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르케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베르케르 1세는 1130년대 초 스웨덴의 국왕으로, 1132년 망누스 1세를 몰아내고 즉위했다. 외스테르예틀란드의 유력 가문 출신으로, 스텡킬 가문의 대가 끊기면서 권력을 잡았다. 재위 기간 동안 베스테르예틀란드를 정복하고,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침공하는 등 영토 확장을 시도했다. 또한, 덴마크 왕자 크누드 5세와 발데마르 1세를 지원하는 등 외교 정책을 펼쳤다. 1156년 크리스마스에 알바스트라 수도원에서 열린 종교 행사에 참석하러 가던 중 암살되었으며, 왕위는 에리크 9세가 계승했다. 울브힐드 호칸스도테르, 폴란드의 리체자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베르케르가 - 스베르케르 2세
스베르케르 2세는 12세기 말~13세기 초 스웨덴 국왕으로, 에리크 가문과의 왕위 다툼 끝에 전사했으며, 재위 기간 스웨덴 교회의 특권 확대와 발트 해 동쪽 민족과의 전쟁을 치렀다. - 스베르케르가 - 칼 7세
스베르케르 1세의 아들인 칼 7세는 망누스 2세를 살해하고 1161년부터 1167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재임하며 웁살라 대주교구 설립 등 가톨릭 국가 모델에 기여했으나, 1167년 암살당했다. - 1156년 사망 - 도바 천황
도바 천황은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로 즉위 후 시라카와 법황의 섭정을 받았으며, 스토쿠 천황에게 양위한 후 인세이를 시작하여 실권을 장악하고 고노에 천황을 즉위시키는 등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말년에 법황이 되어 붕어했다. - 1156년 사망 - 푸아티에 백작 기욤 9세
푸아티에 백작 기욤 9세는 1071년 푸아티에에서 앙주 백작 앙리 2세와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사이에서 태어나 푸아티에 백작령의 상속자가 되었으며, 그의 출생은 잉글랜드 왕위 계승에 영향을 미쳤다. - 살해된 12세기 군주 - 에리크 9세
에리크 9세는 12세기 스웨덴 국왕으로 핀란드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스웨덴 법률 개혁과 교회 지원에 기여하여 성왕으로 숭배받았으나, 1160년 암살당한 인물이다. - 살해된 12세기 군주 - 의종 (고려)
인종의 맏아들인 의종은 고려 제18대 왕으로, 즉위 초 왕권 강화를 꾀했으나 잦은 유희와 문신 우대로 무신정변을 초래하여 폐위 후 살해되었으며, 그의 치세는 무신정권 시대로 이어지는 분수령이 되었다.
스베르케르 1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스베르케르 1세 (노왕) |
다른 이름 | Swærkir konongær gambli |
칭호 | 스웨덴 국왕 |
재위 기간 | 기원후 1130년경 - 1156년 12월 25일 |
왕가 | 스베르케르 가문 |
출생과 사망 | |
출생 | 기원후 1100년경 |
사망 | 1156년 12월 25일 |
사망 장소 | 알바스트라 근처, 스웨덴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코르누베 |
배우자 | 울브힐드 호콘스도테르 리체자 볼레스와브브나 |
자녀 | 칼 스베르케르손 요한 스베르케르손 |
스웨덴어 표기 | |
스웨덴어 | Sverker I |
스웨덴어 (다른 표기) | Sverker den äldre |
2. 생애
외스테르예틀란드(Östergötland)의 대지주 가문인 스베르케르가(Sverker) 출신이다. 1240년경에 출간된 베스테르예틀란드의 법전인 《베스티에탈라겐》(Västgötalagen)에 따르면 스베르케르 1세의 아버지 이름은 코르누베(Cornube)라고 한다.[1] 1132년경 덴마크 출신의 왕자였던 망누스 1세를 몰아내고 스웨덴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알바스트라 수도원, 니다로스 대성당, 반헴 수도원 건립을 지원했다.
1156년 크리스마스(12월 25일)에 알바스트라 수도원 근처 알레베크 다리에서 암살당했다. 범인은 스웨덴의 왕위 요구자였던 덴마크 출신의 왕자인 망누스 헨릭손으로 추정된다.
2. 1. 권력 강화
외스테르예틀란드(Östergötland)의 대지주 가문인 스베르케르가(Sverker) 출신인 스베르케르 1세는 1120년대에 스텡킬가(Stenkil)의 혈통이 단절되면서 권력을 잡았다.[1] 덴마크의 왕자 망누스 1세가 예탈란드의 왕으로 잠시 인정받았으나, 그의 실제 권력은 불분명했다. 1132년경 망누스 1세가 덴마크 내전에 관여하면서, 스베르케르 1세는 스웨덴의 왕으로 즉위할 기회를 얻었다.[4]스베르케르 1세는 왕국의 여러 지방에서 서서히 인정받았다. 1130년대 베스테르예틀란드(Västergötland) 엘리트들의 분리주의적 행동은 노르웨이 자료에 언급되어 있다. 멜라렌호 주변 지방에서도 망누스 1세의 추종자들이 남아있었다. 시그투나의 헨리크 주교는 스웨덴에서 추방당해 1134년 포테비크 전투에서 망누스 1세 편에서 전사했다.[6] 1135년 스베르케르 1세는 멜라렌 지방에서 인정받았고, 덴마크 왕위 계승자 올루프 하랄드센을 받아들였다.[7] 1140년대까지 스베르케르 1세의 권위는 왕국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받았다. 그의 권력 기반은 카가 교회, 알바스트라 수도원, 브레타 수도원을 종교적 지원 기지로 하는 외스테르예틀란드 중앙 평원이었다.[8]
스베르케르 1세는 결혼 정책을 통해 자신의 정당성을 확고히 했다. 그는 스텡킬 가문의 마지막 왕 잉에 2세의 미망인 울브힐드 호콘스도테르(Ulvhild Håkansdotter)와 결혼하여 멸족된 왕조의 영향력과 재산을 흡수했다.[10] 울브힐드가 죽은 후, 그는 옛 적 망누스 1세의 미망인 폴란드의 리헤자(Richeza)와 결혼하여 망누스 1세의 추종자들을 끌어들이려 했다.[11]
1142년 스웨덴 군이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침공하면서, 두 나라 간의 오랜 평화가 깨지고 3세기에 걸친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이 시작되었다.[1]
1156년 크리스마스(12월 25일)에 스베르케르 1세는 알바스트라 수도원 근처 알레베크 다리에서 암살당했다. 범인은 왕위 찬탈자 망누스 헨릭손으로 추정된다.
2. 2. 정략결혼
스베르케르는 결혼 정책을 통해 자신의 왕위 계승 정당성을 확고히 하려고 노력했다. 삭소 그라마티쿠스(Saxo Grammaticus)의 기록에 따르면, "니엘스 [덴마크]는 노르웨이 출신의 울브힐드와 결혼했다... 스베르케르는 그녀에게 사절을 보내 그녀의 사랑을 구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몰래 그녀를 남편에게서 데려와 그녀와 결혼했다."[9] 이러한 스베르케르의 행동은 울브힐드가 이전에 스텐킬 가문의 마지막 왕인 잉에 2세와 결혼했었고, 따라서 소멸된 왕조의 영향력과 재산을 대표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10]울브힐드가 죽은 후, 스베르케르는 그의 옛 적이었던 망누스 1세의 미망인인 폴란드 공주 리체자와 결혼했는데, 이는 아마도 망누스 1세의 마지막 추종자들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을 것이다.[11] 이 결혼을 통해 그는 리체자의 딸 소피아를 지배하게 되었는데, 소피아는 1154년에 미래의 왕 발데마르 대왕과 약혼했으며, 스베르케르가 죽은 후 그와 결혼했다.[12]
스베르케르 1세의 부인과 자녀는 다음과 같다.
부인 | 자녀 |
---|---|
울프힐드 호콘스도테르 (잉에 2세의 미망인, 덴마크 왕 닐스에게서 도망쳐 스베르케르와 결혼) | |
리크사 볼레스와프나 (리체자, 폴란드 대공 볼레스와프 3세의 딸, 마그누스 1세와 민스크 공작 볼로다르의 전 부인) | |
어머니가 불명인 아들 | |
colspan="2" | |
2. 3. 외교 정책
1142년 스웨덴 군이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습격했다.[15] 양국 사이에는 양국 왕가 간의 혼인으로 오랫동안 평화가 유지되었지만, 이 충돌로 3세기에 걸쳐 지속되는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1150년대에는 덴마크와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스베르케르는 의붓아들 크누드 5세를 지원했는데, 이는 크누드의 경쟁자 스벤 3세에게 위협이 되었다.[16] 스베르케르의 아들 요한은 덴마크 할란에서 귀부인들을 납치했다가 아버지와 백성의 강요로 돌려보내는 사건도 있었다. 니콜라스 브레이크스피어 교황은 스벤 3세에게 스웨덴 침공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으나, 스벤 3세는 스웨덴 내 분란을 틈타 공격할 적기로 판단했다.
1153년, 스벤 3세는 스웨덴 남부 스몰란드 지방으로 원정을 감행했다.[17] 스베르케르는 소극적으로 대응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다. 1154년 초, 스벤 3세는 덴마크로 퇴각해야 했다. 덴마크 군의 일부는 핀베덴을 통해 귀환하던 중 농민들의 습격을 받아 학살당했다.[18] 이 사건은 블렌다 전설의 모티브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
전쟁은 종식되었지만, 스베르케르와 크누드 5세의 관계는 지속되었다. 발데마르 1세는 스벤 3세와 협력 관계였으나, 크누드 5세의 편으로 기울었다. 1154년, 크누드 5세와 발데마르 1세는 스베르케르를 방문하여 결혼 동맹을 제안했다. 스베르케르는 이를 수락하여 크누드 5세는 스웨덴의 헬레나와 약혼했다.[20] 스베르케르와의 동맹을 통해 크누드 5세와 발데마르 1세는 스벤 3세를 공격할 수 있었다.[21]
2. 4. 암살
1156년 크리스마스(12월 25일)에 알바스트라 수도원에서 열린 종교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가던 도중에 수도원 인근에 있는 알레베크 다리에서 피살당했다.[22] 범인은 스웨덴의 왕위 요구자였던 덴마크 출신의 왕자인 망누스 헨릭손으로 추정된다. 이는 중세 시대의 기준에서도 충격적인 범죄로 여겨졌다.[23]3. 가족
스베르케르 1세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잉에 2세 국왕의 미망인인 울브힐드 호콘스도테르였다. 울브힐드는 잉에 2세와 사별 후 덴마크 국왕 닐스와 재혼했으나, 닐스에게서 도망쳐 스베르케르 1세와 결혼했다. 이들 사이에서는 2남 2녀가 태어났다.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요한 | ? ~ 1150년대 초 | 팅 회의에서 농민들에게 살해됨. 세실리아의 아버지로 추정. |
칼 7세 | ? ~ 1167년 | 스베르케르 1세의 뒤를 이어 스웨덴 국왕이 됨. |
잉에예르드 | ? ~ 1204년 | 브레타 수도원 원장 |
헬레나 | ? ~ ? | 덴마크 국왕 크누드 5세와 결혼.[25] 망누스 닐센 국왕의 아들. |
두 번째 부인은 리체자 (폴란드 대공 볼레스와프 3세의 딸)였다. 리체자는 망누스 1세 및 민스크 공작 볼로다르와 결혼했었다. 이들 사이에서는 아들 볼레스와프가 태어났다.
어머니가 불명확한 아들로는 수네 시크[26]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Västgötalagen
http://project2.sol.[...]
[2]
간행물
Vreta klosters äldsta donatorer
[3]
서적
Danmarks kronike
[4]
서적
När Sverige blev Sverige
[5]
서적
När Sverige blev Sverige
[6]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7]
서적
När Sverige blev Sverige
[8]
서적
Sveriges historia 600–1350
[9]
서적
Danmarks kronike
[10]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11]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12]
서적
När Sverige blev Sverige
[13]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14]
서적
Sveriges historia 600–1350
[15]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16]
서적
Danmarks kronike
[17]
서적
Danmarks kronike
[18]
서적
Danmarks kronike
[19]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20]
서적
Danmarks kronike
[21]
서적
Sveriges historia till våra dagar
[22]
웹사이트
Västgötalagen
http://project2.sol.[...]
[23]
서적
Danmarks kronike
[24]
서적
Kingship and state formation in Sweden, 1130-1290
Brill
2007
[25]
간행물
Knutsgillena i det medeltida Sverige
[26]
간행물
Vreta klosters äldsta donator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