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등편모조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등편모조류는 다양한 조류, 균류, 원생생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생물군으로, 털(마스티고네메)로 덮인 특징적인 편모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SAR 상군에 속하며, 편모의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 부등편모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얻는 종과 종속 영양을 하는 종으로 나뉘며, 갈조류, 규조류, 난균류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부는 기생 생활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등편모조류 - 유사균류
유사균류는 과거 균류로 분류되었으나 진균류와는 다른 계통이며, 난균류, 사카게카비류 등을 포함하고 농작물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 부등편모조류 - 역모균류
역모균류는 유주자의 앞쪽에 편모를 가지며 셀룰로스와 키틴으로 된 세포벽, 관상 크리스타를 갖는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는 부등편모조류의 일종으로, 해수, 담수,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다른 생물에 기생하기도 한다. - 조류 - 스토레아툴라속
스토레아툴라속은 세균에 속하는 속이다. - 조류 - 규조토
규조토는 규조류의 화석 잔해로 구성된 퇴적암으로, 여과 보조제, 연마재, 단열재, 살충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 부등편모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Stramenopiles Patterson, 1989 |
| 하위 분류 | 비기라 위균류 오크로식물 |
| 이명 | Straminopiles Vørs, 1993 Heterokonta Cavalier-Smith, 1986 Heterokontophyta van den Hoek et al., 1995 Stramenopila Alexopoulos et al., 1996 Straminipila Dick, 2001 Stramenipila Dick, 2001, 정자 변형 |
| 다양성 | 100,000종 이상 |
| 화석 범위 | 후기 중원생대 - 현재 |
| 어원 | |
| 스트라멘 | 라틴어 stramen (짚) |
| 필루스 | 라틴어 pilus (털) |
| 분류 체계 | |
| 도메인 | 진핵생물 Eukaryota |
| 상계 계급 없음 | 디아포레티케스 Diaphoretickes |
| 계 계급 없음 | SAR 슈퍼그룹 Sar |
2. 역사
1989년 D. J. 패터슨은 '스트라메노필'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는데, 이는 모호하게 정의된 이형편모조류와 겹치는 그룹을 정의한 것이었다.[10][11]
'이형편모'라는 용어는 세포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분류군 이름으로 사용된다. 1899년 알렉산더 루터(Alexander Luther)는 현재 황록조강으로 여겨지는 조류에 대해 'Heterokontae' 분류군을 처음 사용했다.[13] 그러나 1956년 코플랜드(Copeland)는 황록조류(Vaucheriacea라는 이름 사용)를 포함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하는 등,[14] 다른 조류 그룹에도 같은 용어가 사용되었다. 코플랜드는 황조식물류, 규질편모조류, 사상균류 외에도 관련 없는 칼라 편모류(초편모류)와 쌍자편모류, 밀접하게 관련이 없는 갈조식물류도 포함했다.
이처럼 '이형편모'라는 분류군에 여러 개념이 연관되면서, 그 의미는 용법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되어야 했다. (예: Heterokontae sensu Luther 1899; Heterokontae sensu Copeland 1956) 그러나 이러한 상황적 설명은 드물어, 분류군 이름이 사용될 때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이형편모'라는 용어는 이 그룹의 정체성, 본질, 특성 및 관련성에 대한 중요한 논의에서 유용성을 잃게 되었다.[15]
1970년대 초미세 구조 연구를 통해 색소체(클로로필 a 및 c)를 가진 조류 사이에서 이전에 인식되었던 것보다 더 큰 다양성이 드러났다. 또한 단세포 진핵생물을 동물과 식물로 구분하는 19세기적 관점을 대신하여 원생생물학적 관점이 자리를 잡았다. 그 결과, 이전에 '이형편모류'로 여겨지지 않던 다양한 종속영양 생물이 '핵심 이형편모류'(강한 털을 가진 앞쪽 편모를 가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새롭게 인식된 친척으로는 기생성 오팔리나류, 전기편모충류, 방사충강 태양충류가 있었으며, 쌍자편모류, 미로균류, 난균류와 같은 다른 종속영양 원생생물은 일부에서 이형편모류로 포함되거나 제외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트라메노필'이라는 이름은 변환된 분지학자들이 혁신적인 특징 또는 파생형을 지적하는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계통군(단계통 및 완전계통 계통)을 식별하고자 도입되었다.[16]
2. 1. "스트라메노필" 용어의 기원
스트라메노필이라는 용어는 1989년 D. J. 패터슨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모호하게 정의된 이형편모조류와 겹치는 그룹을 정의했다.[10][11]1970년대 초미세 구조 연구를 통해 색소체(클로로필 a 및 c)를 가진 조류 사이에서 이전에 인식되었던 것보다 더 큰 다양성이 드러났다. 동시에, 단세포 진핵생물을 동물과 식물로 구분하는 19세기적 관점을 대신하여 원생생물학적 관점이 자리를 잡았다. 그 결과, 이전에 '이형편모류'로 여겨지지 않던 다양한 종속영양 생물이 '핵심 이형편모류'(강한 털을 가진 앞쪽 편모를 가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새롭게 인식된 친척으로는 기생성 오팔리나류, 전기편모충류, 방사충강 태양충류가 있었다. 이들은 쌍자편모류, 미로균류, 난균류와 같은 다른 종속영양 원생생물과 합류했는데, 일부에서는 이형편모류로 포함하고 다른 일부에서는 제외하기도 했다.
이처럼 '이형편모'라는 용어의 의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어 모호해짐에 따라, 삼중 강모(보통 편모) 털을 가지고 있고 모든 후손을 가진 원생생물 계통군을 지칭하기 위해 '스트라메노필'이라는 이름이 도입되었다. 분자 연구는 이러한 털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스트라메노필에만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17]
2. 2. "이형편모(Heterokont)" 문제
1989년 D. J. 패터슨은 '스트라메노필'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는데, 이는 모호하게 정의된 이형편모조류와 겹치는 그룹을 정의한 것이었다.[10][11]'이형편모'라는 용어는 세포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사용되거나, 분류군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Heterokontae' 분류군은 1899년 알렉산더 루터(Alexander Luther)가 현재 황록조강으로 여겨지는 조류에 대해 처음 사용했다.[13] 그러나 같은 용어가 다른 조류 그룹에도 사용되었다. 1956년 코플랜드(Copeland)는 황록조류(Vaucheriacea라는 이름 사용)를 포함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는데,[14] 여기에는 황조식물류, 규질편모조류, 사상균류가 포함되었다. 코플랜드는 또한 관련 없는 칼라 편모류(초편모류)를 포함시켰는데, 여기에는 쌍자편모류가 포함되었고, 밀접하게 관련이 없는 갈조식물류도 포함했다.
이처럼 '이형편모'라는 분류군에 여러 개념이 연관되면서, 그 의미는 용법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되어야 했다. (예: Heterokontae sensu Luther 1899; Heterokontae sensu Copeland 1956) 그러나 이러한 상황적 설명은 드물기 때문에, 분류군 이름이 사용될 때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이형편모'라는 용어는 이 그룹의 정체성, 본질, 특성 및 관련성에 대한 중요한 논의에서 유용성을 잃게 되었다.[15]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히 1970년대에 초미세 구조 연구를 통해 색소체(클로로필 a 및 c)를 가진 조류 사이에서 이전에 인식되었던 것보다 더 큰 다양성이 드러났다. 또한 단세포 진핵생물을 동물과 식물로 구분하는 19세기적 관점을 대신하여 원생생물학적 관점이 자리를 잡았다. 그 결과, 이전에 '이형편모류'로 여겨지지 않던 다양한 종속영양 생물이 '핵심 이형편모류'(강한 털을 가진 앞쪽 편모를 가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새롭게 인식된 친척으로는 기생성 오팔리나류, 전기편모충류, 방사충강 태양충류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어 모호해진 '이형편모' 대신, '스트라메노필'이라는 이름이 도입되었다. 이는 삼중 강모(보통 편모) 털을 가지고 있고 모든 후손을 가진 원생생물 계통군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었다. 분자 연구는 이러한 털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스트라메노필에만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17]
3. 특징

부등편모조류는 대부분 정점 근처에 두 개의 편모를 가지며, 이는 독특한 패턴의 4개의 미세 소관 뿌리에 의해 지지된다. 편모 내부에는 두 개의 중심 미세 소관 주위에 9개의 주변 짝을 이루는 독특한 기하학적 패턴을 가진 박동하는 축사가 있고, 이는 기저체의 9중 구조로 바뀌는 전환 나선이 있다.
많은 부등편모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음식을 만드는 색소체를 가지고 있다. 이 색소체는 클로로필 a, 클로로필 c, 푸코산틴 때문에 옅은 녹색, 주황색, 금색 또는 갈색을 띤다. 이러한 형태의 색소체를 스트라메노크롬 또는 크로모플라스트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자가 영양 부등편모조류는 갈조류(사초류 및 기타 해조류)와 규조류이다. 규조류는 해양 및 담수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1차 생산자 중 하나이다.[22]
대부분의 분자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가장 기저에 있는 부등편모조류는 색소체가 없어 무색 종속 영양 생물이었으며, 다른 유기체를 먹고 살았다. 즉, 부등편모조류는 종속 영양 생물에서 발생하여 다양해졌고, 이후 일부가 크로모플라스트를 획득했음을 의미한다. 일부 계통(크로모피틱 페디넬리드류, 무색 섬모충류, 무색 방사충 해양 생물을 포함하는 축삭류 계통 등)은 이차적으로 종속 영양 상태로 되돌아갔다.[23][24]
일부 부등편모조류는 자연 생태계에서 독립영양생물 및 종속영양생물로서 중요하며, 다른 것들은 기생충이다. ''Blastocystis''는 인간의 위장관 기생충이다.[25] 오팔린과 프로테로모나드는 냉혈 척추동물의 장에서 살며 기생충으로 묘사되어 왔다.[26] 난균류에는 감자 역병의 원인인 ''Phytophthora infestans''와 같은 중요한 식물 병원균이 포함된다.[27] 규조류는 대부분의 해양 서식지에서 가장 중요한 독립영양생물이므로, 지구 탄소 순환에 주요 기여를 한다.[28] 괭생이모자반과 다시마와 같은 친숙한 해조류를 포함하는 갈조류는 조간대 및 조하대 해양 서식지의 주요 독립영양생물이다.[29] ''Cafeteria''와 같은 일부 박테리아 섭식 스트라메노필은 박테리아의 흔하고 광범위한 소비자이며, 미생물 먹이 그물 내에서 탄소와 영양소를 재활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0][31]
3. 1. 편모와 편모 소모
스트라메노필에서 삼중 편모 털의 추정 파생형질은 잘 특징지어진다. 털의 기저부는 유연하며 세포막에 삽입된다. 두 번째 부분은 길고 뻣뻣한 튜브('빨대' 또는 '스트라멘')가 지배한다. 마지막으로 튜브는 마스티고네메라고 불리는 많은 섬세한 털로 덮여 있다.[18] 마스티고네메를 암호화하는 단백질은 스트라메노필 계통에만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러한 털이 더 이상 없는 분류군(예: 규조류)에도 존재한다.[19]
대부분의 스트라메노필은 정점 근처에 두 개의 편모가 있다.[20] 이들은 일반적으로 독특한 패턴의 4개의 미세 소관 뿌리에 의해 지지된다. 편모 내부에는 두 개의 중심 미세 소관 주위에 9개의 주변 짝의 독특한 기하학적 패턴을 가진 박동하는 축사가 기저체의 9중 구조로 바뀌는 전환 나선이 있다.[21]
색소체의 유무나 세포외피 구조의 종류 등, 스트라메노필의 세포 구조는 다양하다. 이러한 생물을 묶는 공유 파생 형질은 편모에 갖춰진 '''관상 소모'''('''관상 마스티고네마''' tubular mastigonemes영어; 그리스어 mastigosla 편모 + nemala 실)이다. 편모 전체의 형태가 새의 깃털과도 비슷하기 때문에, 이전에는 '''우상 편모'''라고 불렸다. 편모에 소모를 가진 생물은 갈조류, 유글레나 조류, 프라시노조류 등 다양한 분류군에서 볼 수 있지만, 스트라메노필의 편모 소모에는 세포의 추진력을 역전시키는 특이한 기능이 있다.
스트라메노필의 대부분은 2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전편모(세포의 진행 방향으로 뻗은 편모)에 관상 소모가 부착되어 있다. 이 소모는 기부, 축부, 선단모로 구성된 3부분 구조로, 축부의 두께는 수십 nm, 전체 길이는 최장 수 μm 정도이다. 축부는 "관상"이라는 이름처럼 속이 비어 있으며, 생물에 따라서는 이 부분에 더 미세한 측모가 나 있다. 선단모는 1개 ~ 수 개이며, 개수는 생물 종에 따라 다르다. 소모의 기부는 편모에 대해 유연하며, 편모 운동과 함께 관상 소모도 물을 젓는 듯이 움직인다. 이 소모의 움직임이 편모 자체와 역방향의 물의 흐름을 만들어내어 추진력의 역전에 기여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소모 구조는 매우 작기 때문에, 관찰에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이 필요하다. 한편, 후편모에는 관상 소모가 부착되지 않아, 추진력을 역전시키는 효과는 없다.
대표적인 부등모 식물인 갈조류와 규조류는 평소에는 편모를 가지지 않지만, 생활환의 일부에서 유주 세포를 생성하며, 이때 소모가 있는 편모를 갖춘다. 스트라메노필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편모를 가진 유주 세포의 형태는 공통성이 높다. 그러나 (태양충) 등, 생활환을 통틀어 유주 세포기를 가지지 않고, 따라서 관상 소모를 전혀 가지지 않는 스트라메노필도 있다.
3. 2. 색소체
많은 스트라메노필은 빛을 사용하여 스스로 음식을 만드는 광합성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색소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색소체는 클로로필 a, 클로로필 c 및 푸코산틴의 존재로 인해 옅은 녹색, 주황색, 금색 또는 갈색을 띤다. 이러한 형태의 색소체는 스트라메노크롬 또는 크로모플라스트라고 불린다. 가장 중요한 자가 영양 스트라메노필은 갈조류(사초류 및 기타 많은 해조류)와 규조류이다. 후자는 해양 및 담수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1차 생산자 중 하나이다.[22] 대부분의 분자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가장 기저의 스트라메노필은 색소체를 가지지 않았고 그에 따라 무색 종속 영양 생물이었으며, 다른 유기체를 먹고 살았다. 이것은 스트라메노필이 종속 영양 생물로 발생하여 다양해진 다음 그들 중 일부가 크로모플라스트를 획득했음을 의미한다. 일부 계통 (크로모피틱 페디넬리드류, 무색 섬모충류, 무색 방사충 해양 생물을 포함하는 축삭류 계통 등)은 이차적으로 종속 영양 상태로 되돌아갔다.[23][24]
4. 생태
일부 부등편모조류는 자연 생태계에서 독립영양생물 및 종속영양생물로서 중요하며, 다른 것들은 기생충이다. ''Blastocystis''는 인간의 위장관 기생충이다.[25] 오팔린과 프로테로모나드는 냉혈 척추동물의 장에서 살며 기생충으로 묘사되어 왔다.[26] 난균류에는 감자 역병의 원인인 ''Phytophthora infestans''와 같은 중요한 식물 병원균이 포함된다.[27] 규조류는 대부분의 해양 서식지에서 가장 중요한 독립영양생물이므로, 지구 탄소 순환에 주요 기여를 한다.[28] 괭생이모자반과 다시마와 같은 친숙한 해조류를 포함하는 갈조류는 조간대 및 조하대 해양 서식지의 주요 독립영양생물이다.[29] ''Cafeteria''와 같은 일부 박테리아 섭식 스트라메노필은 박테리아의 흔하고 광범위한 소비자이며, 따라서 미생물 먹이 그물 내에서 탄소와 영양소를 재활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0][31]
5. 진화
부등편모조류는 진핵생물에 속하는 다양한 생물군을 포함하는 큰 분류군이다. 이들의 진화 역사는 복잡하며, 여러 연구를 통해 계통 발생 관계가 밝혀지고 있다.
2021년에는 피코조아가 홍조식물과 가깝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고,[57] 2022년에는 미생물 포식자 집단인 프로보라가 발견되었다.[58] 메타모나다는 디스코바 또는 말라이모나스문의 자매일 가능성이 있어 분류가 어렵다.[59][60][61]
SAR 분류군은 폐포생물, 리자리아, 부등편모조류(스트라메노필)로 구성되며, 모두 관 모양의 크리스테를 가진다.[32][24][33] SAR 분류군 이름은 각 구성원의 머리글자에서 유래했다. SAR 분류군 조상은 단세포 광합성 홍조식물을 포획한 것으로 추정되며, 스트라메노필, 리자리아 등은 여전히 홍조류의 이중 막과 이를 둘러싼 이중 막을 유지하는 색소체를 가져 총 4개의 막을 형성한다.[34] 텔로네미아는 삼분된 마스티고네메를 가진 이형편모를 가지고 있어, 스트라메노필 특성의 오래된 기원을 시사한다.[35]
Bigyra의 계통 발생 관계는 분석에 따라 단계통군[36][40] 또는 측계통군으로 나타나며, 분기 순서도 다양하다. Sagenista 또는 Opalozoa가 가장 기저 분기 분류군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36][41][37][38] Platysulcea는 다른 모든 스트라메노필의 자매군으로 나타난다.[40][41] 2023년 발견된 ''Kaonashia insperata''는 Gyrista와 더 가깝다.[37]
5. 1. 상위 분류
다음은 부등편모조류의 계통 분류이다.[62][63][64]{|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부등편모조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술쿠스강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사게니스타류
|-
|
| Eogyrea |
| 망형충류 |
|-
|
{| class="wikitable"
|-
| 비코소에카류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플라시디아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시디아강
|-
|
{| class="wikitable"
|-
| 나노모나스강
|-
|
{| class="wikitable"
|-
| 오팔로모나스강
|-
! style="text-align:left;" |오팔리나상강
|-
|
|}
|}
|}
|-
! style="text-align:left;" |기리스타류
|-
|
{| class="wikitable"
|-
| 비기로모나드강
|-
|
{| class="wikitable"
|-
| 난균류
|-
|
{| class="wikitable"
|-
| 역모균류
|-
|
|}
|}
|}
|}
|}
|}
|}
|}
스트라메노필은 SAR 분류군을 형성하는 폐포생물, 리자리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관형 크리스테를 가진다. SAR 분류군의 이름은 이들의 머리글자에서 유래되었다.[32][24][33] SAR 분류군의 조상은 단세포 광합성 홍조식물을 포획한 것으로 보이며, 많은 스트라메노필뿐만 아니라 리자리아와 같은 다른 SAR 그룹의 구성원들은 여전히 홍조류의 이중 막과 이를 둘러싼 이중 막을 유지하는 색소체를 가지고 있어 총 4개의 막을 형성한다.[34] 또한, SAR의 자매 그룹인 텔로네미아의 종은 삼분된 마스티고네메를 가진 이형편모를 나타내며, 이는 스트라메노필 특성의 더 오래된 기원을 암시한다.[35]
스트라메노필은 알베올라타, 리자리아와 함께 SAR을 형성한다.[47] 이전에는 스트라메노필, 알베올라타, 갈조류, 은편모조류가 크로말베올라타를 형성한다는 설이 유력했으며, 2005년에는 국제 원생동물 학회 (ISOP)의 분류에도 채택되었다.[48] 그러나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여러 연구에서 부정되어,[47] 2012년 분류 개정에서는 SAR로 대체되었다. 더욱 이전에는 스트라메노필에 은편모조류와 갈조류를 더하여 크로미스타로 하는 설도 있었다.
5. 2. 하위 분류
| 계통군 | 하위 분류 |
|---|---|
| 유채색군 | |
| 무채색군 |
다음은 부등편모조류의 계통 분류이다.[62][63][64]
{{분지군| style=font-size:85%;line-height:85%
|분류1=부등편모조류
|1={{분지군
|1=플라티술쿠스강
|2={{분지군
|분류1=사게니스타류
|1={{분지군
|1=Eogyrea
|2=망형충류
}}
|2={{분지군
|1=비코소에카류
|2={{분지군
|분류1=플라시디아류
|1={{분지군
|1=플라시디아강
|2={{분지군
|1=나노모나스강
|2={{분지군
|1=오팔로모나스강
|분류2=오팔리나상강
|2={{분지군
|1=블라스토키스티스강
|2=오팔리나강
}}
}}
}}
}}
|분류2=기리스타류
|2={{분지군
|1=비기로모나드강
|2={{분지군
|1=난균류
|2={{분지군
|1=역모균류
|2={{분지군
|1=피르소니아강
|2=대롱편모조식물
}}
}}
}}
}}
}}
}}
}}
}}
스트라메노필에는 비기라(Bigyra), 가균류(Pseudofungi), 오크로식물(Ochrophyta) (부등모식물(Heterokontophyta))의 3가지 계통이 인식되고 있다.[49][50] 엽록체가 없는 "무색 스트라메노파일"(비기라와 가균류) 중에서, 많은 수가 엽록체를 가진 오크로식물이 파생되었다.
{{Clade | style=line-height:100%; font-size:small
|label1='''스트라메노파일'''
|1={{Clade
|1={{Clade
|1=비기라
}}
|label2=Gyrista
|2={{Clade
|1=가균류
|2=오크로식물 (부등모식물)
}}
}}
}}
다만, 이 3가지 계통이 분기하는 주변에는, 아마도 종속영양성 생물에 유래한 MAST (MArine STramenopiles)라고 불리는 매우 다양한 환경 DNA 배열군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그 정체나 자세한 계통 관계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51]
계통학을 중시하는 국제 원생생물 학회 (ISOP)의 2019년 체계[52]에서는, 가균류를 하나의 계통으로 묶는 것이 아니라, 오크로식물에 근연한 계통으로 병립시키고 있다. 한편, 린네식 계급 분류를 철저히 한 캐벌리어-스미스의 체계에서는, 비기라, 가균류, 오크로식물의 3가지를 문에 해당한다.[53]
6. 계통 분류
다음에 제안된 계통발생에는 엑스카바타 생물군 중 단 하나의 그룹(디스코바)만 포함되어 있으며[56] 피코조아가 홍조식물의 가까운 친척이라는 2021년 제안이 포함되어 있다.[57] 프로보라는 2022년에 발견된 미생물 포식자 집단이다.[58] 메타모나다는 아마도 디스코바, 아마도 말라이모나스문의 자매일 가능성이 있어 배치하기 어렵다.[59][60][61]
다음은 부등편모조류의 계통 분류이다.[62][63][64]
Adl ''et al.'' (2019)에 따른 스트라메노필의 분류, 최신 연구 추가:[39]
- Platysulcea[40]
- Bigyra
- Opalozoa
- Nanomonadea
- Opalinata [=Slopalinida]
- Bicosoecida
- Sagenista
- Labyrinthulomycetes
- Pseudophyllomitidae[41]
- Gyrista
- Bigyromonada
- Developea
- Pirsoniales
- Pseudofungi
- Hyphochytriales
- Peronosporomycetes [=Oomycetes]
- Actinophryidae
- Ochrophyta
- Chrysista
- Chrysoparadoxophyceae[42]
- Chrysophyceae
- Chloromorophyceae (''nomen dubium'')[43]
- Eustigmatophyceae
- Olisthodiscophyceae[44][45]
- Phaeophyceae
- Phaeosacciophyceae[46]
- Phaeothamniophyceae
- Raphidophyceae
- Schizocladiophyceae
- Synchromophyceae [=Picophagea]
- Xanthophyceae [Heterokontae; Heteromonadea; Xanthophyta]
- Diatomista
- Bolidophyceae
- Diatomeae [=Bacillariophyta]
- Dictyochophyceae
- Pelagophyceae
- Pinguiophyceae
참조
[1]
학술지
Stramnenopiles
https://www.scienced[...]
2009-02-17
[2]
서적
The chromophyte algae: Problems and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3]
학술지
Marine heterotrophic amoebae, flagellates and heliozoa from Belize (Central America) and Tenerife
[4]
학술지
A preliminary catalogue of the names of fungi above the rank of order
http://ucjeps.berkel[...]
[5]
서적
Progress in Phycological Research
Elsevier
[6]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Introductory Mycology
Wiley
[8]
서적
Straminipilous Fungi: Systematics of the Peronosporomycetes Including Accounts of the Marine Straminipilous Protists, the Plasmodiophorids and Similar Organis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
[9]
웹사이트
Stramenipila M.W. Dick (2001)
http://www.mycobank.[...]
International Mycological Association
[10]
서적
The chromophyte algae: problems and perspectives
Clarendon Press
[11]
학술지
The Diversity of Eukaryotes
[12]
학술지
A preliminary catalogue of the names of fungi above the rank of order
https://ucjeps.berke[...]
[13]
서적
Über Chlorosaccus eine neue Gattung der Süsswasseralgen nebst einiger Bemerkungen zur Systematik verwandter Algen
Norstedts förlag
1899
[14]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Lower Organisms
Pacific Books
[15]
학술지
Chromista revisited: A dilemma of overlapping putative kingdoms, and the attempted application of the botanical code of nomenclature
http://www.phytologi[...]
[16]
서적
Problems in Phylogenetic Reconstruction
Academic Press
[17]
학술지
Characterisation of Stramenopile-specific mastigoneme proteins in Phytophthora parasitica
[18]
학술지
The structure, origin, and composition of the tubular mastigonemes of the ''Ochromonas'' flagellum
1971-08-01
[19]
학술지
Identification of a Mastigoneme Protein from Phytophthora nicotianae
[20]
서적
Encyclopedia of Microbiology
Elsevier
[21]
학술지
Proteomics Analysis of Heterogeneous Flagella in Brown Algae (Stramenopiles)
https://hal.sorbonne[...]
[22]
학술지
The stramenopiles from a molecular perspective: 16S-like rRNA sequences from Labyrinthuloides minuta and Cafeteria roenbergensis
[23]
학술지
Are Thraustochytrids algae?
[24]
학술지
A Phylogenomic Framework to Study the Diversity and Evolution of Stramenopiles (=Heterokonts)
2016-08-10
[25]
학술지
Update on the pathogenic potential and treatment options for Blastocystis sp
[26]
서적
Animal Parasites : their life cycles and ecology
Dover
1986
[27]
학술지
Potato and tomato late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infestans'': An overview of pathology and resistance breeding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2011-08-17
[28]
학술지
Role of diatoms in regulating the ocean's silicon cycle
[29]
학술지
Brown algae
2011-08-09
[30]
웹사이트
Cafeteria T.Fenchel & D.J.Patterson 1988
https://www.algaebas[...]
2011-04-07
[31]
학술지
Cafeteria roenbergensis nov. gen., nov. sp., a heterotrophic microflagellate from marine plankton
https://books.google[...]
[32]
간행물
New concepts for the system of unicellular organisms
1980
[33]
학술지
Phylogenomics reveals a new 'megagroup' including most photosynthetic eukaryotes
2008-08
[34]
서적
International Review of Cell and Molecular Biology
Elsevier
[35]
학술지
On the origin of TSAR: morphology, diversity and phylogeny of Telonemia
The Royal Society
[36]
논문
Phylogeny of Heterokonta: Incisomonas marina, a uniciliate gliding opalozoan related to Solenicola (Nanomonadea), and evidence that Actinophryida evolved from raphidophytes
2013
[37]
Q인용
Q123562228
[38]
Q인용
Q124719861
[39]
논문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40]
논문
Taxon-rich Multigene Phylogenetic Analyses Resolv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Deep-branching Stramenopiles
https://www.scienced[...]
2019
[41]
논문
Pseudophyllomitus vesiculosus (Larsen and Patterson 1990) Lee, 2002, a Poorly Studied Phagotrophic Biflagellate is the First Characterized Member of Stramenopile Environmental Clade MAST-6
https://www.scienced[...]
2017
[42]
논문
The golden paradox - a new heterokont lineage with chloroplasts surrounded by two membranes
2019-04
[43]
논문
Sequence analysis confirms a new algal class
https://hal.science/[...]
2018
[44]
논문
Olisthodiscophyceae, the 17th heterokont algal class
2021-07-21
[45]
논문
"Olisthodiscus represents a new class of Ochrophyta"
http://urn.nb.no/URN[...]
2021-03-02
[46]
논문
Multigene Phylogeny,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Re-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Lead to the Description of the Phaeosacciophyceae Classis Nova and Four New Species of the Heterokontophyta SI Clade
2020-12
[47]
간행물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http://www.paru.cas.[...]
[48]
간행물
The New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with Emphasis on the Taxonomy of Protists
null
[49]
간행물
Seven gene phylogeny of heterokonts
http://linkinghub.el[...]
[50]
논문
A Phylogenomic Framework to Study the Diversity and Evolution of Stramenopiles (=Heterokonts)
[51]
논문
Exploring the uncultured microeukaryote majority in the oceans: Reevaluation of ribogroups within stramenopiles
[52]
논문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53]
논문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54]
웹인용
stramenopiles
http://www.uniprot.o[...]
2009-03-08
[55]
서적
https://archive.org/[...]
[56]
논문
2018-01-19
[57]
논문
http://urn.kb.se/res[...]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http://rspb.royalsoc[...]
2016-01-27
[61]
논문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http://linkinghub.el[...]
[62]
논문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63]
논문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64]
논문
Phylogeny of Heterokonta: Incisomonas marina, a uniciliate gliding opalozoan related to Solenicola (Nanomonadea), and evidence that Actinophryida evolved from raphidophyte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