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음주의는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복음'(gospel) 또는 '좋은 소식'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17세기 자유주의 신학의 등장으로 의미가 다양해졌으며, 18세기 이후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동으로 '반동적 복음주의'가 나타났다. 반동적 복음주의는 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로 나뉘었으며, 영어권에서는 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복음주의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복음주의는 회심주의, 성경주의, 십자가 중심주의, 활동주의를 특징으로 하며, 한국 개신교는 신학적 보수주의와 부흥주의 스타일을 강조하며, 해외 선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복음주의는 사회 문제에 대한 무관심, 주관적 신앙, 개인주의, 종교적 감성 편중, 소비자 신앙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음주의 - 국제 SIL
국제 SIL은 윌리엄 캐머런 타운센드에 의해 1934년 설립된 비정부기구로, 초기 선교 활동과 함께 시작하여 현재는 전 세계 언어 연구, 멸종 위기 언어 보존, 언어 데이터베이스 에스놀로그 출판 등의 활동을 하고 있으나, 선교 활동 연관성으로 비판도 받고 있다. - 복음주의 - 율법과 복음
율법과 복음은 기독교 신학의 핵심 개념으로, 율법은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고 죄를 깨닫게 하며,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소식을 의미한다. - 성경 - 코이네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정복 후 헬레니즘 시대에 아티카 방언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지중해 세계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서 기록과 동로마 제국 시대를 거쳐 중세 및 현대 그리스어의 기초가 된 언어이다. - 성경 - 오순절
오순절은 유대교의 칠칠절과 기독교의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날로, 유대교에서는 율법 수여를 기념하는 수확절이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승천 후 성령 강림을 기념하고, 50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부활절 날짜에 따라 날짜가 달라진다. - 종교 개혁 -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4세기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성경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여 개신교 탄생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 종교 개혁 - 헨리 8세
헨리 8세는 1509년부터 1547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여섯 번의 결혼, 잉글랜드 종교 개혁, 그리고 왕권 강화가 특징이며, 그의 통치 이후 세 명의 자녀가 왕위를 이었으나 튜더 왕조는 단절되었다.
복음주의 | |
---|---|
정의 및 특징 | |
정의 | 복음주의는 18세기 복음주의 부흥에서 기원한 초교파적인 개신교 운동이다. |
주요 특징 | 성경의 권위 예수 그리스도와의 개인적인 관계 거듭남의 중요성 적극적인 전도 활동 |
역사적 기원 | |
기원 | 18세기 영국, 미국 |
주요 인물 | 존 웨슬리 조지 휫필드 조너선 에드워즈 |
신학적 특징 | |
성경관 | 성경의 무오성을 강조하며, 성경을 삶의 기준으로 삼는다. |
구원관 |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는다고 믿는다. |
사회 참여 | 개인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진다. |
교파 및 단체 | |
주요 교파 | 침례교 감리교 성결교 오순절교회 |
주요 단체 | 세계복음주의연맹(WEA) 로잔 운동 |
논쟁 및 비판 | |
논쟁점 |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입장 차이 동성애, 낙태 등에 대한 보수적인 견해 진화론에 대한 비판적 태도 |
비판 | 배타적인 태도 정치적인 성향 반지성주의 |
영향력 | |
영향력 | 기독교 선교 활동 사회 운동 정치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복음주의 부흥 근본주의 신복음주의 카리스마 운동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기독교 개신교 신학 |
2. 용어
'복음주의'라는 단어는 '복음'(gospel) 또는 '좋은 소식'(good news)을 뜻하는 그리스어 유앙겔리온(εὐαγγέλιον)에서 유래했다. 유앙겔리온은 '좋은'(eu), '메신저, 천사'(angelos)를 뜻하는 엔젤로스, 그리고 중성 접미사 -ion으로 구성된다. 영국 중세 시대에는 이 용어가 의미적으로 확장되어 메시지뿐만 아니라 그 메시지를 담고 있는 신약성경, 즉 예수의 삶, 죽음, 부활을 묘사하는 복음서를 포함하게 되었다.
16세기부터 복음주의는 서방기독교의 새로운 전통으로 형성되어 개신교회 신학의 뿌리가 되는 사상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개신교 교파는 모두 복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현재는 사용하는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단어가 되었으며, 사용과 의미 확인에 주의해야 한다.
독일어권에서는 일반적으로 "'''evangelisch(에반겔리쉬) = '복음의''''"라는 형용사로 사용된다. "evangelisch"는 주로 마르틴 루터 또는 장 칼뱅의 가르침에 기초한 복음주의 교회(Evangelische Kirche)를 지칭한다. 전통적으로 "복음주의 교회"는 16세기종교 개혁 이후의 전통을 가지며, 독일에서는 주 정부에 공인되어 주류의 지위를 구축했고, 교파로는 루터파 교회와 개혁교회로 나뉜다. 루터파와 개혁파가 합동하여 복음주의 합동 교회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각 개별 교회가 자기 교파의 전통에 따른 예배와 교리를 유지하면서 합동한다. 독일의 모든 주 교회는 독일 복음주의 교회(EKD)에 가맹하고 있다. 주 교회와는 별도로 독립된 복음주의 자유 교회도 존재한다.
현대 독일인들은 개신교 신앙을 나타낼 때, "프로테스탄트"가 아닌 "evangelisch"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루터파 교회, 개혁교회, 복음주의 합동 교회 신도들은 "evangelisch"라는 단어만으로 신앙을 나타낸다. 독일에서는 교회세 신고 시 소속 교회를 등록하는데, "로마 가톨릭 교회", "복음주의 교회" 등 몇 가지 선택지 중에서 선택한다. 독일 복음주의 교회(EKD) 가맹 교회 신도는 "복음주의"(evangelisch)의 약어인 "EV"를 선택한다.[280] 복음주의 자유 교회 연합(Vereinigung Evangelischer Freikirchen)에는 16세기 종교 개혁에서 비주류로 배척된 재세례파의 한 파인 메노나이트나, 영국·미국 발상의 메소디스트, 침례교 등도 포함되어 있다.[281]
2. 1. 용어의 용례
'복음주의'라는 단어는 '복음'(gospel) 또는 '좋은 소식'(good news)을 뜻하는 그리스어 εὐαγγέλιον|에우앙겔리온grc에서 유래했다. 영어 단어 'evangelical'은 1531년 윌리엄 틴들이 처음 사용했고, 1년 후 토마스 모어가 신학적 구분을 언급하며 사용했다.[18]종교개혁 시기, 개신교 신학자들은 이 용어를 '복음 진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했다. 마르틴 루터는 evangelische Kirche|복음주의 교회de를 언급하며 가톨릭 교회와 구별했다.[19][20] 21세기에도 '복음주의'는 유럽 대륙에서 주류 개신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와 같은 교단 이름에도 반영되어 있다.
18세기에 개신교 내부에서 근대 신학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반동으로 보수 신학 계열이 자신들을 '복음주의'라고 칭하며 용례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19세기부터 '광의적 복음주의'(전통적 복음주의, 근대/현대 신학 포함)와 '협의적 복음주의'(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를 포함하는 반동적 복음주의)가 구분되었다.
- '''광의적 복음주의''': 16세기 등장한 '전통적 복음주의'로, 모든 개신교 신학 사상을 지칭한다.
- '''협의적 복음주의''': 19세기 이후 영미 지역에서 사용되는 '반동적 복음주의'로, 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를 포함하는 보수적 신학 사상을 지칭한다.
보수 신학 계열은 자신들을 '복음주의', 진보 및 온건 신학 계열을 '자유주의'[292]로 칭하면서, '복음주의'가 보수 신학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되게 되었다.
21세기 현재, '복음주의'는 광의적 의미와 협의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가 되었다. 20세기에는 전통적 복음주의를 따르는 에큐메니칼 지지자들과 협의적 복음주의를 따르는 로잔 언약 지지자들로 구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2. 2. 영어권에서의 용어 사용
영어권에서는 유럽 대륙과 달리 '복음주의'라는 용어가 개신교 전체보다는 반동적 복음주의(근본주의, 신복음주의)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22][23][24][25] 이러한 용법은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와 같은 개신교 교단 이름에 반영되어 있다.3. 역사
마르틴 루터는 사도 바울의 『갈라디아서』 1장 7절에 따라 "복음" (Evangelium), "복음의" (evangelisch)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루터에게 복음주의(evangelisch)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한 구원을 선포하는 그리스도교회 자체였다. 그러나 루터는 "루터파의"(lutherisch)와 "복음의"(evangelisch)라는 말을 특정 교파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을 꺼렸다.[282]
종교 개혁 과정에서 "복음주의"(evangelisch)라는 말이 교파를 나타내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1653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이후, 마르틴 루터의 흐름을 잇는 복음루터교회 (Evangelisch-Lutherische Kirchen)와 츠빙글리파 일부와 장 칼뱅의 흐름(칼뱅주의)을 잇는 개혁교회 (Reformierte Kirchen)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817년 루터파와 개혁파 교회가 합동하여 성립된 프로이센 복음주의 교회에서는 "복음주의의"(evangelisch)라는 말이 합동 교회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현대 독일어권에서는 "복음주의의"(evangelisch)라는 말이 루터파 교회, 개혁파 교회, 두 교파의 합동 교회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 감리교, 침례교회 등 개신교 자유교회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광의의 "복음주의 교회"에 소속됨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복음주의의"(evangelisch)라는 말이 사용된다.[283]
"개신교"라는 말도 있지만, 개인의 신앙을 표명할 때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개신교라는 말은 루터파 교회, 개혁교회 등 특정 교파가 아닌, 종교 개혁에 기반을 둔 교회 전체를 가리킨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 독일에서 개신교라는 말은 자유주의가 지배적이었던 시기에 현재보다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대 독일에서 개신교라는 말은 복음주의(evangelisch)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교회 정치에서 혁신적(급진적) 노선을 지지하는 인물이나, 반대로 보수파가 자신의 입장을 표명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 독일 복음주의 교회에서는 (신학적) 자유주의 (리버럴, 진보파)의 영향이 강하고, 교회 인사에서도 (온건한) 진보파가 강한 지역이 많다. 이러한 진보파 우세 상황에 불만을 가진 교회 내 보수파나 급진파가 집회를 개최할 때, 주류의 (온건적) 진보파에 대항하는 "개신교(항의자) 운동"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284] 교회 정치에서 주류에 대항하는 혁신파(급진파)·보수파 양 극단의 집단이 "개신교"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므로, 현대 독일에서는 개신교라는 말이 정치적 색채를 띠고 있다.
영어의 "evangelical"은 "복음적"이라는 의미로, 독일어권의 "evangelisch"와 어원이 같지만, 근현대에는 개신교 중 미국, 영국 등 영어권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융성한, 신학적·사회적으로 보수파·근본주의적인 그룹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새롭게 생겨난 개념이다. 여기서 "보수파"는 "전통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오히려 예배 형식 등 문화적 요소에서는 전통성을 불순하고 구교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부정하고, 간소화·현대화하는 경향이 강하다.
복음주의 교회는 초등학교, 중등학교 설립에 관여해 왔다.[87] 19세기 미국에서는 여러 성경 학교, 단과 대학, 대학교 발전에 기여했으며,[88][89] 다른 복음주의 대학교들은 세계 여러 국가에 설립되었다.[90]
크리스천 대학 및 대학교 협의회(Council for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는 1976년에 설립되었으며,[91][92] 2023년에는 21개국에 185개의 회원 기관을 보유했다.[93]
국제 크리스천 학교 협회(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는 1978년 3개의 미국 복음주의 기독교 학교 협회에 의해 설립되었고,[94] 다양한 국제 학교가 이 네트워크에 합류했다.[95] 2023년에는 100개국에 23,000개의 학교를 보유했다.[96]
국제 복음주의 신학 교육 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for Evangelical Theological Education)는 1980년 세계 복음주의 연맹의 신학 위원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97] 2023년에는 113개국에 850개의 회원 학교를 보유했다.[98]
3. 1. 종교개혁
16세기 서방교회에서 창부정치부터 시작하여 메디치 가문과 다른 가문 간의 교회 치리권 쟁탈, 이탈리아 통일과 관련된 정치적 야합, 민족별로 차별적인 종교 세금, 교권 보호를 위한 교리 주장 등 누적된 교회 내의 문제점들을 개혁하고자 종교개혁, 즉 서방교회 개혁 운동이 발생하였다.[293] 이 문제들 중에서 서방교회의 권력 제도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서방교회의 종교적 개혁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성경을 바탕으로 하는 '복음중심주의'를 지지했고, '반대'하는 사람들은 '교황중심주의'를 지지했다.결국 서방교회는 정치적 이해관계와 민족적 배경에 따라 개혁 찬성파인 개신교회와 개혁 반대파인 천주교회로 나뉘게 되었다.[293] 서방교회의 종교개혁 찬성파는 자신들을 표현하는 단어로 '복음주의자'를 더 선호했고, 이 용어는 개신교 전체의 사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의미는 영국과 미국을 제외한 유럽과 그 문화권에서 강하게 사용된다. 독일 개신교 연합의 명칭은 '''독일 복음주의 교회'''(Evangelische Kirche in Deutchland|에방겔리셰 키르헤 인 도이칠란트de)이다. 프랑스에서도 '''복음주의 교회'''(Églises évangéliques|에글리즈 에방젤리크프랑스어)는 개신교를 일컫는다. 전통적으로 개신교회를 정의하는 용어로 복음주의를 사용하며, 개신교 내부의 모든 교단은 '복음주의'임을 밝힌다.
개혁가 마르틴 루터는 "복음"(Evangelium) , "복음의"(evangelisch) 라는 개념을 사도바울의 『갈라디아서』 1장 7절에 따라 사용했다. 이때 루터는 "복음"을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만 구원받는다는 사명에 결부시켰다. 복음주의(evangelisch)는 루터에게 그리스도교회 그 자체였다. 왜냐하면, 그리스도 교회는 예수의 사명을 선포하기 때문이다.
종교 개혁 교회는 복음주의(evangelisch)라는 명칭을 사용함으로써 성경만을 근거로 삼는 입장을 명확히 한다. 고대 정통 교회가 채택한 신앙 고백 및 교리(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칼케돈 신조 등)는 정해진 교리로 인정되지만, 사도 교부 문서와 같은 전승은 단지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전승으로만 사용한다.
3. 2. 근대 개신교 신학과 그에 대한 반동사상
19세기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 개신교 신학이 근대주의를 지향하며 발전하면서, 영국과 미국의 신학계에서는 유럽의 근대주의와 다른 보수적인 신학 운동이 나타났다. 20세기 초, 개신교 신학에서는 유럽의 진보적, 온건적 신학 사상과 이를 수용한 영미의 온건적 기독교 개신교 사상, 그리고 이를 거부한 영미의 보수적 개신교 신학이 대립하게 되었다. 이들은 모두 복음주의를 강조했지만, 영미의 보수적 성서문자주의적 기독교 개신교는 진보적, 온건적 신학 사상에 대립하며 자신들만이 정통 개신교 신학이며, 다른 입장은 기독교 개신교가 아니라는 의미를 담아 '복음주의'를 강조했다. 이러한 보수적 신학 계열의 복음주의는 '전통 복음주의'와 구별하여 '반동적 복음주의'라고 불린다.전통적 복음주의는 여전히 개신교 전체의 신학 사상을 의미하지만, 19세기와 20세기 초 영어권의 보수적 신학인 '반동적 복음주의'의 등장으로 복음주의 용어는 다중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전통적 복음주의는 "광의적 복음주의"로 유럽, 동남아시아, 인도, 아프리카, 미주 지역에서 기독교 개신교회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영어권 지역에서는 "협의적 복음주의", 즉 보수적 개신교회 교단들의 사상인 '''신복음주의'''를 흔히 '복음주의'라 칭하며, 이는 보수적 개신교회를 의미한다.
영미의 반동적 복음주의자들은 20세기에 들어 점차 분화하여 보수와 극보수적 신학 견해가 나타났고, 보수 사상은 '신복음주의', 극보수적 사상은 '근본주의'로 지칭된다. 사회와 진보, 온건적 교단과의 교류를 지향하는 보수적인 이들은 21세기 현재 '신복음주의자'로 불리며, 사회와 다른 교단과의 단절을 지향하는 극보수적 복음주의자들은 '근본주의자'라고 불린다.
그러나 개신교에서는 진보, 온건, 보수, 극보수 개신교회 모두 자신들을 단순히 '복음주의자'라고 자칭하므로, 영어권에서는 그 의미를 구분하기 어려워졌다. 영어권에서는 기독교계의 특정한 사상 경향을 가리키는 말로서 그 정확한 정의에 대해서 신학계에서도 논문마다 정의를 달리하여 중론을 찾기 어려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복음주의의 영어 단어인 'evangelical' 또는 비슷한 라틴어 파생 단어들이 서구에서 역사적으로 여러 의미로 쓰였고, 복음이라는 용어가 사상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기 때문이다.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회 전체를 칭하던 용어로 '복음주의'가 사용되었다. 17세기에 형성된 개신교 정통주의 신학 풍토에서 자유주의 신학이 등장하면서 의미가 다양해졌다.
18세기 이후 인간의 감성과 이성을 강조하는 유럽의 복음주의 교회, 즉 개신교 내에서 자유주의 신학이 개신교뿐만 아니라 전체 기독교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에 개신교의 자유주의 신학을 복음적이지 않으므로 개신교 정통주의 신학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반동 세력들이 등장하며 '반동적 복음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진정한 개신교회 정신인 복음주의 정신을 이어받았다고 주장하며 '''복음주의자'''라고 자칭했다. 초기에는 이들을 '근본주의자'들로 구분했다.
개신교회의 정통 복음주의와 구별하기 위해 반동적 복음주의자들을 현재는 '''근본주의자'''와 '''신복음주의자'''라고 학술적으로 구별한다. 자유주의 신학 반대 세력인 반동적 복음주의자들 중에서 급진주의자는 자유주의 신학 영향하의 교회들과 분리를 주장했고, 이러한 '분리적 보수주의자'의 등장 이후 분리를 반대하는 '온건적 보수주의자'들과 나뉘었다. 반동적 복음주의에서 분리적 보수주의자인 '급진적 복음주의자'(급진적 보수주의 신학 계열)들은 흔히 '''근본주의자'''로 불리며, '''온건적 보수주의자''' 쪽은 '신복음주의(Neo-Evangelical)'라고 구별하여 부르곤 했다. 현재는 보수적인 반동적 복음주의에서 급진적인 분리적 보수주의 영향에 있는 쪽을 '근본주의', 온건적 보수주의 영향에 있는 쪽을 '신복음주의'라고 부른다. 그러나 특히 영어권 미주 지역과 그 영향을 받은 한국 기독교 매체에서는 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를 구분하지 않고 복음주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어 용어 사용 및 의미 파악에 주의해야 한다.
3. 3. 영어권
19세기와 20세기 초, 영어권에서 보수적인 신학, 즉 '반동적 복음주의'가 등장하면서 복음주의라는 용어는 여러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전통적인 복음주의는 여전히 개신교 전체의 신학 사상을 의미하지만, 영어권에서는 '협의적 복음주의'라고 불리는 보수적인 개신교 교단들의 사상인 '''신복음주의'''를 흔히 '복음주의'라고 칭하며 보수적인 개신교회를 의미하게 되었다.[294]영어권의 반동적 복음주의자들은 20세기에 들어 점차 분화하여 보수적인 '신복음주의'와 극보수적인 '근본주의'로 나뉘었다. 사회 및 진보, 온건 교단과의 교류를 지향하는 보수적인 사람들은 '신복음주의자'로, 다른 교단과의 단절을 지향하는 극보수적인 사람들은 '근본주의자'라고 불린다.
그러나 개신교에서는 진보, 온건, 보수, 극보수 교회를 막론하고 자신들을 '복음주의자'라고 칭하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는 그 의미를 구분하기 어려워졌다. 영어권에서는 기독교계의 특정한 사상 경향을 가리키는 말로서, 신학계에서도 논문마다 정의를 달리하여 중론을 찾기 어려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evangelical'이라는 영어 단어나 비슷한 라틴어 파생 단어들이 서구에서 역사적으로 여러 의미로 쓰였고, '복음'이라는 용어가 사상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기 때문이다.
영어로 복음주의는 '에반젤리컬리즘'(evangelicalism)이라고 하는데, 이 용어는 서구에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이것이 역사적 구별 없이 '복음주의'로 번역되어 평신도나 복음주의 학원선교단체라고 주장하는 대학생 선교단체 사이에서 모호하게 쓰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뿐만 아니라 영미권 평신도 사이에서도 '복음주의(evangelical)'라는 말은 대부분 사도신조, 니케아 신조, 칼케돈 신조 등의 신앙고백을 통해 고백되고 복음을 중심으로 하는 개신교의 전통적인 노선을 따르는 '정통주의'(Orthodoxy) 개신교회 정도의 뜻으로 쓰인다. 하지만 특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들의 정통성을 내세우는 데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미국에서는 18세기 대각성 운동 이후 그 명맥을 이어오는 보수주의적 기독교 운동을 "evangelicalism"이라고 부르며, 자유주의 신학과 대립한 기독교 온건 보수파 내지 기독교 근본주의를 일컫기도 한다. 전통적인 복음주의와 구별하기 위해 '''신복음주의'''로 부르기도 한다.
영어권에서는 복음주의라는 말이 모호하게 쓰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복음주의 정통교회(Evangelical Orthodox Church)는 18세기 미국 개신교 부흥운동인 대각성 운동의 정신을 이었다는 뜻으로 'Evangelical'이라는 수식어를 붙였다. 그러나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의 복음주의는 16세기 종교개혁의 신앙전통에 따라, 단순히 개신교회라는 의미로 쓴다. 그러므로 서구에서 쓰이는 'evangelical'이라는 말을 무조건 복음주의로 번역해서는 안 되며, 정확한 의미 사용을 위해 종교개혁 전통은 복음주의로, 그 외의 기독교 운동에 사용되었을 때는 근본주의나 신복음주의 등으로 구분하여 번역해야 한다.
3. 4. 근대의 복음주의 운동
18세기 미국에서의 대각성 운동과 영국에서의 감리교 운동은 전통적 복음주의 부흥 운동과 신학 운동의 뿌리로 볼 수 있다. 영국의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그리스도인의 회심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개인적인 교제와 기독교 인도주의에 따른 사회 정의 실천을 강조했다.[296]18세기 영국에서는 감리교 창시자인 존 웨슬리가 민중들에게 직접 복음을 전하는 감리교 운동을 펼쳤다. 당시 영국 사회는 자본가들의 노동자 착취, 아동노동, 노예 제도 등 많은 사회 문제가 있었는데, 웨슬리는 기독교인의 사회 참여를 강조하여 영국 사회와 교회에 영향을 주었다. 그는 공교회(보편교회) 전통에 따른 예배, 성서 묵상, 성만찬에 기반을 둔 신학을 통해 기독교의 정통적 복음주의를 되살리고자 했다.
존 벤 신부, 윌리엄 윌버포스, 로버트 레이크스, 조지 휘트필드 등 성공회 신자들과 사제들은 노예 해방 운동, 동물 학대 반대, 주일학교 설립을 통한 노동자 계급 어린이들의 인권 운동, 교도소 환경 개선 등 사회 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들은 성인들의 당(Party of Saints영어)이라고 불릴 만큼 영국 사회의 윤리를 새롭게 했다.[297][298] 이러한 사회 참여는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를 믿는 종말론적인 신앙에 기반한 것이었다.[299]
하지만 근대 복음주의적 성공회 신자들의 사회 참여는 사회의 구조적 개혁이 아닌 부분적 개혁에 그쳤다는 비판도 있다. 예를 들어, 윌리엄 윌버포스와 에드먼드 버크는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민중들이 자유, 평등, 박애 사상에 관심을 갖는 것을 우려했다. 이들은 민중들을 어리석고 천박한 존재로 여기는 보수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었기에, 민중들이 평등 사상에 근거하여 참정권을 행사하는 민주주의를 위험하게 여겼다.[300]
성공회 주교 존 찰스 라일은 노동자들과 연대하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전공했음에도 쉬운 말로 설교하여 노동자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는 노동자들의 복지에도 관심을 기울여 웨슬리 감리교 협회의 노동자 숙소 운영에 협조하기도 했다.[301]
미국의 대각성 운동에는 감리교 감독 프란시스 애즈버리와 장로교 목사 조나단 에드워즈가 주요 인물로 활동했다.
감리교 목사였던 윌리엄 부스와 그의 아내 캐서린 부스는 구세군을 창시하여 개인과 사회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을 실천하였다. 일부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사회복음주의(Social Gospel)를 주장하며 그리스도인의 신앙 실천을 강조했다.[302] 조합교회 목사 찰스 셸던은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했을까》에서 미국 기독교인들의 이기적인 신앙을 비판했다.
3. 5. 현대 반동적 복음주의의 정립
근대 개신교 신학의 발전과 주장에 대한 반동적 반응으로 등장한 개신교 신학적 흐름이다. 전통적 개신교 신학 흐름에 계몽주의 사상을 수용한 것에 대해 반발하였다. 특히 계몽주의를 중요시한 18세기의 자유주의 신학을 적대시하였고, 계몽주의를 수용한 다른 신학적 사상도 자유주의라고 폄훼하였다[303].18세기 근대 서구교회에서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은 자유주의 신학이 교회 내에서 신학적 흐름의 일부로 등장하자, 이에 대한 반동 세력이 뚜렷이 정립되기 시작했고, 비로소 '반동적 복음주의'(협의적 복음주의)라는 조류가 정립되었다. 근대의 복음주의는 18세기 대각성 운동 내지 감리교 운동의 정신을 다시 살리고 지키려는 경향을 보이는 부흥 운동이었던 반면, 영어권에서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을 거부한 세력들은 소위 '반동적 복음주의', 즉 기독교 근본주의로 등장하였다. 기존 개신교와 분리는 지나친 것이라 생각하며 근본주의의 폐쇄성과 주관적인 잣대와 판단에 반대하는 세력들은 신복음주의자들이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신복음주의'는 신복음주의자들이 근본주의자들로부터 자신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생긴 용어로, 주로 학술적으로 사용하고 일상적으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반동적 복음주의는 크게 급진적이고 분리주의인 ''''근본주의''''와 온건적인 ''''신복음주의''''로 나뉜다.
4. 복음주의의 특징
역사학자 데이비드 베빙턴(David Bebbington)은 복음주의 신앙의 네 가지 특징적인 측면으로 회심주의, 성경주의, 십자가 중심주의, 활동주의를 언급하며, "이들은 함께 복음주의의 기초가 되는 우선순위의 사변형을 형성한다"고 말했다.[29]
- 회심주의는 "거듭남"의 필요성에 대한 믿음이다.[30] 복음주의자들에게 복음의 핵심 메시지는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으로 의롭게 됨과 회개, 즉 죄로부터 돌아서는 것이다. 회심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을 구별하며, 회심이 가져오는 삶의 변화는 죄를 거부하고 그에 상응하는 개인적인 성화로 나타난다. 회심 경험은 죄에 대한 슬픔과 고통을 포함하고 용서를 받은 것에 대한 큰 안도감을 느끼는 등 감정적일 수 있다. 회심에 대한 강조는 확신이 회심과 함께할 것이라는 믿음과 관련하여 복음주의를 다른 형태의 개신교와 구별한다.[31]
- 성경주의는 성경에 대한 존경과 성경의 권위에 대한 높은 존중이다. 모든 복음주의자들은 성경 영감을 믿지만, 이 영감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
- 십자가 중심주의는 복음주의자들이 속죄, 즉 죄의 용서와 새로운 생명을 제공하는 구원하는 죽음과 예수의 부활에 부여하는 중심성이다. 이것은 가장 일반적으로 그리스도께서 죄 있는 인류를 대신하여 죄의 죄책과 형벌을 받으심으로써 죽으신 대속의 관점에서 이해된다.
- 활동주의는 설교와 사회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복음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나누는 경향을 설명한다.

"교회"라는 단어는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모든 곳의 모든 기독교인을 포함하는 보편적인 교회(그리스도의 몸)나 교회 (회중), 즉 보이는 교회의 보이지 않는 교회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성찬 또는 예식(세례와 성찬례, 일부 복음주의자들은 세족례도 포함)을 가르치고 집행할 책임이 있다.[33]
많은 복음주의 전통은 믿는 자의 교회 교리를 고수하며, 이는 사람이 새로운 거듭남과 신앙 고백을 통해 기독교 교회의 일원이 된다고 가르친다.[34] 이는 급진 종교 개혁 시대의 재세례파에서 유래되었지만[35] 신자 세례를 행하는 교단에서도 받아들여진다.[36] 성공회, 감리교, 개혁교회 전통의 복음주의자들은 유아 세례를 신앙 공동체에 들어가는 시작점으로 여기며, 할례의 신약 성경의 대응물로 간주하는 동시에, 기독교에서의 구원을 위해서는 나중에 개인적인 회심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일부 복음주의 교단은 주교 정치 또는 장로 정치에 따라 운영되지만, 복음주의 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교회 정치는 회중 정치이다. 많은 교회들이 공통된 조직, 선교 및 사회 분야, 예를 들어 기독교 인도주의적 지원, 학교, 신학 연구소 및 병원 등에서 협력 관계를 위해 국내 및 국제 기독교 교단의 회원이다.[38][39][40][41] 복음주의 회중 내의 일반적인 사역은 목사, 장로, 집사, 전도자 및 찬양 인도자이다.[42]
일부 복음주의 교단은 교회에서 여성 안수를 공식적으로 승인한다.[47] 여성 사역은 마리아 막달레나가 예수로부터 그의 부활을 사도들에게 알리도록 선택되었다는 사실로 정당화된다.[48] 최초의 침례교 여성 목사는 1815년 자유의지 침례교 교단의 미국인 클라리사 단포스이다.[49]
기독교 근본주의는 복음주의의 하위 집합[158] 또는 "아종"[160]이라고 불려왔다. 근본주의[159]는 성경의 무오성, 예수의 처녀 탄생, 형벌 대속적 속죄, 문자적인 그리스도의 부활, 그리고 그리스도의 재림을 근본적인 기독교 교리로 간주한다.
복음주의의 근본주의 주류에 불만을 품은 복음주의자들은 진보적 복음주의자, 탈보수 복음주의자, 열린 복음주의자, 탈복음주의자 등으로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 복음주의 좌파라고도 불리는 진보적 복음주의자들은 복음주의를 자처하면서 다른 진보적 기독교인들과 신학적 또는 사회적 견해를 공유하며, 여성 평등, 평화주의, 사회 정의를 옹호한다.
"열린 복음주의"라는 용어는 주로 영국(특히 영국 성공회)의 특정 기독교 사상 학파 또는 교회주의를 지칭한다. 열린 복음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성경 권위의 본질, 에큐메니컬 신조의 가르침 및 기타 전통적인 교리적 가르침에 대한 전통적인 복음주의적 강조와 문화 및 기타 신학적 관점에 대한 접근 방식을 결합한 것으로 묘사하며, 이는 다른 복음주의자들이 취하는 방식보다 더 포괄적이다.
영어의 "evangelical"(소위 "'''복음주의'''"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은 독일어권에서의 "evangelisch"와 마찬가지로 "복음적"이라는 의미이지만, 근현대에는 개신교 중 특히 미국·영국을 비롯한 영어권을 중심으로 발흥·융성한, 신학적·사회적으로 보수파·근본주의적인 그룹을 가리키는 명칭으로서 새롭게 생겨난 개념이다. 여기서 말하는 "보수파"는 "전통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오히려 예배 형식 등의 문화적 요소에 관해서는, 종래의 교파에서 보이는 전통성을 불순하고 구교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부정하고, 간소화·현대화하는 경향이 강하다.
4. 1. 복음주의의 사회적 정의
영국의 사학자 데이빗 베빙턴(David Bebbington)은 복음주의의 네 가지 특색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이는 '베빙턴의 사각형'[311]이라고 불린다.- '''회심주의'''(conversionism): 성령에 의한 회심 ("중생", "거듭남", "새로남" 또는 "구원") 경험을 강조한다.
- '''성서주의'''(biblicism): 성경 또는 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유일한(only) 또는 일차적(primary) 권위로 본다.
- '''행동주의'''(activism): 문서선교나 해외선교 등의 선교 활동을 강조한다.
- '''십자가주의'''(crucicentrism): 예수의 십자가에서의 희생을 구원의 유일한 근거로 본다.
영국의 복음주의 선교학자 패트릭 존스턴도 복음주의에 대해서 비슷한 정의를 내렸다.[312]
- 예수를 믿는 믿음으로 구원 받는다.
- 성령에 의한 개인적인 믿음과 회심으로 거듭난다.
- 믿음과 그리스도인의 삶의 기초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이다.
- 성서적인 설교와 전도에 헌신하여 사람들을 그리스도 안의 믿음으로 이끈다.
영국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인 존 스토트(Rev. John Stott)는 복음주의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313]
- 복음주의 교회는 폭력, 독재, 가난 등 세계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사람을 잇는 유일한 중재자이다.(종교다원주의에 대한 부정)
-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대속적인 죽음이다.
- 일부 복음주의 교회들은 학문을 무가치한 것으로 여기는 반(反)지성주의를 극복해야 한다.
영국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인 앨리스터 맥그래스(Rev. Alister Mcgrath)는 복음주의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314]
- 성서의 권위를 강조하여 성서공부, 성서 묵상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예수의 십자가를 강조한다. 우리의 구원을 위한 예수의 죽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 성령에 의한 개인의 회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헌신적인 복음 전파
대한민국의 장로교회 신학자 정성욱 교수는 복음주의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315]
- 성경을 하나님께서 예언자들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신 그분의 말씀으로 믿는다.
- 구약성경을 예수 그리스도를 예견한 원(原)복음으로 믿는다.
- 성서비평학을 성서 해석 방법론으로써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4. 2. 복음주의의 종류
가브리엘 패커는 복음주의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327][328]분류 | 설명 |
---|---|
근본주의 | 성서무오설이 ‘신앙적 신실성의 표준'이며, 논쟁적이고 분리적인 성향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비정치적이지만, 우익 정치 세력과 연합하기도 한다. (한국과 미국의 보수적 복음주의가 해당) |
구복음주의 | 종교적 감성이 강조되며, ‘개인적인 중생 체험과 대중적 복음전도 운동을 통한 회심의 표현’이 중시된다. |
신복음주의 | ‘신앙의 사회적 의의와 변증적 설득력’을 강조한다. 칼 헨리가 대표적 인물이다. |
정의와 평화 복음주의 | 성서와 기독교 전통에 기반한 사회참여와 변혁을 강조하는 진보적 기독교 사상이다. 로널드 사이더, 짐 월리스, 대천덕 성공회 사제, 존 스토트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그리스도인의 사회, 정치적 무관심을 내세지향적 신앙, 복음주의 전통에서 이탈한 것으로 비판하고, 그리스도 신앙의 사회적 실천을 강조한다. |
은사적 복음주의 | 성령에 의한 ‘방언, 치유, 축제적인 예배’ 등을 강조한다. |
에큐메니컬 복음주의 | ‘더 넓은 기독교 공동체와 관계를 맺는 데’ 관심이 있으며, ‘공통된 사회적 관심사에 있어 주류 교단들과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교회협의회에서 활동한 레슬리 뉴비긴, 르네 빠딜라가 이에 해당한다. |
서울신학대학교 목창균 교수는 복음주의의 경향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329]
분류 | 설명 |
---|---|
고전적 복음주의 | 종교개혁 전통에 충실하다. 죽어가는 교회라는 편견을 받기 쉬운 유럽의 개신교회가 해당한다. 서울신학대학교 이신건 교수는 독일 개신교 신자들이 성서와 종교개혁 전통을 철저히 존중하는 고지식한 신앙생활을 한다고 주장하며, 성서와 전통보다 주관적 종교 경험에 의존하는 한국 개신교회를 비판한다.[330] |
경건주의적 복음주의 | 종교개혁 전통에 경건주의, 청교도 운동, 18세기 대각성운동의 경험적 강조점을 결합시켰다. 성령의 변화시키는 능력, 회심, 거룩한 삶을 강조하여 부흥, 사회개혁, 고상한 삶을 촉진한다. 18세기 영국에서 활발했던 감리교 복음주의 운동이 대표적이다. |
근본주의적 복음주의 |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진보적 기독교인들과 투쟁하며 형성되었다. 근본주의자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출현한 신복음주의자가 속한다. 신복음주의는 근본주의적 복음주의와 따로 구분하기도 하며, 진보적 신학, 가톨릭, 정교회에 꼭 배타적이지만은 않다. |
진보적 복음주의 | 현대적 의식을 가지면서도 기독교 전통에 충실하다. 짐 윌리스, 로널드 사이더처럼 성서의 사회적 정의 사상을 실천하는 기독교인들이 대표적이다. |
5. 한국의 복음주의
한국 개신교회는 1907년 대부흥운동을 통해 미국 개신교회와 유사한 모습을 갖게 되었으며, 교단의 전통과 신학보다는 '삶에서 실천하는 신앙'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기독교의 모습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87]
대한민국에 개신교를 전파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사들은 대부분 보수적이고 열성적인 복음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미국 대각성 운동의 영향을 받은 20-30대의 청년들이었으며, 자신들의 초교파 연합 모임 이름에 '복음주의'를 사용할 정도로 복음주의 신앙을 강조했다.[240] 1905년 장로교·감리교 선교사들의 대한복음주의선교공의회가 결성되었고, 1912년에는 개신교복음주의선교협의회로 발전했다.
마포삼열 선교사의 영향으로 세대주의적 종말론을 따르며 자유주의 신학을 거부하고, 성경과 예수에 대한 전통적인 신앙고백을 보수하는 경향을 보인 장로교 선교사들과는 달리, 감리교 선교사들은 존 웨슬리의 전통적인 복음주의와 사회복음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아, 사회 복음적 성향과 공교회주의 전통을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한국에 전파된 장로교는 근본주의나 신복음주의와 유사한 성향을 띠게 되었고, 감리교는 보다 넓은 의미의 복음주의를 강조하게 되었다.
한국 개신교 목회 현장에서는 개인의 회심 체험, 성경 말씀에 대한 충실한 신앙,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성향이 일반적으로 통용되었다.
국제로잔운동은 복음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연합운동이자 선교운동으로, 빌리 그래함 목사와 존 스토트 목사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로잔 언약을 통해 복음 전도뿐 아니라 사회 참여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한국로잔위원회가 조직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인천 송도에서 국제 로잔 총회가 열릴 예정이다.
신복음주의는 근본주의의 반문화, 반지성 성향에 비판하며, 문화와 지성의 영역에서 이를 탁월하게 활용하여 복음을 전하고 신앙고백적인 문화, 연구 활동하는 것을 지지한다. 하용조 목사의 온누리교회(예장통합), 옥한흠 목사의 사랑의 교회(예장합동)와 같은 사례들이 있다.[87]
5. 1. 한국 개신교회의 복음주의 정체성
한국 개신교회는 1907년 대부흥운동을 통해 미국 개신교회와 유사한 모습을 갖게 되었으며, 교단의 전통과 신학보다는 '삶에서 실천하는 신앙'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기독교의 모습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87]대한민국에 개신교를 전파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사들은 대부분 보수적이고 열성적인 복음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미국 대각성 운동의 영향을 받은 20-30대의 청년들이었으며, 자신들의 초교파 연합 모임 이름에 '복음주의'를 사용할 정도로 복음주의 신앙을 강조했다.[240] 1905년 장로교·감리교 선교사들의 대한복음주의선교공의회가 결성되었고, 1912년에는 개신교복음주의선교협의회로 발전했다.
마포삼열 선교사의 영향으로 세대주의적 종말론을 따르며 자유주의 신학을 거부하고, 성경과 예수에 대한 전통적인 신앙고백을 보수하는 경향을 보인 장로교 선교사들과는 달리, 감리교 선교사들은 존 웨슬리의 전통적인 복음주의와 사회복음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아, 사회 복음적 성향과 공교회주의 전통을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한국에 전파된 장로교는 근본주의나 신복음주의와 유사한 성향을 띠게 되었고, 감리교는 보다 넓은 의미의 복음주의를 강조하게 되었다.
한국 개신교 목회 현장에서는 개인의 회심 체험, 성경 말씀에 대한 충실한 신앙,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성향이 일반적으로 통용되었다.
국제로잔운동은 복음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연합운동이자 선교운동으로, 빌리 그래함 목사와 존 스토트 목사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로잔 언약을 통해 복음 전도뿐 아니라 사회 참여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한국로잔위원회가 조직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인천 송도에서 국제 로잔 총회가 열릴 예정이다.
신복음주의는 근본주의의 반문화, 반지성 성향에 비판하며, 문화와 지성의 영역에서 이를 탁월하게 활용하여 복음을 전하고 신앙고백적인 문화, 연구 활동하는 것을 지지한다. 하용조 목사의 온누리교회(예장통합), 옥한흠 목사의 사랑의 교회(예장합동)와 같은 사례들이 있다.[87]
5. 1. 1. 행동하는 신앙
개신교 평신도들은 성서를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노비를 해방하거나 빚을 탕감하는 등 신앙을 실천했다.[319]5. 1. 2. 개신교 선교사들의 기독교 복음주의 성향
대한민국에 개신교를 전파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사들은 대부분 보수적이고 열성적인 복음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미국 대각성 운동의 영향을 받은 20-30대의 청년들이었으며, 자신들의 초교파 연합 모임 이름에 '복음주의'를 사용할 정도로 복음주의 신앙을 강조했다.[240] 1905년 장로교·감리교 선교사들의 대한복음주의선교공의회가 결성되었고, 1912년에는 개신교복음주의선교협의회로 발전했다.장로교 선교사들은 마포삼열 선교사의 영향으로 세대주의적 종말론을 따르며 자유주의 신학을 거부하고, 성경과 예수에 대한 전통적인 신앙고백을 보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대체로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지지했다.
반면 감리교 선교사들은 존 웨슬리의 전통적인 복음주의와 사회복음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아, 사회 복음적 성향과 공교회주의 전통을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한국에 전파된 장로교는 근본주의나 신복음주의와 유사한 성향을 띠게 되었고, 감리교는 보다 넓은 의미의 복음주의를 강조하게 되었다.
5. 1. 3. 대부흥운동
1907년 한국 개신교회는 '대부흥운동'을 통해 급격히 성장했다. 이 부흥운동은 선교사들이 영향을 받았던 미국 대부흥운동을 한국화한 것이었다.[87] 그 결과, 한국 개신교회는 유럽의 개신교회보다는 미국 개신교회와 유사한 모습을 갖게 되었다. 특히, 교단의 전통과 신학보다는 '삶에서 실천하는 신앙'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기독교의 모습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이러한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는 개신교 통일찬송가의 사용이다. 외국에서는 교단별 예배신학과 교리를 반영하는 교단 찬송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한국에서는 선교사들이 처음부터 부흥주의 기독교의 색채를 띤 가사와 곡조를 담은 통일찬송가를 만들어 예배와 집회에 사용하였다.[87]
5. 1. 4. 신학
한국 개신교 목회 현장에서는 개인의 회심 체험, 성경 말씀에 대한 충실한 신앙,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성향이 일반적으로 통용되었다. 이는 태어나면서 자동적으로 세례를 받는 명목상의 기독교인과는 달리, 충실한 믿음과 신앙생활을 강조하는 것이다.그러나 한국에서 개혁주의 신학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이들은 복음주의라는 용어를 장로교와 다른 교단인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등을 구별하거나, 자신들이 생각하기에 개혁주의가 아닌 내용을 강조하는 기독교를 통칭하는 의미로도 사용하고 있다.[87][88][89][90]
5. 1. 5. 로잔운동
국제로잔운동(The Lausanne Movement)은 복음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연합운동이자 선교운동으로, 1974년 스위스 로잔에서 처음 시작되었다.[320] 대회 시작에는 미국 침례교 복음전도자인 빌리 그래함 목사가 큰 역할을 했지만, 가장 영향력 있는 결과물인 로잔 언약(1974)은 영국 성공회 사제 존 스토트(John Stott)의 영향이 컸다. 로잔 언약은 세계교회협의회(WCC) 활동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변함없는 선교의 중요성과 복음 전도의 긴박성을 강조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로잔 언약 5항에서 복음 전도뿐 아니라 사회 참여의 중요성도 강조하여, 이후 통전적 복음 이해와 선교 개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4년 이후 1989년 마닐라, 2010년 케이프타운에서 총회를 개최하며 복음주의 진영의 대표적 연합 선교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한국에서도 1974년 대회부터 참가자가 있었으며, 한국로잔위원회가 조직되었다. 2017년부터 이재훈 목사가 5대 의장을 맡고 있다(1대: 김선도 목사, 2대: 이종윤 목사, 3대: 이수영 목사, 4대: 이광순 목사). 이 단체 산하에 '로잔연구교수단'(단장 장훈태 백석대학교 교수)이 설치되어 로잔 언약에 동의하는 감리교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신대학교, 백석대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ACTS) 등 13개 신학대 교수, 학생들과 함께 모임을 진행하고 있다.[321] 2024년에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열릴 국제 로잔 총회가 인천 송도에서 열릴 예정이다.
5. 1. 6. 신복음주의
근본주의가 반문화, 반지성 성향을 가진 것에 비판하며 스스로를 구분한 신복음주의는 문화와 지성의 영역에서 이를 탁월하게 활용하여 복음을 전하고 신앙고백적인 문화, 연구 활동하는 것을 지지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의 풀러신학교와 크리스처니티 투데이(Christianity Today) 월간지이다. 한국에서도 영국, 미국 유학 등을 통해 이런 경향의 복음주의를 접하고 한국 교회에 접목한 사례가 하용조 목사의 온누리교회(예장통합), 옥한흠 목사의 사랑의 교회(예장합동)와 같은 사례들이다. 이들 교회들은 문화 활동과 각종 기독교 시민 운동, 기독교 지성 운동 등을 지원하며 크게 성장했다.[87]5. 2. 세계복음주의의 흐름
복음주의 교회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설립에 관여해 왔다.[87] 19세기 미국에서는 여러 성경 학교, 단과 대학 및 대학교의 발전을 이끌었으며,[88][89] 세계 여러 국가에 복음주의 대학교들이 설립되었다.[90]
크리스천 대학 및 대학교 협의회(CCCU)는 1976년에 설립되어[91][92] 2023년 기준으로 21개국에 185개의 회원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93] 1978년 설립된 국제 크리스천 학교 협회(ACSI)는[94] 여러 국제 학교가 합류하여[95] 2023년에 100개국, 23,000개 학교로 성장했다.[96] 국제 복음주의 신학 교육 협의회(ICETE)는 1980년 세계 복음주의 연맹 신학 위원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97] 2023년에는 113개국 850개 회원 학교를 두고 있다.[98]
케냐에서 주류 복음주의 교단들은 정치 활동과 후원자들을 장려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소규모 복음주의 종파들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겨진다. 다니엘 아랍 모이는 1978년부터 2002년까지 대통령으로 재임하면서 복음주의자라고 주장했지만, 반대 의견이나 다원주의, 권력 분산에 대해 관용적이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5. 2. 1.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의 사회참여
기독교 근본주의가 영향을 끼치는 한국 개신교 교회와는 조금 다르게, 신복음주의 계열인 세계 복음주의운동은 신자유주의 또는 세계화로 인한 양극화 문제뿐 아니라 탐욕으로 인한 환경파괴, 착취와 인권 문제의 급증으로 인한 호소를 예의주시해왔다. 복음주의 신학에 뿌리를 두는 사회실천의 방향과 원칙을 고민한 결과, 제3차 로잔대회인 케이프타운 대회에서 '케이프타운 서약(2010)'[322]이 발표되었다. 이 서약의 기안자는 존 스토트 사제의 후임자인 크리스토퍼 라이트이다. 그는 영국성공회 복음주의자이자 신학자이며 선교사로서, 자신의 경험과 신학적 통찰을 표현한 '하나님의 선교'(IVP)와 케이프타운 서약문을 통해 로잔언약의 ''''복음전도와 사회참여의 양날개, 동시성''''이라는 강조점을 성서학으로써 더욱 심화하여 서술하였으며, 구체적인 실천 영역과 행동 지침들을 서약문에 언명하였다.는 허용되지 않는 문법이므로 제거했다.
원문에서 발췌한 인용문은 다음과 같다.
> 율법과 예언서, 시편과 지혜서, 예수님과 바울, 야고보와 요한이 증거한 대로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도 가난한 자들을 위해 정의를 실천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드러내라는 명령을 동일하게 받았다.(주29) 가난한 자들에 대한 이러한 사랑은, 우리가 자비와 긍휼을 베푸는 것만이 아니라, 가난한 자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모든 것들을 폭로하고 반대하는 행위를 통해 정의를 실천할 것을 요구한다. "우리는 악이 존재하는 모든 곳에서 악과 불의를 고발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주30)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열정을 함께 나누고, 하나님의 사랑을 구현하며,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고,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데 실패했음을 부끄러움으로 고백한다. 우리는 소외되고 억압받는 자들과의 연대 책임과 그들을 응원하는 것을 포함해 정의를 촉진하는 일체의 사역에 새롭게 헌신할 것을 다시 한 번 다짐한다. 우리는 성령의 능력과 지속적인 기도로 십자가와 부활의 승리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영적 전쟁의 차원에서 악에 대항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한다."[323]
5. 2. 2. 복음주의 사회운동의 의미
현대 복음주의 운동은 신자유주의와 세계화로 인한 양극화, 환경 파괴, 착취 및 인권 문제에 주목하며, 사회 변혁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존 스토트의 후임자인 크리스토퍼 라이트가 기안한 '케이프타운 서약'(2010)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322]케이프타운 서약은 로잔언약의 '복음 전도와 사회 참여의 동시성'이라는 강조점을 성서학적으로 심화하고, 구체적인 실천 영역과 행동 지침을 제시했다.[322] 특히, 율법, 예언서, 시편 등 성경 구절을 인용하며, 가난한 자들을 위한 정의 실천이 자비와 긍휼뿐 아니라 억압과 착취에 대한 폭로와 반대를 포함해야 함을 강조한다.[323]
이러한 언급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헌장 등에 나타난 로마가톨릭교회의 사회교리만큼 명확하지는 않지만, 복음주의자들에게 사회적 불의 속에서 기본적인 복음 전도조차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을 자각하게 했다. 즉, 예배당과 세례 교인의 증가만으로는 성서가 말하는 '온전한 복음화'를 이룰 수 없음을 강조한 것이다.
복음주의 교회는 교육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설립에 관여했으며,[87] 19세기 미국에서는 여러 성경 학교, 단과 대학, 대학교 발전에 기여했다.[88][89] 크리스천 대학 및 대학교 협의회(CCCU)는 1976년에, 국제 크리스천 학교 협회(ACSI)는 1978년에 설립되어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91][92][94] 국제 복음주의 신학 교육 협의회(ICETE)는 1980년 세계 복음주의 연맹의 신학 위원회에 의해 설립되어 신학 교육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있다.[97]
하지만, 기독교 근본주의는 복음주의의 하위 집합으로, 성경의 무오성, 예수의 처녀 탄생 등 근본적인 기독교 교리를 강조하며, 교회 분리주의를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158][159][160]
나이지리아와 케냐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복음주의는 정치, 사회적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나이지리아에서는 복음주의 교회 위닝 올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무슬림과 기독교인 간의 갈등 속에서 기독교인들의 정치화를 야기하기도 했다. 케냐에서는 다니엘 아랍 모이 대통령이 복음주의를 표방했지만,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베를린 선교회(BMS)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활동했던 독일 개신교 선교 단체 중 하나로, 아파르트헤이트 정부에 단호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1972년에 해산되었다.[214]
5. 2. 3. 복음주의 연맹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가 표방하는 에큐메니컬 신학과 대별되는 지점에 있는 세계복음주의연맹도 세계교회협의회 제10차 부산총회가 발표한 선교선언문의 대요에 공감을 표했다. 즉, 세계교회협의회가 지적하고 비판하는 온전한 복음화의 걸림돌이 되는 세계 문제, 사회 문제에 복음주의자들이 어떻게 신앙을 실천하고 복음을 증거해야 하는지 인지하고 있다는 말이다.세계복음주의도 협소한 의미의 신복음주의적 복음전도의 한계를 직시하고 있으며, 그 본래 복음주의 전통의 한 흐름이기도 했던 사회변혁운동의 중요성 역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회 참여는 성서가 확증하는 사회적 약자의 권리(사회권)를 위한 활동이며, 교회의 이기적인 이권 주장이나 정치 사상이 교회를 이용하는 것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국제 복음주의 신학 교육 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for Evangelical Theological Education)는 1980년 세계 복음주의 연맹의 신학 위원회에 의해 설립되었다.[97] 2023년에는 113개국에 850개의 회원 학교를 보유했다.[98]
5. 3.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복음주의 운동
한국전쟁 이후 CCC, IVF, 성서유니온선교회 등과 같은 외래 선교 단체들과 자생적인 기독교 단체들은 성서공부, 제자 훈련 등을 통해 복음주의 운동의 뿌리를 심었다.[324] 이승장 목사와 같은 활동가들의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사역은 한국 복음주의 운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24]5. 4. 사회문제들에 대한 무관심
1980년대까지 한국의 복음주의 교회는 정치적, 사회적 중립을 구실로 군부독재로 인한 인권 침해, 개발독재로 인한 빈부 격차 등 사회 구조적 문제에 무관심했다. 성서 공부와 전도에만 관심을 기울이며, 교회 밖에서 민중들의 존엄성과 생존권을 위협하는 구조적인 악이 벌어지는 현실에는 눈을 감았다. 일부 복음주의 기독교인들과 개신교 목사들은 1980년대 민중들의 민주화 운동을 국가폭력(예: 광주학살)으로 억압한 전두환 군부독재 정권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지지했다. 또한 기독교 사상에 따라 군부독재 하의 인권 침해와 빈부 격차 문제에 관심을 가진 기독교인들을 '정치 기독교인'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87]5. 5. 복음주의와 사회참여
1974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로잔 언약은 사회구조적 죄와 그로 인한 빈곤에 대한 교회의 예언자적 역할, 투명하고 정직한 복음전도, 교회의 섬김의 공동체로서의 책임 등을 강조했다.[325] 로잔 언약은 복음주의 신학자들이 사회 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로잔 언약의 내용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하나님이 모든 사람의 창조자이신 동시에 심판자이심을 믿는다. 그러므로 우리는 인간 사회 어디서나 정의와 화해를 구현하시고 인간을 모든 종류의 압박에서 해방시키려는 하나님의 권념(眷念)에 참여하여야 한다.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기에 인종, 종교, 피부색, 문화, 계급, 성 또는 연령의 구별 없이 모든 사람이 타고난 존엄성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사람은 서로 존경받고 섬김을 받아야 하며 누구나 착취당해서는 안 된다. 이 점을 우리는 등한시하여 왔고, 또는 종종 전도와 사회 참여가 서로 상반되는 것으로 잘못 생각한데 대하여 참회한다. /5.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 (사도행전 17:26, 31, 창세기 18:35, 이사야 1:17, 시편 465:7, 창세기 1:26, 27, 야고보서 3:9, 레위기 19:18, 누가복음서6:27, 35, 야고보서 2:14-26, 요한복음서3:3, 5, 마태복음서5:20, 6:33, 고린도후서3:18, 야고보서2:20) |
이러한 로잔 언약의 정신에 따라, 한국 교회 내에서도 복음을 사회적으로 실천해야 한다는 반성의 목소리가 나오게 되었다. 복음주의 신학자 김회권은 《청년설교》에서 '''복음주의란 정치와 사회에 대한 무관심이 아니라, 오히려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나라 복음으로 반(反)복음적인 사회문제들에 저항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326]
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깨어있는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사회참여 기독교 월간지 《복음과 상황》을 창간했다. 이 잡지는 이랜드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들의 복직 투쟁, 저임금으로 착취당하는 비정규직 청소 노동자들의 이야기 등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아냈다.
6. 복음주의와 개혁신학의 상관성
안명준 교수가 번역한 논문 "개혁신학과 복음주의의 상관성"(리차드 갬블)에서는 개혁신학과 복음주의 신학 사이의 긴장 관계를 다룬다.[331]
A. 운동에 있어서 유사성과 차이성1. 신학적 유사성개혁주의 고백서들은 복음주의의 중요한 신학적 핵심을 지지하며, 이 점에서 복음주의와 개혁주의 신학은 동의한다. 두 신학 모두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고백이 개인의 삶에 영향을 주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개인주의적 경건을 중요하게 여긴다.
2. 교회와 국가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유사성일반적으로 두 운동은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주장한다. 복음주의 신학은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대한 방어 거점 역할을 한다. 개혁주의 전통은 존 그레섬 메이천의 견해를 지지하며, 교회는 법인 자격으로 정치 분야에 참여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31장 4조항과 일치한다. 메이천은 개개인의 기독교인들은 국가 법률을 준수해야 하지만, 정치 참여에 있어서는 개인의 신앙 행위와 공동체 교회 기구의 정치 참여 사이에 명확한 구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경건과 개인주의에 있어서 차이점개혁주의 신앙고백서들은 근본주의적이며 복음주의적이지 않다. 그 이유는 신앙고백서들이 신학과 삶 사이에 특별한 관계를 분명하게 제시하기 때문이다. 개혁주의 신학은 경건에 대한 제한된 개념을 가지지 않고 개인에게만 관계하지 않는다. 재세례파와는 대조적으로, 개혁주의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가 중보자의 왕권으로 정치, 문화, 교육을 포함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주권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7. 비판
마이클 호턴은 저서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김재영 옮김, 나침반)에서 미국 복음주의를 비판하는데, 이는 미국 복음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한국 복음주의에도 해당되는 문제점이다.[1]
- 주관적 신앙: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가 아닌 개인의 주관적 경험에 근거한 신앙을 추구한다.[1]
- 개인주의: 사회의 소수자와 약자에 대한 교회의 배려가 부족하다.[1]
- 종교적 감성 편중: 교리와 신학을 경시하고 종교적 감성만을 중요하게 여긴다.[1]
- 소비자 신앙: 하나님의 말씀,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보다 교인들의 욕구에 맞는 종교 서비스를 제공한다.[1]
현대 복음주의는 대부분 진화를 비롯한 과학적 사실을 인정하는 유신진화론을 받아들이지만, 근본주의와 관련된 일부 교회들과 이에 영향을 받은 한국 교회는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고 창조과학과 같은 사이비 과학을 지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2]
물론 유신진화론이 보급된 다수의 복음주의 교회는 위와 같은 문제를 갖고 있지 않다.[2]
8. 주요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Evangelical church {{!}} Definition, History, Beliefs, Key Figur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4-26
[2]
웹사이트
Evangelicals and Evangelicalism
https://crcc.usc.edu[...]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22-05-11
[3]
서적
The Evangelical Tradition in America
Mercer University Press
1997
[4]
웹사이트
The Evangelical Manifesto – Os Guinness
https://osguinness.c[...]
2023-01-20
[5]
서적
Evangelicals Around the World: A Global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Thomas Nelson
[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4-19
[7]
웹사이트
Christianity report
https://web.archive.[...]
2014-12-30
[8]
서적
Manual of Faith and Practice of Central Yearly Meeting of Friends
Central Yearly Meeting of Friends
2018
[9]
웹사이트
The Lord's Watch: the Moravians
https://christianhis[...]
Christian History Institute
1984
[10]
웹사이트
'Evangelical' Isn't Code for White and Republican
https://www.christia[...]
2019-09-20
[11]
웹사이트
How Many Evangelicals Are There?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the Study of American Evangelicals
[12]
웹사이트
5 facts about U.S. evangelical Protestants
http://www.pewresear[...]
Pew Research Center
2018-03-03
[13]
웹사이트
Religion in America: US Religious groups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1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4-19
[15]
서적
Church in Black and White
Saint Andrew Press
1993
[16]
서적
[17]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Evangelicalism
https://web.archive.[...]
2009-03-16
[19]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Evangelicals
Abingdon Press
[21]
서적
Harper Collins German Unabridged Dictionary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22]
서적
Pietist Connections with English Anglicans and Evangelicals
https://brill.com/di[...]
Brill
2015-01-01
[23]
백과사전
Evangelikale Bewegung
Vandenhoeck & Ruprecht
[24]
웹사이트
Bekehrung, Bibelfrömmigkeit und Gebet: Evangelikale in Deutschland
https://www.katholis[...]
[25]
백과사전
Evangelikale Bewegung
Vandenhoeck und Ruprecht
[26]
서적
The history of Lynn. To which is prefixed a copious account of Marshland, Wisbeach and the Fens
https://books.google[...]
[27]
서적
The Sin and Danger of Schism, Considered in a Charge-intended to be Delivered to the Clergy of the Archdeaconry of Leicester, at the Summer Visitation in 1811
https://books.google[...]
T. Payne; F. C.&J. Rivington
[28]
백과사전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G & C Merriam
[29]
서적
Who Is an Evangelical?
Yale University Press
2019-09-24
[30]
서적
The Doctrine of Assura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John Wesley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5
[31]
서적
[32]
서적
Handbook of Evangelical Theology
Kregel Academic
[33]
서적
Handbook of Evangelical Theology
Kregel Academic
[34]
웹사이트
À propos de l'évangélisme et des Églises évangéliques en France – Entretien avec Sébastien Fath
https://www.religion[...]
religion.info
2002-03-03
[35]
서적
Du ghetto au réseau: Le protestantisme évangélique en France, 1800–2005
Édition Labor et Fides
[36]
서적
The Believers' Church: The History and Character of Radical Protestantism
Wipf and Stock Publishers
[37]
웹사이트
By Water and the Spirit: A United Methodist Understanding of Baptism
http://archives.umc.[...]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07-08-02
[3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Rowman & Littlefield
[39]
서적
Global Community?: Transnational and Transdisciplinary Exchang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40]
서적
Evangelical America: An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American Religious Culture
ABC-CLIO
[41]
서적
The Rise of Network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43]
서적
A Dictionary of European Baptist Life and Thought
Wipf and Stock Publishers
[44]
서적
Pentecost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UP Oxford
[45]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46]
서적
Evangelicals Around the World: A Global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Thomas Nelson
[47]
서적
Evangelicals Around the World: A Global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Thomas Nelson
[48]
서적
Women, Ministry and the Gospel: Exploring New Paradigms
InterVarsity Press
[49]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and Religion in North America, Volume 1
Indiana University Press
[50]
서적
Baptists Worldwide: Origins, Expansions, Emerging Realities
Wipf and Stock Publishers
[51]
서적
Dismantling the Dualisms for American Pentecostal Women in Ministry
BRILL
[52]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Religions
Routledge
[53]
서적
Baptists Worldwide: Origins, Expansions, Emerging Realities
Wipf and Stock Publishers
[54]
서적
Dismantling the Dualisms for American Pentecostal Women in Ministry
BRILL
[55]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Evangelical Theolog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56]
서적
Generations of Praise: The History of Worship
College Press
[57]
서적
Facing the Music
Xulon Press
[58]
뉴스
Spectaculaire poussée des évangéliques en Île-de-France
https://www.lejdd.fr[...]
lejdd.fr
2015-06-07
[59]
서적
Christian Worship: Its Theology and Practice
B&H Publishing Group
[60]
서적
Suburban Dreams: Imagining and Building the Good Lif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61]
서적
When Church Became Theatre: The Transformation of Evangelical Architecture and Worship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Worship: Adoration and Action: Adoration and Act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63]
서적
Sacred Power, Sacred Space: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Architecture and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64]
서적
From Temple to Meeting House: The Phenomenology and Theology of Places of Worship
Walter de Gruyter
[65]
서적
Sacred Subdivisions: The Postsuburban Transformation of American Evangelicalism
NYU Press
[66]
서적
From Meetinghouse to Megachurch: A Material and Cultural History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67]
서적
Houses of God: Region, Religion, and Architecture in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68]
서적
The Globalization of Pentecostalism: A Religion Made to Travel
Wipf and Stock Publishers
[69]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Global South, Volume 2
Rowman & Littlefield
[70]
서적
From Meetinghouse to Megachurch: A Material and Cultural History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71]
웹사이트
Vivre grâce aux dons et au bénévolat
https://www.ledevoir[...]
2022-07-20
[72]
서적
Religious Pluralism and the City: Inquiries into Postsecular Urbanism
Bloomsbury Publishing
[73]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Volume 5
Rowman & Littlefield
[74]
서적
The Faithful Artist: A Vision for Evangelicalism and the Arts
InterVarsity Press
[75]
서적
Sound of Worship
Taylor & Francis
[7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77]
서적
Contemporary American Religion, Volume 1
Macmillan
[78]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4
Wm. B. Eerdmans Publishing
[79]
웹사이트
Yves Mamou: «Les persécutions de chrétiens ont lieu en majorité dans des pays musulmans»
https://www.lefigaro[...]
2019-03-20
[80]
웹사이트
In Xi we trust – Is China cracking down on Christianity?
https://www.dw.com/e[...]
2018-01-19
[81]
서적
An Introduction to Pentecostalism: Global Charismatic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2]
서적
Evangelicals Around the World: A Global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Thomas Nelson
[83]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Global South, Volume 2
Rowman & Littlefield
[8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85]
서적
Rites in the Spirit: A Ritual Approach to Pentecostal/Charismatic Spirituality
Sheffield Academic Press
[86]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87]
서적
American Evangelicals and Religious Diversity: Subcultural Education, Theological Boundaries, and the Relativization of Tradi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88]
서적
Agency, Denominations, and the Western Colleges, 1830–1860
Vanderbilt University Press
[89]
서적
Evangelical America: An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American Religious Culture
ABC-CLIO
[90]
서적
The New Shape of World Christianity: How American Experience Reflects Global Faith
InterVarsity Press
[91]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 Education, Volume 3
Rowman & Littlefield
[92]
서적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aylor University Press
[93]
웹사이트
About
https://www.cccu.org[...]
Council for Christian Colleges & Universities
[94]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 Education, Volume 3
Rowman & Littlefield
[95]
서적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aylor University Press
[96]
웹사이트
Where does ACSI work?
https://www.acsi.org[...]
ACSI
[97]
서적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eological Education
Langham Global Library
[98]
웹사이트
Member Associations
https://icete.info/c[...]
ICETE
[99]
학술지
Evangelicalism, Sexual Morality, and Sexual Addiction: Opposing Views and Continued Conflicts
2012
[100]
서적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Sexualities
Springer
[101]
서적
Sociology of Sexualities
SAGE Publications
[102]
웹사이트
Baptists encourage marrying younger
https://www.tennesse[...]
2014-08-12
[103]
웹사이트
Le traitement de la virginité chez les migrants pentecôtistes à Bruxelles
http://journals.open[...]
2011-05-06
[104]
웹사이트
Are Most Single Christians in America Having Sex?
https://www.christia[...]
2011-09-28
[105]
서적
Evangelical Christians and Popular Culture: Pop Goes the Gospel, Volume 1
ABC-CLIO
[106]
서적
Readings in Christian Ethics: Issues and Applications
Baker Academic
[107]
서적
Forbidden Fruit : Sex & Religion in the Lives of American Teenagers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서적
Family Matters: James Dobson and Focus on the Family's Crusade for the Christian Hom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09]
웹사이트
Masturbation Not A Sin – Oyakhilome
https://www.pmnewsni[...]
2012-02-24
[110]
웹사이트
Virginity pledges for men can lead to sexual confusion — even after the wedding day
https://www.washingt[...]
University of Washington
2014-08-16
[111]
웹사이트
Many churches don't talk about sex beyond virginity, virginity, virginity
http://www.theguardi[...]
2013-02-11
[112]
서적
Virgin Nation: Sexual Purity and American Adolesc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13]
서적
Evangelical America: An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American Religious Culture
ABC-CLIO
[114]
웹사이트
The Warrior Wives of Evangelical Christianity
https://www.theatlan[...]
2014-11-09
[115]
웹사이트
400 jeunes pour une conférence sur le sexe
https://www.christia[...]
2016-08-22
[116]
웹사이트
Interview: Famed Author Gary Chapman Talks Love, Marriage, Sex
https://www.christia[...]
2012-02-25
[117]
서적
Christians Under Covers: Evangelicals and Sexual Pleasure on the Interne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8]
웹사이트
Tim LaHaye's sex-ed legacy: Before he wrote novels about the apocalypse, he and his wife opened right-wing Christian married couples' eyes
https://www.nydailyn[...]
2016-07-29
[119]
서적
Homosexuality and Religion: An Encyclope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120]
서적
Evangelicals Engaging Emergent
B&H Publishing Group
[121]
웹사이트
Global Survey of Evangelical Protestant Leaders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1-06-22
[122]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Evangelical Theolog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23]
서적
Homosexuality and Religion: An Encyclope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124]
서적
Progay/Antigay: The Rhetorical War Over Sexuality
SAGE Publications
[125]
서적
Muddling Thought: The Church and Sexuality / Homosexuality by Mark G. Toulouse
Wipf and Stock Publishers
[126]
서적
Contemporary Christianity and LGBT Sexualities
Routledge
[127]
웹사이트
Rift Over Gay Unions Reflects Battle New to Black Churches
https://www.washingt[...]
2007-08-19
[128]
웹사이트
Delegates vote to allow space for differences
https://canadianmenn[...]
2016-07-20
[12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13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ology, Sexuality, and Gender
Oxford University Press
[131]
웹사이트
Unmarried Pastor, Seeking a Job, Sees Bias
https://www.nytimes.[...]
2011-03-21
[132]
웹사이트
What Catholics and Southern Baptists can learn from each other about sex abuse crisis
https://www.ncronlin[...]
2019-02-18
[133]
웹사이트
In Search of Non-Toxic Male Sexuality
https://www.christia[...]
2023-06-12
[134]
웹사이트
Sex and the Single Christian
https://www.christia[...]
2000-07-07
[135]
웹사이트
The Case for Vocational Singleness
https://www.christia[...]
2020-11-25
[136]
서적
Du ghetto au réseau: Le protestantisme évangélique en France, 1800–2005
Édition Labor et Fides
[137]
서적
One Faith: The Evangelical Consensus
InterVarsity Press
[138]
서적
Les évangéliques dans la France du XXIe siècle
Editions Edilivre
[139]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Volume 5
Rowman & Littlefield
[14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Pentecost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1]
뉴스
Rock, miracles & Saint-Esprit
https://pages.rts.ch[...]
2011-04-21
[142]
서적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aylor University Press
[143]
웹사이트
"Scientific" Creationism as a Pseudoscience
https://ncse.ngo/sci[...]
2022-11-24
[144]
서적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aylor University Press
[145]
서적
Understanding Evangelical Media: The Changing Face of Christian Communication
InterVarsity Press
[146]
웹사이트
Noah's Ark opens at Kentucky theme park
https://www.cnn.com/[...]
Warner Bros. Discovery
2016-07-07
[147]
서적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aylor University Press
[148]
서적
Evangelical America: An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American Religious Culture
ABC-CLIO
[149]
웹사이트
What is Evolutionary Creation?
https://biologos.org[...]
BioLogos Foundation
2020-03-23
[150]
웹사이트
Romania's Evangelical Romanies
https://www.economis[...]
[151]
웹사이트
Denominations
https://web.archiv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2017-11-27
[152]
서적
Christian Scholar's Review, Volume 27
Hope College
[153]
서적
Quaker History, Volumes 94–95
Friends Historical Association
[154]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Evangelical Theolog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55]
서적
Religion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Ergon
[156]
웹사이트
The Political Legacy of Progressive Evangelicals
https://religionandp[...]
2015-10-27
[157]
웹사이트
Les évangéliques sont-ils tous protestants ?
https://www.reforme.[...]
2005-10-20
[158]
웹사이트
Evangelicals v. Fundamentalists
https://www.pbs.org/[...]
2004-04-29
[159]
서적
Fundamentalism and Evangelical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60]
웹사이트
EVANGELICAL AND FUNDAMENTAL CHRISTIANITY
https://www.encyclop[...]
[161]
서적
Exporting the American Gospel: Global Christian Fundamentalism
Routledge
[162]
서적
The Baptist River: Essays on Many Tributaries of a Diverse Tradition
Mercer University Press
[163]
웹사이트
The Two Wings of Evangelicalism
http://www.firstthin[...]
2013-11-05
[164]
웹사이트
Postconservative Evangelicals Greet the Postmodern Age
http://www.religion-[...]
1995-05-03
[165]
사전
Evangelical
[166]
서적
The First American Evangelical: A Short Life of Cotton Mather
Eerdmans
[167]
학술지
George Fox and the Origins of Quakerism
https://search.ebsco[...]
1991-05
[168]
인용
[169]
학술지
Print, Predestination, and the Public Sphere: Transatlantic Evangelical Periodicals, 1740–1745
[170]
서적
The Divine Dramatist: George Whitefield and the Rise of Modern Evangelicalism
[171]
학술지
The Evangelical Revival in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2002-01
[172]
학술지
The Evangelical Conscience
[173]
서적
From the Margins: A Celebration of the Theological Work of Donald W. Dayton
Wipf and Stock Publishers
[174]
학술지
The Holiness Movements in British and Canadian Methodis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175]
웹사이트
Wesleyan and Keswick Models of Sanctification
https://bible.org/ar[...]
Bible.org
2004-05-25
[176]
서적
The Charismatic Century: The Enduring Impact of the Azusa Street Revival
FaithWords
2009-06-27
[177]
논문
Defining Dispensationalism: A Cultural Studies Perspective
[178]
서적
From Meetinghouse to Megachurch: A Material and Cultural History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79]
서적
Handbook of Megachurches
Brill
[180]
논문
Dominance of Evangelicalism: The Age of Spurgeon and Moody
[181]
논문
Dwight L. Moody: American Evangelist, 1837–1899
[182]
서적
Piety and the Princeton Theologians
Presbyterian & Reformed
[183]
서적
The Electronic Church in the Digital Age: Cultural Impacts of Evangelical Mass Media
ABC-CLIO
[184]
잡지
Vanishing Fundamentalism
1926-06-24
[185]
서적
Give the Winds a Mighty Voice: The Story of Charles E. Fuller
Word Books
1972
[186]
잡지
Standing on the Promises
1996-09-16
[187]
서적
Prime-time Religion: An Encyclopedia of Religious Broadcasting
Oryx Press
[18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American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
http://www.amcouncil[...]
American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
2011-12-15
[189]
서적
The Uneasy Conscience of Modern Fundamentalism
Eerdmans
2004
[190]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Religion and Film
Taylor & Francis
[191]
서적
A Prophet with Honor: The Billy Graham Story
William Morrow
1991
[192]
서적
A Prophet with Honor
[193]
문서
Billy Graham to Harold Lindsell, January 25, 1955, Harold Lindsell papers, Billy Graham Center Archive, Collection 192
1955-01-25
[194]
잡지
The Years of the Evangelicals
1989-02-15
[195]
논문
The militarization of prayer in America: white and Native American spiritual warfare
2015
[196]
뉴스
Eat, pray, live: the Lagos megachurches building their very own cities
https://www.theguard[...]
2017-09-11
[197]
뉴스
Kendrick brothers want to train next generation of Christian film makers
https://www.walb.com[...]
2013-04-10
[198]
뉴스
Faith-Based Company Pure Flix Launches Theatrical Distribution Arm
http://www.hollywood[...]
2015-11-17
[199]
뉴스
En France, les évangéliques consolident leur croissance
https://www.la-croix[...]
2017-01-04
[200]
뉴스
Architecture : un temple de trois mille places érigé à Righini
http://adiac-congo.c[...]
2014-12-09
[201]
뉴스
La montée des églises évangéliques
http://ici.radio-can[...]
2013-11-17
[202]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www.pewforum.[...]
Pew Forum on Religion and Public Life
2011-12-19
[203]
웹사이트
WEA
http://www.worldea.o[...]
2015-03-15
[204]
서적
Evangelicals Around the World: A Global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Thomas Nelson
[205]
뉴스
Dans le monde, un chrétien sur quatre est évangélique
https://www.la-croix[...]
2016-01-25
[206]
웹사이트
GLOBAL STATISTICS 2017
https://lecnef.org/s[...]
2017-11-18
[207]
웹사이트
World | Operation World
http://www.operation[...]
[208]
서적
Know the Truth: A Handbook of Christian Belief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4-08-31
[209]
논문
Evangelicals and Politics in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210]
웹사이트
The peace-making Pentecostal
https://www.eternity[...]
2019-10-15
[211]
웹사이트
Ethiopian Culture – Religion
http://culturalatlas[...]
SBS
2020-12-02
[212]
뉴스
Ethiopia Grants Autonomy to Evangelical Heartland
https://www.christia[...]
Christianity Today
2020-12-02
[213]
웹사이트
Current Influences and connections of western and Ethiopian churches
https://web.archive.[...]
2016-03-22
[214]
논문
A Brief History of the Berlin Mission Society in South Africa
[215]
논문
Young Puritan Preachers in Post-Independence Malawi
Edinburgh University Press
[216]
논문
Christianity in Black and White: The Establishment of Protestant Churches in Southern Mozambique
[217]
서적
The East African Revival: History and Legacies
Ashgate Publishing
[218]
서적
A Gentle Wind of God: The Influence of the East Africa Revival
Herald Press
[219]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Evangelical The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4-12
[220]
뉴스
U.S. Hispanics Are Becoming Less Catholic
https://swampland.ti[...]
2013-03-01
[221]
뉴스
Religion in Latin America: Hola, Luther
http://www.economist[...]
2008-11-08
[222]
논문
O Protestantismo Brasileiro
ASTE
[223]
논문
Part 2: Portuguese Protestants in the Americas
[224]
논문
A history of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225]
논문
A history of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226]
논문
The Republic of Brazil: A survey of the religious situation
[227]
논문
Why is the Black Evangelical Movement Growing in Brazil?
[228]
논문
The Salvation Army or the Army's Salvation?: Pentecostal Politics in Amazonian Brazil, 1962–1992
[229]
논문
Whatever Happened to What Used to Be the Largest Catholic Country in the World?
[230]
논문
Evangelicals in Brazil
http://www.coha.org/[...]
Coha
2012-12-05
[231]
논문
The Richest Pastors in Brazil
https://www.forbes.c[...]
2013-01-17
[232]
서적
Atlas da Filiação Religiosa e Indicadores Sociais no Brasil
PUC-Rio, Edições Loyola
[233]
서적
Protestantism in Guatemala
[234]
서적
Terror in the Land of the Holy Spirit: Guatemala under General Efrain Rios Montt 1982–1983
Oxford University Press
[235]
웹사이트
EVANGELICALS AROUND THE WORLD - The Chinese Church Comes of Age
https://www.research[...]
[236]
웹사이트
MEASURING RELIGION IN CHINA - 4. Christianity
https://www.pewresea[...]
2024-07-31
[237]
웹사이트
3 in 5 Evangelicals Live in Asia or Africa
https://research.lif[...]
2024-07-31
[238]
논문
The Puzzle of Korean Christianity: Geopolitical Networks and Religious Conversion in Early Twentieth-Century East Asia
[239]
논문
A history of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240]
논문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Evangelical Protestantism in Korea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241]
논문
Historical Curren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testantism after Liberation
[242]
서적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43]
논문
Historical Curren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testantism after Liberation
[244]
뉴스
Professor explains religion's popularity in South Korea
https://web.archive.[...]
The State Press
2013-07-25
[245]
잡지
Missions Incredible
http://www.christian[...]
2013-07-25
[246]
웹사이트
Born Again: Evangelicalism in Korea
http://www.uhpress.h[...]
UH Press
2013-07-25
[247]
웹사이트
KOSIS
http://kosis.kr/stat[...]
2019-12-10
[248]
웹사이트
Philippines Operation World
https://web.archive.[...]
2017-02-26
[249]
웹사이트
Focus – Evangelical churches gaining ground in France
https://www.france24[...]
2019-07-12
[250]
서적
The Church of England: the Methodists and society, 1700–1850
[251]
서적
The Clapham Sect: How Wilberforce's circle changed Britain
[252]
서적
A Mad, Bad,& Dangerous People? England 1783–1846
Oxford University Press
[253]
서적
The Victorian Church, Part One: 1829–1859
[254]
간행물
Churchgoing the UK
Tearfund
[255]
간행물
Life in the Church
Evangelical Alliance
[256]
간행물
Does Money Matter?
Evangelical Alliance
[257]
간행물
21st Century Evangelicals
Evangelical Alliance
[258]
웹사이트
Le paysage religieux en Suisse
https://www.bfs.admi[...]
[259]
논문
Growth and Decline of Evangelicals, Fundamentalists, Pentecostals, and Charismatics in Switzerland 1970–2013
[260]
논문
The Diversity of Religious Diversity. Using Census and NCS Methodology in Order to Map and Assess the Religious Diversity of a Whole Country
Springer, Cham
[261]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Evangelical Theolog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62]
뉴스
Evangelicals Debate the Meaning of 'Evangelical'
https://www.nytimes.[...]
2006-04-16
[263]
설문조사
The American Religious Landscape and Political Attitudes: A Baseline for 2004
https://web.archive.[...]
The Pew forum
[264]
잡지
The Unlikely Rebound of Mainline Protestantism
https://www.newyorke[...]
2021-07-16
[265]
웹사이트
New national survey flips the narrative on mainline Protestants and the 'nones,' but why?
https://baptistnews.[...]
2021-07-15
[266]
웹사이트
Mainline Protestantism is America's phantom limb
https://news.yahoo.c[...]
2021-07-17
[267]
문서
Deliver Us from Evil: An Interpretation of American Prohibition
[268]
서적
God is a Conservative
[269]
문서
The Democratic Virtues of the Christian Right
[270]
서적
Broken Words: The Abuse of Science and Faith in American Politics
https://books.google[...]
Crown Publishing Group
[271]
서적
Ten Major Court Cases about Evolution and Creationism
http://ncse.com/taki[...]
National Center for Science Education
[272]
서적
God is a Conservative: Religion, Politics and Morality in Contemporary America
[273]
문서
Blasphemy: how the religious right is hijacking our Declaration of Independence
[274]
서적
Christian America?: What Evangelicals Really Want
[275]
서적
Persecution: How Liberals are Waging War Against Christians
https://books.google[...]
Regnery
[276]
웹사이트
World Vision Helped Evangelicals Become Social Activists—Within Limits
https://www.christia[...]
2019-08-02
[277]
서적
God's Internationalists: World Vision and the Age of Evangelical Humanitarianism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78]
서적
The New Evangelical Social Eng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79]
서적
The Beliefnet Guide To Evangelical Christianity
Three Leaves Press
[280]
웹사이트
Kirchensteuer (Deutschland)#Kirchensteuereinzug durch den Staat
[[de:Kirchensteuer ([...]
2021-09-03
[281]
웹사이트
Mitgliedskirchen
https://www.vef.de/m[...]
VEF - Vereinigung Evangelischer Freikirchen
2021-09-01
[282]
논문
Evangelisch
1958-1963
[283]
서적
Konfessionskunde
Verlag Alfred Töpelmann
1937
[284]
서적
西ドイツ教会事情
新教出版社
[285]
서적
日本の福音派
いのちのことば社
[286]
서적
はばたく日本の福音派
[287]
서적
日本の福音派-21世紀に向けて
[288]
웹사이트
聖公会とは
http://www.nskk.org/[...]
日本聖公会 大坂教区 堺聖テモテ教会
2021-09-03
[289]
웹사이트
日本基督教団成立の沿革
https://uccj.org/his[...]
日本基督教団
2021-09-03
[290]
웹사이트
日本聖公会について
http://www.nskk.org/[...]
日本聖公会 京都教区 聖光教会
2021-09-03
[291]
웹사이트
福音派の多様性
http://www.kohara.ac[...]
小原克博 On-Line
2021-09-03
[292]
문서
19세기 근본주의자들이 주장을 필 무렵 이미 근대신학의 자유주의 신학은 약화되고 정통의 복음주의를 강조하는 신정통주의신학이 등장한 시기였다
[293]
서적
그리스도교: 본질과 역사
분도출판사
2002
[294]
웹사이트
서울신학대학교 목창균 총장의 복음주의 신학이야기
http://sgti.kehc.org[...]
[295]
웹사이트
싸이월드 복음주의 클럽
[296]
문서
잉글랜드 성공회의 성직자이자 신학자다. 감리교 운동을 이끌었고, 잉글랜드 성공회의 사제로서 관점을 유지하며, 잉글랜드 성직자로서 활동했다.
[297]
서적
성공회의 역사
성공회 선교교육원
[298]
서적
현대 사회 문제와 그리스도인의 책임
IVP
[299]
서적
최신신학의 흐름
나눔사
[300]
웹사이트
윌 버포스 신화 벗기기-웹진 비평루트
http://cairos.tistor[...]
[301]
서적
J. C 라일
복있는사람
2018
[302]
간행물
기독교 교육
대한 기독교 교육협의회
2006-11
[303]
문서
21세기 현재에도 반동적 복음주의 영향의 근본주의, 신복음주의 신학자들은 자신들의 신학 이외에는 모두 잘못된 자유주의라고 흔히 통칭한다. 실제 자유주의 신학 사상은 개신교 신학에서 20세기 초에 그 영향력을 잃었다
[304]
서적
종교신학입문
분도출판사
[305]
문서
오늘날 개신교 근본주의는 성서적이며 종교개혁적인 초자연적 복음이라는 전통을 이어받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배적인 분위기에 있어서 그 신학의 선조들이 보여준 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현대 근본주의는 복음의 메시지가 비기독교 세계에 대해 어떤 사회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분명히 말하지 않는다. 근본주의는 전체주의 체제의 불의와 현대 교육의 세속주의, 인종주의적인 혐오라는 악, 현재 노사관계의 문제점, 잘못된 기초 위에 세워진 국제관계 등에 대해 도전하지 않는다.
[306]
웹사이트
복음주의자의 불편한 양심(The Uneasy Conscience of Modern Fundamentalism)
http://club.cyworld.[...]
IVP(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307]
서적
복음주의자의 불편한 양심(The Uneasy Conscience of Modern Fundamentalism)
IVP(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308]
서적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
IVP
[309]
서적
오직 한 길
아가페
[310]
뉴스
예수천당, 불신지옥 당혹스럽다
한겨레
2007-05-01
[311]
서적
Evangelicalism in modern Britain : a history from the 1730s to the 1980s
Unwin Hyman
1989
[312]
서적
세계기도정보
죠이선교회 출판부
[313]
서적
우리시대의 위대한 설교자들
브니엘
[314]
서적
기독교 영성 베이직
대한기독교서회
[315]
서적
티타임에 나누는 기독교변증
홍성사
[316]
문서
다수의 장로교단 및 침례교단, 일부 성결교단 등
[317]
문서
감리교단 및 일부 장로교단, 루터교단, 성공회교단, 일부 성결교단 등
[318]
서적
세계기도정보
죠이선교회 출판부
[319]
서적
기독교사회주의 산책
홍성사
[320]
웹사이트
http://www.lausanne.[...]
[3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01-02
[322]
웹사이트
한글전문보기
http://www.lausanne.[...]
[323]
웹사이트
한국말로 옮긴 글
http://www.lausanne.[...]
[324]
간행물
너희가 복음주의를 아느냐?
1999-01
[325]
웹사이트
로잔언약 한글번역
http://ssh4jx.tistor[...]
[326]
서적
청년설교
복있는 사람
[327]
서적
Ecumenical Faith in Evangelical Perspective
Eerdmans
1993
[328]
서적
복음주의와 기독교의 미래
한국장로교출판사
[329]
웹인용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http://sgti.kehc.org[...]
2007-06-02
[330]
웹인용
이신건 교수의 누리집
http://sgti.kehc.org[...]
2010-11-12
[331]
웹사이트
안명준교수의 신학이야기
http://theologi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