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만은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일군 출신으로, 기업가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일본에서 사업을 시작하여 욱공예 주식회사, 욱피복 주식회사 등을 운영했으며, 해방 후에는 한국나일론을 설립하여 한국 나일론 업계의 선두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정계에 진출하여 참의원과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구로공단 설립에 기여했다. 코오롱그룹 회장, 명예 이사장을 역임했고, 금탑산업훈장을 추서받았다. 저서로는 『나의 정경 오십 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흥해초등학교 동문 - 박남철 (시인)
1952년 부여에서 태어나 《문학과 지성》으로 등단한 박남철은 이성복, 황지우 등과 함께 '해체시'의 선두 주자로 평가받으며 사회 부조리에 저항하는 시를 썼으나, 여성 문인에 대한 의혹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 - 이원영 (1908년)
이원영은 1908년 경기도 안산 출생으로 일제강점기에는 기업 임원을, 해방 이후에는 독립헌금실행단 이사, 양조장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 은탑산업훈장 수훈자 - 성일종
성일종은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국회의원,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은탑산업훈장 수훈자 - 최진석 (기업인)
최진석은 삼성전자, 하이닉스, STX솔라, 한화큐셀 등에서 반도체 및 태양광 기술 개발과 경영을 담당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기술 유출 혐의로 구속되었다.
이원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원만 (李源萬, I Won-man) |
출생일 | 1904년 9월 7일 |
출생지 | 대한제국 경상북도 영일군 |
사망일 | 1994년 2월 4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7-1 |
본관 | 여주 |
직업 | 기업인, 정치인 |
부모 | 아버지 이석정, 어머니 이사봉 |
형제 | 이원천 |
배우자 | 이위문, 윤귀주 |
자녀 | 아들 이동찬, 아들 이동보 |
정치 경력 | |
의원 선수 | 3선 |
의원 대수 | 제5대, 제6대, 제7대 |
정당 | (정당 정보 없음) |
수상 | |
훈장 | 은탑산업훈장(1977년) 금탑산업훈장 |
기타 | |
![]() | |
대한민국헌정회 | 대한민국헌정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원만(李源萬) |
재일 한국인의 기여 재평가 | 서울대 일본연구소가 학술회의 개최 |
2. 생애
이원만은 일제강점기부터 1990년대까지 기업인,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서 기업을 운영했고, 해방 이후에는 대한민국에서 기업 활동과 정치 활동을 병행했다.
이원만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초기 생애 및 기업 활동, 정치 활동, 기업 경영 복귀 및 사망)을 참고하라.
2. 1. 초기 생애 및 기업 활동
일제강점기 경성북도 영일군(현 포항시)에서 태어났다. 17세까지 한학을 배웠고, 4년제 사립학교에서 수학한 후 흥해공립보통학교 5학년에 편입했다. 1930년 영일군 산림기수보로 근무하다가 1933년 일본 오사카의 알루미늄 공장 등에서 일했다.[1]1935년 친동생 이원천과 "욱공예 주식회사"를 창업했고, 1937년 전시 특수로 "욱피복 주식회사"로 사업을 확대했다. 1941년 일본 대학을 중퇴하고, 1945년 해방 후 대구에서 "경북 기업"을 설립했다. 1948년 제1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
1949년 재일 한국인 경제동우회를 창립하고 부회장이 되었으며, 1951년 "삼경물산"(일본)과 "계명상사"(한국)를 설립하여 무역업을 시작했다. 1956년 재일 한국인 무역협회 회장에 취임하고, 1957년 동양 레이온과 합작 기업 "한국나일론"을 창업하여 한국 나일론 업계의 선두 기업으로 성장시켰다.[1]
2. 2. 정치 활동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공천으로 참의원 의원에 처음 당선되었다.[1] 1961년 박정희가 5·16 군사 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하자, 경제 재건을 위해 5개년 계획을 추진했으나 자금난에 빠졌다. 이때 이원만은 경제계 지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출 전용 공업 단지 (현재의 구로공단, 구미공단) 조성을 건의했다.[1] 1963년 국제 연합 협회 세계 연맹 본부회의 대표로 제18회 뉴욕 총회에 참가했고, 한국수출산업공단 창립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같은 해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 동구에서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당선되어 국회 상공위원을 역임했다.[1]1966년 국제 연합 한국협회 부회장, 동대구역 건설 추진위원장, 대한 속기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 1967년, 1980년대 한강의 기적으로 이어진 서울 구로공단(구로공단)이 완공되었고, 한국수출공단 준공식에서 대통령 유공 표창을 받았다. 같은 해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선되어 국회 농림분과위원을 역임했다.[1]
그 외에 민주국민당대구광역시 당 위원장, 민주공화당 경북 제2지구 당 위원장, 중앙 상임위원 및 정책 위원 등을 역임했다.[2] 미곡 다수확 품종인 통일벼 개발에 선구적 역할을 했고, 산림 녹화를 위해 전신주와 침목의 콘크리트화, 프로판가스 연료 사용 및 택지 절약을 위한 아파트 건설을 주장했다.[1]
2. 3. 기업 경영 복귀 및 사망
1968년 삼경개발 주식회사 사장, 1976년 코오롱그룹 회장을 역임했고, 1977년에는 코오롱그룹 명예 이사장이 되었다. 그 외에 민주국민당 대구광역시 당 위원장, 민주공화당 경북 제2지구당 위원장, 중앙 상임위원 및 정책 위원 등을 역임했다.[2] 1994년 금탑산업훈장이 추서되었고, 같은 해 저서 『나의 정경 오십 년』이 출판되었다.[1]3. 학력
4. 경력
- 1935년 아사히공예사 창립
- 1935년 ~ 1945년 아사히공예사 대표이사 사장
- 1937년 ~ 아사히피복주식회사 대표이사 사장
- 1945년 한민당 청년부장
- 1948년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한국민주당 공천으로 영일군 갑구에 출마, 낙선
- 민주국민당 대구시당 위원장
- 경북기업(주) 사장
- 1949년 ~ 일본 한국인 경제동우회 부회장
- 1951년 2월 ~ 삼경물산(주) 사장
- 1952년 한일회담 때 거류민단 대표
- 재일 한국인 경제동우회 회장
- 신흥공업(주) 사장
- 개명상사(주) 회장
- 재일 한국인 무역협회장
- 한국나이롱주식회사 사장
- 제5대 참의원 의원
- 주식회사 수출산업공단 이사장
- 민주공화당 경북 제2지구당 위원장
-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 및 정책위원
- 제6대 국회의원
- 제7대 국회의원
-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 낙선
- 1975년 ~ 삼경건설(주) 대표이사
- 1976년 ~ 1977년 코오롱그룹 회장
- 1977년 ~ 코오롱그룹 명예회장
- 1981년 10월 오운문화재단 이사장[1][2]
5. 상훈
6. 가족 관계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48년 | 총선 | 국회의원 | 경북 영일군 갑 | 한국민주당 | 9,119표 | 23.66% | 2위 | 낙선 | |
1960년 | 총선 | 참의원 | 경상북도 선거구 | 민주당 | 165,600표 | 11.51% | 5위 | 당선 | 초선 |
1963년 | 총선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남구 | 민주공화당 | 25,451표 | 52.70% | 1위 | 당선 | 재선 |
1967년 | 총선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남구 | 민주공화당 | 28,468표 | 48.33% | 1위 | 당선 | 3선 |
1971년 | 총선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남구 | 민주공화당 | 39,356표 | 44.56% | 2위 | 낙선 |
8. 저서
- 《나의 정경오십년》(1994년)
참조
[1]
웹사이트
이원만(李源萬)
https://encykorea.ak[...]
2023-05-27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5-27
[3]
웹사이트
在日コリアンの貢献を再評価 ソウル大日本研究所が学術会議
https://jp.yna.co.kr[...]
2023-05-27
[4]
웹사이트
故 이동찬 코오롱 명예회장은 누구인가
http://www.kbmaeil.c[...]
2023-09-06
[5]
웹사이트
"[新 한국의 가벌] #26. 김종필·정일권·이효상 등 정계 거물과 사돈 맺어"
http://www.sisajourn[...]
2023-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