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사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사노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휘하의 인물로, 키프로스 출신이었다. 그는 아레이오이 태수 아르사케스를 체포하기 위해 파르티아 태수 플라타페르네스와 함께 파견되었고, 기원전 328년에는 아레이오이 태수가 되어 드란기아나를 태수령으로 추가했다. 알렉산드로스 사후 바빌론 회의와 트리파라디소스 협정에서 드란기아나와 박트리아, 소그디아나의 태수를 역임했다. 이후 에우메네스와 안티고노스의 항쟁에서 에우메네스 편에 섰으며, 안티고노스에게 관용을 받았다. 기원전 305년 셀레우코스 1세의 박트리아 침공 시 저항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기원전 323년 바빌론 회의에서 스타사노르는 드란기아나 태수 지위를 유지했다.[18] 기원전 321년 트리파라디소스 분할 협정에서는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의 태수로 임명되어 더 중요한 지역을 다스리게 되었다.[19]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스타사노르는 디아도코이 간의 권력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원전 316년까지 자신의 영지를 유지하며, 에우메네스와 안티고노스의 분쟁에서 에우메네스를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안티고노스는 에우메네스를 제거했지만, 스타사노르의 평판과 힘을 고려하여 관용을 베풀었다.[21]
2. 알렉산드로스 대왕 휘하의 스타사노르
이후 몇 년간 스타사노르는 역사에서 침묵을 지켰으나, 에우메네스와 안티고노스의 항쟁에서 에우메네스를 지원한 것으로 추정된다.[20] 기원전 316년 안티고노스가 에우메네스를 제거한 후에도, 스타사노르는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어 평판이 좋았기 때문에 그를 계속 태수로 유임시키는 관용을 베풀었다.[21]
이후 스타사노르는 역사 기록에 다시 등장하지 않지만, 유스티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305년 셀레우코스 1세가 박트리아를 침공했을 때[22] 스타사노르 또는 그의 후계자가 저항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1. 초기 활동과 박트리아 원정
스타사노르는 키프로스의 솔로이 출신으로, 마케도니아인은 아니었다. 그의 이름이 처음 언급된 것은 박트리아에서의 전투 중이었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반감을 품고 있다고 여겨진 아레이오이(또는 아리아) 태수 아르사메스(아르사케스)를 체포하기 위해 파르티아 태수 프라타페르네스와 함께 파견되었다.[12][2] 기원전 328년 가을, 프라타페르네스와 함께 아르사메스와, 과거 베소스에 의해 파르티아 태수로 임명된 브라자네스 등 베소스와 함께 알렉산드로스에게 반란을 일으킨 자들을 연행하여 자리아스파에서 알렉산드로스와 합류했다.[13][3] 그 후 스타사노르는 아레이오이 태수가 되었고, 아르사메스의 후임으로 드란기아나 태수령을 추가로 받았다.[14][15][4][5]
스타사노르는 프라타페르네스와 함께 인도에서 알렉산드로스가 귀환할 때 낙타 등의 짐승을 제공했고, 카르마니아에서 알렉산드로스를 만났다.[16][6] 알렉산드로스가 페르시스로 돌아가자 그는 다시 영지로 돌아가 업무를 수행했다.[17][7]
2. 2. 아레이오이와 드란기아나 태수 임명
스타사노르는 키프로스의 솔로이 출신으로, 마케도니아인은 아니었다. 그의 이름은 박트리아 전투 중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는데, 알렉산드로스에게 반항적인 태도를 보인 아레이오이(또는 아리아) 태수 아르사메스를 체포하기 위해 파르티아 태수 프라타페르네스와 함께 파견되었다.[12]
기원전 328년 가을, 스타사노르는 프라타페르네스와 함께 아르사메스 및 베소스와 함께 알렉산드로스에게 반란을 일으킨 인물들을 자리아스파로 압송하여 알렉산드로스와 합류했다.[13] 이때 함께 압송된 인물 중에는 과거 베소스에 의해 파르티아 태수로 임명되었던 브라자네스도 있었다. 그 후, 스타사노르는 아레이오이 태수로 임명되었고, 추가로 드란기아나를 다스리게 되었다.[14][15]
스타사노르는 프라타페르네스와 함께 인도에서 돌아오는 알렉산드로스를 위해 낙타 등의 짐수레를 제공하며 카르마니아에서 왕을 맞이했다.[16] 알렉산드로스가 페르시스로 돌아간 후, 스타사노르는 자신의 영지로 돌아가 통치를 계속했다.[17]
3. 알렉산드로스 사후
이후 역사 기록에서 스타사노르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지만, 유스티누스는 기원전 305년 셀레우코스 1세가 박트리아를 침공했을 때[22] 스타사노르 또는 그의 후계자가 저항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기록했다.
3. 1. 바빌론 회의와 트리파라디소스 협정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바빌론 회의에서 스타사노르는 드란기아나 태수 지위를 유지했다.[18] 기원전 321년 트리파라디소스 분할 협정에서는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의 더 중요한 태수로 임명되었다.[19]
이후 몇 년 동안 침묵했지만, 그 무렵 에우메네스와 안티고노스의 항쟁에서 에우메네스를 지지한 것으로 추측된다.[20] 기원전 316년 안티고노스가 에우메네스를 제거했지만, 스타사노르는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의 평판이 좋았기 때문에 그 힘을 무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안티고노스는 스타사노르에게 태수령을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관용적인 조치를 취했다.[21]
3. 2. 에우메네스와 안티고노스의 대립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후 개최된 바빌론 회의에서 스타사노르는 드란기아나 태수 지위를 유지했다.[18] 기원전 321년 트리파라디소스의 분할 협정에서는 더 중요한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의 태수로 임명되었다.[19]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침묵을 지켰지만, 그 무렵 에우메네스와 안티고노스의 항쟁에서 에우메네스를 지지한 것으로 추측된다.[20] 기원전 316년에 안티고노스는 에우메네스를 제거했지만, 스타사노르는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의 평판이 좋았기 때문에 그 힘은 무시할 수 없었다. 때문에 안티고노스는 그에게 태수령을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관용 조치를 취했다.[21]
3. 3. 셀레우코스 1세와의 충돌
기원전 316년 안티고노스는 에우메네스를 제거했지만, 스타사노르는 백성들에게 좋은 정치를 베풀어 주민들의 평판이 좋았기 때문에 그 힘은 무시할 수 없었다. 때문에 안티고노스는 그에게 태수령을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관용 조치를 취했다.[21]
이후 스타사노르의 이름은 다시 역사에 나타나지 않지만, 유스티누스는 기원전 305년에 셀레우코스 1세가 박트리아를 침공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22] 그 때 스타사노르 또는 그의 후계자에 의한 저항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유스티누스는 셀레우코스 1세가 박트리아를 점령한 후 인도 원정을 떠났다고 기록했다.[1]
4. 유산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참조
[1]
웹사이트
Justin XV.4
https://web.archive.[...]
[2]
문서
アッリアノス, III. 29
[3]
문서
ibid, IV. 7
[4]
문서
ibid, IV. 18
[5]
문서
クルティウス, VIII. 3. 17
[6]
문서
アッリアノス, VI. 27
[7]
문서
ibid, VI. 29
[8]
문서
ディオドロス, XVIII. 3
[9]
문서
ibid, XVIII. 39
[10]
문서
ユスティヌス, XLI. 4
[11]
문서
ディオドロス, XIX. 48
[12]
문서
아리아노스, III. 29
[13]
문서
ibid, IV. 7
[14]
문서
ibid, IV. 18
[15]
문서
쿠르티오스, VIII. 3. 17
[16]
문서
아리아노스, VI 27
[17]
문서
ibid, VI 29
[18]
문서
디오도로스, XVIII 3
[19]
문서
ibid, XVIII 39
[20]
문서
유스티누스, XLI 4
[21]
문서
디오도로스, XIX 48
[22]
문서
유스티ヌス, XLI 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