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은 1989년부터 2003년 은퇴 시점까지 프로레슬링 선수로 활동했으며, 이후에도 WWE에 종종 출연했다. WCW, ECW, WWF/WWE 등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하며, 특히 WWF/WWE 시절 "스톤 콜드" 시대를 통해 큰 인기를 얻었다. 1996년 킹 오브 더 링 우승 이후 "오스틴 3:16" 세그먼트로 유명세를 얻었으며, 브렛 하트, 숀 마이클스 등과 대립하며 WWF 챔피언십을 여러 차례 획득했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스톤 콜드 스터너가 있으며, 다양한 유행어와 챔피언 경력을 통해 프로레슬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2009년에는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스텍사스 대학교 동문 - 앤 라이스
    앤 라이스는 고딕적 상상력과 퇴폐적인 분위기로 특징지어지는 작품들을 통해 1억 3천 6백만 부 이상의 책을 판매한 미국의 작가로, 대표작인 『뱀파이어 연대기』 시리즈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집필했으며, 2021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노스텍사스 대학교 동문 - 로이 오비슨
    로이 오비슨은 폭넓은 음역과 독특한 음색, 감성적인 가사로 유명한 미국의 전설적인 록, 팝, 컨트리 가수 겸 작곡가로, 1960년대 전성기 후 비극을 딛고 1980년대 재기에 성공했으나 심장마비로 요절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음악은 현재까지 대중음악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이신론자 - 토머스 페인
    토머스 페인은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계 미국인 혁명가, 작가, 정치 사상가로서, 그의 팸플릿 『상식』은 미국 독립 여론 형성에 기여했고, 『미국의 위기』 시리즈는 미국인들의 사기를 진작시켰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인간의 권리』를 통해 프랑스 혁명을 옹호하고 『이성의 시대』를 통해 종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했으나, 그의 급진적 사상으로 인해 말년은 고독하게 보냈다.
  • 이신론자 - 찰스 라이엘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변호사였던 찰스 라이엘은 제임스 허턴의 동일과정설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했으며, 대표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지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했다는 이론을 제시하여 지질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층서학, 고생물학, 빙하학 등 다양한 지질학 분야에 기여했다.
  • WWE 명예의 전당 - 로디 파이퍼
    로디 파이퍼는 로데릭 조지 툼스라는 본명을 가진 캐나다 출신의 프로레슬러이자 배우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NWA와 WWF에서 활동하며 "파이퍼스 핏" 인터뷰 코너 진행 및 헐크 호건 등과의 대립으로 인기를 얻었고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영화 《그들이 사는 세상》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 WWE 명예의 전당 - 더스티 로즈
    더스티 로즈는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링네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트레이너, 부커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3회 지냈으며 은퇴 후 WWE에서 프로듀서와 각본가로 활동하며 200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스티브 오스틴
본명스티브 제임스 윌리엄스
다른 이름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스톤 콜드
출생일1964년 12월 18일
출생지텍사스주, 빅토리아
직업배우
활동 기간1989년 - 2003년 (프로레슬러)
활동 기간1998년 ~ 현재 (배우)
개인 정보
배우자크리스틴 페레스 (Kristin Feres)
기타
2010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네셔널에서 인터뷰중인 스티브 오스틴
2010년 샌디에이고의 코믹-콘 인터네셔널에서 인터뷰중인 스티브 오스틴

2. 프로레슬링 경력

2. 1. 초기 활동 (1989-1995)

2. 2. WCW (1991-1995)

2. 3. ECW (1995)

2. 4. WWF/WWE (1995-현재)

2. 4. 1. 스톤 콜드 시대 (1996-2003)

1996년 킹 오브 더 링에서 우승하며 "오스틴 3:16"이라는 유명한 세그먼트를 남겼고, 이를 계기로 그의 인기는 폭발적으로 상승했다. 브렛 하트, 숀 마이클스 등과 대립하며 WWF 챔피언에 올랐고, 특히 빈스 맥맨 회장과의 대립은 WWF 역사상 최고의 대립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잦은 부상으로 2003년에 은퇴했다.

2. 4. 2. 은퇴 이후 (2003-현재)

스티브 오스틴은 은퇴 이후에도 WWE에 종종 출연하며 팬들과의 소통을 이어갔다. 특히 2009년에는 프로레슬링 업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영광을 안았다.

3. 프로레슬링 기술

'''링마스터 시절'''


  • 백 엘보우 드롭 - 1995-1996
  • 프론트 드롭킥 - 1995-1996
  • ''밀리언 달러 드림'' (코브라 클러치) - 1995-1996; 테드 디비아시에게서 기술을 전수 받음.


'''"Superstar" 스티브 오스틴 시절'''

  • 백브레이커 드롭
  • 크로스페이스 치킨윙
  • ''스턴 건'' (플랩잭 드롭 행맨)


'''"Stone Cold" 스티브 오스틴 시절'''

  • 벨리 투 백 파일드라이버 - 1996–현재
  • ''Scorpion Deathlock'' (샤프슈터) - 1996–현재
  • ''스톤 콜드 스터너'' (스터너, 주로 상대 복부에 킥을 먼저 가한 후 사용) - 1996–현재; 마이키 윕렉에게서 기술을 전수 받음.


'''"Stunning" 스티브 오스틴 시절'''
'''시그니처 무브'''

  • 백 바디 드롭
  • 바디 슬램
  • 보스턴 크랩
  • 카타펄트
  • 클로스라인
  • ''Hollywood and Vine'' (스탠딩 피겨 포 레그락) -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
  • 점핑 스톰프 (무릎 꿇은 상대의 머리에 사용)
  • 니 드롭 (때때로 2단 또는 3단 로프에서 시전)
  • 나이프 에지 촙
  • 립프로그 바디 기요틴
  • 루 테즈 프레스 멀티플 펀치
  • ''Mudhole Stomp'' (코너에 앉아있는 상대의 가슴에 연속 스톰프, 과장된 동작 포함)
  • 포인티드 엘보 드롭 (때때로 2단 로프에서 시전)
  • 러시안 레그스윕
  • 사이드 수플렉스
  • 스파인버스터
  • 슈퍼 수플렉스
  • 스탠딩 파워밤
  • STF
  • STO
  • 버티컬 수플렉스

3. 1. 피니쉬 무브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은 다양한 피니쉬 무브를 사용했다. 링마스터 시절에는 백 엘보우 드롭, 프론트 드롭킥, 테드 디비아시에게서 전수받은 코브라 클러치 기술인 밀리언 달러 드림을 사용했다. "Superstar" 스티브 오스틴 시절에는 백브레이커 드롭, 크로스페이스 치킨윙, 스턴 건을 사용했다. "Stunning" 스티브 오스틴 시절에는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에서 백브레이커 드롭, 크로스페이스 치킨윙, 스턴 건을 사용했다.

"Stone Cold" 스티브 오스틴 시절에는 벨리 투 백 파일드라이버, 샤프슈터(Scorpion Deathlock), 마이키 윕렉에게서 전수받은 스톤 콜드 스터너를 사용했다. 특히 스톤 콜드 스터너는 상대의 턱을 자신의 어깨에 걸고 넘어뜨리는 기술로, 오스틴의 가장 상징적인 기술이다.

3. 2. 시그니처 무브

백 바디 드롭, 바디 슬램, 보스턴 크랩, 카타펄트, 클로스라인, 점핑 스톰프, 니 드롭, 나이프 에지 촙, 러시안 레그스윕, 사이드 수플렉스, 스파인버스터, 슈퍼 수플렉스, 스탠딩 파워밤, STF, STO, 버티컬 수플렉스등을 사용한다. 코너에 몰린 상대에게 연속적으로 스톰프를 날리는 Mudhole Stomp, 루 테즈 프레스에 이은 펀치 연타등이 있다.

4. 유행어

"And that's the bottom line, because Stone Cold said so!" (그게 전부야, 왜냐하면 스톤 콜드가 말했으니까!), "Austin 3:16 says I just whipped your ass!" (오스틴서 3장 16절에는 내가 방금 네 엉덩이를 걷어찼다고만 나왔어!), "Gimme a Hell Yeah" (내 말이 맞는 것 같으면 Hell Yeah을 외쳐), "What?!" (뭐라고?!)

5. 챔피언 경력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은 프로레슬링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선수로, 다양한 단체에서 수많은 챔피언 경력을 쌓았다. WCW에서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브라이언 필먼과 함께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를 차지했다. NWA에서도 브라이언 필먼과 함께 월드 태그팀 챔피언에 올랐다.

WWF/WWE에서는 6회의 WWF/WWE 챔피언, 2회의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1회의 밀리언 달러 챔피언을 획득했다. 또한 숀 마이클스, 듀드 러브, 언더테이커, 트리플 H와 함께 4회의 월드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했다. 1996년에는 킹 오브 더 링에서 우승했고, 1997년, 1998년, 2001년에는 로얄 럼블에서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3회)을 보유하고 있다. TWA에서는 로드 프라이스와 함께 태그팀 챔피언을 차지한 바 있다.

6. 기타

6. 1. 별명

"3:16", "Austin 3:16", "Bionic Redneck", "Extreme Superstar", "Rattlesnake", "Stone Cold", "Stunning", "Texas Rattlesnake", "Toughest SOB in the WWF/WWE" 등의 별명을 가지고 있다.

6. 2. 입장 테마곡

스티브 오스틴은 다양한 입장 테마곡을 사용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는 Van Halen의 "Runnin' with the Devil"을 사용했고, 1991년부터 1993년까지는 Opus 1의 "A Roman Love"를 사용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Chris Goulstone의 "Satan's Sister"를, 1995년에는 Murray Head의 "Jesus Christ Superstar"를 사용했다. WWF에서는 1995년부터 1996년까지 Jim Johnston이 작곡한 "Ringmaster"를, 1996년부터 1998년까지는 "Hell Frozen Over"를 사용했다. 1998년부터 2000년, 그리고 2001년부터 현재까지는 "I Won't Do What You Tell Me"를 사용하고 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Disturbed의 "Glass Shatters"를, 2001년에는 Jim Johnston의 "Paranoid"와 "Venomous"를 사용했다.

6. 3. 수상 내역


  • 아이언 마이크 마주키 어워드 (2012)
  • 월드 레코드:모스트 윈즈 오브 더 WWE 로얄 럼블 (3회)
  • 클래스 오브 2022
  • 퓨드 오브 더 이열 (1998, 1999) vs 빅스 맥맨
  • 매치 오브 더 이열 (1997) vs 브렛 하트 인 어 서브미션 매치 엑트 레슬매니아 13
  • 모스트 헤이티드 레슬러 오브 더 이열 (2001)
  • 모스트 파펄러 오브 더 이열 (1998)
  • 루키 오브 더 이열 (1990)
  • 레슬러 오브 더 이열 (1998, 1999, 2001)
  • 랭크드 넘버 1 오브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1998 언드 1999
  • 랭크드 넘버 19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오브 더 PWI 500 이열즈 인 2003
  • 랭크드 넘버 50 오브 더 탑 100 태그팀 오브 더 PWI 이열즈 위드 브라이언 필먼 인 2003
  • 스탠리 웨스턴 어워드 (2019)
  • 클래스 오브 2016
  • TWA 태그팀 챔피언 (1회) - 로드 프라이스
  •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 WCW 월드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 WCW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1회) - 브라이언 필먼
  • NWA 월드 태그팀웨이트 챔피언 (1회) - 브라이언 필먼
  • WWF/WWE 챔피언 (6회)
  • WWF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2회)
  • WWF 밀리언 달러 챔피언 (1회)
  • 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 (4회) - 숀 마이클스 (1회), 듀드 러브 (1회), 언더테이커 (1회), 트리플 H (1회)
  • WWF 킹 오브 더 링 (1996)
  • WWF/WWE 로얄 럼블 (1997,1998, 2001)
  • 언티스퓨티드 WWF 챔피언 넘버원 컨텐더 토너먼트 (2002)
  • 피플스 트리플 크라운
  • 슬리미 어워드 (2회)
  • * 프리덤 오브 스피치 (1997)
  • * 베스트 어저널 WWE 네트워크 쇼 (2015)
  • WWE 홀 오브 페임 (2009)
  • 베스트 박스 오퍼스 드로 (1998, 1999)
  • 베스트 브롤러 (2001)
  • 베스트 기믹 (1998, 1999)
  • 베스트 악역 (1996)
  • 베스트 온 인터뷰즈 (1996-1998, 2001)
  • 베스트 논 레슬러 (2003)
  • 퓨드 오브 더 이열 (1997) - 하트 파운테이션
  • 퓨드 오브 더 이열 (1998, 1999) - 빈스 맥맨
  • 매치 오브 더 이열 (1997) vs 브렛 하트 인 어 서브미션 매치 엑트 레슬매니아 13
  • 모스트 캐어리즈매틱 (1997, 1998)
  • 루키드 오브 더 이열 (1990)
  • 태그팀 오브 더 이열 (1993) - 브라이언 필먼 헐리우드 블론즈
  • 워스트 워크드 매치 어브 더 이열 (1991) - 테리 테일러 vs 바비 이튼 언드 피엔 뉴스 인 어 스캐펄드 매치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1991
  • 레슬러 오브 더 이열 (1998)
  • 레슬링 옵저버 누즐레터 홀 오브 페임 (클래스 오브 2000)

6. 4. 출연 작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