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콜레코모르푸스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콜레코모르푸스과는 무족영원목에 속하는 과로, 크로타파트레마속과 스콜레코모르푸스속의 2속 5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로타파트레마속은 카메룬에서 발견되는 3종을 포함하며, 스콜레코모르푸스속은 동아프리카와 탄자니아에 분포하는 종을 포함한다. 띠무족영원은 2006년 무족영원과로 이동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양서류 - 프리노바트라쿠스속
    프리노바트라쿠스속은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뚜렷한 형태적 특징과 지리적 분포를 보이는 3개의 분기군으로 나뉘는 개구리 속으로,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독립된 과로 인정받았고 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서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크기, 골격 구조, 턱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아프리카의 양서류 - 헤르펠레과
    헤르펠레과는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콩고무족영원속과 불랑제무족영원속을 포함하는 무족영원목 양서류 과로, 중앙 및 동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서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 일부의 습한 열대 기후 지역에서 서식한다.
스콜레코모르푸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콜레코모르푸스 키르키
스콜레코모르푸스 키르키
학명Scolecomorphidae
명명자Taylor, 1969
어원el(skólekós, σκώληξ(skṓlēx)의 약칭)
el(morphḗ, 형태)
분류
하위 분류크로타파트레마
스콜레코모르푸스

2. 하위 종

2속 5종으로 이루어져 있다.[3]


  • '''''크로타파트레마''''' (누스바움, 1985)
  • * 크로타파트레마 본뮬레리 (Werner, 1899) - 카메룬
  • * 크로타파트레마 라모테이 (Nussbaum, 1981) - 카메룬
  • * 크로타파트레마 차발름바보엔시스 Lawson, 2000 - 카메룬
  • '''''스콜레코모르푸스''''' (불렌저, 1883)
  • * 스콜레코모르푸스 키르키 Boulenger, 1883 - 동아프리카
  • * 스콜레코모르푸스 울루구루엔시스 Barbour and Loveridge, 1928 - 탄자니아
  • * 스콜레코모르푸스 비타투스 (Boulenger, 1895) - 탄자니아 (2006년 무족영원과로 이동)[3]

2. 1. 크로타파트레마속 (''Crotaphatrema'')

누스바움(Nussbaum, 1985)이 명명한 크로타파트레마속(''Crotaphatrema'')은 3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두 카메룬에서 발견된다.

  • 크로타파트레마 본뮬레리(''Crotaphatrema bornmuelleri'') (Werner, 1899) - 카메룬
  • 크로타파트레마 라모테이(''Crotaphatrema lamottei'') (Nussbaum, 1981) - 카메룬
  • 크로타파트레마 차발름바보엔시스(''Crotaphatrema tchabalmbaboensis'') (Lawson, 2000) - 카메룬

2. 2. 스콜레코모르푸스속 (''Scolecomorphus'')

스콜레코모르푸스속(''Scolecomorphus'')은 탕가니카호무족영원( ''Scolecomorphus kirkii'') (Boulenger, 1883), 닝그와무족영원( ''Scolecomorphus uluguruensis'') ( Barbour and Loveridge, 1928), 띠무족영원( ''Scolecomorphus vittatus'') (Boulenger, 1895)을 포함한다.[3] 탕가니카호무족영원은 동아프리카, 닝그와무족영원은 탄자니아에 분포한다. 띠무족영원은 2006년 무족영원과로 이동되었다.[3]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2년 기준으로 한 무족영원목의 계통 분류이다.[4]


키킬라과
헤르펠레과
무족영원과
티플로넥테스과
인도티플루스과
데르모피스과
시포놉스과

참조

[1] 간행물 2019-07-30
[2]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Academic Press
[3] 논문 Frost et al, the amphibian tree of life
[4]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