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누라조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누라조류는 규산질 비늘과 가시로 덮인 세포를 특징으로 하는 조류의 일종이다. 이들은 두 개의 이형편모를 가지며, 무성생식과 동형배우자생식을 한다. 시누라조류는 오크로모나스목과 시누라목으로 나뉘며, 시누라속, 말로모나스속, 네오테셀라속 등을 포함한다. 1834년 크리스티안 고트프리트 에렌베르크에 의해 처음 분류되었으며, 황금조류에서 분리되어 Synurophyceae 강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현재는 황갈조강 내의 목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누라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학명 | Synurales |
명명자 | Andersen, 1987 |
일반 명칭 | 시누라조류 |
![]() | |
하위 계급 | 속 |
하위 분류 | 말로모나스 시누라 테셀라리아 |
생물학적 분류 | |
역 | 진핵생물 |
분류군 (미분류) | 쌍편모생물 |
계 | 크로말베올라타계 |
문 | 부등편모조문 |
강 | 시누라조강(Synurophyceae) |
강 명명자 | R.A.Andersen, 1987 |
2. 특징
세포는 일반적으로 규산질 비늘과 가시로 덮여 있다.[1]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단일 시누라 세포의 고배율 이미지를 보면, 약 50개의 섬세하고 타원형 비늘로 덮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누라''에서는 비늘이 일반적으로 두 개가 있는 엽록체의 표면에서 형성되지만,[1] 때로는 두 개의 엽으로 나뉜 하나만 보이기도 한다. 세포 앞쪽에 서로 평행하게 삽입된 두 개의 이형편모가 있는데, 그 미세 구조는 이 그룹의 특징이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2d9a98d6_4513c7ba.svg|center|upright=2|'''시누라조류의 표현'''
- 편모 (mastigoneme, 마스티고네메) 포함
- 팽창된 잔여 편모
- 표면 인편
- 골지체; 단백질을 변형시키고 세포 밖으로 보냄
- 색소체 막 (4개, 2차 적색)
- 틸라코이드, 광합성의 명반응 부위
- 핵
- 소포체, 세포의 특정 부분으로 이동하는 분자를 위한 수송 네트워크
- 미토콘드리아, 세포를 위한 ATP (에너지) 생성, 관형 크리스타
- 리소좀, 효소 보유
- 식세포 (먹이 포함)
- 강모
- 돔
- V 리브
- 방패
- 후드
- 플랜지
]]
2. 1. 형태
세포는 일반적으로 규산질 비늘과 가시로 덮여 있다.[1]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단일 시누라 세포의 고배율 이미지를 보면, 약 50개의 섬세하고 타원형 비늘로 덮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누라''에서는 비늘이 일반적으로 두 개가 있는 엽록체의 표면에서 형성되지만,[1] 때로는 두 개의 엽으로 나뉜 하나만 보이기도 한다. 세포 앞쪽에 서로 평행하게 삽입된 두 개의 이형편모가 있는데, 그 미세 구조는 이 그룹의 특징이다. 무성생식과 동형배우자생식 생식이 모두 일어난다.[[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2d9a98d6_4513c7ba.svg|center|thumb|upright=2|'''시누라조류의 표현'''
- 편모 (mastigoneme, 마스티고네메) 포함
- 팽창된 잔여 편모
- 표면 인편
- 골지체; 단백질을 변형시키고 세포 밖으로 보냄
- 색소체 막 (4개, 2차 적색)
- 틸라코이드, 광합성의 명반응 부위
- 핵
- 소포체, 세포의 특정 부분으로 이동하는 분자를 위한 수송 네트워크
- 미토콘드리아, 세포를 위한 ATP (에너지) 생성, 관형 크리스타
- 리소좀, 효소 보유
- 식세포 (먹이 포함)
- 강모
- 돔
- V 리브
- 방패
- 후드
- 플랜지
]]
2. 2. 생식
시누라는 무성생식과 동형배우자생식을 통해 번식한다.[1] 세포는 규산염 비늘과 가시로 덮여 있으며, 비늘은 일반적으로 두 개가 있는 엽록체의 표면에서 형성된다.[1] 때로는 엽록체가 두 개의 엽으로 나뉜 하나만 보이기도 한다.[1] 세포 앞쪽에는 서로 평행하게 삽입된 두 개의 이형편모가 있는데, 그 미세 구조는 시누라조류의 특징이다.3. 분류
시누라조류는 크게 오크로모나스목 (Ochromonadales)과 시누라목 (Synurales)으로 나뉜다.[2] 오크로모나스목은 오크로모나스과(Ochromonadaceae) 등을 포함하며, 시누라목은 말로모나스과(Mallomonadaceae), 시누라과(Synuraceae), 네오테셀라과(Neotessellaceae) 등을 포함한다.[2]
시누라목에는 말로모나스과(Mallomonadaceae)의 ''말로모나스''(Mallomonas), 시누라과(Synuraceae)의 ''시누라''(Synura), 네오테셀라과(Neotessellaceae)의 ''네오테셀라''(Neotessella) 등이 있다.[2]
3. 1. 하위 분류
시누라조류는 크게 오크로모나스목 (Ochromonadales)과 시누라목 (Synurales)으로 나뉜다.[2] 오크로모나스목은 오크로모나스과(Ochromonadaceae) 등을 포함하며, 시누라목은 말로모나스과(Mallomonadaceae), 시누라과(Synuraceae), 네오테셀라과(Neotessellaceae) 등을 포함한다.[2]시누라목에는 말로모나스과(Mallomonadaceae)의 ''말로모나스''(Mallomonas), 시누라과(Synuraceae)의 ''시누라''(Synura), 네오테셀라과(Neotessellaceae)의 ''네오테셀라''(Neotessella) 등이 있다.[2]
4. 역사
1834년 독일의 현미경학자 크리스티안 고트프리트 에렌베르크가 ''시누라'' 속을 제안했다.[3] 시누라조류는 원래 황금조류에 속했으며, Ochromonadales의 일종으로 Mallomonadaceae 또는 Synuraceae 과로 분류되었다. 1987년 안데르센은 시누라조류를 별도의 그룹으로 공식적으로 정의하여 영국의 조류학자 데이비드 히버드의 이전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Synurophyceae라는 자체 강으로 분류했다.[4][5]
황갈조강과 시누라조강은 현재 Stramenopile 내에서 밀접하게 관련된 분류군으로 인식되고 있다.[6][7] 현재 분류는 시누라조류를 황갈조강 내의 목(Synurales)으로 포함하고 있다.
5. 한국의 시누라조류 연구
참조
[1]
논문
Ultrastructure and assembly of the scale case in ''Synura'' (Synurophyceae Andersen)
[2]
Q인용
[3]
간행물
Third contribution to [our] knowledge of greater organiz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mallest realm
https://www.biodiver[...]
1833
[4]
논문
The ultrastructure and taxonomy of the Chrysophyceae and Prymnesiophyceae (Haptophyceae): A survey with some new observations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Chrysophyceae
[5]
논문
The structure and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the flagellar transition region in the chlorophyll c-containing algae
[6]
논문
Multigene Evidence for the Placement of a Heterotrophic Amoeboid Lineage Leukarachnion sp. among Photosynthetic Stramenopiles
2009-03
[7]
논문
Scale bearing chrysophytes from Papua New Guinea
1993-03
[8]
웹인용
Class: Synurophyceae
http://www.algaebase[...]
AlgaeBase
2020-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