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사우롤로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사우롤로푸스(Parasaurolophus)는 "가까운 볏이 있는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후기 백악기에 살았던 초식 공룡이다. 머리 뒤쪽으로 길게 뻗은 독특한 두개골 볏이 특징이며, 이 볏의 기능은 소리 증폭, 과시, 체온 조절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으나, 정확한 기능은 불분명하다. 파라사우롤로푸스는 세 종, 즉 P. walkeri, P. tubicen, P. cyrtocristatus로 알려져 있으며, 앨버타, 뉴멕시코, 유타 등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람베오사우루스아과에 속하며, 다른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과 함께 서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드로마에오사우루스
후기 백악기 캄파니안절에 살았던 드로마에오사우루스는 "달리는 도마뱀"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2m 정도 크기의 육식공룡으로 날카로운 이빨과 낫 모양 발톱, 강력한 턱힘을 이용해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 외에 정확한 분류는 아직 연구 중이다. - 192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알라모사우루스
알라모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화석으로만 발견되었지만 몸길이가 26~30m에 달하며, 기원에 대해서는 남아메리카 기원설과 아시아 기원설이 존재하고 백악기 대멸종 이후 생존 가능성도 논의된다. - 하드로사우루스과 - 에드몬토사우루스
에드몬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하드로사우루스과의 대형 초식 공룡으로, 9~12m의 몸길이, 오리 부리 형태의 입, 그리고 피부 자국이 보존된 미라 화석으로 알려져 있으며, *E. regalis*와 *E. annectens* 두 종이 인정되고, 티라노사우루스와 공존했던 생태 환경과 식생, 성장 과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하드로사우루스과 - 마이아사우라
마이아사우라는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한 8~9m 길이의 하드로사우루스과 초식 공룡으로, 눈 사이의 짧고 단단한 볏과 무리 생활 및 둥지 군집을 통해 새끼를 키운 흔적이 발견된 "좋은 어머니"라는 의미의 속명이 특징이다. - 캐나다의 화석 - 틱타알릭
틱타알릭은 3억 7500만 년 전 육기어류로, 어류와 네발동물 특징을 지닌 "사지형어류"이며, 팔처럼 생긴 지느러미와 자유로운 목을 통해 육상 생활 진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화석 자료이다. - 캐나다의 화석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다스플레토사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북아메리카 서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튼튼한 두개골과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포식자이며, 고르고사우루스와 생태적 지위를 놓고 경쟁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현재까지 세 종이 명명되어 진화적 관계와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파라사우롤로푸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arasaurolophus |
명명자 | 윌리엄 파크스, 1922년 |
속의 모식종 | Parasaurolophus walkeri |
모식종 명명자 | 파크스, 1922년 |
다른 종 | P. tubicen 칼 위먼, 1931년 P. cyrtocristatus 존 오스트롬, 1961년 P. jiayinensis? (고드프로이트, 잔 & 진, 2000) 폴, 2010 |
이명 | 차로노사우루스? 고드프로이트, 잔 & 진, 2000 Paralophosaurus 앤서니 J. 마틴, 2014 (오기) |
생물학적 분류 |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조반목 (Ornithischia) |
아목 | 조각아목 (Ornithopoda) |
상과 | 하드로사우루스상과 (Hadrosauroidea) |
과 | 하드로사우루스과 (Hadrosauridae) |
아과 | 람베오사우루스아과 (Lambeosaurinae) |
족 | 하드로사우루스족 (Hadrosaurini) |
시간 척도 | |
생존 시기 |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누대), 7690만년 전 ~ 7350만년 전, 6600만년 전 (마스트리흐트절) 가능성 존재 |
화석 발견 장소 | 북아메리카, 아시아 |
물리적 특징 | |
길이 | 약 9m |
무게 | 약 5톤 |
발음 | |
영어 발음 | /ˈpærəsɔːˈrɒləfəs/, ˌsɔːrəˈloʊfəs |
2. 발견 및 명명
"가까운 볏이 있는 도마뱀"이라는 뜻의 ''파라사우롤로푸스''(Parasaurolophus)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곁에' 또는 '가까이'를 의미하는 ''para''(παρα), '도마뱀'을 의미하는 ''saurus''(σαυροςgrc), 그리고 '볏'을 의미하는 ''lophos''(λοφος)에서 유래했다. 이 이름은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ROM) 소장 번호 768번 표본에 기반하는데, 이 표본은 꼬리 대부분과 무릎 아래 다리가 없는 두개골과 부분 골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1920년 캐나다 앨버타주의 레드 디어 강을 따라 샌드 크릭 근처에서 토론토 대학교의 현장 조사팀이 발견했다. 이 화석이 발견된 암석은 현재 후기 백악기 캄파니안 절의 공룡 공원 지층으로 알려져 있다. 윌리엄 파크스(William Parks)는 이 표본을 당시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 이사회 의장이었던 바이런 에드먼드 워커 경을 기리기 위해 ''P. walkeri''로 명명했다. ''파라사우롤로푸스''의 유해는 앨버타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며, 공룡 공원 지층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부분 두개골 하나와, 두개골은 없지만 이 속에 속할 가능성이 있는 세 개의 표본이 추가로 알려져 있다. 일부 문헌에서는 후기 마스트리히트 절 시기의 암석 단위인 미국 몬태나주의 헬 크릭 지층에서 ''P. walkeri''의 화석이 발견되었다고 언급하기도 하지만, 1999년 설리반과 윌리엄슨의 연구에서는 이 내용이 언급되지 않았고 다른 문헌에서도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다.
1921년, 찰스 헤젤리우스 스턴버그(Charles H. Sternberg)는 미국 뉴멕시코주 샌 후안 군에 위치하며 약간 더 젊은 시기인 키르틀랜드 지층에서 부분 두개골(PMU.R1250)을 발굴했다. 이 표본은 스웨덴 웁살라로 보내졌고, 1931년 칼 비만(Carl Wiman)에 의해 두 번째 종인 ''P. tubicen''으로 명명되었다. 종명 ''tubicen''은 "나팔수"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두 번째로 발견된 거의 완전한 ''P. tubicen'' 두개골(NMMNH P-25100)은 1995년 뉴멕시코에서 발견되었다. 로버트 설리반과 토마스 윌리엄슨은 이 두개골의 컴퓨터 단층 촬영(CT) 결과를 바탕으로 1999년에 이 종의 해부학적 특징, 분류, 그리고 볏의 기능에 대한 모노그래프를 발표했다. 이후 윌리엄슨은 이 분류학적 결론에 일부 동의하지 않는 독립적인 검토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존 오스트롬(John Ostrom)은 1961년에 뉴멕시코에서 발견된 또 다른 상태가 좋은 표본(FMNH P27393)을 ''P. cyrtocristatus''로 명명했다. 이 표본은 짧고 둥근 볏을 가진 부분 두개골과 발, 목, 꼬리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후두개골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명 ''cyrtocristatus''는 '짧아진'을 의미하는 라틴어 ''curtus''와 '볏이 있는'을 의미하는 ''cristatus''에서 유래했다. 이 표본은 프루트랜드 지층 상단부 또는 그 위에 놓인 키르틀랜드 지층의 가장 아랫부분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종의 분포 범위는 1979년 데이비드 B. 바이스엠펠(David B. Weishampel)과 제임스 A. 젠슨(James A. Jensen)이 미국 유타주 가필드 군의 캄파니안 시대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유사한 볏을 가진 부분 두개골(BYU 2467)을 보고하면서 확장되었다. 그 이후 유타에서는 짧고 둥근 ''P. cyrtocristatus'' 형태의 볏을 가진 또 다른 두개골이 발견되었다.
''파라사우롤로푸스'' 속에는 현재까지 ''P. walkeri'', ''P. tubicen'', ''P. cyrtocristatus''의 세 종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서로 명확하게 구별되는 여러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가장 먼저 명명된 종이자 모식종인 ''P. walkeri''는 공룡 공원 지층에서 발견된 한 표본이 확실히 속하며, 다른 여러 표본들도 이 종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종은 다른 두 종과 구별되는데, ''P. tubicen''보다 볏의 내부 구조가 단순하며, ''P. cyrtocristatus''보다는 더 곧은 볏과 다른 내부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명명된 종인 ''P. tubicen''은 ''파라사우롤로푸스'' 종 중에서 가장 크다. 이 종은 뉴멕시코에서 서식했으며 세 개의 표본이 알려져 있고 다른 종들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길고 곧은 볏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종들에 비해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알려진 모든 ''P. tubicen'' 표본은 키르틀랜드 지층의 De-Na-Zin Member에서 발견되었다.
1961년 존 오스트롬에 의해 명명된 세 번째 종 ''P. cyrtocristatus''는 유타와 뉴멕시코의 프루트랜드 지층과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세 개의 표본이 발견되었다.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처음 발견된 두 번째 표본은 처음에는 특정 분류군으로 지정되지 않았다. ''파라사우롤로푸스'' 종 중에서 ''P. cyrtocristatus''는 가장 작고 가장 굽은 볏을 가지고 있다. 이 두 가지 특징 때문에, 이 종이 수컷으로 여겨졌던 ''P. walkeri'' 또는 ''P. tubicen''의 암컷일 것이라는 추측이 자주 제기되었다. 그러나 ''P. tubicen''은 ''P. cyrtocristatus''보다 약 백만 년 뒤에 살았다. 토마스 윌리엄슨이 지적했듯이, ''P. cyrtocristatus''의 모식 표본 크기는 ''P. tubicen'' 크기의 약 72%인데, 이는 다른 람베오사우루스아과 공룡들이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이기 시작하는 크기(성체 크기의 약 70%)와 가깝다. 많은 과학자들이 ''P. cyrtocristatus''가 암컷일 가능성을 지지했지만, 다른 여러 연구에서는 나이, 분포 지역, 그리고 볏과 그 내부 구조의 큰 차이를 근거로 이 가설에 반박했다.
2014년 학술지 PLoS ONE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파라사우롤로푸스'' 속에 한 종이 더 포함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싱(Xing) 등이 주도한 이 연구는 중국에서 발견된 ''카로노사우루스 jiayensis''가 실제로는 ''파라사우롤로푸스'' 속에 속한다는 계통 분석 결과를 제시하며, 새로운 종 ''P. jiayensis''의 가능성을 열었다. 만약 이 종이 실제로 ''파라사우롤로푸스''에 속한다면, 이 속은 백악기-고생대 대멸종 사건 직전까지 존속했으며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두 대륙에 걸쳐 분포했다는 의미가 된다.
3. 특징
''파라사우롤로푸스''(Parasaurolophus)는 현재 세 종, 즉 ''P. walkeri'', ''P. tubicen'', 그리고 ''P. cyrtocristatus''가 알려져 있다. 이들은 서로 뚜렷하게 구별되는 여러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1][2] 가장 먼저 명명된 모식종은 ''P. walkeri''로, 캐나다 앨버타주의 공룡공원 지층에서 발견된 표본이 대표적이다.[3][4] 이 종은 다른 두 종과 비교했을 때, ''P. tubicen''보다 내부 구조가 단순하고, ''P. cyrtocristatus''보다는 더 곧은 볏과 다른 내부 구조를 가진다.[5][1]
두 번째로 명명된 종은 ''P. tubicen''으로, 파라사우롤로푸스 중에서 가장 크다.[5] 미국 뉴멕시코주의 키틀랜드 지층에서 세 개의 표본이 발견되었으며,[3][6] 길고 곧은 볏과 매우 복잡한 내부 구조가 특징이다.[5][1] 알려진 모든 ''P. tubicen'' 표본은 키틀랜드 지층의 De-Na-Zin 층에서 발견되었다.[7]
세 번째 종인 ''P. cyrtocristatus''는 1961년 존 오스트롬에 의해 명명되었다. 이 종의 표본은 유타주와 뉴멕시코의 프루트랜드 지층 및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발견되었다.[4] 파라사우롤로푸스 종 중에서 가장 작고 가장 굽은 볏을 가지고 있다.[5] 이 특징 때문에 한때 다른 종의 암컷 형태로 추정되기도 했으나,[1] 서식 시기의 차이,[4] 크기 비율, 볏과 내부 구조의 뚜렷한 차이 등으로 인해 현재는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는 추세이다.[3][1]
2014년에는 ''카로노사우루스 jiayensis''를 ''파라사우롤로푸스''의 새로운 종 ''P. jiayensis''로 분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만약 이 분류가 인정된다면, 파라사우롤로푸스는 아시아에서도 서식했으며 백악기-고생대 대멸종 직전까지 생존했던 것이 된다.
대부분의 공룡처럼 파라사우롤로푸스의 골격도 불완전하게 알려져 있다. ''P. walkeri''의 모식 표본 길이는 9.45m로 추정되며, 상대성장을 고려한 체중 추정치는 9m 길이의 개체가 5ton 이상 나갔을 것으로 본다. 고생물학자 그레고리 S. 폴은 모식종 성체의 평균 길이를 7.5m, 몸무게를 2.6ton으로 추정했다. 머리뼈는 볏을 포함하여 약 1.6m 길이에 달하며, ''P. tubicen''의 모식 표본 머리뼈는 2m 이상으로 더 큰 개체였음을 시사한다. 팔은 비교적 짧았고, 넓은 어깨뼈를 가졌다. 넙다리뼈는 ''P. walkeri''에서 103cm 길이를 가지며, 다른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에 비해 튼튼한 편이었다. 상완골과 골반 뼈 역시 튼튼하게 발달했다.
다른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처럼, 파라사우롤로푸스는 두 다리 또는 네 다리로 걸을 수 있었다. 평소 먹이를 찾을 때는 네 다리로 걷고, 달릴 때는 두 다리를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에는 람베오사우루스아과에서 흔히 보이는 높은 가시 돌기가 있었으며, 특히 엉덩이 위에서 가장 높아 등의 높이를 증가시켰다.
파라사우롤로푸스는 여러 성체 표본 외에도 2013년에 기술된 어린 개체 표본(RAM 14000, 별명 "조")이 알려져 있다. 이 표본은 2009년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Raymond M. Alf 고생물학 박물관과 웹 스쿨의 합동 탐사 중 발견되었으며, 사망 당시 약 1살 정도로 추정된다. ''파라사우롤로푸스'' sp.로 분류된 이 개체는 길이 2.5m로, 현재까지 발견된 파라사우롤로푸스 중 가장 완전하고 어린 표본이다. 이 어린 개체의 발견은 파라사우롤로푸스의 볏 성장이 ''코리토사우루스''와 같은 근연종보다 더 일찍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어린 개체의 볏은 성체의 길고 관 모양과는 달리 낮고 반구형이었다. 부분적인 두개 내강 주형의 CT 스캔 분석을 통해 뇌 구조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으나, 풍화 작용으로 인해 세부적인 신경 구조는 확인하기 어려웠다.
머리 꼭대기에서 뒤쪽으로 길게 뻗은 속이 빈 볏이 가장 큰 특징이다. (자세한 내용은 #두개골 볏 참조)
3. 1. 두개골 볏
파라사우롤로푸스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머리 뒤쪽으로 길게 뻗은 속이 빈 두개골 볏이다. 이 볏은 전상악골과 비골이라는 뼈로 이루어져 있었다. 볏 내부는 비어 있었으며, 각 콧구멍에서 시작된 관이 볏의 끝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방향을 바꿔 볏을 따라 내려와 두개골 안으로 이어지는 복잡한 구조를 가졌다. 이 관의 구조는 종마다 차이가 있었는데, ''P. walkeri''에서는 비교적 단순했지만, ''P. tubicen''에서는 일부 관이 막히거나 서로 만나고 갈라지는 등 더 복잡한 형태를 보였다. 볏의 전체적인 모양도 종에 따라 달랐다. ''P. walkeri''와 ''P. tubicen''은 길고 약간 휘어진 볏을 가졌던 반면, ''P. cyrtocristatus''는 상대적으로 짧고 더 둥근 모양의 볏을 가지고 있었다.
이 독특한 볏의 기능에 대해서는 과거부터 많은 가설이 제시되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설득력을 잃었다. 초기의 가설들은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이 물속에서 생활했을 것이라는 잘못된 가정에 기반한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알프레드 셔우드 로머는 볏이 물 밖으로 내놓고 숨을 쉬는 스노클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추측했고, 마르틴 빌파르트(Martin Wilfarth)는 먹이를 모으거나 호흡에 사용되는 움직이는 코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찰스 M. 스턴버그는 물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공기 덫으로, 에드윈 해리스 콜버트는 물속에 오래 머물기 위한 공기 저장소로 생각했다. 하지만 볏 끝에는 숨 쉴 구멍이 없고, 코로 사용되었다는 근육 흔적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공기 덫이나 저장소로 보기에는 구조나 용량이 적합하지 않아 이러한 가설들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기계적인 기능을 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윌리엄 파크스(William Parks)는 1922년에 볏이 인대나 근육으로 척추와 연결되어 머리를 지탱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라고 제안했지만, 오늘날 알려진 아르코사우루스류의 목덜미 인대 부착 위치와 달라 가능성이 낮다.[5] 오테니오 아벨은 같은 종끼리 싸울 때 무기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보았고, 앤드류 밀너(Andrew Milner)는 화식조처럼 나뭇잎을 헤치는 데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외에도 할슈카 오스몰스카는 염분샘이 들어 있었을 것이라고, 존 오스트롬은 후각 상피 면적을 넓혀 후각을 발달시키기 위한 구조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가설들은 볏의 복잡한 구조나 다른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과의 차이점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볏이 없는 하드로사우루스과는 어떻게 머리를 지탱했는지, 왜 종마다 볏 모양이 다른지 등을 설명하기 어렵다. 또한 후각과 관련된 신경 및 조직은 볏의 통로 바깥 부분에 주로 위치해 있어, 볏이 후각 발달과 큰 관련이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현재 학계에서는 볏이 한 가지 기능만 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다음 세 가지가 거론된다.
첫째, 시각적 과시 기능이다. 크고 독특한 형태의 볏은 멀리서도 눈에 잘 띄어 동족을 알아보거나 성별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다. 파라사우롤로푸스는 큰 눈구멍과 눈에 공막환이 있었다는 점에서 시력이 좋고 주행성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시각적 신호가 중요했음을 뒷받침한다. 일부 복원도에서처럼 볏에서 목이나 등 쪽으로 피부 주름이 연결되어 있었다면 시각적인 효과는 더욱 컸을 것이다. 볏의 크기와 모양 차이를 통해 ''코리토사우루스''나 ''람베오사우루스'' 같은 다른 람베오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 구별하고, 같은 종 내에서도 암수를 구별했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소리 증폭 및 의사소통 기능이다. 속이 빈 볏의 복잡한 내부 구조는 마치 악기처럼 소리를 내거나 증폭시키는 공명강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31년 비만(Wiman)이 처음 제기한 이 가설은 이후 많은 연구를 통해 지지받고 있다. 1981년 데이비드 웨이샴펠(David Weishampel)은 볏의 크기와 내부 구조를 바탕으로 파라사우롤로푸스가 약 55~720Hz 사이의 저주파 소리를 냈을 것으로 계산했다. 특히 ''P. cyrtocristatus''는 다른 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음역대의 소리를 냈을 가능성이 있다. 제임스 홉슨(James Hopson)은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이 예민한 청각을 가졌다는 해부학적 증거(발달된 중이와 내이 구조)를 제시하며, 이들이 소리를 이용해 활발하게 의사소통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악어와 유사한 내이 구조를 고려할 때, 성체는 어린 개체가 내는 고주파 소리도 잘 들을 수 있었을 것이며, 이는 부모와 새끼 간의 소통에 중요했을 수 있다. 1997년 샌디아 국립 연구소(Sandia National Laboratories)에서 ''P. tubicen''의 두개골을 컴퓨터로 모델링하여 분석한 결과, 실제로 볏 내부의 복잡한 관 구조가 약 30Hz의 기본 주파수를 포함한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체온 조절 기능이다. 볏은 표면적이 넓고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체온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1978년 휠러(Wheeler)는 볏이 뇌와 연결되어 뇌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했을 수 있다고 처음 제안했다. 이후 테레사 마리안스카(Teresa Maryańska)와 오스몰스카 등도 볏이 체온 조절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처럼 볏은 시각적 신호, 소리 생성, 체온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했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 중 어떤 기능이 볏의 진화를 이끈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다른 람베오사우루스류 공룡들처럼, 파라사우롤로푸스의 볏도 나이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변했으며, 다 자란 성체에서는 암수 간의 차이(성적 이형성)를 보이는 특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임스 홉슨은 작은 볏을 가진 ''P. cyrtocristatus''가 ''P. tubicen''의 암컷 형태일 수 있다고 처음 제안했지만, 토마스 윌리엄슨(Thomas Williamson)은 오히려 미성숙체 형태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두 가설 모두 아직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으며, 추가적인 화석 발견이 필요하다. 윌리엄슨은 어떤 경우든 어린 파라사우롤로푸스는 ''P. cyrtocristatus''처럼 작고 둥근 볏을 가졌다가, 성적 성숙에 가까워지면서 볏이 빠르게 성장했을 것으로 보았다. 최근에는 이전에 ''람베오사우루스''로 분류되었던 어린 개체의 뇌상자 화석을 재검토한 결과, 파라사우롤로푸스의 어린 개체도 이미 작은 관 모양의 볏을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 화석에서는 성체처럼 볏의 기반을 지지하는 전두골이 약간 솟아오른 형태도 확인되었다. 이는 파라사우롤로푸스의 볏 성장 과정이나 얼굴 형태가 ''코리토사우루스''나 ''히파크로사우루스'', ''람베오사우루스''와는 다소 달랐음을 시사한다. 특히 이들 세 공룡의 볏 위쪽을 이루는 얇은 뼈 구조(마치 닭 볏 같은 모양)가 파라사우롤로푸스에는 없다는 점이 중요한 차이점이다.
3. 2. 피부
''파라사우롤로푸스''의 피부 자국이 알려져 있으며, 균일한 결절 모양의 비늘을 보여주지만 더 큰 구조는 없다.[4]
고생물학자 바넘 브라운은 1912년에 볏 뒤쪽 근처에서 발견된 미세한 줄무늬를 근거로, 파라사우롤로푸스가 오늘날의 바실리스크 도마뱀처럼 볏과 목 사이에 피부로 된 프릴(frill)을 가졌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그는 이러한 추측이 코리토사우루스와 에드몬토사우루스의 목과 등 위에서 보존된 피부 증거로 뒷받침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후, 찰스 R. 나이트의 벽화나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환타지''와 같은 영향력 있는 고생물 예술 작품들에서 프릴을 가진 파라사우롤로푸스의 모습이 묘사되면서 이 가설은 널리 퍼졌다. 하지만 프릴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가 부족하고, 볏이 호흡 기관의 일부라는 잘못된 "스노클" 가설과 혼동되기도 하면서, 현재 대부분의 복원에서는 프릴이 없는 모습으로 그려진다.[5]
4. 분류
''파라사우롤로푸스''(Parasaurolophus)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가까운 볏 도마뱀"이라는 뜻이다. 이는 그리스어 단어 '파라'(παρα, "곁에" 또는 "가까이"), '사우로스'(σαυρος|사우로스grc, "도마뱀"), '로포스'(λοφος|로포스grc, "볏")를 합쳐 만든 이름이다. 이 이름은 처음에는 겉모습이 비슷한 볏을 가진 사우롤로푸스(Saurolophus)와 가까운 관계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붙여졌다. 그러나 이후 연구를 통해 ''파라사우롤로푸스''는 하드로사우루스과(Hadrosauridae) 공룡 중에서도 속이 빈 볏을 가진 람베오사우루스아과(Lambeosaurinae)에 속하며, 단단한 볏을 가진 하드로사우루스아과(Hadrosaurinae)의 ''사우롤로푸스''와는 다른 그룹임이 밝혀졌다.
''파라사우롤로푸스'' 속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세 종이 인정된다: ''P. walkeri'', ''P. tubicen'', ''P. cyrtocristatus''. 이들은 볏의 형태와 내부 구조, 크기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 ''파라사우롤로푸스 워커리'' (''P. walkeri''): 이 종은 ''파라사우롤로푸스'' 속의 모식종이다. 1920년 캐나다 앨버타주 레드 디어 강 유역의 공룡 공원 지층(Dinosaur Park Formation)에서 토론토 대학교 탐사팀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발견된 화석(ROM 768)은 두개골과 꼬리 대부분, 무릎 아래 다리가 없는 부분 골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윌리엄 파크스(William Parks)는 1922년 이 표본을 연구하고, 당시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 이사회 의장이었던 바이런 에드먼드 워커 경을 기리기 위해 ''P. walkeri''라는 학명을 붙였다. 이 종의 화석은 앨버타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며, 공룡 공원 지층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 두개골 1점과 두개골 없는 표본 3점이 추가로 알려져 있다. 일부 문헌에서는 후기 마스트리히트 절 시기 미국 몬태나주의 헬 크릭 지층(Hell Creek Formation)에서도 ''P. walkeri'' 화석이 발견되었다고 언급하지만, 이는 후속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P. walkeri''는 다른 두 종에 비해 볏의 내부 구조가 단순하고, ''P. cyrtocristatus''보다 볏이 더 곧게 뻗어 있다.
- ''파라사우롤로푸스 투비켄'' (''P. tubicen''): 1921년 찰스 헤젤리우스 스턴버그(Charles H. Sternberg)가 미국 뉴멕시코주 샌 후안 군의 키르틀랜드 지층(Kirtland Formation)에서 부분 두개골(PMU.R1250)을 발견했다. 이 화석은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로 보내졌고, 1931년 칼 비만(Carl Wiman)이 두 번째 종인 ''P. tubicen''으로 명명했다. 종명 '투비켄'(tubicen)은 라틴어로 "나팔수"를 의미한다. 1995년에는 거의 완전한 두 번째 ''P. tubicen'' 두개골(NMMNH P-25100)이 뉴멕시코에서 발견되었다. 이 두개골의 컴퓨터 단층 촬영(CT) 분석을 통해 로버트 설리반(Robert Sullivan)과 토마스 윌리엄슨(Thomas Williamson)은 1999년 이 종의 해부학적 특징, 분류, 볏의 기능에 대한 모노그래프를 발표했다. ''P. tubicen''은 알려진 ''파라사우롤로푸스'' 종 중에서 가장 크며, 길고 곧은 볏은 다른 종들보다 훨씬 복잡한 내부 통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알려진 모든 표본은 키르틀랜드 지층의 데나진(De-na-zin) 구간에서 발견되었다.
- ''파라사우롤로푸스 키르토크리스타투스'' (''P. cyrtocristatus''): 1961년 존 오스트롬(John Ostrom)이 뉴멕시코에서 발견된 또 다른 좋은 표본(FMNH P27393)을 기반으로 명명했다. 이 표본은 짧고 아래로 굽은 볏을 가진 부분 두개골과 발, 목, 꼬리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후두골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명 '키르토크리스타투스'(cyrtocristatus)는 라틴어로 "짧아진"(curtus) "볏"(cristatus)을 의미한다. 이 표본은 프루트랜드 지층(Fruitland Formation) 상부 또는 그 위의 키르틀랜드 지층 기저부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79년, 미국 유타주 가필드 군의 카이파로위츠 지층(Kaiparowits Formation)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볏을 가진 부분 두개골(BYU 2467)이 발견되면서 이 종의 분포 범위가 넓어졌다. ''P. cyrtocristatus''는 세 종 중에서 가장 작고 볏이 가장 짧고 둥글게 휘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한때 ''P. walkeri''나 ''P. tubicen''의 암컷 또는 아성체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특히 ''P. cyrtocristatus''의 모식 표본 크기가 ''P. tubicen''의 약 72% 정도인데, 이는 다른 람베오사우루스아과 공룡들에서 성적 이형성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크기와 비슷하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P. cyrtocristatus''와 다른 두 종은 살았던 시기와 지역이 다르고, 볏의 형태와 내부 구조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2014년에는 중국 아무르강 유역에서 발견된 ''카로노사우루스(Charonosaurus) jiayensis''가 실제로는 ''파라사우롤로푸스'' 속에 속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C. jiayensis''는 ''파라사우롤로푸스''의 새로운 종인 ''P. jiayensis''가 될 수 있으며,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파라사우롤로푸스'' 속은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두 대륙에 걸쳐 분포했고 백악기-고생대 대멸종 직전까지 생존했을 가능성이 있다.
계통 발생학적으로 ''파라사우롤로푸스''는 람베오사우루스아과 내에서 독자적인 분파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헬멧 모양의 볏을 가진 ''코리토사우루스(Corythosaurus)'', ''히파크로사우루스(Hypacrosaurus)'', ''람베오사우루스(Lambeosaurus)'' 등과는 구분된다.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는 중국 아무르강 지역에서 발견된 ''카로노사우루스(Charonosaurus)''가 꼽히는데, 두 속은 두개골 형태가 유사하며 함께 파라사우롤로피니(Parasaurolophini)라는 분족(clade)을 형성할 수 있다. 짧고 둥근 볏을 가진 ''P. cyrtocristatus''는 알려진 세 종의 ''파라사우롤로푸스'' 중 가장 기저적이거나, ''P. tubicen''의 아성체 또는 암컷 표본을 나타낼 수 있다.
5. 고생물학
5. 1. 식성
하드로사우루스과에 속하는 파라사우롤로푸스는 몸집이 크고, 두 발 보행과 네 발 보행이 모두 가능했던 초식 공룡이다. 이들은 식물을 먹이로 삼았는데, 씹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음식을 갈아 먹을 수 있는 정교한 두개골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빨은 지속적으로 교체되었으며, 수백 개의 이빨이 빽빽하게 모여 치열 배터리(dental battery)를 이루었지만, 실제로 한 번에 사용된 이빨의 수는 많지 않았다. 파라사우롤로푸스는 부리를 이용해 식물을 잘라냈으며, 뺨과 비슷한 구조가 있어 먹이를 입안에 효과적으로 머금을 수 있었다. 이들은 땅에서부터 약 4m 높이에 있는 식물까지 섭취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고생물학자 로버트 T. 배커는 파라사우롤로푸스가 속한 람베오사우루스아과 공룡들이 하드로사우루스아과 공룡들보다 부리가 좁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근거로 그는 파라사우롤로푸스와 그 친척들이 넓은 부리를 가진 다른 하드로사우루스류보다 먹이를 더 선택적으로 섭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파라사우롤로푸스의 주된 먹이는 잎, 잔가지, 소나무 잎 등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이들이 주로 잎을 먹는 동물(browser)이었음을 시사한다.
5. 2. 성장
''파라사우롤로푸스''는 성체 표본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2013년에는 '조'(Joe)라는 별명을 가진 어린 개체(RAM 14000)가 기술되었다.[4] 이 표본의 별명은 Raymond M. Alf 고생물학 박물관(RAM)의 자원봉사자 이름에서 따왔다. 이 어린 개체는 2009년 미국 유타주의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박물관과 웹 스쿨의 합동 탐사대가 발굴했다. 조사 결과, 이 개체는 사망 당시 약 1살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파라사우롤로푸스'' 속의 한 종(''Parasaurolophus'' sp.)으로 분류된 이 어린 개체는 지금까지 발견된 ''파라사우롤로푸스'' 중 가장 완전하고 어린 표본으로, 몸길이는 약 2.5m이다. 이 발견은 ''파라사우롤로푸스''의 성장 단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이 개체는 약 75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RAM 14000과 성체 ''파라사우롤로푸스'' 사이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완전한 두개골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비슷한 크기의 부분적인 뇌 상자는 알려져 있다.
이 어린 개체는 전체 성체 크기의 약 25%에 불과했지만 머리의 볏은 이미 발달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코리토사우루스''와 같은 가까운 하드로사우루스류 공룡들보다 볏 성장이 더 일찍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파라사우롤로푸스'' 성체의 볏이 유난히 큰 이유가 이러한 초기 발달 시기의 차이 때문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어린 개체의 볏은 성체의 길고 관 모양과는 달리, 낮고 반구 형태를 띠고 있었다.
RAM 14000의 두개골은 왼쪽 상악골 일부가 없지만 거의 완전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다만, 두개골은 침식 작용으로 인해 가운데가 갈라져 있었는데, 이는 아마도 강바닥에 놓여 있던 동안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양쪽 부분이 약간 어긋나 있으며, 오른쪽 일부 뼈는 침식으로 인해 원래 위치에서 벗어났다. 복원된 두개골의 측면 모습은 다른 어린 람베오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 유사하게 대략 사다리꼴 형태를 띤다.
또한 CT 스캔 데이터를 이용해 RAM 14000의 부분적인 두개 내강(뇌가 위치했던 공간) 모형이 재구성되었으며, 이는 ''파라사우롤로푸스''의 어떤 성장 단계에서도 처음으로 이루어진 시도이다. 두개 내강 모형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재구성되었고, 두개골의 주요 지점들과 다른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위치가 추정되었다. 하지만 풍화 작용으로 인해 더 작은 신경관이나 구멍들의 명확한 식별은 어려웠다.
5. 3. 볏의 기능
파라사우롤로푸스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머리 뒤쪽으로 길게 뻗은 속이 빈 볏이다. 이 볏은 전상악골과 비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콧구멍에서 시작된 관이 볏 끝까지 갔다가 다시 방향을 바꿔 두개골 안으로 이어진다. 이 관의 구조는 종마다 차이가 있어서, ''P. walkeri''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졌지만, ''P. tubicen''은 일부 관이 막히거나 서로 만나고 갈라지는 등 더 복잡한 구조를 보였다. 볏의 형태도 달라서 ''P. walkeri''와 ''P. tubicen''은 길고 약간 굽은 볏을 가졌던 반면, ''P. cyrtocristatus''는 더 짧고 둥근 볏을 가지고 있었다.
이 독특한 볏의 기능에 대해서는 과거부터 많은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대부분은 현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초기의 가설들은 파라사우롤로푸스를 포함한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이 수생 생활을 했을 것이라는 당시의 가설에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알프레드 셔우드 로머는 볏이 스노클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제안했고, 마르틴 빌파르트는 숨쉬거나 먹이를 모으는 데 사용되는 움직이는 코의 부착점이라고 주장했다. 찰스 M. 스턴버그는 물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공기 트랩으로, 에드윈 해리스 콜버트는 물속에 오래 머물기 위한 공기 저장소로 생각했다.
다른 가설들은 기계적인 기능에 초점을 맞췄다. 윌리엄 파크스는 볏이 인대나 근육으로 척추와 연결되어 머리를 지탱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라고 제안했지만, 목덜미 인대는 보통 목이나 두개골 바닥에 붙기 때문에 가능성은 낮다.[5] 오테니오 아벨은 동족 간의 싸움에서 무기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했고, 앤드류 밀너는 화식조처럼 잎사귀를 헤치는 데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 다른 가설들은 볏 안에 특별한 기관이 있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할슈카 오스몰스카는 염분샘이 들어있었을 것이라고 제안했고, 존 오스트롬은 후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각 상피가 넓게 분포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초기 가설들은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대부분 폐기되었다. 볏 끝에는 스노클 역할을 할 구멍이 없고, 코로 사용되었다는 근육 흔적도 없다. 공기 트랩이나 저장소로 보기에는 구조적으로 부적합하거나 용량이 너무 작다. 머리를 지탱하기 위해 볏이 필요했다면, 볏이 없거나 단단한 볏을 가진 다른 하드로사우루스과 공룡들은 어떻게 큰 머리를 지탱했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또한, 후각 기관은 볏의 통로 바깥쪽에 주로 위치해 있어, 볏이 후각 능력 향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잃었다.
현재는 볏이 여러 가지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 기능으로는 시각적 과시, 소리 증폭, 체온 조절 등이 거론된다.
- 체온 조절: 볏의 넓은 표면적과 혈관 분포는 체온 조절에 관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1978년 휠러는 볏이 뇌와 연결되어 뇌를 식히는 역할을 했을 수 있다고 처음 제안했다. 이후 테레사 마리안스카와 오스몰스카는 현대 파충류의 염분샘처럼 삼투압 조절을 통해 체온을 낮추는 기능을 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006년 에반스는 이러한 체온 조절 기능이 볏의 진화를 이끈 요인 중 하나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소리 증폭: 볏 내부의 빈 공간과 긴 관은 소리를 내는 공명강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가설이 유력하다. 1931년 비먼이 처음 제안한 이 아이디어는 이후 여러 연구를 통해 뒷받침되었다. 1981년 데이비드 웨이샴펠은 볏의 구조를 분석하여 파라사우롤로푸스가 약 30Hz 정도의 저주파 소리를 냈을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P. tubicen''의 잘 보존된 두개골을 컴퓨터로 모델링한 결과, 복잡한 내부 구조가 소리에 다양한 변화를 만들어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임스 홉슨은 코리토사우루스와 같은 가까운 친척들의 귀 구조 연구를 통해 이들이 민감한 청각을 가졌음을 밝혀냈고, 이는 동족 간의 의사소통에 소리가 중요했음을 시사한다. 이 저주파 소리는 멀리까지 전달되어 무리 내 의사소통이나 경고 신호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 시각적 과시: 크고 독특한 형태의 볏은 동족을 알아보거나 성별을 구별하고, 다른 종과 자신을 구분하는 시각적인 신호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드로사우루스과의 큰 안와와 눈에 공막환의 존재는 이들이 예민한 시각과 주행성 습성을 가졌음을 암시하며, 시각적 신호가 이 동물들에게 중요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볏의 크기와 형태가 종마다, 그리고 아마도 성별에 따라 달랐을 것이므로(성적 이형성), 이를 통해 서로를 식별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볏을 가진 ''P. cyrtocristatus''가 암컷 형태이거나 미성숙한 개체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비록 이 가설들이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미성숙한 파라사우롤로푸스는 작고 둥근 볏을 가졌다가 성적 성숙에 가까워지면서 점차 길고 큰 볏으로 발달했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연구에서는 미성숙한 개체에서도 이미 작은 관 모양의 볏이 존재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과거에는 볏 뒤쪽으로 피부 주름(프릴)이 목이나 등까지 이어져 시각적 효과를 더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다. 바넘 브라운이 1912년에 처음 제기한 이 아이디어는 찰스 R. 나이트의 그림이나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환타지'' 등을 통해 널리 퍼졌으나, 현재는 이를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가 부족하여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5]
결론적으로 파라사우롤로푸스의 볏은 단일 기능보다는 시각적 식별, 소리를 이용한 의사소통, 체온 조절 등 여러 목적을 위해 복합적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중 어떤 기능이 볏의 진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6. 고병리학
''파라사우롤로푸스 워커리''(''P. walkeri'')는 고병리학(paleopathology)적 증거를 포함할 수 있는 한 표본에서 알려져 있다. 이 골격은 목 아랫부분 척추에 V자 모양의 틈 또는 노치가 있는 것을 보여준다. 처음에는 이것이 병리학적인 문제로 여겨졌으나, 윌리엄 파크스는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인대 부착 지점이라는 두 번째 해석을 제시했다. 즉, 볏이 근육이나 인대를 통해 이 틈에 부착되어, 일부 하드로사우루스과(hadrosaurids)에서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는 프릴(frill)과 유사하게 머리를 지지하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가능성은 표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했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일부 ''파라사우롤로푸스'' 복원도에서 피부 덮개를 포함하더라도, 이 노치는 여전히 병리학적 문제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
파크스는 노치 주변에서 또 다른 가능한 병리학적 증거를 발견했다. 노치 바로 앞쪽, 즉 넷째, 다섯째, 여섯째 목 척추의 신경 가시(neural spines)가 손상된 상태였다. 넷째 척추는 뚜렷한 골절 흔적을 보였고, 나머지 두 척추는 골절 부위의 기저부가 부어 있었다.
2020년 12월에 발표된 베르토초(Bertozzo) 등의 병리학 분석에 따르면, ''P. walkeri'' 모식 표본의 어깨와 흉부 갈비뼈에서 발견된 병리학적 증상은 아마도 심한 폭풍 중에 쓰러지는 나무에 부딪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뼈의 재생 흔적을 바탕으로, 이 개체는 부상을 입은 후 최소 1개월에서 4개월, 혹은 수년 동안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모식 표본 개체에서 확인된 병리학적 증상 중 어느 것도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되거나 기여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6]
7. 고생태
''파라사우롤로푸스''는 후기 백악기 캄파니안절에서 마스트리히트절 초기에 걸쳐 현재의 북아메리카 서부 지역에 서식했다. 주요 화석은 캐나다 앨버타주, 미국 뉴멕시코주와 유타주의 당시 강이나 호수 주변의 범람원, 늪 지대였던 환경에서 발견되었다.[4] 당시 기후는 현재보다 따뜻했으며, 식생은 침엽수가 우세하고 그 아래로 양치류, 고사리류, 피자식물 등이 자라는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6]
이들은 매우 다양한 공룡들과 공존했는데, 여기에는 다른 오리주둥이 공룡, 뿔 달린 공룡, 티라노사우루스과와 같은 대형 수각류, 오르니토미무스과, 갑옷 공룡 등이 포함된다.[4] 또한, 악어류(데이노수쿠스 포함), 거북, 도마뱀, 어류, 초기 포유류 등 다양한 척추동물들이 함께 서식했던 생태계의 일원이었다.
하지만 ''파라사우롤로푸스''는 특정 지역, 특히 북부 지역(앨버타)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견되는 편이었다.[5] 이는 이들이 주로 고지대에 서식했거나,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북쪽 지역에서 ''파라사우롤로푸스''와 ''크리토사우루스''가 발견된다는 점은 당시 지리적으로 구분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북아메리카의 북부와 남부 생물군 사이에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지기도 한다.
7. 1. 앨버타 (캐나다)
''파라사우롤로푸스''(Parasaurolophus)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곁에" 또는 "가까이"를 뜻하는 'para'(παρα), "도마뱀"을 뜻하는 σαυρος|사우로스grc, 그리고 "볏"을 뜻하는 λοφος|로포스grc에서 유래했으며, "가까운 볏이 있는 도마뱀"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 이름은 ROM 768번 표본에 기반하는데, 이 표본은 꼬리 대부분과 무릎 아래 다리가 없는 두개골과 부분 골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1920년 앨버타주 레드 디어 강을 따라 샌드 크릭 근처에서 토론토 대학교의 현장 조사팀이 발견했다. 이 화석이 발견된 암석은 현재 후기 백악기 캄파니안 시기의 공룡 공원 지층으로 알려져 있다. 윌리엄 파크스(William Parks)는 이 표본에 ''P. walkeri''라는 종명을 붙였는데, 이는 당시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 이사회 의장이었던 바이런 에드먼드 워커 경을 기리기 위함이었다.
''파라사우롤로푸스''의 유해는 앨버타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공룡 공원 지층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부분 두개골 하나와, 두개골은 없지만 이 속에 속할 가능성이 있는 세 개의 표본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일부 동물군 목록에는 후기 마스트리히트 절 시기의 암석 단위인 몬태나주의 헬 크릭 지층에서 ''P. walkeri''의 화석이 발견되었다는 언급이 있으나, 이는 후속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공룡 공원 지층에서 발견된 ''파라사우롤로푸스 워커리''(Parasaurolophus walkeri)는 매우 다양하고 잘 기록된 선사 시대 동물 동물상의 일원이었다. 이들과 함께 살았던 공룡들로는 뿔 달린 공룡인 켄트로사우루스, 카스모사우루스, 스티라코사우루스, 오르니토미무스과의 스트루티오미무스, 오리주둥이 공룡인 그리포사우루스와 코리토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과의 고르고사우루스와 다스플레토사우루스, 그리고 갑옷 공룡인 에드몬토니아, 유오플로케팔루스, 디플로사우루스 등이 있다. 하지만 ''파라사우롤로푸스''는 이 동물상 내에서는 희귀한 편이었다.
공룡 공원 지층은 과거 강과 범람원이 있던 낮은 지형으로 해석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서부 내륙 해로가 서쪽으로 밀려 들어옴에 따라 점차 늪 지대가 많아지고 해양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당시 기후는 현재의 앨버타보다 따뜻했고 서리는 없었지만, 습한 계절과 건조한 계절이 반복되었다. 식생은 침엽수가 숲의 윗부분을 이루고, 그 아래에는 양치류, 고사리류, 피자식물 등이 자라는 하층 식생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공룡 공원 지층과 같은 북쪽 지역에서 ''파라사우롤로푸스''가 드물게 발견되는 이유로는, 이들이 단지 이 지역을 통과하다가 죽은 개체이거나, 혹은 둥지를 틀거나 먹이를 먹기 위해 주로 고지대에 서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북쪽 지역에서 ''파라사우롤로푸스''와 ''크리토사우루스''가 발견된다는 점은 후기 백악기 북아메리카에서 지리적으로 구분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북부와 남부 생물군 사이에 동물상 교환이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이 두 공룡은 남부 지역 외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며, 펜타케라톱스와 함께 남부 동물상의 주요 구성원으로 알려져 있다.
7. 2. 뉴멕시코 (미국)
1921년, 찰스 헤젤리우스 스턴버그는 미국 뉴멕시코주 샌 후안 군에 위치하며 연대가 약간 더 늦은 키르틀랜드 지층에서 부분적인 두개골(PMU.R1250)을 발굴했다. 이 표본은 스웨덴 웁살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칼 비만이 1931년에 두 번째 종인 ''파라사우롤로푸스 투비켄''(''P. tubicen'')으로 기술했다. 종명 ''투비켄''(tubicenla)은 라틴어로 "나팔수"를 의미한다. 1995년에는 뉴멕시코에서 거의 완전한 두 번째 ''P. tubicen'' 두개골(NMMNH P-25100)이 발견되었다. 이 두개골의 컴퓨터 단층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로버트 설리반과 토마스 윌리엄슨은 1999년에 이 종의 해부학적 및 분류학적 특징과 볏의 기능에 대해 다룬 모노그래프를 발표했다. 이후 윌리엄슨은 2000년에 이 연구의 분류학적 결론에 일부 동의하지 않는 독자적인 검토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존 오스트롬은 1961년에 뉴멕시코에서 발견된 또 다른 중요한 표본(FMNH P27393)을 바탕으로 ''파라사우롤로푸스 키르토크리스타투스''(''P. cyrtocristatus'')를 명명했다. 이 표본은 짧고 둥근 볏을 가진 부분 두개골과 발, 목, 꼬리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후두골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명 ''키르토크리스타투스''는 라틴어 ''쿠르투스''(curtusla, "짧아진")와 ''크리스타투스''(cristatusla, "볏이 있는")에서 유래했다. 이 표본은 프루트랜드 지층 상부 또는, 더 가능성 높게는, 그 위에 놓인 키르틀랜드 지층의 가장 아래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P. cyrtocristatus''의 분포 범위는 1979년 데이비드 B. 바이스엠펠과 제임스 A. 젠슨이 유타주 가필드 군의 캄파니안절 시기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유사한 볏을 가진 부분 두개골(BYU 2467)을 보고하면서 확장되었다. 이후 유타에서는 짧고 둥근 ''P. cyrtocristatus'' 형태의 볏을 가진 또 다른 두개골이 발견되었다.
뉴멕시코의 프루트랜드 지층에서 ''P. cyrtocristatus''는 다양한 조반류 및 수각류 공룡들과 함께 서식했다. 당시 프루트랜드 지층은 늪지대였으며, 저지대에 위치하고 백악기 내륙 해로의 해안과 가까웠다. 이 지층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약 7556만 년 전(±41만 년)보다 약간 젊고, 가장 젊은 부분은 약 7455만 년 전(±22만 년)으로 연대가 측정된다. 당시 함께 살았던 동물들은 다음과 같다.
분류 | 속/종 |
---|---|
각룡류 | 펜타케라톱스 스텐베르기; ?카스모사우루스; 케라톱스과 (미확인) |
후두류 | 스테고케라스 노보멕시카눔 |
수각류 | 티라노사우루스과 (미확인); ?오르니토미무스; 트로오돈과?;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 랑스토니; ?스트루티오미무스 |
조각류 | 하드로사우루스아과 (미확인); 하드로사우루스과 (미확인); ?코리토사우루스 |
프루트랜드 지층보다 약간 후대에 해당하는 키르틀랜드 지층에서는 ''P. tubicen''이 발견된다.[4] 이 지층의 연대는 약 7455만 년 전(±22만 년)에서 시작하여 약 7305만 년 전(±25만 년)에 끝난다. 키르틀랜드 지층에서는 어류, 악어형류, 조반류, 용반류, 익룡, 거북 등 다양한 척추동물 화석이 발견되었다. ''P. tubicen''과 함께 서식했던 동물군은 다음과 같다.
분류 | 속/종 |
---|---|
어류 | 멜비우스 카울리오두스; 밀레달푸스 바이파르티투스 |
악어형류 | 브라키챔프사 몬타나; 데나지노수쿠스 키르틀란디쿠스; ?레이디오수쿠스 (미확인) |
하드로사우루스과 | 아나사지사우루스 호르네리; 나아쇼이비토사우루스 오스트로미; 크리토사우루스 나바요비우스; 파라사우롤로푸스 투비켄(P. tubicen) |
곡룡류 | 아쉬실레펠타 마이너; 노도케팔로사우루스 키르틀란덴시스 |
각룡류 | 펜타케라톱스 스텐베르기; 티타노케라톱스 우라노스 |
후두류 | 스테고케라스 노보멕시카눔; 스페로톨루스 굿위니 |
티라노사우루스과 | 비스타히에르소르 시레이리; 미확인 티라노사우루스과 |
오르니토미무스과 | 오르니토미무스 sp.; ?스트루티오미무스 |
트로오돈과 |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 로부스투스; 미확인 트로오돈과 |
익룡 | 나바호닥틸루스 보에리 |
거북 | 데나지네미스 노도사; 바실레미스 노빌리스; 뉴라킬루스 바우에리; 플라토메누스 로부스투스; 테세루스 헤미스페리카 |
7. 3. 유타 (미국)
존 오스트롬이 1961년에 뉴멕시코에서 발견된 표본(FMNH P27393)을 기반으로 처음 묘사한 ''P. cyrtocristatus'' 종은 이후 유타주에서도 발견되었다. 1979년 데이비드 B. 바이스엠펠과 제임스 A. 젠슨은 유타주 가필드 군의 캄파니아절 시대 카이파로위츠 지층(Kaiparowits Formation)에서 유사하게 짧고 둥근 볏을 가진 부분 두개골(BYU 2467)을 발견하여 이 종의 분포 범위를 확장했다. 이후 유타에서는 짧고 둥근 ''P. cyrtocristatus'' 형태의 볏을 가진 또 다른 두개골이 발견되었다.[7]아르곤-아르곤 연대 측정에 따르면 카이파로위츠 지층은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시기인 7660만 년 전에서 7450만 년 전에 퇴적되었다. 이 시기 카이파로위츠 지층의 위치는 북아메리카 대륙을 서쪽의 라라미디아와 동쪽의 애팔래치아로 나누었던 거대한 내해인 서부 내륙 해로의 서쪽 해안 근처였다. 공룡들이 서식했던 고원은 넓은 강줄기와 풍부한 습지 이탄 늪, 연못, 호수가 있는 고대 범람원이었으며, 고지대가 인접해 있었다. 기후는 습하고 축축했으며, 다양하고 풍부한 생명체들을 부양했다. 이 지층은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하고 연속적인 후기 백악기 육상 생태계 기록 중 하나를 담고 있다.
''파라사우롤로푸스''는 카이파로위츠 지층에서 다양한 동물들과 공존했다. 여기에는 다른 공룡들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척추동물과 포유류가 포함된다.
분류 | 종류 |
---|---|
수각류 |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트로오돈과 (탈로스), 오르니토미무스과 (오르니토미무스), 티라노사우루스과 (테라토포네우스) |
조반류 | 안킬로사우루스과, 하드로사우루스과 (그리포사우루스), 케라톱스과 (유타케라톱스, 나수토케라톱스, 코스모케라톱스) |
오비랍토로사우리아 | 하그리푸스 |
기타 척추동물 | 연골어류 (상어 및 가오리), 양서류 (개구리, 도롱뇽), 파충류 (거북, 도마뱀, 악어 데이노수쿠스) |
포유류 | 다구치류, 유대류, 충치목 |
8. 한국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허구 작품에서 파라사우롤로푸스는 여러 캐릭터의 모티프가 되었다. 파라 & 딩키 다이노스의 파라, 폭룡전대 아바렌쟈의 폭룡 파라사로키루, 수전전대 쿄류저의 수전룡 파라사건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고대왕자 공룡킹 D키즈 어드벤처에서는 히로인 류노 마름의 파트너 공룡으로 등장한다. 만화 지옥선생 누베에서는 불로장수의 호흡법을 통해 현대까지 살아남은 개체가 등장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dinosaur book: the ruling reptiles and their relatives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51
[2]
논문
A new method to calculate allometric length-mass relationships of dinosaurs
https://dinoweb.ucoz[...]
2001
[3]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Joe the Dinosaur
https://www.dinosaur[...]
Raymond Alf Museum
2021-03-31
[5]
간행물
Description and etiology of paleopathological lesions in the type specimen of Parasaurolophus walkeri (Dinosauria: Hadrosauridae), with proposed reconstructions of the nuchal ligament
https://doi.org/10.1[...]
2020
[6]
논문
Description and etiology of paleopathological lesions in the type specimen of Parasaurolophus walkeri (Dinosauria: Hadrosauridae), with proposed reconstructions of the nuchal ligament
[7]
서적
恐竜博物図鑑
新樹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