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은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유엔의 한국 지원 요청에 따라 스웨덴 정부가 파견한 야전병원이다. 400병상 규모로 부산상업고등학교에 설치되어 1950년 10월 개원하여 1958년까지 운영되었으며, 전쟁 중에는 600병상으로 확대되었다. 스웨덴 적십자 소속 의사와 간호사 174명이 활동했고, 박정인 소령을 포함한 많은 환자를 치료했다. 휴전 후에는 부산 스웨덴 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민간 진료를 하다가, 1957년 폐원했다. 이후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3국의 지원으로 국립중앙의료원 설립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군사사 - 하카펠리타트
    하카펠리타트는 17세기 스웨덴 제국에서 활약한 핀란드 기병대로, "놈들의 목을 쳐라!"라는 전투 함성으로 유명하며 스웨덴군의 승리에 기여하고 핀란드 군대의 용맹함을 상징하여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6.25 전쟁의 의료 지원 - 6.25 전쟁 의료지원 국가
    6.25 전쟁 당시 유엔군 측의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서독과 공산군 측의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등 여러 국가들이 병원선 파견, 야전 병원 운영, 의료진 파견 등의 의료 지원을 제공했으며, 부산광역시에는 이를 기리는 기념비가 건립되어 있습니다.
  • 6.25 전쟁의 의료 지원 - MS 유틀란디아
    MS 유틀란디아는 1934년 덴마크에서 건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다 6·25 전쟁에 덴마크 병원선으로 참전하여 대한민국에 의료 지원을 제공한 선박이다.
  • 나라별 6.25 전쟁의 부대 및 편성 - 필리핀 한국 원정군
    필리핀 한국 원정군은 한국 전쟁에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필리핀군 부대로, 총 7,420명의 장병이 파병되어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며 한-필리핀 양국 간 우호 관계에 기여했고, 그들의 희생을 기리는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 나라별 6.25 전쟁의 부대 및 편성 - 제21보병연대 (태국)
    제21보병연대는 한국 전쟁 참전을 위해 창설된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시리킷 여왕의 경호 부대로 지정되어 왕실 보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지만, 과거 부를 축적하고 쿠데타를 주도했다는 의혹도 있다.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
개요
이름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
영문명Swedish Red Cross Field Hospital (SRCFH)
활동 기간1950년 9월 25일 ~ 1957년 3월 20일
국가스웨덴
종류야전병원
규모1,124명의 스웨덴인
소속스웨덴 적십자

2. 전쟁 중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북한의 남침 이후, 모든 유엔 회원국에 한국 지원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이에 스웨덴 정부는 1950년 7월 14일 200병상 규모의 이동식 야전병원 파견을 허가하였다.[3] 구스타프 5세는 스웨덴이 병원 비용을 부담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4]

2. 1. 부산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

부산 롯데백화점 근처에 있는 스웨덴 의료지원 기념비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서전병원)은 1950년 9월 23일 부산에 도착하여 9월 25일부터 진료를 시작하였다.[3] 스웨덴은 이동식 병원보다 병상 규모를 늘리는 것이 더 가치 있다고 판단하여, 부산시민공원 (캠프 하야리아)에 설치하려던 것을 부산상업고등학교에 400병상 규모로 설치하였다. 10월 초 정식 개원하였고, 1958년까지 운영된 후 부산의 한 중학교로 편입되었다. 교실 30개를 개조하여 2개 병동, 16개 병실, 진찰실, 수술실로 사용하였고, 운동장에는 퀀셋을 설치해 간호사 기숙사, 입원실, 식당 등으로 사용하였다.[3][5]

전쟁 기간 동안 400병상을 유지하다가 종전 무렵 600병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스웨덴 적십자 소속 의사와 간호사 174명이 활동하였다.[3]

제3보병사단 사단장 박정인 소령도 이곳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한 명이다. 박정인 소령은 1953년 6월 관측 초소(OP)에서 수류탄 폭발로 중상을 입고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에서 치료받아 생존하였다.[6][7]

3. 종전 후

1953년 7월 휴전 협정 체결 이후 부산 스웨덴 병원으로 명칭을 바꾸고 민간 병원으로 전환하여 민간 구호에 주력하였다. 1년 정도 부상자들을 돌보며 민간인 난민과 가난한 사람들을 무료로 진료하였다. 1955년 5월 원래 사용했던 고등학교 건물을 반환하고, 대연동에 있는 국립부산수산대학교로 위치를 옮겼다.

1957년 3월 20일 폐원식과 함께 운영을 중단하고[8][9] 의료진은 3월 말 혹은 4월 초 본국으로 철수하였다.[10] 1958년 가을까지 스웨덴 소규모 자문단이 한국에 머물면서 의료 관련 조언을 하였다.

3. 1. 국립중앙의료원 설립

1951년, UN 의료지원단에 속해있던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는 한국의 붕괴된 의료 체계를 복구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였다.[11] 1958년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스칸디나비아 3국, UN한국부흥위원회(UNKRA), 한국 정부는 3자 협력으로 스칸디나비아 교육병원을 세우기로 했다.[11] 그리하여 1958년 10월 1일 을지로 6가에 있었던 서울시립시민병원 터에 국립중앙의료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원식을 가지고, 같은 해 11월 28일부터 진료를 시작하였다.[11] 이후 1968년 한국 정부에서 운영권을 인수하였고, 베트남 전쟁,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구자라트 지진 등의 사건 때 한국인을 파견하기도 하였다.[11]

참조

[1] 뉴스 고마운瑞典病院(서전병원)의功績(공적) https://newslibrary.[...] 1957-03-22
[2] 뉴스 瑞典赤十字病院(서전적십자병원)을 感謝(감사)로써보낸다 https://newslibrary.[...] 1957-03-22
[3] 웹인용 SWEDISH FIELD HOSPITAL FOR KOREA http://www.korean-wa[...] 2012-07-25
[4] 웹인용 Sweden's Contribution during the Korean War : the Field Hospital at Pusan http://www.zum.de/wh[...] 2012-07-15
[5] 웹인용 부산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 이야기 http://www.medifonew[...] 2020-06-25
[6] 뉴스 朴定仁(박정인,88세 백골사단장 별세]골수반공 야전형 일생 http://www.economyta[...]
[7] 블로그 6.25전쟁 전투 리더십 '전투 중 복부 관통상 스웨덴 야전병원 후송' https://blog.naver.c[...]
[8] 뉴스 고마운瑞典病院(서전병원)의功績(공적) https://newslibrary.[...] 1957-03-22
[9] 뉴스 瑞典赤十字病院(서전적십자병원)을 感謝(감사)로써보낸다 https://newslibrary.[...] 1957-03-22
[10] 뉴스 瑞典病院職員(서전병원직원) 이달末(말)에離韓(이한) https://newslibrary.[...] 1957-03-19
[11] 웹인용 연혁 https://www.nmc.or.k[...] 2020-06-25
[12] 서적 한국전쟁사(韓國戰爭史) 제11권 - 유엔군 참전편 국방부 6.25 전쟁사
[13] 뉴스 瑞典赤十字病(서전적십자병원)을 感謝(감사)로써 보낸다 https://newslibrary.[...] 1957-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