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의료지원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25 전쟁 의료지원 국가는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료 지원을 제공한 국가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서독 등 유엔군 측 국가들이 의료 지원을 제공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등 공산군 측 국가들도 지원했다. 대한민국은 참전 국가들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기념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1976년 부산 영도구에 의료지원단 참전 기념비를 건립했다.
6.25 전쟁 발발 직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라 여러 국가들이 대한민국에 의료 지원단을 파견하였다.
2. 유엔군 측 의료 지원
인도 육군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1950년 11월 20일 부산에 도착하여[10] 평양, 문산, 가평, 대구 등지에서 활동했다. 문산 공수 작전에 투입되는 등 최전선에서 의료 지원을 제공했으며, 1개 부대는 영국군 제27보병여단 및 제1영연방 사단에 배속되었고, 다른 1개 부대는 대구에서 유엔군, 한국군 및 민간인을 치료했다.[10] 1950년 11월부터 1954년 2월까지 약 2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이 이 부대에서 치료를 받았다.[11][12][13]
덴마크는 병원선 유틀란디아 호를 파견하여 부산항, 인천항 등에서 의료 지원을 수행하였고,[42][43] 노르웨이는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NORMASH)을 1951년 6월 22일에 파견하여 1954년 10월 18일까지 이동 외과 병원을 운영하였다.[45] 이탈리아는 유엔 회원국이 아니었음에도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을 파견하여 1951년 11월 16일부터 1955년 1월 2일까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서 의료 지원을 하였다.[22]
서독 적십자 병원은 정전 협정 이후 부산에서 의료 지원을 시작하여 전후 복구에 기여했으며, 2018년에 6.25 전쟁 의료지원국으로 공식 인정받았다.
2. 1. 스웨덴
스웨덴은 6.25 전쟁 당시 중립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가장 먼저 의료지원단을 파견한 국가 중 하나였다. 1950년 7월 14일, 스웨덴 정부는 200병상 규모의 이동식 야전 병원 파견을 승인했고,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은 부산에서 부상병 치료, 민간인 진료, 한국 의료진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
전쟁 이후에는 부산 스웨덴 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민간 구호에 주력했으며, 국립중앙의료원 설립으로 이어져 한국 의료 발전에 기여했다.
스웨덴은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등 20세기 주요 분쟁에서 중립국 지위를 유지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중립국 감독 위원회의 4개 창립 회원국 중 하나로 포함되었으며, 여러 스웨덴 군인이 판문점 휴전 협정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에서 근무했다. 또한, 스웨덴은 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대사관을 개설한 최초의 서유럽 국가였다.[9]
2. 1. 1.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
스웨덴은 6.25 전쟁 당시 가장 먼저 의료지원단을 파견한 국가이다. 무장 영세 중립국을 고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대한민국 지원 결의에 따라 1950년 7월 14일 200병상 규모의 이동식 야전 병원 파견을 승인했다.[2] 구스타프 5세는 사망 직전 스웨덴 정부가 병원 운영비를 부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은 1950년 9월 23일 한국에 도착하여[38] 9월 25일부터 진료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부산에 200병상 규모로 설치되었으나, 이후 400병상, 전쟁 말에는 600병상까지 확장되었다. 의사 10명, 간호사 30명, 기타 행정 요원 등 160명(연인원 1,124명)으로 구성된 의료진은[38] 부상병뿐만 아니라 민간인도 치료했으며, 한국 의료진에게 선진 의료 기술을 전수했다. 초대 병원장은 칼 에릭 그로스(Karl Erik Groth) 대령이었다.
1953년 7월 한국 휴전 협정 체결 이후에는 '부산 스웨덴 병원(Swedish Hospital in Pusan)'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민간 구호에 주력했다. 1957년 3월 20일 폐원식을 갖고 운영을 중단했으며,[40] 의료진은 3월 말 혹은 4월 초 본국으로 철수했다.[41] 스웨덴의 소규모 자문단은 1958년 가을까지 한국에 남아 의료 행위에 대한 자문을 제공했다.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은 대한민국의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으며(1957-03-20),[39] 일부 인원은 한국 무공훈장을 받았다.[8]
부산광역시 부전동 롯데백화점 옆에는 스웨덴 의료지원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원래 이 자리는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이 있던 곳이었다.
항목 | 내용 |
---|---|
병원/부대 명칭 | 스웨덴 적십자야전병원 (Svenska Röda Korset-sjukhuset) |
입국 | 1950년 9월 14일 (선발대) / 1950년 9월 23일 (본대)[38] |
출국 | 1957년 4월 |
운영 기간 | 1950년 9월 25일 (진료 시작) ~ 1957년 3월 25일 (폐원일) |
활동 지역 | 부산 |
파견 인원 | 170명 (근무 인원) / 1,124명 (연인원) |
수상 내역 | 대한민국의 대통령 부대 표창: (1957-03-20)[39] |
2. 1. 2. 부산 스웨덴 병원
1953년 7월 한국 휴전 협정 체결 이후,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은 '부산 스웨덴 병원(Swedish Hospital in Pusan)'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민간 구호 활동에 집중하였다.[40] 1957년 3월 20일 폐원식을 갖고 운영을 중단했으며,[40] 의료진은 3월 말 혹은 4월 초에 본국으로 철수하였다.[41]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은 부상병뿐만 아니라 민간인도 치료하였고, 당시 의료 수준이 낮았던 한국 의료진에게 선진 의료 기술을 전수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 의료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51년, UN 의료지원단 소속이었던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는 한국의 붕괴된 의료 체계 복구를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1958년, 이들 스칸디나비아 3국과 UN한국부흥위원회(UNKRA), 한국 정부는 3자 협력으로 스칸디나비아 교육병원을 건립하기로 합의했다. 그 결과, 1958년 10월 1일 서울 을지로 6가에 있던 서울시립시민병원 터에 국립중앙의료원이 개원했고, 같은 해 11월 28일부터 진료를 시작했다.
2. 1. 3. 국립중앙의료원 설립 기여
1951년, UN 의료지원단에 속해있던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는 한국전쟁으로 붕괴된 한국의 의료 체계를 복구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였다. 1958년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스칸디나비아 3국, UN한국부흥위원회(UNKRA), 한국 정부는 3자 협력으로 스칸디나비아 교육병원을 세우기로 합의했다. 그 결과, 1958년 10월 1일 을지로 6가에 있던 서울시립시민병원 터에 국립중앙의료원이 개원되었고, 같은 해 11월 28일부터 진료를 시작하였다.2. 2. 인도
6.25 전쟁 발발 후, 인도는 의료 부대 지원을 결정했다. A. G. 랑가라지 중령이 지휘하는 인도 육군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공수 작전이 가능한 부대로, 1950년 11월 20일 부산에 도착하여 1950년 12월 평양 전선에서 작전을 시작했다.[10] 이 부대는 문산 공수 작전 등 최전선에서 의료 지원을 수행했다.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둘로 나뉘어 활동했는데, 1개 부대는 영국군 제27 보병 여단 및 제1영연방 사단에 배속되어 영국군을 지원했고, 다른 부대는 대구에서 유엔군, 한국군 및 민간인을 치료했다.[10] 1950년 11월부터 1954년 2월까지 약 2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이 이 부대에서 치료를 받았다.[11][12][13]
유엔 한국 위원회 소속 인도 육군 장교 M. K. 언니 나야르 대령은 1950년 8월 12일 지뢰 사고로 사망했다.[14][15][16] 그는 대구에 묻혔으며, 그의 아내는 2012년에 같은 무덤에 안장되었다.[17] 1950년 12월 7일 대구 수성구에 그의 기념비가 공개되었다.[18][19]
2. 2. 1. 제60공수야전의무대
인도 육군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1950년 11월 20일 부산에 도착했다. 의사 15명(일반의사 8명, 외과의사 4명, 마취의사 2명, 치과의사 1명), 행정관 1명, 보급관 1명, 위생병 329명으로 구성되었다.[10]1950년 12월 4일 평양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1951년 3월 23일에는 문산 공수작전에 미국 제187연대전투단과 함께 투입되었다.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둘로 나뉘어 활동했다. 1개 부대는 제27보병여단에 배속되어 영국군을 지원했고, 다른 1개 부대는 대구에서 한국 육군병원과 민간인을 치료했다. 제27보병여단에 배속된 부대는 제1영연방 사단 창설 후 사단 야전병원을 운영했다.[10] 전쟁 말기에는 포로송환감시단에 합류하여 포로 송환 업무를 지원했고, 1954년 2월 23일에 완전히 철수하였다.


1950년 11월부터 1954년 2월까지 약 2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이 제60공수야전의무대에서 치료를 받았다.[11][12][13]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Operation Tomahawk 작전에서 제187 공수 연대 전투단에 배속되어 활약했으며, 이 작전에서 두 명의 부대원이 마하 비르 차크라 훈장을 받았다.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1955년 3월 10일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유엔 한국 위원회 소속 인도 육군 장교 M. K. 언니 나야르 대령은 1950년 8월 12일 지뢰 사고로 사망했다.[14][15][16] 그는 대구에 묻혔으며, 그의 아내는 2012년에 같은 무덤에 안장되었다.[17] 1950년 12월 7일 대구 수성구에 그의 기념비가 공개되었다.[18][19]
2. 2. 2. 인도군의 포로 송환 지원
인도 육군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6.25 전쟁 당시 유엔군의 일원으로 대한민국을 지원한 의료 부대이다. 특히, 전쟁 말기에는 포로송환감시단에 합류하여 포로 송환 업무를 지원했다.1950년 11월 20일 부산에 도착한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평양, 문산, 가평, 대구 등 주요 격전지에서 활동했다. 1953년 8월까지 야전병원을 운영하며 부상병 치료에 힘썼고, 이후 9월부터는 영연방사단을 떠나 인도 포로송환관리단에 합류했다.[10]
1951년 3월 23일, 문산 공수작전(Operation Tomahawk)에 참여하기도 했던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전쟁 기간 동안 약 2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을 치료했다.[11][12][13]
1954년 2월 23일,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인도 포로송환감시단과 함께 인도로 철수했다.
2. 3. 덴마크
덴마크는 6.25 전쟁 당시 의료지원단을 파견한 5개국 중 3번째로 의료지원을 하였다. 덴마크 적십자사 소속 병원선인 유틀란디아 호를 파견하여 부산항, 인천항 등에서 의료 지원을 수행하였고, 유럽 각국 부상병 및 송환 포로 수송 등 인도주의적 활동을 전개했다.[42][43]
2. 3. 1. MS 유틀란디아
덴마크는 6.25 전쟁 당시 의료지원단을 파견한 5개국 중 하나였다. 덴마크는 다른 나라들과 달리 100명의 인원과 함께 병원선 유틀란디아 호 (8500ton급)를 파견하였다. 유틀란디아 호는 초기에는 부산항을 거점으로 활동하다가, 1952년 가을부터 인천항에 정박하여 의료지원을 수행했다.[42][43] 유틀란디아 호는 의료진 교체와 보급품 확보를 위해 전쟁 중 2번 덴마크로 귀환했는데, 이때 벨기에, 프랑스, 그리스, 네덜란드, 터키, 에티오피아 등 유럽 각국에서 파견된 부상병 및 송환 포로를 함께 수송하기도 했다. 유틀란디아 호는 1953년 8월 16일 한국을 떠났다.항목 | 내용 |
---|---|
병원/부대 | 덴마크 적십자 병원선 유틀란디아 호 (MS Jutlandia) |
입국 | 1951년 3월 7일 |
출국 | 1953년 8월 16일 |
병원/부대 운영 기간 | 1951년 3월 10일 (진료 시작) ~ 1953년 8월 (정확한 진료 종료 시점 미상) |
활동 지역 | 부산항, 인천항 (1952년 11월 20일부터) |
파견 인원 | 100명 (근무 인원) / 630명 (연인원) |
수상 내역 | 대통령 표창 2회 (1952년-3월 27일[44], 1954년-8월 27일) |
2. 4. 노르웨이
노르웨이는 6.25 전쟁 당시 의료지원국 중 하나로,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NORMASH)을 파견하여 대한민국을 지원했다. 노르웨이는 4번째로 의료진을 파견했으며, 1951년 6월 22일에 한국에 도착하여 1951년 7월 19일부터 1954년 10월 18일까지 이동외과병원을 운영하였다.[45]NORMASH는 의정부, 동두천 등에서 미국 제1군단(대한민국 제1보병사단, 미국 제24보병사단, 제1기병사단)을 지원했으며, 여유가 있을 때는 주변 민간인들도 치료했다. 병원 인력은 6개월마다 교체되었으며, 파견 인원은 109명(근무인원), 연인원은 623명이었다. 6.25 전쟁 동안 NORMASH에서는 3명의 순직자가 발생했다.
NORMASH는 6.25 전쟁 참전 공로로 다음과 같은 상을 받았다.
- 대통령 부대 표창: 2회 (1952-10-06, 1953-11-23)
- 미국 유공 부대 표창: 2회 (날짜 미상)
2. 4. 1. 노르매시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NORMASH)은 유엔군 소속으로 1951년 6월 22일부터 1954년 11월 4일까지 한국 전쟁에 참전한 노르웨이의 야전 병원이다.[45] 1951년 7월 19일 개원하여 1954년 11월까지(정확한 폐원일 시점 미상) 운영되었다.노르웨이 적십자사는 1950년 12월 29일 한국에 병원을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고, 1951년 초 60개 병상과 83명의 직원을 갖춘 미국의 이동 외과 병원 (MASH)을 기반으로 한 야전 병원 계획이 수립되었다. 노르웨이 의회는 3월 2일 이 계획을 승인하였다. 1차 파견대는 5월 16일, 2차 파견대는 5월 23일에 노르웨이를 떠나 스타방에르에서 도쿄까지 뮌헨, 니스, 나폴리, 베이루트, 카이로, 카라치, 콜카타, 방콕, 홍콩을 거쳐 이동했다. 도쿄에서 군 수송기를 이용하여 서울로 이동, 6월 22일 대한민국에 도착했다.

NORMASH는 7월 19일 의정부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니센 오두막과 텐트로 구성되어 4개의 수술대가 있는 수술실을 갖추었다. 이후 동두천을 거쳐 북쪽으로 몇 마일 더 떨어진 최종 위치로 이전되었다.
NORMASH는 총 90,000명의 환자를 치료했으며, 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집단은 미국(36%), 대한민국(33%), 그리고 다양한 영국 및 영연방 군대(27%)였다. 또한 172명의 북한 및 중국군 포로도 치료했다. 하루 평균 8건의 수술을 수행했으며, 1951년 가을에는 직원을 83명에서 105명으로 늘렸다.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 체결 이후에도 상당수의 한국 민간인을 계속 치료했다. 휴전 상황이었지만, 병원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했다. 1953년 가을, NORMASH는 제1군단 내 4개 사단을 위한 유일한 병원이었다.

1954년 10월 17일 노르웨이로 귀환 명령을 받았고, 4일 후 마지막 환자가 퇴원했으며, 11월 10일 모든 장비가 미군에 반환되었다.
총 623명의 남녀가 7개 파견대(그중 2개는 정전 이후)에서 근무했다. 근무 인원은 109명, 연인원은 623명이었다. 운전수 아르네 크리스티안센은 1952년에 총에 맞아 사망했고, 실험실 기술자 브리트 레이세터는 1954년에 교통사고로 사망하여 총 2명의 인명 손실이 있었다.
NORMASH는 두 번의 미국 유공 부대 표창과 두 번의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1952년 10월 6일, 1953년 11월 23일)을 받았다. 모든 직원은 노르웨이 한국 종군 기념 메달을 받았다.

2. 5.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6.25 전쟁 당시 유엔 회원국이 아니었음에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의료 지원을 결정했다.[22]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은 1951년 11월 16일 한국에 도착하여 1955년 1월 2일까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서 의료 지원 활동을 펼쳤다. 150개 병상 규모였으며, 군의관 6명, 약제사 1명, 간호원 6명, 위생병 50명이 주요 구성원이었다.2. 5. 1.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 (L’OSPEDALE Croce Rossa Italiana N°68|로스페달레 크로체 로사 이탈리아나 N°68it)은 1951년 11월 16일 한국에 도착하여 1955년 1월 2일 철수할 때까지 6.25 전쟁 동안 의료 지원 활동을 한 이탈리아의 병원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서 활동했다.이탈리아 적십자사는 군사 부대와 자원 간호사 부대에서 파견된 인력으로 병원을 지원했다. 1951년 12월 6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우신초등학교 시설에서 병원을 개원했다. 1952년 12월 30일, 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방화범에 의해 병원이 전소되었으나, 1953년 2월 23일까지 새로운 병원이 건설되었다.
1954년 12월 30일, 병원은 대한민국 정부에 이관되었고,[23] 병원 직원들은 이탈리아로 귀국했다. 이 병원은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을 2회 수상했다.[24] 1989년 6월 2일, 주한 이탈리아 대사는 우신초등학교에 기념비를 설치했다.[25]
구분 | 내용 |
---|---|
병원/부대 명칭 |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 (L’OSPEDALE Croce Rossa Italiana N°68|로스페달레 크로체 로사 이탈리아나 N°68it) |
입국일 | 1951년 11월 16일 |
출국일 | 1955년 1월 2일 |
운영 기간 | 1951년 12월 6일 (개원일) ~ 1954년 12월 30일 (병원 한국 정부 이관일) |
활동 지역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파견 인원 | 72명 (근무 인원) / 189명 (연인원) |
수상 내역 | 대통령 부대 표창 2회 (1952년-10-06, 1954년-12-22) |
2. 5. 2. 화재 사건
1951년 12월 6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우신초등학교 시설에서 이탈리아 제68적십자병원이 개원했다. 그러나 1952년 12월 30일, 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사람의 방화로 병원이 전소되는 사건이 발생했다.[23] 이후 1953년 2월 23일까지 새로운 병원이 건설되었다.[23]2. 6. 독일 (서독)
서독 적십자 병원은 정전 협정 이후 부산에서 의료 지원을 시작하여 전후 복구에 크게 기여했으며, 2018년에 6.25 전쟁 의료지원국으로 공식 인정받았다.병원/부대 | 입국 | 출국 | 병원 운영 기간 | 활동 지역 | 파견 인원 | 수상 내역 |
---|---|---|---|---|---|---|
서독 적십자 병원 | 1954년 1월 28일 (선발대) / 1954년 2월 (본대) | 1959년 4월 | 1954년 5월 17일 (개원일) ~ 1959년 3월 14일 (폐원일) | 부산 | 80 (근무인원) / 200 (연인원) |
2. 6. 1. 서독 적십자 병원
서독 적십자 병원은 1954년 5월 17일부터 1959년 3월 14일까지 부산에서 운영된 병원이다. 1954년 1월 28일 선발대가, 2월에는 본대가 한국에 도착했다.[26][27] 병원 운영 기간 동안 80명의 근무 인원(연인원 200명)이 24만 명 이상의 환자를 치료하고, 6000명 이상의 출산을 도왔으며, 1만 6000여 건의 수술을 집도했다.[30][31]1953년 4월 7일, 독일 연방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는 미국을 방문하여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서독의 의료 지원을 제안했다.[26][27]
서독 적십자 병원은 정전협정 이후에 활동을 시작했기 때문에, 그동안 독일은 6.25 전쟁 의료지원국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나 2017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이 독일을 방문하여 의료지원단원과 후손을 만나 감사를 표하면서 독일의 참전 사실이 주목받았다. 이후 국방부와 학계 고증을 거쳐 2018년 6월 독일은 6.25 전쟁 의료지원국으로 공식 인정받고 참전국에 포함되었다.[49][50]
병원장 귄터 후베르(Günther Huwer)는 1956년 9월 28일 미국 동엽(銅葉) 자유훈장을 받았고,[46] 병원 엔지니어이자 유일한 생존자인 칼 하우저(Karl Hauser)는 2017년 7월 5일 대통령표창을 받았다.[47][48] 1997년 부산 서구에는 이들의 봉사를 기리는 기념비가 건립되었다.[36]
2. 6. 2. 독일의 의료지원국 인정 과정
서독 적십자 병원은 1954년 5월부터 1959년 3월까지 24만 명 이상의 환자를 수용하고, 6000명 이상의 출산을 도왔으며, 1만 6000여 건의 수술을 집도하는 등 큰 활약을 했다.[46] 그러나 정전협정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그동안 독일은 6.25 전쟁 의료지원국에 포함되지 않았다.하지만 2017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이 독일을 방문했을 때 독일 의료지원단원과 후손을 만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면서 독일의 6.25 전쟁 참전 사실이 주목받았다. 이후 국방부와 학계 고증을 거쳐 2018년 6월 독일을 6.25 전쟁 의료지원국으로 공식 인정하고 참전국에 포함시켰다.[49][50]
3. 공산군 측 의료 지원
한국 전쟁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등 공산권 국가에서 의료 지원단을 파견하였다.[46]
3. 1.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는 한국 전쟁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료 지원대를 파견하였다. 전쟁 이후 한국인 의사 4명은 자유와 독립 2호 훈장, 21명의 의사, 간호사, 의료 지원병은 국가 3호 훈장을 받았다. 체코슬로바키아 의사 3명은 병원 훈장, 15명은 용기 훈장을 받았다.3. 1. 1. 생체 실험 의혹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미국 망명자 얀 셰이나(Jan Šejna)는 1996년 9월 17일 발표한 회고록에서, 한국 전쟁 당시 잡힌 미군 포로를 체코로 이동시켜 프라하 스트르제쇼비체(Střešovice)에 있는 군사 병원에서 생체 실험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체코 정부는 이 주장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는 없으며, 셰이나가 언급했던 사람은 한국 전쟁 당시 의료 지원단으로 복무하지도 않았고, 한국 전쟁에서 했던 활동을 비밀에 부칠 이유도 없다고 반박했다.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체코슬로바키아로 많은 사람들이 파견되었고, 의사들은 자주 바뀌었으며, 장비는 부족했고, 기밀을 취급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3. 2. 헝가리
헝가리는 한국 전쟁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료 지원을 제공했다.[46]4. 기념 사업
대한민국은 6.25 전쟁에 참전하여 의료 지원을 한 국가들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기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4. 1. 기념비 건립
부산광역시 영도구에는 1976년 9월 20일, 6.25 전쟁 당시 의료 지원을 제공한 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5개국을 기념하는 의료지원단 참전 기념비가 건립되었다.[37]부산 부전동 롯데백화점 옆에는 스웨덴 적십자 야전병원이 있던 자리에 스웨덴 의료지원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2005년 9월 26일에는 기존 기념비를 재단장하는 행사가 열렸으며, 스튜레 안데르손 스웨덴 군 의무사령관, 김록권 육군본부 의무감, 라스 프리스크 중립국 감시위원회 스웨덴 대표부 장군, 서진현 53사단장, 하랄드 산드베리 주한 스웨덴 대사, 유재진 스웨덴 영사 등이 참석했다.
1950년 12월 7일 대구 수성구에는 유엔 한국 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하다 1950년 8월 12일 지뢰 사고로 사망한 인도 육군 장교 M. K. 언니 나야르 대령의 기념비가 세워졌다.[18][19]
1997년에는 부산 서구에 독일 의료진의 봉사를 기리는 기념비가 건립되었다.[36]
1989년 6월 2일, 이탈리아 의료진이 주둔했던 서울특별시영등포구 서울우신초등학교에는 이탈리아의 지원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설치되었다.[25]
2016년에는 오슬로에 노르웨이 야전 외과 병원(NORMASH)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WHKMLA : Sweden's Contribution during the Korean War
http://www.zum.de/wh[...]
Zum.de
2012-07-15
[3]
뉴스
朴定仁(박정인,88세 백골사단장 별세] 골수반공 야전형 일생
http://www.economyta[...]
[4]
블로그
6.25전쟁 전투 리더십 '전투 중 복부 관통상 스웨덴 야전병원 후송'
https://blog.naver.c[...]
[5]
뉴스
고마운瑞典病院(서전병원)의功績(공적)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7-03-22
[6]
뉴스
瑞典赤十字病院(서전적십자병원)을 感謝(감사)로써보낸다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7-03-22
[7]
뉴스
瑞典病院職員(서전병원직원) 이달末(말)에離韓(이한)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7-03-19
[8]
웹사이트
Official Database of Awards -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ttps://www.sanghun.[...]
[9]
뉴스
It never got paid for the Volvos, but could Sweden mediate with...
https://www.reuters.[...]
2018-05-06
[10]
뉴스
6·25 부상병 20만 명 치료한 인도軍 군의관
https://n.news.naver[...]
[11]
간행물
The Statistics of the Korean War, 391 Page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2014 (E-BOOK)
https://new.mnd.go.k[...]
2014
[12]
간행물
The Statistics of the Korean War, 391 Page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2014 (PDF)
https://www.imhc.mil[...]
2014
[13]
뉴스
Exhibition showcases Indian chapter in Korean War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22-04-02
[14]
뉴스
잊혀진 한 인도군 장교의 죽음
https://n.news.naver[...]
[15]
뉴스
68년 만에 6·25전쟁 전사자 명비에 오르는 인도인 장교
https://www.kukinews[...]
[16]
뉴스
유엔기념공원에 인도군 전사자 빠졌다
https://www.busan.co[...]
[17]
웹사이트
6·25전쟁의 격전지와 기념시설물 - 6·25전쟁 UN참전 기념시설물유엔한국위원단 인도 대표 나야 대령 기념비
https://ncms.ncultur[...]
[18]
블로그
제68회 현충일 나야 대령 기념비 참배식
https://blog.naver.c[...]
[19]
웹사이트
나야대령 기념비
https://www.suseong.[...]
[20]
웹사이트
National Medical Center, Seoul
http://www.norway.or[...]
2012-02-24
[21]
웹사이트
GLI ITALIANI NELLA GUERRA DI COREA – L’OSPEDALE CRI N°68
https://cri.it/2016/[...]
[22]
웹사이트
Italian Red Cross Hospital
http://www.korean-wa[...]
2012-06-02
[23]
뉴스
永登浦伊太利病院(영등포이태리병원) 어제우리政府(정부)에正式移管(정식이관)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4-12-31
[24]
뉴스
伊太利赤十字病院(이태리적십자병원) 30日(일)에大統領表彰(대통령표창)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4-12-30
[25]
웹사이트
「참전기념 시설물 소개」 ⑳ 이탈리아 의무부대 6.25전쟁 참전기념비
https://www.konas.ne[...]
[26]
뉴스
후호敎授一行(교수일행) 二十八日着韓(이십팔일착한) 西獨醫療團先發隊(서독의료단선발대)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4-01-30
[27]
뉴스
派韓西獨醫療隊(파한서독의요대) 四八名(사팔명)이또向韓(향한)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4-02-10
[28]
뉴스
釜山西獨病院(부산서독병원) 十七日(십칠일)에開院(개원)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4-05-19
[29]
뉴스
The Germans who healed Koreans
https://koreajoongan[...]
[30]
뉴스
西獨病院閉院式(서독병원폐원식)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9-03-15
[31]
뉴스
派韓西獨醫療隊(파한서독의요대) 四八名(사팔명)이또向韓(향한)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54-02-10
[32]
웹사이트
President Moon meets with German medical personnel
https://www.korea.ne[...]
[33]
뉴스
文대통령, 한국 파견 獨 의료지원단에“영원히 감사”
https://n.news.naver[...]
[34]
뉴스
6·25 獨 의료지원단 중 ‘유일 생존자’ 칼 하우저 來韓
https://n.news.naver[...]
[35]
블로그
독일, 마침내 한국전쟁 의료지원국으로 포함되었습니다.
https://blog.naver.c[...]
[36]
웹사이트
독일 적십자 병원터 기념비
http://www.unpm.or.k[...]
[37]
웹사이트
의료지원단 참전기념비
http://www.unpm.or.k[...]
[38]
서적
한국전쟁사(韓國戰爭史) 제11권 - 유엔군 참전편 등 국방부 6.25 전쟁사에 1950년 9월 28일 입국으로 잘못 기재되어 있음
[39]
뉴스
瑞典赤十字病(서전적십자병원)을 感謝(감사)로써 보낸다
https://newslibrary.[...]
[40]
뉴스
고마운瑞典病院(서전병원)의功績(공적)
https://newslibrary.[...]
[41]
뉴스
瑞典病院職員(서전병원직원) 이달末(말)에離韓(이한)
https://newslibrary.[...]
[42]
웹사이트
대통령표창 수여식 (1953년 3월 28일) -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
[43]
뉴스
유號(호)(丁抹病院船(정말병원선))떠나다 齒科課長(치과과장)에最高文化勳章(최고문화훈장)
https://newslibrary.[...]
[44]
문서
수여식은 3월 2일 개최
[45]
뉴스
「오스로」市長(시장)에 幸運(행운)의열쇠傳達(전달)
https://newslibrary.[...]
[46]
뉴스
西獨病院長(서독병원장)을 表彰(표창)
https://newslibrary.[...]
[47]
웹사이트
President Moon meets with German medical personnel
https://www.korea.ne[...]
[48]
뉴스
文대통령, 한국 파견 獨 의료지원단에“영원히 감사"
https://n.news.naver[...]
[49]
블로그
독일, 마침내 한국전쟁 의료지원국으로 포함되었습니다.
https://blog.naver.c[...]
[50]
웹인용
6·25전쟁 의료지원국 독일, 전쟁기념관 참전기념비 제막
https://kookbang.dem[...]
202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