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병현은 일제강점기 황해도 장연군 출신의 경제 관료이자 정치인이다. 일본 후쿠시마 고등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조선은행, 한국은행에서 근무했으며, 주미대사관 참사관, 국제부흥개발은행 교환이사 겸 고문을 역임했다.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 1975년 대통령 경제담당 특별보좌관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한국은행 총재, 상공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지냈다. 전두환 정권에서 물가 안정 정책을 추진했으며, 진의종 국무총리 뇌졸중으로 인해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최규하 정부의 국무위원 - 진의종
진의종은 일제강점기 홋카이도청 농무과장을 거쳐 대한민국 상공부 차관, 보건사회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4선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최규하 정부의 국무위원 - 오탁근
오탁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찰총장 및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활동하다 10·26 사건 처리 후 강제 퇴임, 이후 법무부 장관,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변호사 등으로 활동했다. - 한국은행 총재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한국은행 총재 - 박승
박승은 1936년 출생하여 서울대학교와 뉴욕 주립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한국은행 총재,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 건설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경제기획원 장관 - 남덕우
남덕우는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과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하고 제14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 대한민국의 경제기획원 장관 - 김만제
김만제는 1934년생으로 미주리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이며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 주요 직책을 거쳐 한국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관료, 기업인, 정치인으로, 삼성생명과 포항제철 회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하며 은탑산업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청조근정훈장 등을 수훈했다.
| 신병현 | |
|---|---|
| 기본 정보 | |
| 출생 | 1935년 2월 2일 |
| 사망 | 2023년 1월 29일 (향년 87세) |
| 국적 | 대한민국 |
| 본관 | 평산 신씨 |
| 직업 | |
| 직업 | 기업인, 정치인 |
| 학력 | |
| 최종 학력 |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학사 |
| 경력 | |
| 주요 경력 | 제11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제13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제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대한생명보험 회장 한화그룹 부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부위원장 한화갑을 회장 |
| 상훈 | |
| 상훈 | 국민훈장 무궁화장 |
2. 생애
黃海道|황해도중국어 일제강점기 장연군에서 태어났다. 일본 후쿠시마 고등상업학교를 졸업했다. 1943년 조선은행에 입행하여 1956년 한국은행 조사부장이 되었다.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수료했으며, 1959년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미대사관 참사관(1961년)을 거쳐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교환이사 겸 고문(1970년-1975년)을 역임했다. 1975년 대통령 경제담당 특별보좌관에 임명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1978년 한국은행 총재, 1980년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1980년-1982년, 1983년-1986년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했다. 전두환 정권에서 물가 안정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여 통화 긴축과 인위적인 경기 부양책을 배제했다. 1984년 11월 진의종 국무총리가 뇌졸중으로 쓰러지자 1985년 2월까지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학업
黃海道|황해도중국어 일제강점기 장연군에서 태어났다. 일본 후쿠시마 고등상업학교를 졸업했다. 1943년 조선은행에 입행하여 1956년 한국은행 조사부장이 되었다.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수료했으며, 1959년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 2. 경제 관료 경력
1943년 조선은행에 입행했고, 1956년 한국은행 조사부장에 취임했다. 1961년 주미대사관 참사관을 거쳐, 1970년부터 1975년까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교환이사 겸 고문을 역임했다.2. 3. 정치 경력
1975년 대통령 경제담당 특별보좌관에 임명되어 정계에 입문했다.[1] 1978년 한국은행 총재, 1980년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1] 1980년부터 1982년, 1983년부터 1986년까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했다.[1] 전두환 정권에서 물가 안정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여 통화 긴축과 인위적인 경기 부양책을 배제했다.[1] 1984년 11월 진의종 국무총리가 뇌졸중으로 쓰러지자 1985년 2월까지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했다.[1]3. 가족 관계
장남 申暎澈|신영철중국어은 코오롱그룹 이원만 명예회장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봉명그룹 이동녕 회장과도 사돈관계를 맺고 있다.[3] 부인은 이성숙이다.[3] 이동찬의 넷째 딸(실업가 이원만의 손녀딸)은 장남의 아내이며, 전 국회의원 이승무는 사위이다.[3]
참조
[1]
웹사이트
(14)평산 신씨(平山申氏)-496,874명
http://www.seoulecon[...]
2022-08-16
[2]
웹사이트
중앙은행 오디세이 <24> 해방 공간의 남북한 금융 엘리트들-‘자치위원회’ 이끌던 구용서, 조선은행 실세로 떠올라
https://www.bok.or.k[...]
[3]
웹사이트
[신 한국의 가벌] #26. 김종필·정일권·이효상 등 정계 거물과 사돈 맺어
http://www.sisajourn[...]
2023-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