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바벤 공작 리우돌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우돌프는 오토 1세의 아들이자 슈바벤 공작으로, 946년 아버지에 의해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949년 슈바벤 공작이 되었으나, 951년 이탈리아 원정에서의 갈등과 왕위 계승에 대한 불안감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은 실패로 돌아갔고, 슈바벤 공작위를 박탈당했다. 956년 이탈리아 원정 중 957년 말라리아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오토는 슈바벤 공작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57년 사망 - 아린자야
    아린자야는 10세기 중엽 촐라 왕조의 왕족으로, 간다라디티야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는지 논란이 있지만, 동부 찰루키아 왕조 공주와의 혼인으로 순다라 촐라를 낳아 촐라 왕위 계승에 기여했으며 손자인 라자라자 1세에 의해 기려졌다.
  • 930년 출생 - 미에슈코 1세
    미에슈코 1세는 963년 폴란드 공에 즉위하여 폴란드 국가를 건설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포메라니아 등을 정복하여 폴란드 왕국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 930년 출생 - 다비트 3세
    다비트 3세는 팽창 정책과 외교술로 세력을 확장하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를 통해 영향력을 키웠으며, 바그라트 3세를 후원하여 조지아 통일 기반을 마련한 타오 공작이다.
  • 오토 왕조 - 오토 3세
    오토 3세는 980년 출생하여 1002년 사망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어린 나이에 독일 왕으로 즉위하여 섭정을 받으며 성장, 친정 후에는 로마 제국 부흥을 꿈꿨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오토 왕조 - 하인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2세는 973년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2세와 부르군디의 기젤라 사이에서 태어나 1002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왕이자 1014년부터 황제를 지낸 오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로, 왕권 강화, 폴란드와의 전쟁, 이탈리아 원정, 교회와의 관계 속에서 신권적인 제국 통치를 추구하다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작센 왕조가 단절되었고 1147년 시성되었다.
슈바벤 공작 리우돌프
기본 정보
리우돌프와 그의 아내 이다
리우돌프와 그의 아내 이다
작위슈바벤 대공
통치 기간950년 – 957년
이전헤르만 1세
이후부르하르트 3세
가문오토 왕조
배우자이다 폰 슈바벤
자녀오토 1세
마틸데 (에센의 수녀원장)
아버지오토 1세
어머니에드기타
출생일기원후 930년경
출생지마그데부르크
사망일957년 9월 6일 (약 27세)
사망지폰비아, 마조레 호수
매장지마인츠 성 알반 수도원
종교기독교

2. 가계

3. 생애

리우돌프는 작센 공작이자 독일 왕 오토 1세의 아들이었다. 어머니는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의 딸 에드기스였다. 그는 아버지의 후계자로 지명되어 교육을 받았으며, 이다와 결혼하여 슈바벤 공작이 되었다.

950년 이탈리아에서 왕위 찬탈이 벌어지자, 아버지의 이탈리아 원정 계획을 저지하고 먼저 군대를 이끌고 롬바르디아를 침공했지만, 아버지와 숙부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1세의 방해로 실패했다. 이후 아버지 오토 1세가 아델라이드와 재혼하고 아들을 낳자, 리우돌프는 왕위 계승에 위협을 느껴 매형 콘라트와 동맹을 맺고 반란을 일으켰다.

953년에 시작된 반란은 처음에는 슈바벤인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헝가리인의 침입과 동맹들의 이탈로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954년, 리우돌프는 아버지에게 굴복하고 슈바벤 공작 지위를 잃었다. 956년 아버지의 명으로 다시 이탈리아 원정을 떠났으나, 957년 말라리아로 사망하여 마인츠에 묻혔다.

3. 1. 초기 생애와 슈바벤 공작 즉위

리우돌프는 작센 공작 오토 1세의 외아들이자, 독일 왕 하인리히 1세의 아들이자 상속자였다. 그의 어머니는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의 딸인 에드기스였다. 936년 오토가 독일 왕위에 올랐을 때, 리우돌프는 그의 지정된 상속자로서 광범위한 교육을 받았다. 946년에는 아버지 오토 1세로부터 후계자로 지명되었다.[3]

939년, 오토 1세는 리우돌프를 이다와 약혼시켰다. 이다는 콘라딘 공작 헤르만 1세의 딸이자 상속녀였다. 947년 또는 948년경에 결혼이 이루어졌고, 얼마 지나지 않아 헤르만 공작이 사망하자 오토 왕은 맏아들이자 상속자인 리우돌프를 슈바벤 공작으로 임명했다. 리우돌프는 부족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통치자였고 슈바벤에서 오토 왕가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949년, 장인 헤르만 1세가 사망하여 리우돌프는 슈바벤 공작직을 계승하였다.

3. 2. 이탈리아 원정과 아버지와의 갈등

950년 11월, 이탈리아의 로타르 2세가 사망하자, 베렌가리오 2세가 왕위를 찬탈하고 리우돌프의 아내 이다의 친척이자 로타르의 미망인 아델라이드를 투옥했다. 아델라이드는 오토의 동맹인 부르군디의 콘라트 1세의 여동생이었으므로, 독일 왕은 이탈리아 원정을 준비했다.[4]

하지만 리우돌프는 아버지의 계획을 저지하고 951년 초에 슈바벤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어 롬바르디아를 침공했다. 그의 아버지는 이를 불쾌하게 여겼고, 리우돌프의 원정을 북부 이탈리아에서의 자신의 이익 침해로 간주한 동생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1세의 지원을 받아 그의 계획을 좌절시켰다. 슈바벤 공작은 이탈리아 귀족들로부터 거의 지원을 받지 못했고, 결국 아버지의 접근하는 군대를 따라야 했으며, 큰 소득 없이 물러나야 했다.

946년에 어머니 에드기다를 잃었지만, 리우돌프는 아버지로부터 각별한 사랑을 받았으며, 같은 해에 후계자로 지명되었다.[3] 949년, 아내 이다의 아버지 슈바벤 공작 헤르만 1세가 사망하여 리우돌프는 장인의 뒤를 이어 슈바벤 공작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아버지가 951년에 제1차 이탈리아 원정을 갔을 때, 이탈리아 왕 로타리오 2세의 미망인이자 베렌가리오 2세에게 붙잡혀 있던 아델하이드를 구출하여 아델하이드와 재혼했다. 다음 해 952년에 아델하이드가 이복 동생 하인리히를 낳자 리우돌프는 자신의 왕위 계승에 불안감을 느끼게 되었다.[4] 또한 951년의 이탈리아 원정에서 아버지의 승인 없이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숙부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1세와 선두 경쟁을 벌였지만, 아버지의 노여움을 사 그 공적을 무시당함으로써 리우돌프의 불만이 커졌다.

이때, 마찬가지로 이탈리아 원정에 참가했던 의붓 동생 로트링겐 공작 콘라트(이부 여동생 리우트가르트의 남편)가 처음에는 베렌가리오 2세와의 협상을 맡았지만, 여기서도 숙부 하인리히가 방해하여 결국 하인리히만이 포상을 받게 되었다. 이렇게 체면을 구긴 콘라트도 리우돌프와 함께 하인리히 1세에 대한 적대감을 갖게 되었고, 오토 1세에게도 불만을 품게 되었다.[5]

3. 3. 반란과 몰락

오토 1세가 이탈리아의 상속녀 아델라이드와 결혼하자, 리우돌프는 자신의 입지가 위협받는다고 느꼈다.[4] 그는 951년 크리스마스를 잘레펠트의 ''카이저팔츠''에서 왕처럼 호화롭게 기념하고, 매형인 로트링겐 공작 콘라트와 동맹을 맺어 자신의 계승권을 강조했다.

953년, 오토 1세는 리우돌프 파의 마인츠 대주교 프리드리히(레니에 가문)에게 가서 리우돌프 및 콘라트와 바이에른 공작하인리히 1세를 제거하고 리우돌프의 왕위 계승을 보장하는 계약을 맺었지만, 곧 파기하고 콘라트에게서 로트링겐 공작위를 박탈했다.[5] 그리하여 리우돌프, 콘라트, 마인츠 대주교 프리드리히, 바이에른 궁정 백작 아르누프(루이트폴트 가문) 등이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듬해 954년, 리우돌프가 묵인한 헝가리인의 침공으로 각지가 약탈당하자, 리우돌프 파에 속했던 자들이 이탈했고, 같은 해 6월 랑겐첸 제국 의회에서 프리드리히와 콘라트는 오토 1세와 화해했다.[6][7] 리우돌프는 레겐스부르크에서 계속 반란을 이어갔지만, 오토 1세가 포위하여 시민들이 기아에 시달리게 되었다. 결국 리우돌프는 튀링겐에서 속죄복을 입고 아버지에게 굴복하여 반란은 진압되었다.[7]

리우돌프는 슈바벤 공작 지위를 박탈당했고, 이 지위는 장인 헤르만 1세 이전에 슈바벤 공작이었던 부르하르딩 가문의 부르하르트 3세(아내 이다의 이복형)에게 돌아갔다. 956년, 리우돌프는 아버지의 명으로 베렌가리오 2세 토벌을 위해 다시 이탈리아 원정을 떠났고,[8] 베렌가리오 2세를 패주시켰지만, 이듬해 957년에 말라리아로 사망했다.[9] 유해는 마인츠로 보내져 서형 빌헬름에 의해 마인츠 시벽 외곽의 성 알반 교회에 매장되었다.[10]

4. 유산

리우돌프와 이다 사이의 아들인 오토는 훗날 바이에른슈바벤의 공작이 되었다.[2] 리우돌프의 딸 마틸다는 에센 수도원의 원장이었다.[2] 리우돌프는 독일 남부에 슈투트가르트라는 도시를 건설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편, 역사학자 아르민 볼프에 따르면 리힐린데라는 또 다른 딸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리힐린데는 외닝겐의 쿠노와 결혼했으며,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콘라트 1세는 982년 슈바벤에서 오토 1세의 뒤를 이었다. 이 결혼은 리우돌핑 가문과 콘라딘 가문 사이의 계통 연결을 보여주는 것이 된다.[2]

참조

[1] 웹사이트 Liudolf https://www.britanni[...] 2018-12-04
[2] 논문 Wer war Kuno „von Öhningen“? Überlegungen zum Herzogtum Konrad von Schwaben († 997) und zur Königswahl im Jahr 1002. In: Deutsches Archiv 36 (1980), S. 25–83; Armin Wolf: Ahnen deutscher Könige und Königinnen. In: Herold-Jahrbuch. Neue Folge, 15. Band (2010), S. 77ff. Zur Gegenposition: [[Eduard Hlawitschka]]: Wer waren Kuno und Richlind von Öhningen. Kritische Überlegungen zu einem neuen Identifizierungsvorschlag. In: Zeitschrift für Geschichte des Oberrheins 128 (1980) Seite 1–49; Eduard Hlawitschka: Die Ahnen der hochmittelalterlichen deutschen Könige, Kaiser und ihrer Gemahlinnen (2006)
[3] 서적 Collins, p.148
[4] 서적 瀬原、p. 83
[5] 서적 瀬原、p. 84
[6] 서적 成瀬他、p. 121
[7] 서적 瀬原、p. 85
[8] 서적 瀬原、p. 87
[9] 서적 Schutz, p. 51
[10] 서적 コルヴァイのヴィドゥキント、p. 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