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1843–190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1843–1900)는 1843년 스코틀랜드 교회의 영적 독립 침해에 대한 항의로 복음주의자들이 이탈하여 결성한 교회이다. 교회 후원 시스템에 대한 반대와 영적 독립성 주장이 분열의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토마스 찰머스가 주도했다. 자유 교회는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도 700개의 교회를 세우고, 해외 선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교육 개혁에도 관심을 가졌다. 1890년대 이후 신학적 자유주의가 등장하고, 1900년 스코틀랜드 연합 장로교회와의 연합을 통해 스코틀랜드 연합 자유교회가 창설되었지만, 일부는 이에 반대하여 스코틀랜드 자유교회라는 이름을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3년 설립 - 셰필드 할람 대학교
    셰필드 할람 대학교는 1843년 셰필드 디자인 학교로 시작하여 199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3개의 대학으로 구성되어 경영, 기술, 사회 과학, 예술, 보건 분야를 교육한다.
  • 1843년 설립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는 1949년 설립된 호주의 연구 중심 공립 대학교이며, 켄싱턴에 메인 캠퍼스를 두고 공학, 인문, 의학 등 다양한 분야를 운영하며, 2024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19위를 기록했다.
  • 스코틀랜드의 장로교 - 퍼스 5개 조항
    퍼스 5개 조항은 제임스 6세가 스코틀랜드 교회를 잉글랜드 성공회와 유사하게 만들고자 1618년 퍼스 총회에서 채택한 영성체 시 무릎 꿇기, 사적인 세례 허용 등을 포함한 다섯 가지 종교 의례에 관한 조항으로, 스코틀랜드 교회 내 분열을 심화시켜 1690년 폐지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장로교 - 엄숙동맹과 언약
    엄숙동맹과 언약은 잉글랜드 내전 중 잉글랜드 의회가 스코틀랜드의 군사 지원을 얻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종교 개혁과 로마 가톨릭 및 주교제 근절을 목표로 했으나, 장로교에 대한 모호성으로 잉글랜드 독립파에게도 문호를 개방하여 의회파 승리에 기여했으나 왕정복고 후 폐기되었다.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1843–1900)
교단 정보
주요 분류개신교
방향칼뱅주의
정치 체제장로교
창립자토머스 Chalmers
설립일1843년 5월 18일
설립 장소세인트 앤드루 교회, 에든버러
분리된 교단스코틀랜드 교회
분리 교단스코틀랜드 자유장로교회 (1893년 분리)

2. 기원 (Origins)

자유 교회는 1843년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복음주의자들이 국가의[5] 교회의 영적 독립 침해에 항의하며 분리하여 결성되었다.[6] 이들은 스코틀랜드 교회의 기존 교회에서 이탈하였다. 분열 직전, 휴 밀러의 ''증인''이라는 신문에서 복음주의적 입장에서 많은 쟁점들이 논의되었다.[7]

힐 & 아담슨의 알렉산더 콜쿼운-스터링-머레이-던롭


분열의 주도적인 인물들 중에는, 토마스 찰머스가 가장 영향력이 컸고, 로버트 캔디쉬가 그 다음이었다. 교회 변호사인 알렉산더 머레이 던롭도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1843년 분열[8]스코틀랜드 교회를 분열시킨 격렬한 전국적인 분열이었다. 이는 1733년의 이전 역사적 분리나 1761년의 분리보다 더 큰 규모였다. 복음주의 세력은 교회의 정화를 요구하며, 부유한 지주들이 지역 목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한 후원 제도를 공격했다. 이는 복음주의자들과 "온건파" 및 지주들 간의 정치적 싸움으로 이어졌다. 복음주의자들은 1834년 교회 총회에서 "거부 법"을 통과시켜, 지주가 회중의 의사에 반하여 목사를 강요할 수 없으며, 가구주 다수가 어떤 지명자라도 거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민사 법원은 복음주의자들에게 불리한 결정을 내렸다(1838).

토마스 찰머스는 스코틀랜드 사회 구조가 긴장된 시기에 스코틀랜드의 공동체적 전통을 부활시키고 보존하는 사회적 비전을 강조했다. 그는 구성원의 개성과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작고 평등주의적인, 키르크 기반의 자급자족적 공동체를 이상화했다. 그 비전은 주류 장로교 교회에도 영향을 미쳤고, 1870년대까지 스코틀랜드 기성 교회에 흡수되었다. 찰머스의 이상은 교회가 도시 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산업 도시에서 일어난 사회 분열을 극복하려는 진정한 시도임을 보여주었다.[12]

2. 1. 1843년 대분열 (Disruption of 1843)

1843년, 스코틀랜드 교회복음주의자들은 국가가[5] 교회의 영적 독립을 침해하는 것에 항의하며 교회를 떠났다.[6] 이 분열 직전, 많은 쟁점들이 휴 밀러의 ''증인''이라는 신문에서 복음주의적 관점으로 논의되었다.[7]

1843년 분열[8]은 스코틀랜드 교회를 분열시킨 전국적인 사건이었다. 이는 1733년의 분리나 1761년의 분리보다 더 큰 규모였다. 복음주의 세력은 교회의 정화를 요구하며, 부유한 지주들이 지역 목사를 선택할 수 있게 한 후원 제도를 비판했다. 이는 복음주의자들과 "온건파" 및 지주들 간의 정치적 싸움으로 이어졌다. 복음주의자들은 1834년 교회 총회에서 "거부 법"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지주가 회중의 의사에 반하여 목사를 강요할 수 없으며, 가구주 다수가 어떤 지명자라도 거부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민사 법원은 복음주의자들에게 불리한 결정을 내렸다(1838). 결국 1843년, 총 1,200명의 목사 중 450명의 복음주의 목사가 교회를 떠나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를 세웠다.

자유 교회의 초대 의장 토마스 찰머스




토마스 찰머스 박사(1780–1847)를 중심으로, 구성원의 3분의 1이 교회를 떠났는데, 여기에는 거의 모든 게일어 사용자와 선교사, 그리고 대부분의 고지대 사람들이 포함되었다. 기존 스코틀랜드 교회는 모든 재산, 건물 및 기금을 유지했다. 이탈자들은 700개의 새로운 교회를 짓기 위해 40만파운드가 넘는 자발적 기금을 조성했다. 25만파운드의 비용으로 400개의 만스 (목사관)가 세워졌고, 500개의 교구 학교 건설에 그와 동등하거나 더 많은 금액이 지출되었으며, 에든버러에 대학도 세워졌다. 1872년 교육법 통과 후, 이 학교들 대부분은 새로 설립된 공립학교 위원회에 자발적으로 이전되었다.[10][11]

3. 성격 (Nature)

자유 교회는 목회자 양성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스코틀랜드 국교회가 대학교의 신학부를 통제했기 때문에, 자유 교회는 자체적인 칼리지를 설립했다. 1850년 뉴 칼리지가 개교하여 조직신학, 변증법 및 실천신학, 교회 역사, 히브리어 및 구약성서, 신약성서 해석학 등 5개 강좌를 제공했다. 1856년에는 애버딘 크라이스트 칼리지를, 이후 글래스고 트리니티 칼리지를 설립했다. 초대 교사들은 웨스트민스터 칼뱅주의를 적극 지지했다.[25]

초기 교수로는 데이비드 웰시가 있었고, 제임스 뷰캐넌은 1847년 토마스 찰머스 사후 조직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제임스 배너먼은 변증법 및 목회신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그의 저서 ''그리스도의 교회''(The Church of Christ) 1권[23]과 2권[24]은 널리 읽혔다. 윌리엄 커닝햄은 초기 교회 역사 교수 중 한 명이었고, 존 "랍비" 던컨은 초기 히브리어 교수였다. 더프의 선교학 강좌와 같은 다른 강좌도 추가되었다.

이후 A. B. 브루스, 마커스 도즈, 조지 아담 스미스와 같은 신학자들이 신앙에 대해 더 자유주의적인 이해를 가르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입장은 바뀌었다. 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 등이 가르친 성경에 대한 '믿는 비평'은 중심적인 접근 방식이었고, 그는 1881년 총회에서 해고되었다.[26] 1890년부터 1895년 사이에 이들 교수 중 다수를 이단 혐의로 총회 법정에 세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고, 경고만 주어졌다.

1892년, 자유 교회는 연합 장로교회와 스코틀랜드 국교회의 선례를 따라, 그리고 이 교파들과의 연합을 목표로 신앙고백에 대한 가입 기준을 완화하는 선언 행위를 통과시켰다. 그 결과, 소수의 교회와 훨씬 적은 수의 목사들(주로 하이랜드 지역)이 교회와의 관계를 끊고 스코틀랜드 자유 장로교회를 결성했다. 비슷한 신학적 견해를 가진 다른 사람들은 임박한 연합을 기다렸지만 자유 교회에 남기로 결정했다.

3. 1. 재정 (Finances)





그레이엄 스피어스의 철제 교회를 로흐 수나트로 끌고 가는 모습


새 교회는 처음 500명의 목회자와 신도들을 위한 예배 장소를 마련해야 했다. 스코틀랜드 국민의 국가 교회가 되기를 열망했기에, 스코틀랜드의 모든 교구에 자리 잡는 야심찬 과제를 설정했다(고원 지대는 예외로, 자유교회 목회자가 초기에는 부족했다). 스트론티안처럼 토지 소유주가 협조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배를 이용해야 했다.

1년 안에 470개의 새로운 교회가 세워졌고, 1847년까지 700개 이상의 교회가 세워졌다. 곧 목사관과 700개 이상의 학교가 뒤따랐다. 이러한 건축 프로그램은 복음주의 각성과 부상하는 중산층의 재력에서 비롯된 놀라운 재정적 관대함으로 가능했다.

교회는 토마스 찰머스의 아이디어로 유지 기금을 만들었다. 각 교구는 형편에 따라 기부했고, 모든 목회자는 '균등 배당'을 받았다. 이 기금은 1843/4년에 583명의 목회자에게 적은 수입을 제공했고, 1900년까지 거의 1200명에게 수입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원 집중 및 공유는 이전에는 스코틀랜드의 개신교 교회에서는 볼 수 없었지만, 나중에는 표준이 되었다.

3. 2. "돈을 돌려보내라" 캠페인 ("Send back the money" campaign)

자유 교회는 초기 자금 모금 활동을 위해 미국에 선교사를 파견했고, 그곳에서 일부 노예 소유주들로부터 3000GBP의 기부금을 받았다. 그러나 조지 부찬, 윌리엄 콜린스, 존 윌슨, 헨리 던컨과 같은 일부 자유 교회 인사들은 노예 제도의 궁극적인 폐지를 위해 노력했다.[16]

프레데릭 더글러스는 스코틀랜드에 도착하여 자유 교회가 기부금을 반환할 것을 촉구하는 "돈을 돌려보내라"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17] 더글러스는 자서전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 (386쪽)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자유교회는 피로 얼룩진 돈을 움켜쥐고 그 입장을 정당화하며, 물론 노예 제도를 옹호했고, 오늘날까지도 그렇게 하고 있다. 자유교회는 인류를 위한 목소리, 투표, 그리고 모범을 보여줄 영광스러운 기회를 놓쳤고, 오늘날 그녀는 피가 치마에 묻은 노예들의 저주 아래 흔들리고 있다.

더글러스는 1846년 던디에서 세 번의 회의에서 연설했다. 1844년, 로버트 스미스 캔리쉬는 존 브라운이라는 남자에 대한 논쟁에서 노예 제도에 반대하는 발언을 했다.[18][20] 1847년 자유 교회 총회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19]

> 결코, 결코, 이 교회나 이 나라가 노예 제도가 죄악이며, 그것이 국회에 모인 자들이든, 이 땅의 개인들이든 죄인들에게 전능하신 하나님의 정당한 심판을 가져올 것이라고 증언하는 것을 멈추게 해서는 안 된다.

모든 미국 장로교인들이 노예 제도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북부와 남부의 일부 사람들은 반대했다.[20] 장로교 사상가 B. B. 워필드는 해방된 노예들의 통합을 미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여겼다.[21] 1847년 5월, 자유 교회의 공식 서한이 남부 장로교 총회에 전달되었다. 자유 교회의 공식 입장은 "노예 제도에 매우 강력하게 반대"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22]

3. 3. 신학 (Theology)

프린스 스트리트 정원에서 본 에든버러 뉴 칼리지


자유 교회는 목회자 양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스코틀랜드 국교회가 대학교의 신학부를 통제했기 때문에, 자유 교회는 자체적인 칼리지를 설립했다. 1850년, 뉴 칼리지가 개교하여 조직신학, 변증법 및 실천신학, 교회 역사, 히브리어 및 구약성서, 신약성서 해석학 등 5개 강좌를 제공했다. 자유 교회는 1856년에 애버딘 크라이스트 칼리지를 설립했고, 글래스고 트리니티 칼리지가 그 뒤를 이었다. 초대 교사들은 웨스트민스터 칼뱅주의를 적극 지지했다.

데이비드 웰시가 초기 교수였으며, 제임스 뷰캐넌은 1847년 토마스 찰머스 사후 조직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제임스 배너먼은 변증법 및 목회신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그의 저서 ''그리스도의 교회''(The Church of Christ) 1권[23]과 2권[24]은 널리 읽혔다. 윌리엄 커닝햄은 초기 교회 역사 교수 중 한 명이었다. 존 "랍비" 던컨은 초기 히브리어 교수였다.[25] 더프의 선교학 강좌와 같은 다른 강좌도 추가되었다.

이후 A. B. 브루스, 마커스 도즈, 조지 아담 스미스와 같은 신학자들이 신앙에 대해 더 자유주의적인 이해를 가르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입장은 바뀌었다. 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 등이 가르친 성경에 대한 '믿는 비평'은 중심적인 접근 방식이었고, 그는 1881년 총회에서 해고되었다.[26] 1890년부터 1895년 사이에 이들 교수 중 다수를 이단 혐의로 총회 법정에 세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고, 경고만 주어졌다.

1892년, 자유 교회는 연합 장로교회와 스코틀랜드 국교회의 선례를 따라, 그리고 이 교파들과의 연합을 목표로, 신앙고백에 대한 가입 기준을 완화하는 선언 행위를 통과시켰다. 그 결과, 소수의 교회와 훨씬 적은 수의 목사들(주로 하이랜드 지역)이 교회와의 관계를 끊고 스코틀랜드 자유 장로교회를 결성했다. 비슷한 신학적 견해를 가진 다른 사람들은 임박한 연합을 기다렸지만 자유 교회에 남기로 결정했다.

4. 활동 (Activity)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는 해외 선교 활동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스코틀랜드 국교회의 인도 선교부 직원 중 다수가 자유 교회를 따랐다.[28] 제임스 스튜어트와 스코틀랜드 연합 장로교회의 로버트 로의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에도 진출했으며,[29] 유대인 복음화에도 참여했다.[30] 윌리엄 찰머스 번스와 같은 설교자들은 캐나다와 중국에서 활동했다. 알렉산더 더프와 존 앤더슨은 인도에서 활동했다. 더프가 방문했던 니아사 호와 레바논의 아프리카 지역에도 자유 교회와 관련된 선교 활동이 있었다.[31]

초기 자유 교회는 자유 교회 학교 설립을 포함한 교육 개혁에도 관심을 가졌다.[32] 자유 교회의 구성원들은 뉴질랜드 식민지화와 관련되었으며, 자유 교회의 분파인 오타고 협회는 1847년에 이민자들을 파견하여 1848년에 오타고 정착지를 건설했다.[33] 토마스 번스는 더니든으로 발전한 식민지의 초기 교회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국내 선교의 중요성 또한 커졌는데, 특히 대도시의 가난한 공동체 사이에서 교회 출석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 토마스 찰머스는 에든버러 웨스트 포트에서 영토 선교를 이끌었다.[34] 자유 교회는 1859년 부흥 운동과 무디와 생키의 1873–1875년 영국 캠페인의 선두에 있었다.

19세기 말 무렵, 자유 교회는 기악 사용을 승인했다. 1891년에는 공 예배에서 질서와 경건을 증진하기 위한 협회가 결성되었다. 1898년에는 ''공 예배를 위한 새로운 지침''[35]을 출판했다. 자유 교회는 찬송가와 교회 음악에 관심을 가졌고, 이는 찬송가 제작으로 이어졌다.[36]

5. 다른 장로교회와의 연합과 관계 (Union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Presbyterians)

자유교회는 창립 당시부터 자신이 스코틀랜드의 정통 교회라고 주장했다. 분열에도 불구하고 헌법적으로는 국교회 원칙을 계속 지지했다. 그러나 일부는 스코틀랜드 국교회 폐지를 요구하며 연합 장로교회에 합류했다.[1]

1852년, 오리지널 시세션 교회(Original Secession Church)가 자유교회에 합류했고, 1876년에는 대부분의 개혁 장로교회가 뒤를 따랐다. 그러나 지도부가 주도한 연합 장로교회(UPC)와의 연합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1] 1863년, 자유 교회는 연합을 염두에 두고 UPC와 대화를 시작했다. 그러나 1864년 총회에 제출된 보고서는 두 교회가 국가와 교회의 관계에 대해 합의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자유 교회는 국가가 교회의 내부 운영에 일절 간섭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국가 자원을 교회 지원에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 장로교회는 국가가 영적인 문제에 대해 권한이 없으므로 종교에 있어 무엇이 진실인지 입법하거나 신조나 예배 형식을 규정하거나 국가 자원으로 교회를 지원할 관할권이 없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어떠한 연합도 이 문제를 열어두어야 했다. 당시 이러한 차이는 연합을 추진하는 것을 막기에 충분했다.[1]

이후 몇 년 동안, 자유교회 총회는 이러한 열린 조건으로 연합하려는 의지를 더욱 강하게 보여주었다. 그러나 '국교회' 소수는 1867년과 1873년 사이에 성공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을 막았다. 1873년에 협상이 실패한 후, 두 교회는 한 교단 회중이 다른 교단에서 목사를 초청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 적격성 법안'에 합의했다.[1]

이 기간 동안, 반 국교회주의자는 계속 줄어들었고 점점 더 소외되었다. 이러한 감소는 1893년 일부 회중이 분리되어 스코틀랜드 자유 장로교회를 결성하면서 가속화되었다.[1]

1895년부터 연합이 다시 공식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두 교단의 사람들로 구성된 공동 위원회는 교리적 기준, 규칙 및 방법에 대한 놀라운 합의를 보였다. 양측의 몇 가지 양보 끝에 공동 헌법에 합의했다. 그러나 자유교회 총회 내 소수가 항의하며 법원에서 그 적법성을 시험하겠다고 위협했다.[1]

각 교회의 총회는 1900년 10월 30일에 마지막으로 만났다. 다음 날, 연합이 완료되어 스코틀랜드 연합 자유교회가 창설되었다.[1]

그러나 반대하는 소수는 연합 밖에 남아 자신들이 진정한 자유교회이며 다수가 연합 자유교회를 형성했을 때 교회를 떠났다고 주장했다. 오랜 법정 공방 끝에, 영국 상원은 소수의 손을 들어주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진정한 교회는 국가 위에 있다고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스코틀랜드 자유교회라는 이름을 유지할 권리를 부여했지만, 다수는 대부분의 재정 자원을 유지할 수 있었다.[1]

6. 총회 의장 (Moderators of the General Assembly)

1843년부터 1900년까지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총회 의장
연도의장
1843년 5월토마스 찰머스
1843년 10월토마스 브라운
1844헨리 그레이
1845패트릭 맥클팔란
(게일어 의장: 존 맥도널드)
1846로버트 제임스 브라운
1847제임스 시브라이트
1848패트릭 클라슨
1849매킨토시 매케이
1850너새니얼 패터슨
1851알렉산더 더프
1852앵거스 매켈라
1853존 스미스
1854제임스 그리슨
1855제임스 헨더슨
1856토마스 맥크리 더 영거
1857제임스 줄리어스 우드
1858알렉산더 베이쓰
1859윌리엄 커닝햄
1860로버트 부캐넌
1861로버트 스미스 캔리시
1862토마스 거스리
1863로데릭 맥클라우드
1864패트릭 페어베인
1865제임스 베그
1866윌리엄 윌슨
1866 또는 1867존 록스버그
1867로버트 스미스 캔리시
1868윌리엄 닉슨
1869헨리 웰우드 몽크리프
1870존 윌슨
1871로버트 엘더
1872찰스 존 브라운
1873알렉산더 더프 (두 번째 임기)
1874로버트 월터 스튜어트
1875알렉산더 무디 스튜어트
1876토마스 맥로클란
1877윌리엄 헨리 굴드
1878앤드루 보나르
1879제임스 찰머스 번스
1880토마스 메인
1881윌리엄 로턴
1882로버트 맥도널드
1883호라티우스 보나르
1884월터 로스 테일러
1885데이비드 브라운
1886알렉산더 닐 서머빌
1887로버트 레이니
1888구스타브스 에어드 (총회 유일하게 인버네스에서 개최)
1889존 레이드
1890토마스 브라운
1891토마스 스미스
1892윌리엄 가든 블레이키
1893월터 찰머스 스미스
1894조지 더글라스
1895제임스 후드 윌슨
1896윌리엄 밀러
1897휴 맥밀란
1898알렉산더 와이트
1899제임스 스튜어트
1900월터 로스 테일러




7. 게일어 총회 의장 (Gaelic Moderators)

인버네스 총회에서 별도로 게일어 의장이 역임되었다. 이는 북부 목사들이 총회에 덜 방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분열을 초래하기도 했다. 이러한 분열 속에서 1900년 연합 이후 자유 교회에 남은 것은 주로 북부 목사들이었다.[38]

알려진 게일어 의장은 다음과 같다.


  • 존 맥도널드 목사 (1845)
  • 구스타브스 에어드 (1888)

8. 기타 지역 (Other areas)

자유 교회는 스코틀랜드 전역뿐만 아니라 잉글랜드 북부 지역과 런던에도 여러 교회를 가지고 있었다. 다른 국가에서는 스코틀랜드인이 많이 거주하는 캐나다뉴질랜드에 영향력이 집중되었다. 그들은 자유 교회 목사들을 뉴질랜드로 보내기 위한 특별 모집 캠페인을 진행했다. 뉴질랜드 총회 의장으로는 고든 웹스터 (1898)가 있었다.

캐나다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에는 스코틀랜드 총회와 관련된 다수의 자유 교회가 선교 교회로 남아 있다. 이 연합은 1930년대, 캐나다 장로교회 설립 및 이후 캐나다 연합 교회 설립 당시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의 총회 의장인 에웬 맥두걸 목사에 의해 설립되었다.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교인들의 대규모 정착은 도널드 맥도날드 목사의 설교 하에 일어난 종교 부흥의 결과로 여겨진다. 캐나다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의 현존하는 스코틀랜드 교회는 강단에서 성경을 해석하고, 반주나 합창단 없이 시편과 성경을 찬송하며, 찬양 인도자가 이끄는 단순한 예배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예배당은 최소한의 장식만 갖춘 단순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1]

참조

[1] 서적 The dying man's testament to the Church of Scotland, or, A treatise concerning scandal https://archive.org/[...] Printed for the Company of Stationers 1659
[2] 서적 The doctrine of the church in Scottish theology https://archive.org/[...] Macniven & Wallace 1903
[3] 서적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er Origin, Founders and Testimony https://archive.org/[...] T. & T. Clark 1893
[4] 서적 The theology and theologians of Scotland: chiefly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archive.org/[...] T. & T. Clark 1888
[5] 서적 The church of Christ: a treatise on the nature, powers, ordinances, discipline, and government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archive.org/[...] T. & T. Clark 1868
[6] 서적 Chapters from the History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ttps://archive.org/[...] Oliphant, Anderson & Ferrier 1895
[7] 서적 The Headship of Christ https://archive.org/[...] William P. Nimmo 1871
[8] 서적 The ten years' conflict; being the history of the disruption of the Church of Scotland https://archive.org/[...] Blackie 1849
[9] 서적 Chapters from the History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ttps://archive.org/[...] Oliphant, Anderson & Ferrier 1895
[10] 서적 Thomas Chalmers and the godly Commonwealth in Scotland 1982
[11] 서적 The Scottish Nation 1999
[12] 서적 The church and Scottish social development, 1780–1870 1960
[13] 웹사이트 The First General Assembly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after David Octavius Hill) https://artuk.org/di[...] 2017-04-29
[14] 서적 Annals of the disruption with extracts from the narratives of ministers who left the Scottish establishment in 1843 by Thomas Brown. https://babel.hathit[...] Macniven & Wallace 1893
[15] 서적 The floating church of Loch Sunart https://archive.org/[...] Scottish Church History Society 1985
[16] 서적 The first annual report of the Edinburgh Society for Promoting the Mitigation and Ultimate Abolition of Negro Slavery : with an appendix. https://archive.org/[...] printed for the society by Abernethy & Walker 1823
[17] 웹사이트 Scotland – Frederick Douglass in Britain and Ireland http://frederickdoug[...] 2018-10-18
[18] 서적 Memorials of Robert Smith Candlish, D.D.: Minister of St. George's Free Church, and Principal of the New College, Edinburgh https://archive.org/[...] A. & C. Black 1880
[19] 서적 Memorials of Robert Smith Candlish, D.D. : minister of St. George's Free Church, and principal of the New College, Edinburgh https://archive.org/[...] A. & C. Black 1880
[20] 웹사이트 Send back the money https://www.donaldma[...] 2020-07-21
[21] 서적 A Calm View of the Freedmen's Case https://archive.org/[...]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1887
[22]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James Henley Thornwell https://archive.org/[...] Whittet & Shepperson 1875
[23] 서적 The church of Christ : a treatise on the nature, powers, ordinances, discipline, and government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archive.org/[...] T. T. Clark 1868
[24] 서적 The church of Christ : a treatise on the nature, powers, ordinances, discipline, and government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archive.org/[...] T. T. Clark 1868
[25] 서적 Chapters from the history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ttps://archive.org/[...] Oliphant, Anderson & Ferrier 1895
[26] 서적 Discussions of Robert Lewis Dabney Vol. 1: Evangelical and Theological https://archive.org/[...]
[27] 서적 The Sea of Galilee Mission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ttps://archive.org/[...] T. Nelson and Sons 1895
[28] 서적 History of the Missions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in India and Africa https://archive.org/[...] T. Nelson 1873
[29] 서적 Politics & Christianity in Malawi, 1875-1940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2008
[30] 서적 The Sea of Galilee Mission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ttps://archive.org/[...] T. Nelson and Sons 1895
[31] 서적 History of the missions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in India and Africa https://archive.org/[...] T. Nelson 1873
[32] 간행물 The Free Church Educational scheme, 1843-50 https://archive.org/[...] 1965
[33] 서적 God's Empire: Religion and Colonialism in the British World, c. 1801–190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34] 웹사이트 Thomas Chalmers and the Godly Commonwealth http://www.newble.co[...] 2014-09-23
[35] 서적 A New Directory for the Public Worship of God. Founded on the Book of Common Order 1560-64, and the Westminster Directory 1643-45, and prepared by the "Public Worship Association in connection with the Free Church of Scotland" Macniven & Wallace
[36] 서적 The Book of Psalms and the Free Church Hymn Book published by the Free Church of Scotland General Assembly https://archive.org/[...] T. Nelson 2017-04-22
[37] 웹사이트 Turkish Artist Gives Life to Old Photograph https://freechurch.o[...] 2020-05-05
[38] 간행물 Annals of the Free Church
[39] 서적 Chapters from the History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ttps://archive.org/[...] Oliphant, Anderson & Ferrier 2017-04-22
[40] 서적 The dying man's testament to the Church of Scotland, or, A treatise concerning scandal https://archive.org/[...] Printed for the Company of Stationers 2017-04-22
[41] 서적 The doctrine of the church in Scottish theology https://archive.org/[...] Macniven & Wallace 2017-04-22
[42] 서적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er Origin, Founders and Testimony https://archive.org/[...] T & T Clark 2017-04-22
[43] 서적 The theology and theologians of Scotland : chiefly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archive.org/[...] T. & T. Clark 2017-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