 를 의 '''접합 매트로이드'''라고 한다.[15] 접합 매트로이드는 순환 매트로이드의 쌍대 매트로이드이다.
3. 성질
완전 그래프 의 그래픽 매트로이드는 특별한 성질을 지닌다. 이 매트로이드의 플랫은 의 부분 그래프가 정의하는 정점들의 연결 요소 분할과 대응하며, 모든 가능한 정점 분할이 이러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의 그래픽 매트로이드의 플랫 격자는 개의 원소를 가지는 집합의 분할 격자와 자연스럽게 동형 관계를 이룬다. 모든 매트로이드의 플랫 격자는 기하 격자이므로, 이는 집합의 분할 격자 역시 기하 격자임을 보여준다.[2]
3. 1. 그래프 성질과의 관계
그래프의 여러 성질은 순환 매트로이드와 그 쌍대인 접합 매트로이드의 성질과 다음과 같이 밀접하게 연관된다.[15]그래프 | 순환 매트로이드 | 접합 매트로이드 |
---|---|---|
순환 | 회로 | 쌍대 회로 |
접합 | 쌍대 회로 | 회로 |
숲 | 독립 집합 | 쌍대 독립 집합 |
순환을 포함한 변 집합 | 종속 집합 | 쌍대 종속 집합 |
절단이 아닌 집합 | 쌍대 독립 집합 | 독립 집합 |
절단 | 쌍대 종속 집합 | 종속 집합 |
제한 그래프 마이너 | 제한 매트로이드 마이너 | 축약 매트로이드 마이너 |
축약 그래프 마이너 | 축약 매트로이드 마이너 | 제한 매트로이드 마이너 |
그래프 마이너 | 매트로이드 마이너 | 매트로이드 마이너 |
그래프 안둘레 | 매트로이드 안둘레 | 쌍대 매트로이드 안둘레 |
변 연결성 | 쌍대 매트로이드 안둘레 | 매트로이드 안둘레 |
특히, 그래프에서 그래프 마이너 연산(제한 또는 축약)은 순환 매트로이드와 접합 매트로이드에서 매트로이드 마이너 연산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그래프의 제한 마이너는 순환 매트로이드의 제한 마이너 및 접합 매트로이드의 축약 마이너에 해당하고, 그래프의 축약 마이너는 순환 매트로이드의 축약 마이너 및 접합 매트로이드의 제한 마이너에 해당한다.
순환 매트로이드는 그래픽 매트로이드의 한 예이다. 일반적으로 그래프 가 주어졌을 때, 의 변 집합 와 의 부분 집합 중 숲(순환이 없는 부분 그래프)을 이루는 것들의 모임 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는 매트로이드를 형성하며, 이를 그래프 의 그래픽 매트로이드 라고 한다.[3] 그래픽 매트로이드의 독립 집합은 그래프의 숲이고, 회로는 그래프의 단순 순환(사이클)이다.
그래픽 매트로이드 의 랭크 함수 는 변의 부분 집합 에 대해 로 정의된다. 여기서 은 에 속한 변들로 만들어지는 부분 그래프의 정점 수이고, 는 해당 부분 그래프의 연결 요소 개수이다.[3] 그래픽 매트로이드의 코랭크는 그래프의 회로 랭크(순환수)와 같다.
그래픽 매트로이드와 평면 그래프 사이에는 중요한 관계가 있다. 휘트니의 평면성 기준에 따르면, 그래프 가 평면 그래프일 필요충분조건은 그래픽 매트로이드 의 쌍대 매트로이드 역시 그래픽 매트로이드인 것이다. 만약 가 평면 그래프라면, 는 의 쌍대 그래프 의 그래픽 매트로이드 와 동형이다. 하나의 평면 그래프는 여러 개의 쌍대 그래프를 가질 수 있지만, 그 쌍대 그래프들의 그래픽 매트로이드는 모두 서로 동형이다.[3]
어떤 매트로이드가 그래픽 매트로이드인지 판별하는 기준도 존재한다. W. T. Tutte는 한 매트로이드가 다음 다섯 가지 '금지된 마이너'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만 그래픽 매트로이드임을 증명했다: 균등 매트로이드 , 파노 평면 매트로이드 , 파노 평면의 쌍대 , 완전 그래프 의 그래픽 매트로이드 의 쌍대 , 완전 이분 그래프 의 그래픽 매트로이드 의 쌍대 .[3][4][5] 이 중 처음 세 개는 정규 매트로이드의 금지된 마이너이며,[6] 와 는 정규 매트로이드이지만 그래픽 매트로이드는 아니다. 반대로, 어떤 매트로이드가 공동 그래픽 매트로이드(즉, 어떤 그래픽 매트로이드의 쌍대)가 되려면, 그 매트로이드는 와 를 마이너로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3] 이는 바그너의 정리와도 연결되는데, 이 정리는 그래프가 또는 를 그래프 마이너로 갖지 않을 때 평면 그래프임을 말해준다.
3. 2. 유한성
순환 매트로이드는 항상 유한형 매트로이드이다.[15] 즉, 순환 매트로이드의 모든 회로는 항상 유한 집합이다. 그래프의 접합 매트로이드는 순환 매트로이드의 쌍대 매트로이드이다.[15]반면, 무한 그래프의 접합 매트로이드는 일반적으로 유한형 매트로이드가 아닐 수 있다. 물론, 유한 그래프의 접합 매트로이드는 유한 매트로이드이므로 당연히 유한형 매트로이드이다.
4. 표현
그래프 매트로이드는 여러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그래프 의 방향 인접 행렬을 이용한 열 매트로이드 표현이다. 이 방식은 행렬의 열 벡터들의 선형 독립 집합을 매트로이드의 독립 집합으로 정의하며, 어떤 체를 사용하든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그래프 매트로이드는 모든 가능한 체 위에서 표현 가능한 정규 매트로이드의 한 종류이다.[3]
또한, 그래프 매트로이드의 플랫 격자는 초평면 배열의 격자로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래프 의 정점을 이라고 할 때, 가 의 모서리일 때마다 초평면 를 포함하는 배열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배열은 대각선 초평면들로 구성된 브레이드 배열의 부분 집합에 해당한다.
4. 1. 인접 행렬 표현
그래프 의 그래프 매트로이드는 의 임의의 방향 인접 행렬의 열 매트로이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행렬은 각 정점에 대해 하나의 행과 각 모서리에 대해 하나의 열을 가진다. 모서리 에 대한 열은 한쪽 끝점에 , 다른 쪽 끝점에 을 가지며, 다른 곳에서는 을 갖는다. 어떤 끝점에 어떤 부호를 부여할지는 임의적이다. 이 행렬의 열 매트로이드는 열의 선형 독립 부분 집합을 독립 집합으로 갖는다.모서리 집합에 사이클이 포함되어 있다면, 해당 열들의 합(필요한 경우 사이클 주위의 모서리 방향을 일관되게 맞추기 위해 을 곱함)은 0 벡터가 되므로 독립적이지 않다. 반대로, 모서리 집합이 숲을 형성하는 경우, 이 숲에서 잎(leaf)을 반복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해당 열 집합이 독립적이라는 것을 귀납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열 매트로이드는 그래프 매트로이드 와 동형이다.
그래프 매트로이드를 표현하는 이 방법은 인접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 체에 관계없이 작동한다. 따라서 그래프 매트로이드는 모든 가능한 체에 대한 표현을 갖는 매트로이드인 정규 매트로이드의 부분 집합을 형성한다.[3]
5. 예
무변 그래프의 경우, 그 순환 매트로이드와 접합 매트로이드 둘 다 크기가 0인 유일한 매트로이드이다.
숲 그래프 의 경우, 그 순환 매트로이드는 모든 집합이 독립 집합인 균등 매트로이드 이다. 반면, 그 접합 매트로이드는 공집합만이 독립 집합인 균등 매트로이드 이다.
순환 그래프 의 경우, 그 순환 매트로이드는 균등 매트로이드 이다. 이는 전체 간선 집합을 제외한 모든 부분 집합이 독립 집합임을 의미한다. 반대로, 그 접합 매트로이드는 균등 매트로이드 이다.
6. 연결성
매트로이드는 두 개의 더 작은 매트로이드의 직접 합으로 표현될 수 없을 때 연결되었다고 한다. 다시 말해, 매트로이드의 원소 집합을 공집합이 아닌 두 개의 서로소 부분 집합으로 나누었을 때, 원래 매트로이드의 랭크 함수 값이 각 부분 집합의 랭크 합과 같아지는 경우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매트로이드는 연결된 것이다.
그래픽 매트로이드 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그 기반이 되는 그래프 가 연결 그래프이면서 동시에 2-정점 연결 그래프라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3]
7. 마이너와 쌍대성
매트로이드는 부분 집합을 취하거나 원소를 축약하는 마이너 연산을 통해 더 작은 매트로이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모든 매트로이드 에는 고유한 쌍대 매트로이드 가 존재한다.
그래픽 매트로이드와 그 쌍대인 공동 그래픽 매트로이드는 특정 마이너 구조를 통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어떤 매트로이드가 그래픽 매트로이드인지, 또는 공동 그래픽 매트로이드인지를 판별하는 데에는 금지된 마이너(forbidden minor) 개념이 사용된다. 즉, 특정 종류의 매트로이드를 마이너로 포함하지 않아야 해당 유형의 매트로이드가 될 수 있다.[3][4][5] 이러한 마이너 조건은 매트로이드가 정규 매트로이드인지 여부와도 관련이 있다.[6]
7. 1. 평면 그래프와의 관계
매트로이드가 마이너로 다음 다섯 개의 금지된 마이너 중 하나라도 포함하지 않을 경우, 그래픽 매트로이드이다. 즉, 균등 매트로이드 , 파노 평면 또는 그 쌍대, 완전 그래프 및 완전 이분 그래프 에서 정의된 와 의 쌍대이다.[3][4][5] 이 중 처음 세 개는 정규 매트로이드에 대한 금지된 마이너이며,[6] 와 의 쌍대는 정규 매트로이드이지만 그래픽 매트로이드는 아니다.매트로이드가 그래픽 매트로이드인 경우, 그 쌍대( "공동 그래픽 매트로이드")는 이 다섯 개의 금지된 마이너의 쌍대를 포함할 수 없다. 따라서 쌍대 매트로이드 또한 정규 매트로이드여야 하며, 와 의 두 그래픽 매트로이드를 마이너로 포함할 수 없다.[3]
이러한 특성 및 바그너의 정리에 따라 평면 그래프는 또는 그래프 마이너가 없는 그래프로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그래픽 매트로이드 가 공동 그래픽 매트로이드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그래프 가 평면 그래프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휘트니의 평면성 기준이다.[3]
만약 가 평면 그래프라면, 의 쌍대는 의 쌍대 그래프의 그래픽 매트로이드이다. 그래프 는 여러 개의 쌍대 그래프를 가질 수 있지만, 이들의 그래픽 매트로이드는 모두 동형이다.[3]
8. 알고리즘
그래픽 매트로이드의 최소 가중치 기저는 최소 신장 트리(또는 기본 그래프가 분리된 경우 최소 신장 숲)이다. 최소 신장 트리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비교 모델의 계산에서 선형 랜덤 기대 시간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7] 또는 에지 가중치가 작은 정수이고 비트 단위 연산이 해당 이진 표현에서 허용되는 계산 모델에서 선형 시간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8] 결정적 알고리즘에 대해 증명된 가장 빠른 시간 제한은 약간 초선형이다.[9]
여러 저자가 주어진 매트로이드가 그래픽인지 테스트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했다.[10][11][12] 예를 들어, 터트(Tutte)의 1960년 알고리즘은 입력이 이진 매트로이드인 것으로 알려진 경우 이 문제를 해결한다. 시모어(Seymour)는 1981년에 주어진 집합이 독립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서브루틴인 독립성 오라클을 통해서만 매트로이드에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매트로이드에 대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9. 관련 매트로이드
그래프의 잘 알려진 종류로부터 특정 성질을 공유하는 매트로이드의 부류들이 정의되었다. 이러한 정의는 해당 그래프들의 특징을 매트로이드에 대해 더 일반적으로 의미 있는 용어로 표현한 것이다.
- 이분 매트로이드: 모든 회로(cycle)가 짝수 길이를 갖는 매트로이드이다. 그래프 매트로이드의 경우, 해당 그래프가 이분 그래프일 때만 이분 매트로이드가 된다.
- 오일러 매트로이드: 서로소인 회로들로 분할될 수 있는 매트로이드이다. 그래프 매트로이드의 경우, 해당 그래프가 오일러 그래프일 때만 오일러 매트로이드가 된다.
그래프 매트로이드,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이진 매트로이드 내에서 이분 매트로이드와 오일러 매트로이드는 서로 쌍대 관계에 있다. 즉, 어떤 그래프 매트로이드가 이분 매트로이드일 필요충분조건은 그것의 쌍대 매트로이드가 오일러 매트로이드인 것이고, 반대로 오일러 매트로이드일 필요충분조건은 그것의 쌍대 매트로이드가 이분 매트로이드인 것이다.[13]
- 강성 매트로이드: 그래프 매트로이드는 1차원 강성 매트로이드의 한 예이다. 강성 매트로이드는 만나는 정점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강성 빔 구조의 자유도를 설명하는 매트로이드이다. 1차원에서 이러한 구조의 자유도는 연결된 요소의 수(정점 수 - 매트로이드 랭크)와 같다. 더 높은 차원에서는 ''n''개의 정점을 가진 ''d''차원 구조의 자유도는 ''dn'' - (매트로이드 랭크)로 계산된다. 2차원 강성 매트로이드에서는 라만 그래프가 그래프 매트로이드에서의 신장 숲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2차원보다 높은 차원의 강성 매트로이드 구조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14]
참조
[1]
논문
uses a reversed terminology, in which he called bond matroids "graphic" and cycle matroids "co-graphic", but this has not been followed by later authors.
[2]
서적
Lattice Theory
https://books.googl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
간행물
Lectures on matroids
https://nvlpubs.nist[...]
[4]
간행물
On Tutte's characterization of graphic matroids
[5]
간행물
On Tutte's characterization of graphic matroids—a graphic proof
[6]
간행물
A homotopy theorem for matroids. I, II
[7]
간행물
A randomized linear-time algorithm to find minimum spanning trees
[8]
간행물
Trans-dichotomous algorithms for minimum spanning trees and shortest paths
[9]
간행물
A minimum spanning tree algorithm with inverse-Ackermann type complexity
[10]
간행물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ther a given binary matroid is graphic.
[11]
간행물
Converting linear programs to network problems
[12]
간행물
Recognizing graphic matroids
[13]
간행물
Euler and bipartite matroids
[14]
서적
Matroid theory (Seattle, WA, 1995)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5]
저널인용
Axioms for infinite matroids
2013-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