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테노펠릭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테노펠릭스는 1855년 독일에서 발견된 작은 공룡으로, 모식종은 스테노펠릭스 발덴시스이다. 몸길이 약 1.4m, 몸무게 약 10kg의 초식동물로, 골반의 특징으로 종을 구분할 수 있다. 스테노펠릭스의 분류는 두개골 화석이 없어 논쟁이 있었으며, 조각류, 후두류, 각룡류 등으로 분류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원시적인 각룡류로 분류되거나 차오양고사우루스과에 속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컬럼비아매머드
    컬럼비아매머드는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멸종된 매머드 종으로, 털매머드보다 덜 뒤틀린 엄니와 따뜻한 서식지에 적응한 특징을 보이며, 풀과 초본 식물 등을 먹고 살았다.
  • 백악기 전기 유럽의 공룡 - 이구아노돈
    이구아노돈은 백악기 전기 유럽,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서식했던 몸길이 7~9m의 대형 초식 공룡으로, 엄지손가락 가시와 질긴 식물을 씹는 턱 구조를 가졌으며, 1822년 이빨 화석 발견 이후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 두 종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 백악기 전기 유럽의 공룡 - 네오베나토르
    네오베나토르는 초기 백악기 바레미안절에 살았던 수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1996년에 '네오베나토르 살레리'라는 학명으로 명명되었으며 한때 유럽의 알로사우루스과 공룡으로 여겨졌으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에 더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고 몸길이는 약 7m이다.
  • 각룡하목 - 바가케라톱스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 공룡으로, 부리와 뿔이 없고 어금니와 비슷한 이빨을 가졌으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각룡하목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스테노펠릭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테노펠릭스 홀로타입 슬래브의 라텍스 캐스트와 해석 그림
스테노펠릭스 홀로타입 슬래브의 라텍스 캐스트와 해석 그림
스테노펠릭스속 (Stenopelix)
스테노펠릭스 발덴시스 (Stenopelix valdensis)
명명자Meyer, 1857
화석 범위후기 베리아절, ~1억 4천만 년 전
생물학적 분류
상위 분류조반목
아목주식두아목
하목각룡류

2. 발견과 종

1855년 독일 하를 언덕의 뷔케부르크 근처 사암 채석장에서 작은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뼈의 대부분은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처리 과정에서 제거되었고, 쪼개진 암석 양쪽에 두 쌍의 빈 공간이 남았다. 이 암석판은 완전히 겹쳐지지 않았다. 빈 공간을 주형 틀처럼 활용하여 여러 개의 석고라텍스 캐스트가 만들어졌고 이 표본이 연구에 이용되었다. 원래는 뷔케부르크 아돌피눔 김나지움에 보관된 막스 발러슈테트 컬렉션의 일부였으나,[17] 1976년에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학교 괴팅겐으로 옮겨져 지금은 괴팅겐 대학교 지질과학센터의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1857년에 크리스티안 에리히 폰 마이어는 이 화석으로부터 모식종 스테노펠릭스 발덴시스(''Stenopelix valdensis'')를 명명하였다.[18] 속명은 "좁다"는 의미의 그리스어인 스테노스 ''stenos'' 와 "골반"이라는 의미의 펠릭스 ''pelyx''에서 온 것이다. 종명은 위얼든 층에서 유래한 것이다. 완모식표본인 '''GZG 741/2''' (이전에는 GPI 741-1, 2)는 오버른키르헨 사암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목과 두개골을 제외한 거의 완벽한 골격의 흔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반 부위의 모형

3. 특징

스테노펠릭스는 몸길이 1.4m, 몸무게 10kg의 작은 초식동물이었다.[4] 보존된 엉덩이와 꼬리의 길이는 97cm이고, 대퇴골 길이는 14cm이다. 골반의 특징으로 종을 구분할 수 있는데, 장골은 뒤로 갈수록 좁아져 끝부분은 둥근 형태이며, 좌골은 중간쯤에서 가장 두껍고 눈에 띄게 꺾여 있다.

4. 분류

복원도


두개골이 없다는 점 때문에 스테노펠릭스의 분류는 논쟁이 많다. 1960년대 이전에는 조각류로 분류되곤 했다. 1974년 테레사 마리안스카는 치골이 관골구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꼬리 부위에 갈비뼈가 뚜렷한 것을 근거로 스테노펠릭스가 원시적인 후두류일 것이라고 제안했다.[1] 1982년 피터 골턴은 "치골"이 실제로는 관골구의 일부이며 "꼬리 갈비뼈"가 천골 쪽의 갈비뼈라는 것을 보였다. 좌골이 굽은 정도나 폐쇄공이 없다는 점 등은 다른 후두류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들이다. 골턴은 스테노펠릭스가 각룡류라고 결론내렸다.[1]

폴 세레노분지학적 분석에 따르면 스테노펠릭스는 후두류에 속한다. 하지만 고생물학자 리차드 버틀러와 로버트 설리반은 스테노펠릭스를 정확한 분류를 알 수 없는(incertae sedis) 마르기노케팔리아로 보며, 후두류의 파생공유형질이라고 생각되는 특징들이 잘못된 감정에 의한 것이거나 같은 특징이 각룡류 일부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므로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6] 2011년에 버틀러와 동료들이 분지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스테노펠릭스가 원시적인 각룡류이며 자매분류군은 인롱이라는 것을 보였다.[7] 최근 연구에서는 인롱, 차오양고사우루스 등과 함께 차오양고사우루스과로 분류하기도 한다.[8]

참조

[1] 간행물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2011
[2] 논문 "Stenopelix valdensis H. v. Meyer, der kleine Dinosaurier des norddeutschen Wealden" 1969
[3] 논문 Beiträge zur näheren Kenntis fossiler Reptilien 1857
[4]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논문 "The systematic position of ''Stenopelix valdensis'' (Reptilia: Ornithischia) from the Wealden of north-western Germany" 1982
[6]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Stenopelix valdensis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Germany and the early fossil record of Pachycephalosauria" 2009
[7] 학술지 The postcranial oste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mall ornithischian dinosaur ''Changchunsaurus parvus'' from the Quantou Formation (Cretaceous: Aptian–Cenomanian) of Jilin Province, north-eastern China 2011
[8] 학술지 A neo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Mongolia and the early evolution of ceratopsia 2020-09-10
[9] 학술지 A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is on early ornithischian evolution
[10] 간행물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2011
[11] 논문 "Stenopelix valdensis H. v. Meyer, der kleine Dinosaurier des norddeutschen Wealden" 1969
[12] 논문 Beiträge zur näheren Kenntis fossiler Reptilien 1857
[13] 논문 "The systematic position of ''Stenopelix valdensis'' (Reptilia: Ornithischia) from the Wealden of north-western Germany" 1982
[14]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Stenopelix valdensis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Germany and the early fossil record of Pachycephalosauria" 2009
[15] 학술지 The postcranial oste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mall ornithischian dinosaur ''Changchunsaurus parvus'' from the Quantou Formation (Cretaceous: Aptian–Cenomanian) of Jilin Province, north-eastern China 2011
[16] 간행물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2011
[17] 논문 "Stenopelix valdensis H. v. Meyer, der kleine Dinosaurier des norddeutschen Wealden" 1969
[18] 논문 Beiträge zur näheren Kenntis fossiler Reptilien 1857
[19] 논문 "The systematic position of ''Stenopelix valdensis'' (Reptilia: Ornithischia) from the Wealden of north-western Germany" 1982
[20]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Stenopelix valdensis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Germany and the early fossil record of Pachycephalosauria" 2009
[21] 학술지 The postcranial oste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mall ornithischian dinosaur ''Changchunsaurus parvus'' from the Quantou Formation (Cretaceous: Aptian–Cenomanian) of Jilin Province, north-eastern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