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회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회세자는 명종과 인순왕후의 아들로, 1551년에 태어나 1557년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1561년 공회빈 윤씨와 혼인했으나, 1563년 13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시호는 순회이며,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순창원에 안장되었고, 부인 공회빈 윤씨와 합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왕세자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의 왕세자 - 문효세자
정조와 의빈 성씨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 문효세자는 3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5세에 홍역으로 요절하여 정조에게 큰 슬픔을 안겼고, 그의 죽음은 조정의 정치적 상황에도 영향을 미쳤다. - 1563년 사망 -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에티엔 드 라 보에시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 외교관으로 미셸 드 몽테뉴와 교류했으며, 폭군의 권력 유지가 피지배자들의 자발적 복종에 기인한다는 내용을 담은 대표작 『자발적 예속론』을 통해 전제군주제와 폭정을 비판하고 시민 불복종과 비폭력 저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무정부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1563년 사망 - 호소카와 하루모토
호소카와 하루모토는 무로마치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호소카와 씨 교초가의 당주이자 간레이를 지냈으며, 아버지 호소카와 스미모토의 뒤를 이어 호소카와 다카쿠니와의 대립에서 승리하여 권력을 잡았으나, 미요시 나가요시와의 권력 다툼에서 밀려 쇠퇴한 인물이다.
순회세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이부, 순회세자 |
휘 | 이부 (李暊) |
작위 | 조선의 왕세자 |
재위 | |
즉위일 | 1557년 8월 17일 |
퇴위일 | 1563년 9월 20일 (음력) |
이전 | 왕세자 이호 (인종) |
이후 | 왕세자 이혼 (광해군) |
신상 정보 | |
출생일 | 1551년 7월 1일 |
출생일 (음력) | 1551년 5월 28일 |
사망일 | 1563년 10월 6일 (향년 12세) |
사망일 (음력) | 1563년 9월 20일 |
묘소 | 순창원(順昌園),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334-32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명종 |
어머니 | 인순왕후 심씨 |
배우자 | 공회빈 윤씨 (1561년 결혼 - 1563년 사망) |
자녀 | 없음 |
이름 | |
한글 | 순회세자 |
한자 | 順懷世子 |
로마자 표기 | Sunhoe Seja |
한글 (본명) | 이부 |
한자 (본명) | 李暊 |
로마자 표기 (본명) | I Bu |
자 (字) | 중명 (重明) |
로마자 표기 (자) | Jungmyeong |
아호 (雅號) | 곤령 (崐齡) |
로마자 표기 (아호) | Gonryeong |
2. 생애
1551년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아들로 태어났다.[4] 아명은 곤령(崐齡)이며, 이름은 '''부'''(暊)이다.
1563년(명종 18년), 순회세자는 중병에 걸렸고, 명종은 대사면까지 명했으나 1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7]
[1]
웹사이트
[경기도의 성곽과 능원] 4. 순창원·수경원·대빈묘
http://www.kyeonggi.[...]
2021-07-20
1557년 왕세자에 책봉되었다.[5]
1561년 윤원형의 인척인 황대임의 딸을 세자빈으로 간택하여 책빈례(冊嬪禮)까지 마쳤으나, 복병이 있다는 이유로 양제(良娣)로 강등시키고 다시 윤옥(尹玉)의 딸 공회빈 윤씨와 가례를 올렸다.
1563년 서연에서 공부를 게을리하고 서연관을 내쫓는 등 사체를 잃는 행동을 하여, 명종이 세자궁의 환관을 추고할 것을 명하였다.[6] 같은 해 9월 20일, 중병에 걸려 명종이 대사면을 명했으나, 1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7]
시호는 '''순회'''(順懷)이며, 순(順)은 부드럽고 어질며 인자하고 사랑함을 일컫고, 회(懷)는 자상하고 인후하며 요절함을 말한다. 묘는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경역 내에 위치한 '''순창원'''(順昌園)으로, 부인 공회빈 윤씨와 함께 안장되었으나, 임진왜란 당시 공회빈 윤씨의 시신은 행방불명되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신주(神主)로만 안장되었으며 그마저도 병자호란 때 분실되자 현재는 빈 관만 안장되어 있다.
2006년 문화재청에 의해 순창원 도굴 미수 현장이 발견되어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8]
3. 사후
시호는 '''순회'''(順懷)인데, '순(順)'은 부드럽고 어질며 인자하고 사랑함을 일컫고, '회(懷)'는 자상하고 인후하며 요절함을 말한다.
묘는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경역 내에 위치한 '''순창원'''(順昌園)이다. 부인 공회빈 윤씨와 함께 안장되었으나, 공회빈 윤씨의 시신은 임진왜란 당시 행방불명되었다. 때문에 처음에는 신주(神主)로만 안장되었으며 그마저도 병자호란 때 분실되어 현재는 빈 관만 안장되어 있다.
순창원은 2006년 문화재청에 의해 도굴 미수 현장이 발견되어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8]
4.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 사망 조부 중종 1488년 1544년 조모 문정왕후 윤씨 1501년 1565년 아버지 명종 1534년 1567년 외조부 심강 1514년 1567년 외조모 완산부부인 이씨 1512년 1559년 어머니 인순왕후 심씨 1532년 1575년 정비 공회빈 윤씨 1553년 1592년 후궁 양제 황씨 ? ?
참조
[2]
웹사이트
능묘
http://ynucc.yu.ac.k[...]
2021-04-20
[3]
웹사이트
Royal Tombs
http://english.cha.g[...]
2021-04-20
[4]
서적
명종실록
1551-05-28
[5]
서적
명종실록
1557-08-17
[6]
서적
명종실록
1563-03-17
[7]
서적
명종실록
1563-09-20
[8]
뉴스
문화재청, 서오릉 순창원(順昌園) 도굴 미수 현장 발견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