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는 스코틀랜드의 신학자, 성서학자, 종교학자, 백과사전 편집자였다. 그는 1875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9판에 기고한 종교 관련 글과 성경을 역사 비평적으로 접근한 방식으로 인해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에서 이단으로 고발당하고, 1881년 교수직을 잃었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아랍어 교수를 역임하며 '셈족의 종교' 등 주요 저서를 출판했다. 스미스는 성경을 역사적 문헌으로 간주하고 역사 비평적 방법을 통해 성경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의 연구는 현대 성서학 및 종교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문헌학자 - 제임스 머리 (사전 편찬자)
제임스 머리는 스코틀랜드의 사전 편찬자이자 언어학자로, 《옥스퍼드 영어 사전》의 주요 편집자로서 영어 어휘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했고, 다양한 언어에 능통하며 스코틀랜드 남부 방언 연구에도 힘썼다. - 스코틀랜드의 동양학자 - 앤드루 멜빌
앤드루 멜빌은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로서, 스코틀랜드와 유럽의 교육 및 종교 개혁에 헌신했으며, 글래스고 대학교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교회 정부 형태에 반대하며 제임스 6세와 대립하다 투옥되기도 했다. - 스코틀랜드의 언어학자 - 앤드루 멜빌
앤드루 멜빌은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로서, 스코틀랜드와 유럽의 교육 및 종교 개혁에 헌신했으며, 글래스고 대학교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교회 정부 형태에 반대하며 제임스 6세와 대립하다 투옥되기도 했다.
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46년 11월 8일 |
출생지 | 키그, 애버딘셔, 스코틀랜드 |
사망일 | 1894년 3월 31일 |
사망지 | 케임브리지, 잉글랜드 |
직업 | 종교인, 신학자, 셈족 학자 |
모교 | 에든버러 신학대학 |
주요 작품 | 《셈족의 종교》 |
2. 생애와 경력
스미스는 스코틀랜드 애버딘셔의 케익에서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목사인 윌리엄 피리 스미스(William Pirie Smith, 1811–1890)와 제인 로버트슨(Jane Robertson)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동생은 찰스 미치 스미스(Charles Michie Smith)이다.[1]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지적 능력을 보인 그는 15세에 애버딘 대학교에 입학했으며, 이후 에든버러 뉴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1866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 졸업 후 1870년, 마커스 삭스(Marcus Dods) 교수의 뒤를 이어 애버딘 자유 교회 칼리지에서 히브리어 교수로 임명되었다.[2]
1871년에는 피터 구스리 테이트(Peter Guthrie Tait)의 추천으로 에든버러 왕립 학회의 회원이 되었다.[3]
1875년부터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9판에 종교 관련 글들을 기고하기 시작했는데, 이 글들에서 보여준 성서 비평적 관점은 이후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논쟁과 그 결과는 스미스의 경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 1.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기고와 이단 논쟁
1875년, 스미스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9판에 종교적 주제에 대한 여러 중요한 글을 기고했다.[2] 이 글들에서 그는 성경을 문자 그대로의 진리로 받아들이기보다 역사비평적 관점에서 접근했는데, 이는 당시 보수적인 신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스미스가 소속된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내에서는 그의 글을 문제 삼아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고[4], 이는 결국 [https://william-robertson-smith.net/en/biography-the-heresy-trial 이단 재판]으로 이어졌다. 스미스의 학문적 시도는 미국의 보수적인 신학계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5]
수년간 이어진 이단 재판 끝에, 스미스는 1881년 애버딘 자유 교회 칼리지의 교수직을 결국 잃게 되었다.[6] 이는 성서비평학을 수용하려는 진보적인 신학 흐름과 전통적인 신앙을 고수하려는 보수 세력 간의 충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교수직을 잃은 후 스미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아랍어 강사로 활동했으며, 이후 대학 사서, 아랍어 교수, 케임브리지 크라이스트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을 역임했다.[6] 이 시기 그는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신학 저서인 ''The Old Testament in the Jewish Churcheng''(1881)와 ''The Prophets of Israeleng''(1882)을 출간하여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더욱 분명히 했다.
2. 2.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절
스미스의 논문은 성경을 문자 그대로 진실로 받아들이지 않고 종교적 주제에 접근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러한 학문적 태도는 그가 속해 있던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내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으며[4], 미국의 보수적인 종교계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5] 결국 https://william-robertson-smith.net/en/biography-the-heresy-trial 이단 재판을 거치면서, 스미스는 1881년 애버딘 자유 교회 칼리지의 교수직을 잃게 되었다.[6]
교수직에서 해임된 후, 스미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아랍어 강사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그는 대학 사서, 토머스 아담스 경 아랍어 교수(Sir Thomas Adams's Professor of Arabic, 1889–1894)를 역임했으며, 케임브리지 크라이스트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으로도 활동했다.[6]
케임브리지 시절 동안 스미스는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 | 제목 (원제) |
---|---|
1881년 | 《유대 교회에서의 구약성서》 (The Old Testament in the Jewish Church) |
1882년 | 《이스라엘의 예언자들》 (The Prophets of Israel) |
1885년 | 《고대 아라비아의 혈족관계와 혼인》 (Kinship and Marriage in Early Arabia) |
1889년 | 《셈족의 종교》 (Lectures on the Religion of the Semites) |
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는 19세기 스코틀랜드의 신학자이자 성서학자, 인류학자로, 그의 학문적 접근은 크게 두 가지 주요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성경 연구에 역사 비평 방법론을 적용한 것이고, 둘째는 종교 현상을 사회 및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종교 인류학적 접근이다.
특히 《셈족의 종교》는 고대 유대교의 종교 생활을 분석하는 데 사회학적 방법론을 도입한 그의 가장 중요한 학문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1887년에는 그의 고용주였던 토머스 스펜서 베인스가 사망하자, 스미스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편집자 자리를 이어받았다.
스미스는 1894년 3월 31일 케임브리지 크라이스트 칼리지에서 결핵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유해는 고향인 케익의 교회 묘지에 부모님과 함께 안장되었다.
3. 주요 사상 및 학문적 접근
그는 성경을 다른 고대 문헌과 동일하게 역사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텍스트 형성 과정의 복잡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성서 비평적 관점은 당시 보수적인 기독교계에 큰 논란을 일으켜 교수직에서 해임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또한, 스미스는 고대 셈족 사회의 친족 관계, 결혼 제도, 제사 의식 등을 분석하여 종교가 사회 구조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탐구했다. 특히 제사 의례를 통한 공동체의 결속 강화 등 사회적 기능에 주목한 그의 연구는 후대의 사회학과 인류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구체적인 이론 중 일부는 현대 학계에서 비판받거나 수정되었지만, 종교 연구에 대한 그의 선구적인 접근 방식은 학문적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3. 1. 역사 비평
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는 성경을 다른 고대 문헌과 마찬가지로 역사 비평의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쇄술이 발명되기 훨씬 전에 기록된 고대 문헌들은 오랜 세월 동안 필사되는 과정에서 많은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무지한 필사자의 실수로 내용이 누락되거나, 편집자가 임의로 외부 자료를 섞어 넣거나, 심지어 책의 저자나 기원이 불분명해져 후대의 사람이 잘못된 정보를 덧붙이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위경이나 팔라리스의 서신처럼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위조 문서도 존재한다고 보았다. 스미스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본래의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역사 비평가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의심스러운 부분을 면밀히 검토하고, 후대에 삽입된 내용을 가려내며, 위조된 부분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비평 작업을 통해 진정으로 가치 있는 고대의 기록은 오히려 그 의미와 권위가 더욱 명확해질 것이라고 믿었다.[7]
스미스의 이러한 성서 비평적 관점은 당시 일부 보수적인 기독교 신자들의 반발을 샀다. 그들은 스미스의 방법이 성경에서 초자연적 요소를 제거하고 단순한 역사 기록으로 격하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나 스미스는 성경의 진정한 목적은 독자들에게 살아있는 신앙 경험을 제공하고 역사 속에서 활동하는 하나님과 만나게 하는 것이며, 텍스트에 대한 정확하고 비판적인 이해가 오히려 이러한 목적 달성에 더 도움이 된다고 반박했다. 그는 자신의 비판적 성경 연구가 루터 등으로 대표되는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스미스는 이전 시대의 성경 연구 방식, 특히 중세 가톨릭의 성경 연구가 일관된 교리를 도출하는 데 지나치게 집중했다고 비판했다. 프로테스탄트는 초기에는 히브리어 원전 연구를 위해 유대인 학자들에게 의존했지만, 유대교 학문의 주된 관심사는 성경 자체보다는 탈무드와 같은 유대 율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었다고 보았다.
스미스는 직접 성경 본문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여러 구체적인 문제들을 제기했다.
스미스는 자신의 역사 비평 연구가 결코 성경의 권위를 훼손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역사적 사실에 대한 정당한 해석을 통해 이스라엘 역사의 참된 의미를 밝히고 이것이 기독교 신앙의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저자 서문, 1881). 그러나 그의 이러한 진보적인 주장은 당시 보수적인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내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1875년 엔사이클로피디아 브리태니커에 기고한 "성경" 항목에서 유사한 내용을 다룬 것이 발단이 되어, 1878년에는 특히 신명기의 저작 시기에 대한 그의 견해를 문제 삼아 이단 혐의로 기소되었다. 결국 이 논쟁으로 인해 스미스는 1881년 애버딘 자유 교회 대학의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8] 그가 해임된 직후 출판한 강의록 ''The Old Testament in the Jewish Church''(1881)는 독일 신학자 벨하우젠의 문서 가설 등 당시 유럽 대륙의 최신 비평 이론을 영국에 소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지만[9][10], 동시에 벨하우젠의 주장을 단순히 반복하는 것을 넘어 스미스 자신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성경 비평에 접근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1]
스미스는 자신의 연구 방법론에 대해 "역사적 조사에 대한 일반적인 방법"과 "진실은 일관되고 진보적이며 불멸하는 반면, 모든 거짓은 자기 모순적이며 궁극적으로 조각으로 부서진다"는 역사 발전의 법칙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성경 연구에 임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3. 2. 종교 인류학
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는 종교 현상을 사회 구조 및 문화와 연결하여 이해하려 한 종교학 및 인류학의 선구자 중 한 명이다. 그는 특히 고대 셈족의 종교 생활 연구를 통해, 친족 관계, 결혼 제도, 제사 의식과 같은 사회적 요인이 종교의 형태와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탐구했다.
'''초기 아라비아의 친족 관계와 결혼''' (''Kinship and Marriage in Early Arabia'', 1885)에서 스미스는 고대 아라비아 사회가 초기 토템 신앙을 가진 모계 사회에서 출발하여, 이슬람교 이전 아라비아 시대에는 부계 사회로 변화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족외혼 풍습 등을 근거로 이러한 변화 과정을 추적하려 했다. 이 연구는 동시대 인류학자인 존 퍼거슨 맥레넌의 '원시 결혼'(1865) 이론에 크게 의존했으며,[16] 테오도어 뇔데케와 이그나츠 골트지허 같은 학자들의 영향도 받았다. 그러나 스미스의 이러한 주장은 후대에 많은 비판을 받았다. 에드워드 W. 사이드는 이 연구가 19세기 유럽 중심적인 오리엔탈리즘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지적했으며,[14][15] 에드워드 에반스-프리처드는 스미스가 맥레넌의 다소 결함 있는 진화론적 틀에 아랍 사회의 복잡한 현실을 억지로 끼워 맞추었다고 비판했다.[17][18] 특히 고대 셈족 사회가 모계 사회였다는 그의 핵심 가설은 이후 사파이틱 비문 등 고고학적 증거들이 발견되면서 현대 학계에서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미스가 제기한 친족 구조와 종교의 연관성 문제는 이후 인류학 연구에 중요한 화두를 던졌다.
'''셈족의 종교에 관한 강의''' (''Lectures on the Religion of the Semites'', 1889)는 그의 종교 인류학 연구를 집대성한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에서 스미스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페니키아, 이스라엘, 아라비아 등 광범위한 셈족 문화권의 종교적 관행들을 비교 분석했다. 그는 종교가 단순히 개인적인 믿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공동체의 유지와 결속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특히 그는 제사 의례, 그중에서도 부족의 토템 동물을 함께 나누어 먹는 행위를 통해 부족 구성원들이 신과 서로에 대한 유대감을 확인하고 강화하는 친교(communion)의 과정으로 해석했다. 이러한 토템 친교 이론은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주장으로, 율리우스 벨하우젠과 같은 동시대 학자들과 일부 공유되었으나,[20] 후대에는 그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1][33] 또한 그는 신과 숭배자의 관계를 고대 사회의 보호자(신)와 피보호자(게림heb; 지란ara) 관계로 설명하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부족신이 점차 윤리적이고 보편적인 신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스미스의 연구는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의 연구 방법론에 영향을 받았으며,[29][30] 때로는 부족한 자료를 메우기 위해 다른 문화권과의 유추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방법론은 테오도어 넬데케 등에게 비판받기도 했지만,[24] 그의 저작은 에밀 뒤르켐,[26][27] 지그문트 프로이트,[31]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32] 등 후대의 사회학, 인류학, 종교학 거장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비록 그의 구체적인 이론들 중 일부는 현대 학계에서 수정되거나 폐기되었지만, 종교를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그의 선구적인 시도는 종교 인류학 분야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4. 주요 저서
- '''유대 교회에서의 구약성서''' (The Old Testament in the Jewish Church영어), 1881년. 에든버러와 런던에서 출판되었으며, 1892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 * 이 책에서 스미스는 구약성서를 역사 비평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것에 반대하는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의 우려를 다룬다. 그는 비평적 연구가 성경을 단순한 역사 기록으로 축소하고 초자연적인 요소를 제거할 것이라는 주장에 맞서, 오히려 텍스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독자들에게 살아있는 신앙 경험을 제공하고 역사 속에서 활동하는 하나님을 더 잘 만나게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8–9]. 그는 비평적 성경 연구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정신을 계승한다고 보았다 [18–19].
- * 스미스는 기존의 가톨릭 성경 연구가 교리 도출에만 집중했다고 비판하며 [7, 25], 초기 프로테스탄트 학자들이 히브리어 연구를 위해 유대인 학자들에게 의존했지만, 유대교의 주된 관심사는 탈무드와 같은 율법 해석에 있었다고 지적한다 [52].
- * 그는 성경 텍스트가 여러 자료를 엮어 만든 복합적인 문서임을 주장하며, 특히 모세 오경에서 중복되거나 모순되는 내용이 공존하는 것을 근거로 제시한다 [133, 90–91]. 또한 시편은 다윗 왕 개인의 작품이라기보다는 히브리 민족 전체의 경험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224].
- * 스미스는 모세 오경의 율법과 의식이 시내산에서 한 번에 주어진 것이 아니라, 바빌론 유수 이후 에스라 시대에 이르러 체계화되었다고 주장하며 기존의 이해에 도전했다 [231–232, 254–256, 259, 226–227]. 그는 모세 오경의 역사 서술 역시 모세 사후 오랜 시간이 지나 가나안 땅에서, 아마도 사울이나 다윗 시대에 기록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323–325].
- * 신명기의 율법 역시 요시야 왕 시대(기원전 640-609년)의 개혁과 관련하여 후대에 기록된 것으로 보았다 [318–320, 258]. 그는 모세 이후 히브리 민족에게는 율법보다 예언자들이 신성한 영적 지침을 제공하는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334–345].
- * 이 책의 내용은 스미스가 1875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기고한 "성경" 항목과 유사한 문제 제기로 인해 이미 논란을 일으켰으며, 특히 신명기 저작에 대한 그의 견해는 1878년 이단 혐의로 이어졌다. 결국 이 강의는 1881년 그가 애버딘 자유 교회 대학 교수직에서 해임된 후에 이루어졌다.[8]
- * 이 책은 율리우스 벨하우젠의 ''이스라엘 역사''(1878)에서 제시된 비평적 관점을 영국 대중에게 소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9][10], 스미스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주제에 접근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1]
- '''이스라엘의 예언자들''' (The Prophets of Israel and their place in history to the close of the 8th century B.C.영어), 1882년. 에든버러에서 출판되었으며, 1895년 T. K. 체니의 서문과 주석이 추가되어 재출판되었다.
- * 이 책은 히브리 예언자들을 주변 국가들의 고대 종교 관행과 비교하며 다룬다. 스미스는 이스라엘 예언자들이 단순한 점술가가 아니라, 정의의 하나님(야훼)의 본성을 증언하고 윤리적 지침을 선포하며 하나님의 뜻을 역사 속에서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고 강조한다 [85–87, 107–108, 70–75].
- * 책의 내용은 모세 이후 유대교 역사에서 야훼 신앙의 발전 과정, 주변 종교와의 관계, 일신교 사상의 형성, 사사와 예언자 엘리야의 역할 등을 다룬 후, 주요 예언자인 아모스, 호세아, 이사야를 통해 히브리 종교가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보여준다.[12]
- * 스미스는 서문에서 하인리히 에발트, 카를 하인리히 그라프, 아브라함 쿠넨, 율리우스 벨하우젠 등 당대 비판적 성서 연구 학자들의 영향을 인정한다 [xlix-lviii].
- * 그는 역사 연구의 보편적 방법과 진리의 일관성을 신뢰하며 자신의 주장을 펼치지만 [17, 16], 현대 학자들은 스미스가 19세기 프로테스탄트 신학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해 역사적 탐구라는 목표를 온전히 달성하지는 못했다고 평가하면서도, 그의 선구자적 역할은 인정한다.[13]
- '''고대 아라비아의 혈족관계와 혼인''' (Kinship and Marriage in Early Arabia영어), 1885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나왔으며, 1903년 스탠리 A. 쿡이 편집하고 이그나츠 골트지허의 주석이 추가된 개정판이 출판되었다.
- * 이 책은 고대 아랍 사회가 토템 신앙을 가진 모계 사회 단계에서 출발하여, 무함마드 시대에 이르러 부계 사회로 발전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스미스는 부족의 기원, 친족 집단의 구조, 결혼 형태(족외혼, 약탈혼, 계약혼 등), 상속, 이혼, 부성의 의미 변화, 일부다처제, 영아 살해, 토템 신앙의 흔적 등을 분석한다.
- * 스미스의 연구는 존 퍼거슨 맥레넌의 『원시 결혼』(1865) 등 당대 인류학 연구에 크게 의존했으며[16], A. G. 윌켄, 에드워드 타일러, 테오도어 뇔데케, 이그나츠 골트지허 등의 연구와 조언을 참고했다.
- * 그러나 스미스의 핵심 주장, 특히 초기 아랍 사회가 모계 사회였다는 가설은 후대 학자들에 의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에드워드 에반스-프리처드는 스미스가 부족 내 여성 이름 사용을 모계 사회의 잔재로 해석한 것을 비판하며, 이것이 단순히 아랍어 문법(집단 명사의 여성형 사용)이나 일부다처 사회의 관행(어머니 이름으로 자녀 그룹 구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스미스가 토템 신앙의 증거를 과도하게 해석했다고 비판하며, 그가 맥레넌의 진화론적 도식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다고 평가했다.[17][18] 에드워드 사이드는 이 책을 19세기 유럽 오리엔탈리즘의 편협한 시각을 보여주는 사례로 비판하기도 했다.[14][15] 이후 사파이틱 비문 등의 발견으로 초기 셈족 사회가 주로 가부장제적이고 부계 중심적이었다는 견해가 우세해졌지만, 로버트 G. 호일랜드와 같은 학자는 모계적 요소의 흔적도 일부 존재했을 가능성을 언급한다.[19]
- '''셈족의 종교''' (Lectures on the Religion of the Semites. Fundamental Institutions. First Series영어), 1889년. 런던에서 출판되었으며, 1894년 J. S. 블랙이 편집한 2판, 1927년 S. A. 쿡의 서문과 주석이 추가된 3판 등이 나왔다.
- * 이 책은 고대 셈족(메소포타미아, 시리아, 페니키아, 이스라엘, 아라비아 등)의 공통적인 종교 관행과 사회적 행위를 문헌 자료를 통해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통해 초기 성경 기록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자 했다.
- * 스미스는 서론에서 원시 종교의 진화, 바빌론의 쐐기 문자 기록과 고대 이집트의 영향 등을 언급하며 연구의 범위를 설정한다 [13–14]. 그는 부족 사회에서 외부인(게르/자르)을 보호하는 관습이 신과 부족 간의 관계로 확장되어, 부족신이 보편적인 윤리적 신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75–81].
- * 책의 주요 내용은 성스러운 장소(자연신, 진, 토템, 성소, 성수, 성목, 동굴, 성석 등)와 제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6강에서 제시된 토템 동물 공동 식사를 통한 사회적 유대감 형성 및 신과의 친교 이론은 논쟁적이었으며, 율리우스 벨하우젠과 일부 견해를 공유했지만 현재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20][21]
- * 이 연구는 친구인 율리우스 벨하우젠의 연구와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의 인류학적 유추 등에 영향을 받았다. (스미스 서문).[22] 그러나 테오도어 넬데케 등은 스미스의 방법론, 특히 자료가 부족한 부분을 유추로 메우는 방식에 대해 비판했다.[24]
-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당대에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25], 이후 에밀 뒤르켐[26][27], 미르체아 엘리아데[28],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29][30], 지그문트 프로이트[31],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32] 등 여러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에반스-프리처드는 스미스의 광범위한 영향력을 인정하면서도, 그의 토템 이론은 증거가 부족한 시기에 대한 추측에 가깝다고 비판했다.[33]
- '''셈족의 종교 강의. 제2, 3 시리즈''' (Lectures on the Religion of the Semites. Second and Third Series영어), 1995년 존 데이가 편집하여 출판.
- * 스미스가 생전에 출판하지 못한 강의 원고를 바탕으로 한다. 제2 시리즈는 축제, 사제와 신탁, 점술가와 예언자를 다루고, 제3 시리즈는 셈족 다신교와 우주론을 다룬다. 부록에는 강의 당시 언론 보도와 스미스의 즉석 발언 기록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기고''' (1875년–1889년)
- * 제9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천사", "성경", "역대기", "다윗", "십계명", "히브리어와 문학", "호세아", "예루살렘", "메카", "메디나", "메시아", "낙원", "제사장", "선지자", "시편", "희생", "성전", "십일조" 등 다수의 중요 항목을 집필했다.
- '''강의와 에세이''' (Lectures and Essays영어), 1912년 J. S. Black과 G. W. Chrystal이 편집하여 출판.
- * 초기 과학 논문, 신학 에세이, 애버딘 대학 강의, 아라비아 연구, 서평 등을 모은 책이다. "기독교와 초자연적인 것"(1869), "역사가 우리에게 성경에서 무엇을 찾도록 가르치는가"(1870), "구약 연구에 관하여"(1877), 벨하우젠과 르낭의 저서에 대한 서평 등이 포함되어 있다.
- '''기타'''
- * 율리우스 벨하우젠의 ''이스라엘 역사 서설'' 영역판(1885) 서문 작성.
- * 루돌프 키텔의 ''히브리인의 역사, II''(1892) 서평 (1893).
5. 영향 및 평가
윌리엄 로버트슨 스미스의 성서 비평과 종교학 연구는 발표 당시 상당한 논란을 일으켰다. 보수적인 종교계의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지만, 그의 선구적인 접근 방식은 현대 성서학 및 종교학 연구 발전에 중요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스미스의 연구는 특히 사회학과 인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회학의 주요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에밀 뒤르켐은 스미스의 토테미즘과 희생 제의 분석에서 영감을 얻어 자신의 종교 이론을 발전시켰다. 또한, 종교사학의 대가인 미르체아 엘리아데, 《황금가지》의 저자로 유명한 인류학자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지그문트 프로이트, 기능주의 인류학의 선구자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등 여러 분야의 저명한 후대 학자들이 그의 연구로부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의 저작들은 셈족 종교, 고대 사회의 구조, 종교 의례의 사회적 기능 등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담고 있으며, 이는 종교와 사회를 이해하는 데 있어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비록 당대에는 논쟁의 대상이었으나, 오늘날 그의 연구는 종교와 사회에 대한 학문적 탐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업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8-07-16
[2]
서적
Annals of the Free Church
[3]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8-07-16
[4]
서적
Chapters from the history of the Free church of Scotland
https://archive.org/[...]
Oliphant, Anderson & Ferrier
2017-05-01
[5]
서적
Discussions of Robert Lewis Dabney Vol. 1: Evangelical and Theological
https://archive.org/[...]
2017-05-01
[6]
서적
The Life of William Robertson Smith
Adam & Charles Black
1912
[7]
문서
The Old Testament in the Jewish Church
1892
[8]
간행물
William Robertson Smith. Essays in reassessment
Sheffield Academic
1995
[9]
간행물
W. R. Smith's The Old Testament in the Jewish Church': Its antecedents, its influence, and its abiding value
Sheffield Academic
1995
[10]
서적
Old Testament Critic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England and Germany
Fortress Press
1984
[11]
간행물
W. R. Smith's The Old Testament in the Jewish Church
Sheffield Academic
1995
[12]
서적
Primal Religion and the Bible
1997
[13]
간행물
The Biblical Prophets as apologists for the Christian religion: reading William Robertson Smith's The Prophets of Israel today
1995
[14]
서적
Orientalism
Random House
1978
[15]
간행물
Orientalists and Orientalisms: Robertson Smith and Edward W. Said
1995
[16]
서적
Studies in Ancient History
1896
[17]
간행물
William Robertson Smith and John Ferguson McLennan: The Aberdeen roots of British social anthropology
1995
[18]
서적
A History of Anthropological Thought
1981
[19]
서적
Arabia and the Arabs. From the bronze age to the coming of Islam
Routledge
2001
[20]
서적
Penitence and Sacrifice in Early Israel outside Levitical Law: An examination of the Fellowship Theory of early Israelite sacrifice
Brill
1963
[21]
서적
Theories of Primitive Religion
Oxford University
1965
[22]
서적
Das Mutterrecht
1861
[23]
서적
The Golden Bough
1890
[24]
서적
Primal Religion and the Bible
1997
[25]
간행물
William Robertson Smith and Julius Wellhausen
1995
[26]
간행물
Deity and the Social Bond: Robertson Smith and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Religion
1995
[27]
서적
Primal Religion and the Bible
1997
[28]
간행물
Introduction
1995
[29]
서적
Primal Religion and the Bible
1997
[30]
간행물
A Reconsideration of Frazer's relationship with Robertson Smith: The myth and the facts
1995
[31]
간행물
Deity and the Social Bond: Robertson Smith and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religion
1995
[32]
서적
Primal Religion and the Bible
1997
[33]
서적
Theories of Primitive Religion
Oxford University
1965
[34]
서적
The Religion of the Semites
1894
[35]
서적
Orientalism
1978
[36]
서적
Orientalists and Orientalisms. Robertson Smith and Edward W. Said
Johnstone
1995
[37]
서적
Bonnie Scotland
https://archive.org/[...]
A. & C. Black
2017-04-27
[38]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