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고다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고다이는 수호의 직무를 대행하는 직책으로, 무로마치 시대 이후에는 수호의 대리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수호가 중앙 정무에 종사하며 임국을 비우는 경우가 많아지자, 가신 중에서 슈고다이를 임명하여 실질적인 통치를 맡겼다. 슈고다이는 점차 세습화되며 수호를 대신하여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며, 전국 시대에는 슈고다이 출신 가문들이 주군을 몰아내고 센고쿠 다이묘로 성장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시로 아사쿠라 씨, 아마고 씨, 나가오 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호대 - 나가오 하루카게
    나가오 하루카게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우에스기 사다자네의 양자이자 나가오 다메카게의 아들이며, 가스가 산성 성주를 지냈으나 동생 나가오 가게토라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1553년에 사망했다.
  • 수호대 - 스에 하루카타
    스에 하루카타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오우치 씨의 중신이자 다이묘였으며, 오우치 요시타카의 총애를 받았으나 가문의 실권을 장악한 후 모리 모토나리와 대립하다가 이쓰쿠시마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했다.
  • 무로마치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무로마치 시대 - 남조 (일본)
    남조는 14세기 일본 남북조 시대에 고다이고 천황이 세운 천황가의 분파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세운 북조와 대립하다가 1392년 종결되었으며, 메이지 시대에 정통으로 인정받았다.
  • 가마쿠라 시대 - 겐포
    겐포는 1213년부터 1219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며, 이 기간 동안 가마쿠라에서 지진, 화재, 주요 인물들의 사망 등의 사건이 발생했다.
  • 가마쿠라 시대 - 호조 도키요리
    호조 도키요리는 가마쿠라 막부의 섭정으로, 반호조 세력 진압, 친왕 쇼군 옹립, 히키쓰케 설치 등의 개혁을 통해 막부의 권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사회 안정에 기여했으나, 득종 전제 정치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와 함께 권력 독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슈고다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일본어 명칭守護代
로마자 표기Shugodai
역할슈고를 대리하는 자
임명권자쇼군 또는 슈고
역사적 맥락
발생 시기무로마치 시대
주요 역할슈고의 대리인으로서 영지의 행정 및 군사 업무 처리
슈고의 부재 시 영지 관리
필요에 따라 슈고를 대신하여 군사 활동 참여
권한 및 책임
행정 권한영지 내 세금 징수, 토지 관리, 민사 소송 처리 등
군사 권한영지 방위, 군사 동원, 병력 지휘
재정 권한영지 내 재정 관리 및 예산 집행
사법 권한영지 내 분쟁 조정 및 재판 관할
슈고와의 관계
관계슈고의 대리인으로서 슈고의 명령을 수행하며, 슈고를 보좌하는 역할
권력 변화일부 슈고다이는 점차 세력을 키워 슈고와 대등한 위치 또는 더 강력한 권력을 갖게 됨
슈고다이의 유형
임명 방식쇼군이 직접 임명하는 경우
슈고가 임명하는 경우
지위의 종류슈고를 대리하는 관리인
슈고 가문의 일원
슈고의 가신
영향
지역 사회슈고다이의 지배력이 강화되면서 지역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
정치 체제슈고다이의 성장은 무로마치 막부의 권력 약화와 전국 시대의 시작에 영향을 미침
관련 용어
관련 용어슈고, 무로마치 막부, 전국 시대

2. 슈고다이의 성립과 역할

슈고의 직무를 대행한 직종을 가리킨다.[2] 넓은 의미로는 대관의 일종이지만, 무로마치 시대 이후에는 무로마치 막부의 직할령 토지 지배의 대리인을 대관이라 하고, 슈고의 대리인인 슈고다이와 대관은 구별되었다.

슈고는 가마쿠라교토에 머물면서 중앙의 정무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고, 임국(任國)을 비우는 기간이 길었다. 여러 국을 겸임하는 슈고의 경우에는 겸임한 국을 시찰하는 기회가 더 적었다. 이 때문에 슈고는 가신 중에서 대관을 임명하여 실제 정무를 대행하게 하였다. 이것이 슈고다이이다. 슈고다이도 자신의 대리인인 소슈고다이를 두었으므로, 슈고 임국에 있어서의 토지 지배 구조는 매우 중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 한 국에 2명 이상의 슈고다이가 있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분군 슈고다이(分郡守護代)」의 체제를 취했다.

무로마치 시대에 들어서면서, 처음에는 슈고의 일문이나 그 방류, 또는 중신, 또는 슈고 국내의 유력 무사(고쿠진)가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단, 여러 슈고를 겸임하는 집안의 경우에는 다른 영국의 고쿠진이 슈고다이로 임명되는 경우도 있다. 사누키 고사이 씨→탄바 슈고다이, 노토 유사 씨→카와치 슈고다이 등). 점차 세습화되면서 슈고를 대신하여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슈고다이는 무로마치 막부로부터 슈고의 백산포(白傘袋)(しろかさぶくろ), 모전안복(毛氈鞍覆)(もうせんくらおおい), 및 도거(塗輿)(ぬりごし)의 격식에 이어, 당산포(唐傘袋)(からかさぶくろ), 모전안복, 및 도거의 사용이 인정되는 격식을 부여받아, 고쿠진보다 한 단계 높은 지위에 있었다.

3. 슈고다이의 권력 강화와 센고쿠 다이묘화

무로마치 시대에 슈고는 가마쿠라교토에 머물면서 중앙 정무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고, 임지(任國)를 비우는 기간이 길었다. 여러 슈고직을 겸임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했다. 이 때문에 슈고는 자신의 가신 중에서 대관을 임명하여 실제 정무를 대행하게 하였는데, 이를 슈고다이라 한다. 슈고다이도 자신의 대리인인 소수호대를 두었으므로, 슈고 임국에서의 토지 지배 구조는 매우 중층적이었다.[2]

슈고다이는 점차 세습화되면서 슈고를 대신하여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무로마치 막부로부터 슈고의 격식(백산포, 모전안복, 도거)에 이어 당산포, 모전안복, 도거의 사용이 인정되는 격식을 부여받아 국인보다 한 단계 높은 지위에 있었다.

한편, 장원 붕괴와 총(惣) 발달로 지방 토호나 국인층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고 각지에서 분쟁이 발생하자, 이들을 통제하고 영지를 일원적으로 지배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에 따라 전국 다이묘가 성장하면서 슈고다이는 점차 소멸해 갔다. 그러나 에치고의 나가오 씨, 에치젠의 아사쿠라 씨, 오와리의 오다 씨처럼 슈고다이가 전국 다이묘화한 사례도 있었다.

아사쿠라 씨는 오닌의 난에서 동군으로 전향하는 대가로 에치젠 슈고에 임명되었으나, 이후 막부의 견제로 어려움을 겪자 아시카가 요시쓰구의 자손을 꼭두각시 슈고로 내세워 실권을 장악했다. 이즈모 국의 슈고다이 아마고 씨는 주군인 쿄고쿠 씨를 몰아내고 전국 다이묘로 성장하여, 아마고 쓰네히사가 11개국에 걸쳐 세력을 뻗쳤고, 손자 아마고 하루히사 대에 이르러 이즈모 슈고로 인정받았다. 에치고 슈고다이 나가오 씨의 나가오 다메카게는 주군을 몰아내고 관동 관령까지 토벌하여 슈고에 준하는 격식을 인정받았으며, 그의 아들 우에스기 겐신우에스기 노리마사의 간청으로 관토 관령직을 계승하여 더욱 높은 지위를 얻었다.

이처럼 무로마치 시대 슈고다이는 단순한 대리인이 아니라 전국 시대의 개막과 함께 주군을 몰아내고 성장하는 존재로 변모해 갔다. 그러나 오다 노부토모나 우라카미 무네카게처럼 가신에게 배신당하여 몰락하는 경우도 있었다.

3. 1. 주요 슈고다이 가문

슈고 가문주요 분가 및 일족
오다 씨족가이씨(甲斐氏) (에치젠, 도토미), 오다씨(織田氏) (오와리), 아사쿠라씨(朝倉氏) (에치젠)
아사쿠라 씨족니노미야씨(二宮氏) (에치주, 시나노, 가가), 칸소씨(完草氏) (에치젠, 에치주, 와카사, 시나노), 시마다씨(島田氏) (에치젠, 시나노)
나가오 씨족유사씨(遊佐氏) (카와치, 노토, 에치주, 키이), 나가오(후나이)씨(長尾(府内)氏) (에치고, 에치주), 신보씨(神保氏) (에치주, 키이, 노토), 시이나씨(椎名氏) (에치주), 혼마씨(本間氏) (사도)
미요시 씨족카가와씨(香川氏) (사누키, 셋쓰), 미요시씨(三好氏) (아와), 코사이씨(香西氏) (탄바, 야마시로, 셋쓰), 야스토미씨(安富氏) (사누키, 비추, 오미)
아마고 씨족니코씨(尼子氏) (이즈모)
사이토 씨족사이토씨(斎藤氏) (미노), 토시마씨(富島氏) (미노)
神保氏|진보 씨족일본어키자와씨(木沢氏) (카와치), 호다씨(誉田氏) (야마시로), 유가와씨(湯川氏) (카와치), 이이카와씨(飯川氏) (노토), 온이씨(温井氏) (노토)
잇시키 씨족三方氏|미카타 씨일본어 (와카사), 에네나가씨(延永氏) (탄고), 오가사와라씨(小笠原氏) (미카와, 와카사)
쿄고쿠 씨족미키씨(三木氏) (히다), 오키씨(隠岐氏) (오키), 타가씨(多賀氏) (오미, 히다), 시오야씨(塩冶氏) (이즈모), 고시씨(古志氏) (비고), 와카미야씨(若宮氏) (야마시로)
이마가와 씨족나가세씨(長瀬氏) (도토미, 스루가, 치쿠고, 비고), 가마하라씨(蒲原氏) (도토미, 히무카), 미우라씨(三浦氏) (도토미)
로쿠가쿠 씨족야마우치씨(山内氏) (오미), 이바씨(伊庭氏) (오미), 마부치씨(馬淵氏) (오미), 메가타씨(目賀田氏) (오미), 기가씨(儀峨氏) (오미)
야마나 씨족가키야씨(垣屋氏) (타지마, 하리마, 야마시로), 오타가키씨(太田垣氏) (비고, 비젠, 하리마), 야기씨(八木氏) (타지마, 에치젠), 미야타씨(宮田氏) (이시미, 비고, 하리마), 이리자와씨(入沢氏) (미사쿠, 이나바, 이시미), 야마우치씨(山内氏) (비고), 난죠씨(南条氏) (호키), 코가모씨(小鴨氏) (비젠), 고바야시씨(小林氏) (탄바), 타쿠씨(田公氏) (이나바)
아카마쓰 씨족우라가미씨(浦上氏) (비젠, 야마시로), 코데라씨(小寺氏) (하리마, 비젠, 가가), 備前松田氏|비젠 마쓰다 씨일본어 (비젠), 베쇼씨(別所氏) (하리마), 우노씨(宇野氏) (하리마), 摂津有馬氏|셋쓰 아리마 씨일본어 (하리마), 나카무라씨(中村氏) (미사쿠), 오가와라씨(大河原氏) (미사쿠)
다케다 씨족잇미씨(逸見氏) (와카사), 나이토씨(内藤氏) (와카사), 아토베씨(跡部氏) (카이)
후가시 씨족야마카와씨(山川氏) (가가), 가쿠씨(額氏) (가가), 혼오리씨(本折氏) (가가), 츠키하시씨(槻橋氏) (가가), 에이다씨(英田氏) (가가)
우에스기 씨족長尾(白井・総社)氏|나가오 (시라이·소샤) 씨일본어 (우에노, 무사시, 에치고), 오이시씨(大石氏) (무사시, 우에노, 이즈), 오타씨(太田氏) (사가미, 무사시), 요시에씨(吉江氏) (무사시), 센자카씨(千坂氏) (무사시), 이시카와씨(石川氏) (카즈사), 우사미씨(宇佐美氏) (이즈), 테라오씨(寺尾氏) (이즈), 키도씨(木戸氏) (시모쓰케)
니키 씨족하토리씨(服部氏) (이가), 사이고씨(西郷氏) (미카와)
지바 씨족오스가씨(大須賀氏) (시모우사)
사타케 씨족오노자키씨(小野崎氏) (히타치), 에도씨(江戸氏) (히타치)
유키 씨족토치모토씨(栃本氏) (안보), 미즈타니씨(水谷氏) (시모쓰케)
우쓰노미야 씨족호가씨(芳賀氏) (에치고, 우에노, 카즈사)
코노 씨족카이노씨(戒能氏) (이요)
오가사와라 씨족오이씨(大井氏) (시나노), 아카자와씨(赤沢氏) (시나노)
오우치 씨족스기씨(杉氏) (부젠, 나가토, 치쿠젠, 이즈미, 부젠), 스에씨(陶氏) (나가토, 스오, 치쿠젠, 키이), 히로나카씨(弘中氏) (스오, 아키, 야마시로), 나이토씨(内藤氏) (나가토), 토이다씨(問田氏) (스오, 이시미), 와시가시라씨(鷲頭氏) (나가토, 이시미)
쇼니 씨족시사씨(志佐氏) (이키), 소씨(宗氏) (쓰시마), 쿄바씨(饗庭氏) (히고, 치쿠젠), 지바씨(千葉氏) (히젠), 하라다씨(原田氏) (치쿠젠)
시부카와 씨족요시미씨(吉見氏) (히젠)
오토모 씨족이리다씨(入田氏) (히무카), 사이토씨(斎藤氏) (히젠)
시마즈 씨족薩州家|사쓰슈케일본어 (사쓰마), 혼다씨(本田氏) (오스미), 도모치씨(土持氏) (히무카, 오스미), 사카와씨(酒匂氏) (사쓰마)


4. 센고쿠 시대의 슈고다이

무로마치 시대에 슈고는 가마쿠라교토에 머물며 중앙 정무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고, 여러 슈고를 겸임하는 경우도 있어 자신의 영지를 비우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슈고는 자신의 가신을 대관으로 임명하여 영지의 실제 정무를 대행하게 하였는데, 이들을 슈고다이라고 불렀다.[2] 슈고다이는 자신의 대리인인 소슈고다이를 두기도 하여, 슈고 영지의 토지 지배 구조는 매우 복잡했다. 한 국에 2명 이상의 슈고다이가 있는 경우에는 '분군 슈고다이(分郡守護代)' 체제를 취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슈고의 일족이나 가문의 분가, 또는 중신, 유력 무사(국인)들이 슈고다이로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점차 슈고다이 직이 세습되면서, 슈고를 대신하여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슈고다이는 무로마치 막부로부터 슈고에 준하는 격식을 인정받아 국인보다 높은 지위에 있었다.

장원제가 붕괴하고 총(惣)이 발달하면서 지방 토호와 국인층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고, 각지에서 분쟁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슈고다이는 영지를 일원적으로 지배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전국 다이묘로 성장해 나갔고, 결국 슈고와 함께 소멸해 갔다. 그러나 에치고의 나가오 씨, 에치젠의 아사쿠라 씨, 오와리의 오다 씨, 아와의 미요시 씨, 비젠의 우라카미 씨, 이즈모의 아마고 씨처럼 슈고다이가 전국 다이묘로 성장한 사례도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에치젠의 아사쿠라 씨는 오닌의 난에서 동군으로 전향하는 대가로 에치젠 슈고에 임명되었으나, 이후 꼭두각시 슈고를 내세워 에치젠을 실질적으로 지배했다. 이즈모의 아마고 씨는 슈고 교고쿠 씨의 가신이었으나, 오닌의 난 이후 주군을 몰아내고 11개 국에 걸친 대영주로 성장했다. 에치고의 나가오 씨는 주군을 몰아내고 관동 관령까지 토벌하며 슈고에 준하는 격식을 인정받았고, 우에스기 겐신 대에는 관동 관령직을 계승하여 일반적인 슈고보다 훨씬 높은 지위를 얻게 되었다.

이처럼 슈고다이는 센고쿠 시대의 개막과 함께 주군을 몰아내고 성장하는 존재로 변모해 갔다. 하지만, 오와리의 오다 노부토모처럼 가신에게 멸망당하거나, 비젠의 우라카미 씨처럼 가신에게 대체되는 등, 슈고다이에서 전국 다이묘로의 성장이 반드시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5. 슈고다이 목록

수호 가문슈고다이 가문비고
스파씨(斯波氏)가이씨(甲斐氏)에치젠, 도토미
스파씨(斯波氏)오다씨(織田氏)오와리
스파씨(斯波氏)아사쿠라씨(朝倉氏)에치젠
스파씨(斯波氏)니노미야씨(二宮氏)에치주, 시나노, 가가
스파씨(斯波氏)칸소씨(完草氏)에치젠, 에치주, 와카사, 시나노
스파씨(斯波氏)시마다씨(島田氏)에치젠, 시나노
하타케야마씨(畠山氏)유사씨(遊佐氏)가와치, 노토, 에치주, 키이
하타케야마씨(畠山氏)나가오(후나이)씨(長尾(府内)氏)에치고, 에치주
하타케야마씨(畠山氏)신보씨(神保氏)에치주, 키이, 노토
하타케야마씨(畠山氏)시이나씨(椎名氏)에치주
하타케야마씨(畠山氏)혼마씨(本間氏)사도
하타케야마씨(畠山氏)키자와씨(木沢氏)가와치
하타케야마씨(畠山氏)호다씨(誉田氏)야마시로
하타케야마씨(畠山氏)유가와씨(湯川氏)가와치
하타케야마씨(畠山氏)이이카와씨(飯川氏)노토
하타케야마씨(畠山氏)온이씨(温井氏)노토
호소카와씨(細川氏)카가와씨(香川氏)사누키, 셋쓰
호소카와씨(細川氏)미요시씨(三好氏)아와
호소카와씨(細川氏)코사이씨(香西氏)탄바, 야마시로, 셋쓰
호소카와씨(細川氏)야스토미씨(安富氏)사누키, 비추, 오미
호소카와씨(細川氏)나이토씨(内藤氏)셋쓰, 탄바
호소카와씨(細川氏)우에하라씨(上原氏)탄바
호소카와씨(細川氏)쇼씨(庄氏)비추
호소카와씨(細川氏)아키니와씨(秋庭氏)비추
호소카와씨(細川氏)이시카와씨(石川氏)비추
호소카와씨(細川氏)호소카와씨(細川氏)도사
호소카와씨(細川氏)우에노씨(上野氏)도사, 비고
호소카와씨(細川氏)하다노씨(波多野氏)탄바
호소카와씨(細川氏)야쿠시지씨(薬師寺氏)비고, 셋쓰
호소카와씨(細川氏)나가시오씨(長塩氏)셋쓰
호소카와씨(細川氏)나라씨(奈良氏)셋쓰
호소카와씨(細川氏)이치노미야씨(一宮氏)탄바
호소카와씨(細川氏)토조씨(東条氏)미카와
잇시키씨(一色氏)미카타씨(三方氏)와카사
잇시키씨(一色氏)에네나가씨(延永氏)단고
잇시키씨(一色氏)오가사와라씨(小笠原氏)미카와, 와카사
쿄고쿠씨(京極氏)니코씨(尼子氏)이즈모
쿄고쿠씨(京極氏)미키씨(三木氏)히다
쿄고쿠씨(京極氏)오키씨(隠岐氏)오키
쿄고쿠씨(京極氏)타가씨(多賀氏)오미, 히다
쿄고쿠씨(京極氏)시오야씨(塩冶氏)이즈모
쿄고쿠씨(京極氏)고시씨(古志氏)비고
쿄고쿠씨(京極氏)와카미야씨(若宮氏)야마시로
이마가와씨(今川氏)나가세씨(長瀬氏)도토미, 스루가, 지쿠고, 비고
이마가와씨(今川氏)가마하라씨(蒲原氏)도토미, 휴가
이마가와씨(今川氏)미우라씨(三浦氏)도토미
로쿠가쿠씨(六角氏)야마우치씨(山内氏)오미
로쿠가쿠씨(六角氏)이바씨(伊庭氏)오미
로쿠가쿠씨(六角氏)마부치씨(馬淵氏)오미
로쿠가쿠씨(六角氏)메가타씨(目賀田氏)오미
로쿠가쿠씨(六角氏)기가씨(儀峨氏)오미
야마나씨(山名氏)가키야씨(垣屋氏)다지마, 하리마, 야마시로
야마나씨(山名氏)오타가키씨(太田垣氏)비고, 비젠, 하리마
야마나씨(山名氏)야기씨(八木氏)다지마, 에치젠
야마나씨(山名氏)미야타씨(宮田氏)이와미, 비고, 하리마
야마나씨(山名氏)이리자와씨(入沢氏)미마사카, 이나바, 이와미
야마나씨(山名氏)야마우치씨(山内氏)비고
야마나씨(山名氏)난죠씨(南条氏)호키
야마나씨(山名氏)코가모씨(小鴨氏)비젠
야마나씨(山名氏)고바야시씨(小林氏)탄바
야마나씨(山名氏)타쿠씨(田公氏)이나바
아카마쓰씨(赤松氏)우라가미씨(浦上氏)비젠, 야마시로
아카마쓰씨(赤松氏)코데라씨(小寺氏)하리마, 비젠, 가가
아카마쓰씨(赤松氏)비젠 마쓰다씨(備前松田氏)비젠
아카마쓰씨(赤松氏)베쇼씨(別所氏)하리마
아카마쓰씨(赤松氏)우노씨(宇野氏)하리마
아카마쓰씨(赤松氏)아리마씨(有馬氏)하리마
아카마쓰씨(赤松氏)나카무라씨(中村氏)미마사카
아카마쓰씨(赤松氏)오가와라씨(大河原氏)미마사카
토키씨(土岐氏)사이토씨(斎藤氏)미노
토키씨(土岐氏)토시마씨(富島氏)미노
타케다씨(武田氏)잇미씨(逸見氏)와카사
타케다씨(武田氏)나이토씨(内藤氏)와카사
타케다씨(武田氏)아토베씨(跡部氏)가이
후가시씨(富樫氏)야마카와씨(山川氏)가가
후가시씨(富樫氏)가쿠씨(額氏)가가
후가시씨(富樫氏)혼오리씨(本折氏)가가
후가시씨(富樫氏)츠키하시씨(槻橋氏)가가
후가시씨(富樫氏)에이다씨(英田氏)가가
우에스기씨(上杉氏)나가오(시라이·소샤)씨(長尾(白井・総社)氏)고즈케, 무사시, 에치고
우에스기씨(上杉氏)오이시씨(大石氏)무사시, 고즈케, 이즈
우에스기씨(上杉氏)오타씨(太田氏)사가미, 무사시
우에스기씨(上杉氏)요시에씨(吉江氏)무사시
우에스기씨(上杉氏)센자카씨(千坂氏)무사시
우에스기씨(上杉氏)이시카와씨(石川氏)가즈사
우에스기씨(上杉氏)우사미씨(宇佐美氏)이즈
우에스기씨(上杉氏)테라오씨(寺尾氏)이즈
우에스기씨(上杉氏)키도씨(木戸氏)시모쓰케
니키씨(仁木氏)하토리씨(服部氏)이가
니키씨(仁木氏)사이고씨(西郷氏)미카와
지바씨(千葉氏)오스가씨(大須賀氏)시모우사
사타케씨(佐竹氏)오노자키씨(小野崎氏)히타치
사타케씨(佐竹氏)에도씨(江戸氏)히타치
유키씨(結城氏)토치모토씨(栃本氏)안보
유키씨(結城氏)미즈타니씨(水谷氏)시모쓰케
우쓰노미야씨(宇都宮氏)호가씨(芳賀氏)에치고, 고즈케, 가즈사
코노씨(河野氏)카이노씨(戒能氏)이요
오가사와라씨(小笠原氏)오이씨(大井氏)시나노
오가사와라씨(小笠原氏)아카자와씨(赤沢氏)시나노
오우치씨(大内氏)스기씨(杉氏)부젠, 나가토, 지쿠젠, 이즈미
오우치씨(大内氏)스에씨(陶氏)나가토, 스오, 지쿠젠, 키이
오우치씨(大内氏)히로나카씨(弘中氏)스오, 아키, 야마시로
오우치씨(大内氏)나이토씨(内藤氏)나가토
오우치씨(大内氏)토이다씨(問田氏)스오, 이와미
오우치씨(大内氏)와시가시라씨(鷲頭氏)나가토, 이와미
쇼니씨(少弐氏)시사씨(志佐氏)이키
쇼니씨(少弐氏)소씨(宗氏)쓰시마
쇼니씨(少弐氏)쿄바씨(饗庭氏)히고, 지쿠젠
쇼니씨(少弐氏)지바씨(千葉氏)히젠
쇼니씨(少弐氏)하라다씨(原田氏)지쿠젠
시부카와씨(渋川氏)요시미씨(吉見氏)히젠
오토모씨(大友氏)이리다씨(入田氏)휴가
오토모씨(大友氏)사이토씨(斎藤氏)히젠
시마즈씨(島津氏)시마즈씨(島津氏)사쓰마
시마즈씨(島津氏)혼다씨(本田氏)오스미
시마즈씨(島津氏)도모치씨(土持氏)휴가, 오스미
시마즈씨(島津氏)사카와씨(酒匂氏)사쓰마


참조

[1]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守護代」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29
[2] 웹사이트 守護代(しゅごだい)の意味 https://dictionary.g[...] goo国語辞書 2020-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