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쉬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싱은 공룡 분류 및 연구에 기여한 과학자이다. 그는 여러 공룡 속을 명명했으며, 깃털 공룡 연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중국에서 발견된 화석을 통해 티라노사우루스류의 원시 깃털과 깃털의 초기 진화에 대한 증거를 제시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네이처'와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에 발표한 연구 결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리 카자흐 자치주 출신 - 마수드 사브리
    마수드 사브리는 위구르족 출신으로, 자디드주의를 지향하며 동투르키스탄 독립운동에 헌신한 정치인이자, 제1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을 지지하고 중화민국 정부에 참여했으나, 소련 지원의 제2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에 반대하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투옥되어 사망했다.
  • 이리 카자흐 자치주 출신 - 퉁리야
    퉁리야는 중국의 배우이자 시버족 홍보대사로, 무용을 전공하고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었으며 금응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중국과학원 원사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중국과학원 원사 - 첸쉐썬
    첸쉐썬은 중국 미사일 및 우주 프로그램의 아버지로 불리는 과학자이자 엔지니어로, 미국에서 추방 후 중국으로 귀국하여 미사일 및 위성 개발을 주도하며 중국의 국방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톈안먼 사건 지지, 유사과학 옹호 등 논란도 있다.
쉬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쉬싱
원어명徐星
로마자 표기Xu Xing
출생일1969년
출생지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
국적중국
직업고생물학자
소속중국 과학원 척추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
학력
대학교베이징 대학교 지질학과 졸업
연구 분야
주요 연구 분야깃털 공룡, 조류 진화

2. 쉬싱이 명명한 공룡 속

쉬싱은 매우 많은 공룡을 명명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연도상태공저자
아르카이오볼란스2002년얀오르니스의 동물이명.스티븐 체르카스
베이피아오사우루스1999년유효Tang Z.왕 샤오린
차오양사우루스1999년유효자오시진Cheng Z.
딜롱2004년유효마크 노렐자오 Q
에를리안사우루스2002년유효Zhang Z.Kuang X.
에샤노사우루스2001년유효자오시진제임스 M. 클락
기간토랍토르2007년유효Tan Q.자오시진
그라킬리랍토르2004년유효왕 샤오린
구안롱2006년유효제임스 M. 클락G. Erickson
홍샤노사우루스2003년유효You Hailu왕 샤오린
인키시보사우루스2002년유효Cheng Y.Chang C.
제홀로사우루스2000년유효왕 샤오린You Hailu
진조우사우루스2001년유효왕 샤오린
리아오케라톱스2002년유효
리아오닝고사우루스2001년유효왕 샤오린You Hailu
리무사우루스2009년유효제임스 M. 클락David A. Eberth
린헤랍토르2010년유효Choinere, J.Tan, L.
메이2004년유효마크 노렐
미크로랍토르2000년유효Zhou Zhonghe왕 샤오린
난양고사우루스2000년유효ZhaoLi
네이몽고사우루스2001년유효Zhang X.Kwang
페도페나2005년유효Zhang Fucheng
신오르니토사우루스1999년유효왕 샤오린Wu Xiao-Chun
시노베나토르2002년유효마크 노렐왕 샤오린
시누소나수스2004년유효왕 샤오린
소니도사우루스2006년유효Zhang X.자오시진
신장고베나토르2005년유효Oliver Rauhut1973년 둥지밍이 파이드롤로사우루스의 표본으로 기재함.
시시아니쿠스2010년유효De-You WangFeng-Lu Han
인롱2006년유효C. Forster마크 노렐
이시아노사우루스2003년유효왕 샤오린
유티라누스2012년유효Kebai WangCorwin Sullivan
주청케라톱스2010년유효Kebai WangCorwin Sullivan


2. 1. 쉬싱이 보고한 속 목록

이름연도상태공저자그림
아르카이오볼란스2002년얀오르니스의 동물이명.스티븐 체르카스
베이피아오사우루스1999년유효Tang Z.왕 샤오린
차오양사우루스1999년유효자오시진Cheng Z.
딜롱2004년유효마크 노렐자오 Q
에를리안사우루스2002년유효Zhang Z.Kuang X.
에샤노사우루스2001년유효자오시진제임스 M. 클락
기간토랍토르2007년유효Tan Q.자오시진
그라킬리랍토르2004년유효왕 샤오린
구안롱2006년유효제임스 M. 클락G. Erickson
홍샤노사우루스2003년유효You Hailu왕 샤오린
인키시보사우루스2002년유효Cheng Y.Chang C.
제홀로사우루스2000년유효왕 샤오린You Hailu
진조우사우루스2001년유효왕 샤오린
리아오케라톱스2002년유효
리아오닝고사우루스2001년유효왕 샤오린You Hailu
리무사우루스2009년유효제임스 M. 클락David A. Eberth
린헤랍토르2010년유효Choinere, J.Tan, L.
메이2004년유효마크 노렐
미크로랍토르2000년유효Zhou Zhonghe왕 샤오린
난양고사우루스2000년유효ZhaoLi
네이몽고사우루스2001년유효Zhang X.Kwang
페도페나2005년유효Zhang Fucheng
신오르니토사우루스1999년유효왕 샤오린Wu Xiao-Chun
시노베나토르2002년유효마크 노렐왕 샤오린
시누소나수스2004년유효왕 샤오린
소니도사우루스2006년유효Zhang X.자오시진
신장고베나토르2005년유효Oliver Rauhut1973년 둥지밍이 파이드롤로사우루스의 표본으로 기재함.
시시아니쿠스2010년유효De-You WangFeng-Lu Han
인롱2006년유효C. Forster마크 노렐
이시아노사우루스2003년유효왕 샤오린
유티라누스2012년유효Kebai WangCorwin Sullivan
주청케라톱스2010년유효Kebai WangCorwin Sullivan


2. 2. 주요 연구 업적 및 깃털 공룡 연구

쉬싱은 깃털 공룡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특히 중국에서 발견된 다양한 깃털 공룡 화석을 통해 공룡의 진화와 깃털의 기원을 밝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

쉬싱은 마크 노렐 등과 함께 2004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중국에서 발견된 기저 티라노사우루스류인 딜롱을 통해 티라노사우루스류의 원시 깃털 존재 증거를 제시했다.[7] 이 연구는 티라노사우루스류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2006년에는 제임스 M. 클라크, 캐서린 포스터 등과 함께 중국 후기 쥐라기 지층에서 발견된 또 다른 기저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인 구안롱네이처에 발표했다. 구안롱딜롱보다 더 이른 시기에 살았던 공룡으로, 티라노사우루스류의 초기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었다.

2007년 쉬싱은 탄칭웨이 등과 함께 중국 후기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된 거대한 조류형 공룡인 기가노랍토르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기가노랍토르는 몸길이가 8m에 달하는 대형 공룡으로, 조류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공룡과 조류의 진화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009년에는 정샤오팅 등과 함께 비조류 수각류 공룡에서 발견된 새로운 유형의 깃털을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에 발표하고, 이를 통해 깃털의 초기 진화 과정을 새롭게 조명했다.

2012년 쉬싱은 왕 등과 함께 중국 하부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된 거대한 깃털 공룡인 유티라누스네이처에 발표했다. 유티라누스는 몸길이가 9m에 달하는 대형 수각류 공룡으로, 온몸이 깃털로 덮여 있어 깃털의 보온 기능과 관련된 진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되었다.

쉬싱은 이 외에도 베이피아오사우루스(1999년)[2], 시노르니토사우루스(1999년), 마이크로랍토르(2000년) 등 다양한 깃털 공룡을 발견하고 연구하여 공룡 진화 연구에 크게 공헌했다.

쉬싱이 기재한 공룡 목록
속명기재 연도상태공동 저자비고그림
아르카에오보란스2002년주니어 동의어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야노르니스의 주니어 동의어
베이피아오사우루스1999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카오양고사우루스1999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카오양고사우루스
딜롱2004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얼롄사우루스2002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얼롄사우루스
이샤노사우루스2001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기가노랍토르2007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그라킬리랍토르2004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구안롱2006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홍산고사우루스2003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인시보사우루스2002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제호로사우루스2000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진저우사우루스2001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랴오케라톱스2002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랴오닝고사우루스2001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린헤랍토르2010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춘청케라톱스2010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메이 (공룡)2004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마이크로랍토르2000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난양고사우루스2000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네이몽고사우루스2001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페도펜나2005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시노르니토사우루스1999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시노베나토르2002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시노수나스스2004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소니도사우루스2006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신장고베나토르2005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이전 1973년 둥즈밍에 의해 파에드로사우루스의 표본으로 기재됨
인롱2006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시샤닉스2010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이샤노사우루스2003년유효명style="border-right:0px" valign="top"|style="border-left:0px" valign="top"|


3. 학문적 영향 및 평가

쉬싱은 1969년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태어났다. 베이징 대학 지질학과를 졸업했으며, 현재 중국 과학원 고척추 동물 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의 연구원이다. 그는 원래 경제학자가 되려고 했지만, 중국 당국에 의해 지질학과에 배정되었다.[2] 그는 1995년에 졸업했으며,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에게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한다.[3]

쉬싱의 고생물학적 기여는 조류 특징을 가진 공룡 화석의 발견 및 분석, 그리고 깃털 진화에 관한 이론 개발 등이 있다.[4]

4. 주요 논문 목록

출판 연도논문 제목학술지공동 저자
2004년중국에서 발견된 기저 티라노사우루스류와 티라노사우루스류의 원시 깃털 증거[3]네이처마크 노렐, 좡쉐원, 왕샤오린, 자오치, 지아청카이
2006년중국 후기 쥐라기에서 발견된 기저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4]네이처제임스 M. 클라크, 캐서린 포스터, 마크 노렐, 그레고리 M. 에릭슨, 데이비드 A. 에버트, 지아청카이, 자오치
2007년중국 후기 백악기에서 발견된 거대한 조류형 공룡[5]네이처탄칭웨이, 왕젠민, 자오시진, 탄린
2009년비조류 수각류에서 새로운 깃털 유형과 깃털의 초기 진화[6]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정샤오팅, 유하일루
2012년중국 하부 백악기에서 발견된 거대한 깃털 공룡[7]네이처왕커장, 장카이준, 마칭쥔, 싱리다, C. 설리번, 후둥위, 청스징, 왕쑹
2015년막질 날개의 보존 증거를 가진 기묘한 쥐라기 만티라프토란 수각류네이처정샤오팅, 코윈 설리번, 왕샤오리, 싱리다, 왕옌, 장샤오메이, 징마이 O' 코너, 장푸청, 판옌훙


참조

[1] 뉴스 China's golden age of paleontology https://www.cnn.com/[...] 2020-06-04
[2] 웹사이트 徐星:穿越時光恐龍緣 https://read01.com/6[...] 2014-08-01
[3] 뉴스 Forget Indiana Jones: Dinosaur hunter Xu digs it http://usatoday30.us[...] 2008-06-09
[4] 논문 Feathered dinosaurs from China and the evolution of major avian characters
[5] 뉴스 インタビュー:徐星さん(最先端の恐竜学者) https://natgeo.nikke[...] 2012-06-20
[6] 논문 Feathered dinosaurs from China and the evolution of major avian characters null
[7] 저널 Feathered dinosaurs from China and the evolution of major avian characters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