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철 (무술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재철은 1948년 무덕관에서 황기 그랜드마스터에게 당수도를 배우기 시작한 무술가이다. 고려대학교 재학 중 YMCA, 여러 대학, 군 및 경찰 기관에서 당수도를 가르쳤으며, 1958년 대한민국 공군에 입대하여 오산 공군 기지에서 미국 및 한국 군인들에게 당수도를 지도, 척 노리스를 가르치기도 했다. 1968년 미국으로 건너가 러트거스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미국 당수도 연맹을 설립하고 세계당수도협회를 창립하여 당수도 세계화에 기여했다. 세계당수도협회는 38개국, 15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단체로 성장했으며, 2010년 9단으로 승단했다. 201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남자 무술가 - 지한재
합기도를 정립하고 신무합기도를 창시한 대한민국의 무술가 지한재는 최용술에게 합기도를, 도사 이에게 삼랑도 텍기를 전수받았으며 영화 출연과 청와대 경호 무술 지도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남자 무술가 - 김윤상 (무술가)
김윤상은 1960년대 초 합기도를 시작해 대한합기도협회 5단, 합기도 창시자 최용술 사사, 용술관 설립 및 관장, 합기유술 9단 수여, 해외 합기유술 전파, 최용술 기념사업 등의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무술가이다. - 20세기 한국 사람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20세기 한국 사람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2012년 사망 - 시아오시 투포우 5세
시아오시 투포우 5세는 통가의 제23대 국왕으로,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다 2006년 즉위 후 민주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권력을 이양하는 등 통가의 정치 개혁에 힘썼으나 결혼하지 않아 왕위 계승권이 있는 자녀는 없었다. - 2012년 사망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신재철 (무술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신재철 |
한글 | 신재철 |
한자 | (정보 없음) |
로마자 표기 | Sin Jaecheol |
출생일 | 1936년 12월 20일 |
출생지 | 서울, 한국 |
사망일 | 2012년 7월 9일 |
사망지 | 벌링턴, 노스캐롤라이나 |
국적 | 대한민국 |
무도 정보 | |
무술 | 당수도 |
사범 | 황기, 오세준 |
단 | 검은띠 9단 |
활동 기간 | 1948년-2012년 |
제자 | 척 노리스, 로버트 치직, 무자히드 칸 |
웹사이트 | WTSDA 공식 사이트 |
2. 생애
신재철은 1948년 서울 무덕관 중앙 체육관에 입관하여 한국 무덕관 창시자인 황기 그랜드마스터 밑에서 무술을 배우기 시작했다.[1] 그는 초단 검은 띠를 받을 즈음, 이미 중앙 체육관에서 보조 강사로 가르치기 시작했다.[1]
고려대학교에 다니면서 정치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는 동안 당수도를 계속 수련했다. 고려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신재철은 서울 중앙 YMCA, 여러 대학, 그리고 많은 경찰 및 군사 기관에서 가르치기 시작했다.[3]
1958년, 신재철은 무술 강사로 대한민국 공군에 입대했다. 공군에 복무하면서 그는 오산 공군 기지에 주둔하며 미국인과 한국인 군인들에게 당수도를 가르쳤다.[3] 신재철에게 당수도를 배운 군인 중 한 명이 바로 카를로스 레이 “척” 노리스였다.[4]
1968년 석사 학위를 마칠 즈음, 신재철은 거의 20년 동안 대한민국 전역에서 당수도 학생들을 가르쳐 왔다. 그해 척 노리스의 요청과 후원으로 신재철은 러트거스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계속하고, 한국 수박도 협회의 대표로서 외국인 학생들에게 지도를 확장하기 위해 미국으로 왔다.[5][3][6]
신재철은 1968년 뉴저지주 버링턴에 있는 자신의 첫 번째 학교에 미국 당수도 연맹을 설립했다.[7] 1982년, 신재철은 미국 당수도 무덕관 연맹의 방향에 불만을 품고 연맹 이사직에서 사임했으며, 이기윤, 심상규, 윌리엄 D. 클링건과 함께 세계 당수도 협회를 창립했다.[5][6][8][9] 신재철 그랜드마스터가 무덕관을 떠난 결정은 관장님 황기의 새로운 수박도 형(hyung) 발표와 일치하는데, 이 또한 1982년에 이루어졌다.[10]
신재철은 2012년 7월 9일 사망할 때까지 세계 당수도 협회의 리더로 활동했으며, 이 협회는 38개국에 40,000명 이상의 검은 띠와 300명의 사범을 포함하여 15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당수도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1971년 책 ''“20세기 전사: 동양 무술의 저명한 인물들”''의 한 챕터에 소개되기도 했다.[11]
2010년 3월, 세계 당수도 협회 이사회는 신재철의 9단 승단을 승인했다. 2010년 7월, 신재철은 8단 검은 띠를 27년 동안 유지한 후 협회의 연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정식으로 승단했다.[12]
2012년 7월 9일, 신재철은 노스캐롤라이나주 버링턴에서 건강 문제로 투병하다가 잠을 자던 중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무술 입문
신재철은 1948년 서울 무덕관 중앙 체육관에 입관하여 한국 무덕관 창시자인 황기 그랜드마스터 밑에서 무술을 배우기 시작했다.[1] 초단 검은 띠를 받을 즈음, 이미 중앙 체육관에서 보조 강사로 활동했다.[1]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는 동안 당수도를 계속 수련했다. 고려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신재철은 서울 중앙 YMCA, 여러 대학, 그리고 많은 경찰 및 군사 기관에서 당수도를 가르치기 시작했다.[3] 1958년에는 무술 강사로 대한민국 공군에 입대하여 오산 공군 기지에 주둔하며 미국인과 한국인 군인들에게 당수도를 가르쳤다.[3] 신재철에게 당수도를 배운 군인 중 한 명이 바로 카를로스 레이 “척” 노리스였다.[4]
1968년 석사 학위를 마칠 즈음, 신재철은 거의 20년 동안 대한민국 전역에서 당수도 학생들을 가르쳐 왔다.
2. 2. 대한민국 공군 복무 및 미국 진출
1958년, 신재철은 대한민국 공군에 무술 강사로 입대하여 오산 공군 기지에서 미국 및 한국 군인들에게 당수도를 가르쳤다.[3] 이때 신재철에게 당수도를 배운 군인 중 한 명이 카를로스 레이 “척” 노리스였다.[4] 1968년, 척 노리스의 요청과 후원으로 신재철은 러트거스 대학교 대학원 과정을 밟고 한국 수박도 협회 대표로서 외국인 학생들에게 지도를 확장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5][3][6]2. 3. 세계당수도협회 창립 및 활동
신재철은 1968년 척 노리스의 요청과 후원으로 미국으로 건너와 러트거스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으며 한국 수박도 협회 대표로서 외국인 학생들을 지도했다.[5][3][6] 같은 해, 뉴저지주 버링턴에 자신의 첫 학교를 설립하고 미국 당수도 연맹을 창립했다.[7] 1982년에는 미국 당수도 무덕관 연맹의 방향에 불만을 품고 이사직을 사임, 이기윤, 심상규, 윌리엄 D. 클링건과 함께 세계당수도협회(World Tang Soo Do Association)를 창립했다.[5][6][8][9] 이는 황기가 새로운 수박도 형을 발표한 시기와 일치한다.[10]신재철은 2012년 7월 9일 사망할 때까지 세계당수도협회를 이끌었으며, 협회는 38개국에 걸쳐 15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 중에는 4만 명 이상의 검은 띠 유단자와 300명 이상의 사범이 포함되어 있다.[11] 그는 당수도 관련 서적을 여러 권 저술했으며, 1971년에는 ''"20세기 전사: 동양 무술의 저명한 인물들"''이라는 책에 소개되기도 했다.[11]
2. 4. 9단 승단 및 사망
2010년 3월, 세계 당수도 협회 이사회는 신재철의 9단 승단을 승인했다.[12] 2010년 7월, 신재철은 8단 검은 띠를 27년 동안 유지한 후 협회의 연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정식으로 승단했다.[12] 2012년 7월 9일, 신재철은 노스캐롤라이나주 벌링턴에서 건강 문제로 투병하다가 잠을 자던 중 사망했다.3. 업적 및 평가
신재철은 당수도 세계화 및 한국 무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1948년 서울 무덕관 중앙 체육관에 입관하여 황기 그랜드마스터에게 무술을 배우기 시작했으며,[1] 초단 검은 띠를 받기 전부터 보조 강사로 활동했다.[1] 고려대학교 재학 시절에는 서울 중앙 YMCA, 여러 대학, 경찰 및 군사 기관에서 당수도를 가르쳤다.[3]
1958년에는 대한민국 공군에 무술 강사로 입대하여 오산 공군 기지에서 미국과 한국인 군인들에게 당수도를 가르쳤으며,[3] 이때 카를로스 레이 “척” 노리스에게도 당수도를 지도했다.[4] 1968년에는 척 노리스의 요청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러트거스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으며 한국 수박도 협회 대표로서 외국인 학생들을 지도했다.[5][3][6]
1968년 뉴저지주 버링턴에 미국 당수도 연맹을 설립했으며,[7] 1982년에는 미국 당수도 무덕관 연맹에서 나와 세계 당수도 협회를 창립했다.[5][6][8][9] 이는 황기가 새로운 수박도 형(hyung)을 발표한 시기와 일치한다.[10]
신재철은 2012년 사망할 때까지 세계 당수도 협회를 이끌었으며, 협회는 38개국에 15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단체로 성장했다.[11] 그는 당수도 관련 서적을 저술하고, 1971년 ''“20세기 전사: 동양 무술의 저명한 인물들”''에 소개되기도 했다.[11] 2010년에는 9단으로 승단했다.[12]
4. 저서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World Tang Soo Do Association
https://www.worldtan[...]
[2]
뉴스
Martial arts association dedicates Burlington headquarters, remembers founder
http://www.thetimesn[...]
Times-News (Burlington, North Carolina)
2012-07-23
[3]
간행물
The World Tang Soo Do Association: The Last Bastion For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Black Belt Magazine
1984-03
[4]
웹사이트
Tang Soo Do World >> Who's Who in Tang Soo Do >> Jae-chul Shin
http://www.tangsoodo[...]
[5]
간행물
Jae-chul Shin: The Ambassador of Tang Soo Do Talks About Chuck Norris, Taekwondo and the State of the Arts in American
https://books.google[...]
Black Belt Magazine
1999-12
[6]
간행물
Tang Soo! The Evolution of Tae Kwon Do‘s Bitter Rival
https://books.google[...]
Black Belt Magazine
1984-09
[7]
서적
Korean Martial Arts Tang Soo Do Black Belt Manual
World Tang Soo Do Association, Inc
1990,2000
[8]
간행물
Jae-chul Shin: Chuck Norris‘ Teacher
https://books.google[...]
Black Belt Magazine
1983-02
[9]
간행물
A House Divided: The Broken Family of Tang Soo Do
https://books.google[...]
Black Belt Magazine
1989-10
[10]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Moo Duk Kwan. ''World Moo Duk Kwan Official Web Site''
https://web.archive.[...]
2008-06-30
[11]
서적
20th century Warriors; Prominent Men in the Oriental Fighting Arts
Ohara (Los Angeles)
[12]
웹사이트
World Tang Soo Do Association Newsletter
http://www.worldtang[...]
2009-10
[13]
웹사이트
World Tang Soo Do Association
https://www.worldtan[...]
[14]
뉴스
Martial arts association dedicates Burlington headquarters, remembers founder
http://www.thetimesn[...]
Times-News (Burlington, North Carolina)
2012-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