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정의
주 아이디얼 정역 (예를 들어, 정수환 또는 체 계수 일변수 다항식환 ) 위의 임의의 행렬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역 행렬 와 및 유한 개의 원소 가 존재한다.
:
:
:
(여기서 는 영행렬이다.)
이때, 은 가역원배의 차이를 무시하면 유일하며, 이를 의 '''스미스 표준형'''이라고 한다. 이 원소들은 ''기본 약수'', ''불변량'' 또는 ''불변 인수''라고도 불린다.
2. 1. 불변 인자 계산
영역 에 대한 0이 아닌 행렬 가 주어졌을 때, 다음을 만족하는 가역 행렬 와 행렬 가 존재한다.
:
여기서 대각선 요소 는 모든 에 대해 을 만족한다. 이 대각 행렬은 행렬 의 스미스 표준형이다. 는 단위를 곱하는 것을 제외하면 고유하며, ''불변 인수''라고 불린다. 불변 인수는 다음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
여기서 (번째 ''행렬식 약수''라고 함)는 행렬 의 모든 소행렬식의 행렬식의 최대공약수이고, 이다.
'''예시 :''' 행렬의 경우, 이며, 이고 이다.
3. 알고리즘
스미스 표준형 알고리즘은 주어진 행렬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대각 행렬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이 알고리즘은 주로 다음 두 가지 기본 연산을 사용한다.
1. 행 또는 열 교환: 행렬의 두 행 또는 두 열의 위치를 바꾼다.
2. 행 또는 열에 대한 선형 결합: 한 행 또는 열에 다른 행 또는 열의 배수를 더한다.
이러한 연산들을 통해, 주어진 행렬을 스미스 표준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스미스 표준형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대각 행렬이다.
- 대각 성분은 0 또는 어떤 수이다.
- 0이 아닌 대각 성분들은 행렬의 왼쪽 위부터 시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나타난다.
- 0이 아닌 각 대각 성분은 다음 대각 성분을 나눈다.
이 알고리즘의 핵심은 주어진 행렬 에 대해, 가 대각 행렬이 되는 가역 행렬 와 를 찾는 것이다. 여기서 는 에 적용되는 행 연산을, 는 열 연산을 나타낸다. 이러한 행렬 와 는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1. 초기화: 와 를 항등 행렬로 설정한다.
2. 반복: 에 행 연산을 적용할 때마다 를 수정하고, 열 연산을 적용할 때마다 를 수정한다. 이 과정을 통해 를 점진적으로 대각 행렬로 변환한다.
3. 불변성 유지: 이 과정에서 라는 불변 관계식이 유지된다. 여기서 는 현재 값을, 는 원래 행렬을 나타낸다.
이 알고리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 및 베주 정역의 성질, 즉 행렬의 각 원소가 유일한 인수 분해를 가지며 최대공약수를 통해 선형 결합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다.
3. 1. 피벗 선택
행렬의 스미스 표준형은 두 행 또는 두 열을 교환하거나, 한 행 또는 열에 다른 행 또는 열의 배수를 더하는 연산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에서 0이 아닌 모든 원소 은 유일한 인수 분해를 가지며, 은 의 소인수 중복집합의 크기를 나타낸다.
위의 행렬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
베주 정역 에서 와 의 최대공약수 에 대해 인 가 존재한다. , 라고 하면, 이 성립한다. 따라서 다음 행렬은 가역 행렬이다.
:
이 행렬을 이용하여 원래 행렬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
왼쪽에 가역 행렬을 곱하는 방식으로도 첫 행 첫 열 성분을 와 의 최대공약수로, 둘째 행 첫 열 성분을 0으로 만들 수 있다.
일반적인 행렬 의 경우, 이면 스미스 표준형이다. 일 때, 행과 열 교환을 통해 으로 만들 수 있다. (가 가장 작도록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모든 에 대해 라면, 각 행과 열에 첫 행/열의 배수를 더해 첫 행과 첫 열의 을 제외한 모든 성분을 0으로 만들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이거나 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라고 가정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가역 행렬 이 존재한다.
:
:
이때, 를 확장한 다음 행렬 는 가역 행렬이다.
:
의 첫 행 첫 열 성분은 이며,
4. 예제
유리수 계수 다항식환 \mathbb Q[x] 위의 행렬
:
\begin{pmatrix}
x+3 & 1 & 1 \\
2 & x+2 & 1 \\
\end{pmatrix}
의 스미스 표준형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begin{align}
\begin{pmatrix}
x+3 & 1 & 1 \\
2 & x+2 & 1 \\
\end{pmatrix}
&\sim
\begin{pmatrix}
1 & 1 & x+3 \\
1 & x+2 & 2 \\
x-2 & -3 & -6
\end{pmatrix}
\sim
\begin{pmatrix}
1 & 1 & x+3 \\
0 & x+1 & -x-1 \\
0 & -x-1 & -x^2-x
\end{pmatrix}
\sim
\begin{pmatrix}
1 & 0 & 0 \\
0 & x+1 & -x-1 \\
0 & -x-1 & -x^2-x
\end{pmatrix}
\\&\sim
\begin{pmatrix}
1 & 0 & 0 \\
0 & x+1 & -x-1 \\
0 & 0 & -(x+1)^2
\end{pmatrix}
\sim
\begin{pmatrix}
1 & 0 & 0 \\
0 & x+1 & 0 \\
0 & 0 & -(x+1)^2
\end{pmatrix}
\\&\sim
\begin{pmatrix}
1 & 0 & 0 \\
0 & x+1 & 0 \\
0 & 0 & (x+1)^2
\end{pmatrix}
\end{align}
정수 위에서 다음 행렬의 스미스 표준형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begin{pmatrix}
2 & 4 & 4 \\
10 & 4 & 16
\end{pmatrix}
다음은 위의 행렬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중간 단계이다.
:
\to
\begin{pmatrix}
2 & 0 & 0 \\
10 & -16 & -4
\end{pmatrix}
\to
\begin{pmatrix}
2 & 0 & 0 \\
0 & 18 & 24 \\
0 & -16 & -4
\end{pmatrix}
\to
\begin{pmatrix}
2 & 0 & 0 \\
0 & 2 & 20 \\
0 & -16 & -4
\end{pmatrix}
\to
\begin{pmatrix}
2 & 0 & 0 \\
0 & 2 & 20 \\
0 & 0 & 156
\end{pmatrix}
\to
\begin{pmatrix}
2 & 0 & 0 \\
0 & 2 & 0 \\
0 & 0 & 156
\end{pmatrix}
따라서 스미스 표준형은
:
\begin{pmatrix}
2 & 0 & 0 \\
0 & 2 & 0 \\
0 & 0 & 156
\end{pmatrix}
이며, 불변 인자는 2, 2, 156이다.
5. 응용
스미스 표준형은 사슬 복합체의 사슬 모듈이 유한 생성 가군일 때 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위상수학에서 유한 단순 복합체 또는 CW 복합체의 정수 계수 호몰로지를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복합체의 경계 사상이 정수 행렬이기 때문이다. 또한 주 이상역에 대한 유한 생성 가군의 구조 정리에 나타나는 불변 인수를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유한 생성 아벨 그룹의 기본 정리도 포함된다.[2]
스미스 표준형은 제어 이론에서 전달 함수 행렬의 전송 및 차단 영점을 계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2]
5. 1. 주 아이디얼 정역 위의 유한 생성 가군의 구조
스미스 표준형을 통해 주 아이디얼 정역 위의 유한 생성 가군의 불변 인자 분해를 유도할 수 있다.
5. 2. 호몰로지 계산
스미스 표준형은 사슬 복합체의 사슬 모듈이 유한 생성 가군일 때 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위상수학에서 유한 단순 복합체 또는 CW 복합체의 정수 계수 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합체의 경계 사상이 정수 행렬이기 때문이다. 또한 주 이상역에 대한 유한 생성 가군의 구조 정리에 나타나는 불변 인수를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유한 생성 아벨 그룹의 기본 정리도 포함된다.[2]
5. 3. 제어 이론
제어 이론에서 전달 함수 행렬의 전송 및 차단 영점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2]
5. 4. 닮음 판별
스미스 표준형은 공통 체 K 상의 원소를 갖는 행렬들이 닮음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행렬 ''A''와 ''B''가 닮음이려면 필요충분 조건으로 특성 행렬 xI-A와 xI-B가 동일한 스미스 표준형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PID는 K[x]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행렬들을 생각해 보자.
:\begin{align}
A & {} =\begin{bmatrix}
1 & 2 \\
0 & 1
\end{bmatrix}, & & \mbox{SNF}(xI-A) =\begin{bmatrix}
1 & 0 \\
0 & (x-1)^2
\end{bmatrix} \\
B & {} =\begin{bmatrix}
3 & -4 \\
1 & -1
\end{bmatrix}, & & \mbox{SNF}(xI-B) =\begin{bmatrix}
1 & 0 \\
0 & (x-1)^2
\end{bmatrix} \\
C & {} =\begin{bmatrix}
1 & 0 \\
1 & 2
\end{bmatrix}, & & \mbox{SNF}(xI-C) =\begin{bmatrix}
1 & 0 \\
0 & (x-1)(x-2)
\end{bmatrix}.
\end{align}
''A''와 ''B''는 특성 행렬의 스미스 표준형이 일치하기 때문에 서로 닮음이지만, ''C''는 특성 행렬의 스미스 표준형이 이들과 다르므로 ''A''나 ''B''와 닮음이 아니다.
참조
[1]
논문
Smith normal form in combinatorics
2016
[2]
서적
Multivariable feedback design
Addison-Wesley
1989
[3]
웹사이트
Computation time of Smith normal form in Maple
https://mathoverflow[...]
2024-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