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반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조반류는 쿠퍼에 의해 처음 명명된 조반목 공룡의 한 분류군이다. 이들은 파이로돈티아와 세라포다를 포함하며, 세라포다는 조각류와 변두리머리류로 나뉜다. 신조반류의 분류와 계통 발생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24년 폰세카와 동료들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류 체계가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신조반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eornithischia |
명명자 | Cooper, 1985 |
화석 범위 | 쥐라기 중기–백악기 후기, (가능한 쥐라기 전기 기록) |
하위 그룹 | |
하위 분류군 | 아길리사우루스 공부사우루스? 우차이완엔시스 헥신루사우루스 레소토사우루스? 미니모쿠르소르 나노사우루스 필로돈 산시아사우루스 크시아오사우루스 얀두사우루스 피로돈티아 쿨린다드로메우스 라오사우루스? 미니무스 테스켈로사우루스과 각각류 실루오사우루스 후두류 조각류 |
2. 계통 발생
신조반류는 조반목 공룡의 계통군으로, 장갑류와 자매군을 이루며 함께 게나사우리아를 형성한다.
2011년 리처드 J. 버틀러(Richard J. Butler) 등은 다음과 같은 분기도를 제시하였다.[12]
2024년 안드레 O. 폰세카(André O. Fonseca)와 동료들은 이전 연구들과 유사하게 테셀로사우루스과는 조각류 외부에, 이형치룡류는 신조반류 외부에 배치하는 한편, 창미아니아의 위치나 조각류 내의 그룹화와 같은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였다.[1]
{{clade|style=font-size:85%;line-height:85%;
|label1=조반목
|1={{clade
|1=''Asilisaurus''
|2={{clade
|1=''Lutungutali''
|2=''Silesaurus''
|3={{clade
|1=''Technosaurus''
|2={{clade
|1=''Kwanasaurus''
|2={{clade
|1=''Eucoelophysis''
|2={{clade
|1=''Pisanosaurus''
|2={{clade
|label1=Saphornithischia
|1={{clade
|1=이형치룡과
|2={{clade
|1=''Eocursor''
|2={{clade
|label1=Genasauria
|1={{clade
|label1=장갑류
|1={{clade
|1={{clade
|1=''Laquintasaura''
|2=''Lesothosaurus'' }}
|2={{clade
|1={{clade
|1=''Emausaurus''
|2=''Scutellosaurus'' }}
|2={{clade
|1=''Scelidosaurus''
|2={{clade
|1=''Yuxisaurus''
|2={{clade
|1=''Jakapil''
|2=Eurypoda }} }} }} }} }}
|label2='''신조반류'''
|2={{clade
|1=''Agilisaurus''
|2={{clade
|1=''Hexinlusaurus''
|2=''Sanxiasaurus''
|3={{clade
|1=''Minimocursor''
|2=''Yandusaurus''
|3={{clade
|1=''Nanosaurus''
|2={{clade
|label1='''파이로돈티아'''
|1={{clade
|1={{clade
|label1=테세로사우루스과
|1={{clade
|label1=Orodrominae
|1={{clade
|1=''Zephyrosaurus''
|2={{clade
|1={{clade
|1=''Orodromeus''
|2=''Oryctodromeus'' }}
|2={{clade
|1=''Albertadromeus''
|2=''Koreanosaurus'' }} }} }}
|label2=Thescelosaurinae
|2={{clade
|1=''Yueosaurus''
|2={{clade
|1=''Changmiania''
|2={{clade
|1={{clade
|1=''Haya griva''
|2=RTMP 2008.045.0002 }}
|2={{clade
|1={{clade
|1=''Changchunsaurus''
|2=''Jeholosaurus'' }}
|2={{clade
|1=''Parksosaurus''
|2=''Thescelosaurus'' }} }} }} }} }} }}
|2={{clade
|1=''Kulindadromeus''
|2={{clade
|label1='''세라포다'''
|1={{clade
|label1=변두리머리류
|1={{clade
|1=후두류
|2=각룡류 }}
|label2=조각류
|2={{clade
|1=Hypsilophodontidae
|2={{clade
|label1=이구아노돈류
|1={{clade
|1=Rhabdodontomorpha
|2={{clade
|label1=Euiguanodontia
|1={{clade
|1={{clade
|1=''Anabisetia''
|2=''Diluvicursor'' }}
|2={{clade
|1=''Gasparinisaura''
|2=''Notohypsilophodon'' }}
|3=Elasmaria
|4={{clade
|1=''Iyuku''
|2=Dryomorpha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분류
신조반류는 1985년 쿠퍼(Cooper)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파라사우롤로푸스보다 안킬로사우루스 또는 스테고사우루스와 더 가까운 모든 게나사우리아로 정의되었다.[3] 2021년에는 PhyloCode에 따라 공식적인 정의를 받았는데, 이구아노돈과 트리케라톱스를 포함하지만, 안킬로사우루스와 스테고사우루스는 포함하지 않는 가장 큰 분지군이다.[4]신조반류는 아래턱 치아 안쪽에 두꺼운 비대칭적인 에나멜층이 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치아는 저작(음식물을 씹는 행위)에 의해 불균등하게 마모되고 날카로운 가장자리가 형성되어, 다른 공룡보다 식물을 효율적으로 잘게 부술 수 있었다.
2017년 연구에서는 초기 쥐라기 분류군인 남아프리카의 레소토사우루스가 신조반류의 가장 기저적인 구성원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5]
2024년에는 테셀로사우루스과와 세라포다(Cerapoda)의 구성원을 통합하는 '''파이로돈티아'''(Pyrodonthia)라는 새로운 분지군이 명명되었다. 파이로돈티아는 "불의 이빨"로 번역되며, 중기 쥐라기 동안 이 분지군이 급격하게 다양화된 것을 반영한다.[1] 파이로돈티아는 PhyloCode에서 케라톱스 몬타누스, 이구아노돈 베르니사르텐시스,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위오밍겐시스, 테스켈로사우루스 네글렉투스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분지군으로 정의된다.[1]
'''세라포다'''(Cerapoda)는 신조반류 내에서 가장 다양한 분지군이다. "세라포다"라는 이름은 "각룡류(Ceratopsia)"와 "조각류(Ornithopoda)"를 합쳐 만든 것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분지군은 조각류(Ornithopoda) ("새 발")와 변두리머리류 ("가장자리가 있는 머리")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변두리머리류에는 후두류 ("두꺼운 머리 도마뱀")와 각룡류 ("뿔이 있는 얼굴")가 포함된다.[3][6]
세라포다는 1986년 폴 세레노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파라사우롤로푸스, 트리케라톱스와 그들의 가장 최근 공통 조상 및 모든 후손으로 정의되었다.[3] 2021년에는 PhyloCode에 따라 이구아노돈, 파키케팔로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분지군으로 공식적인 정의를 받았다.[4]
2024년 폰세카와 동료들의 계통 연구는 이전 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8][9] 테셀로사우루스과는 조각류 외부에, 이형치룡류는 신조반류 외부에 배치되었으며, 창미아니아의 위치나 조각류 내의 그룹화와 같은 다른 측면의 관계는 새로운 결과였다.[1]
아래는 2011년 리처드 J. 버틀러(Richard J. Butler) 등의 연구[12]와 2024년 안드레 O. 폰세카(André O. Fonseca) 등의 연구[1]를 참고한 신조반류의 분기도이다.
참조
[1]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is on early ornithischian evolution
[2]
논문
A new semi-fossorial thescelosaurine dinosaur from the Cenomanian-age Mussentuchit Member of the Cedar Mountain Formation, Utah
2024-07-09
[3]
논문
The phylogeny of the ornithischian dinosaurs
[4]
논문
The phylogenetic nomenclature of ornithischian dinosaurs
[5]
논문
Postcranial anatomy of Lesothosaurus diagnosticus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Lower Jurassic of southern Africa: implications for basal ornithischian taxonomy and systematics
2016
[6]
논문
The postcranial oste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mall ornithischian dinosaur Changchunsaurus parvus from the Quantou Formation (Cretaceous: Aptian–Cenomanian) of Jilin Province, north-eastern China
[7]
서적
A systematic reappraisal of the reptile order Ornithischia
ATTEMPTO Verlag
[8]
논문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ornithischian dinosaurs
[9]
논문
New small-bodied ornithopods (Dinosauria, Neornithischia) from the Early Cretaceous Wonthaggi Formation (Strzelecki Group) of the Australian-Antarctic rift system, with revision of Qantassaurus intrepidus Rich and Vickers-Rich, 1999
[10]
논문
恐竜類の分岐分類におけるクレード名の和訳について
https://www.jstage.j[...]
2020
[11]
논문
The phylogeny of the ornithischian dinosaurs
[12]
논문
The postcranial oste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mall ornithischian dinosaur Changchunsaurus parvus from the Quantou Formation (Cretaceous: Aptian–Cenomanian) of Jilin Province, north-eastern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