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고사리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고사리속(Lygodium)은 얇고 유연한 잎자루와 덩굴을 형성하는 독특한 잎을 가진 고사리 속이다. 이 속은 아시아, 오스트레일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등 전 세계 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약 40종이 분포하며, 잎은 덩굴 형태로 자라 최대 12m까지 성장한다. 뿌리줄기는 지하에서 뻗으며, 잎은 부분 이형성을 보인다. 포자낭은 소열편 뒷면 맥단에 2열로 위치하며, 가포막으로 덮여 있다. 일부 종은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어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며, 필리핀에서는 섬유 원료로, 한국에서는 이뇨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실고사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학명 | Lygodium 스와르츠 |
과 | 카니쿠사과 (Lygodiaceae) 뢴머 |
목 | 후사시다목 (Schizaeales) |
아강 | 분낭시다아강 (Polypodiidae) |
아계 | 대엽시다식물 |
어원 | '유연하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lygos'에서 유래 |
분포 및 특징 | |
서식지 |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 |
특징 | 덩굴성 양치류, 잎자루가 덩굴처럼 길게 뻗어나감 |
침입종 | 일부 종은 침입종으로 분류됨 (Lygodium microphyllum) |
형태 | |
잎 | 잎자루가 덩굴처럼 자라며, 작은 잎(우편)이 다수 붙어 있음 |
포자낭 | 잎 뒷면에 포자낭군 형성 |
하위 분류 | |
종 | 본문 참조 |
이명 | |
과거 학명 | Arthrolygodes Presl Cteisium Michaux Gisopteris Bernh. Hugona Cavanilles ex Roemer Hydroglossum Willdenow Lygodictyon Smith ex Hook. Odontopteris Bernhardi non (Brongniart 1822) Sternberg 1825 Ramondia de Mirbel Ugena Cavanilles Vallifilix Du Petit-Thouars |
참고 | |
rbcL 유전자 서열 | 엽낭시다류의 진화 계통에 대한 증거를 제공함 Hasebe et al., 1994 |
2. 형태
실고사리속은 잎자루 또는 우상엽의 중심 늑이 얇고 유연하며 길고, 잎이 말리면서 불확실한 성장을 하고 잎자루가 지지대 주위를 꼬이면서 각 잎이 독특한 덩굴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잎의 길이는 종에 따라 3m에 달할 수 있다. 또한 잎자루가 손상될 때까지 휴면 상태로 유지되는 정단 싹을 가지고 있어 높은 수준의 생존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다.[2]
실고사리속은 넓은 분포를 보이는 속으로, 아시아, 오스트레일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에 자생 개체군이 존재한다. 이 속은 대부분 범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다양성의 중심지는 보르네오, 필리핀, 뉴기니와 같은 태평양 섬이다.[2] 온대 기후에 잘 적응하는 몇몇 종도 존재하는데, 동아메리카의 애팔래치아 지역에 고유한 단풍실고사리(''Lygodium palmatum'')와 일본이 원산지이지만 미국 남동부에서 침입성이 강한 실고사리(''Lygodium japonicum'')가 있다. 유럽에 현존하는 실고사리속 종이 없는 것은 일반적으로 플라이스토세 빙하기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 미국과 일본과 같이 현재 실고사리속 개체군이 존재하는 다른 고위도 및 중위도 지역에서는 이와 유사한 멸종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불일치는 유럽 알프스산맥이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실고사리속을 포함한 여러 종들의 남쪽으로의 이동을 막았고, 애팔래치아 산맥과 일본 알프스가 비교적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어 그러한 남쪽 이동을 허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2]
생활형은 지상생이며, 잎이 덩굴이 되는 경우가 많다. 속씨식물의 일반적인 덩굴은 줄기이지만, 실고사리속의 덩굴은 1장의 잎이다.
뿌리줄기는 지하를 기면서 뻗으며, 그 표면에 굳은 마디털이 나지만, 인편은 없다. 지름은 가늘고, 두 갈래 갈라짐을 한다. 줄기나 뿌리는 원생 중심주를 가지며, 배복성을 가진다.
잎은 줄기의 뒷면에서 1열로 늘어서서 난다. 지상으로 나온 잎은 무한 생장을 하여 수 미터 이상으로 뻗어 다른 물체에 감겨 올라간다. 잎의 선단에는 무한 생장하는 잎 선단 줄기 세포가 존재한다. 이것이 수년에 걸쳐 분열을 계속한다. 중축에서 분기하는 1차 우축은 짧고, 선단이 성장을 멈추고 휴지아가 된다. 휴지아는 털로 덮여 있고, 좌우 1쌍의 우편을 단다.
눈의 좌우로 튀어나오는 소우편은 더욱 갈라져서 우상이나 장상으로 열편을 달고, Y자형이나 망상으로 되기도 한다. 실고사리에서는 소우편이 2회 우상복생하기 때문에, 1장의 잎은 4회 우상복생한다. 이리오모테샤미센즈루에서는 우편이 단우상열하고, 1장의 잎 전체는 3회 우상복생한다. 잎맥은 유리되거나, 망상이 된다.
잎은 부분 이형성을 보이며, 1개의 영양엽 안에서 열편의 형태가 변화한다. 포자낭을 붙이지 않는 소우편은 전연에서 톱니 모양, 또는 깊게 갈라진다. 포자낭을 붙이는 소우편은 변두리에 소열편이 있다.
많은 박막낭 고사리류와는 달리 명료한 포자낭군은 형성하지 않고, 포자낭은 소열편(최종 열편)의 뒷면 맥단에 1개씩, 2열로 늘어서서 생긴다.
포자낭은 서양배형(좌우 비대칭 난형)이며, 짧은 자루가 있다. 포막은 없지만 변두리가 반전되어 만들어진 '''가포막'''이라고 불리는 잎맥으로 덮인다. 환대는 선단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정단성), 포자낭은 세로로 열개한다. 포자는 사면체형이다.
배우체는 지상생이며 녹색이고, 편평한 심장형 전엽체이다.
3. 분포
전 세계의 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약 40종이 알려져 있다. 일본에는 실고사리, 이리오모테샤미센즈루의 2종(과 1변종)이 분포한다.
4. 계통
실고사리속의 계통수 미할당 종 style="vertical-align:top|
실고사리과는 새김고사리과, 바늘고사리과와 함께 새김고사리목을 구성한다. 새김고사리목은 속마다 다양한 형태를 가지지만, 포자낭이 잎의 배축면에 단생하고, 선단 부근에 환대가 있는 형질을 공유한다.
새김고사리목의 하위분류는 다음과 같다.
5. 인간과의 관계
필리핀에서 ''실고사리속''(Lygodium) 식물은 ''니토''로 알려져 있으며, 섬유 원료로 사용된다.[3][4] 이 섬유는 직조 재료로 사용되며, 특히 전통적인 사라콧 머리쓰개 재료로 사용된다.[3][4]
실고사리 잎은 건조시켜 포자를 채취하여 해금사(海金沙)라는 이뇨제로 사용한다. 이리오모테샤미센즈루 포자도 실고사리와 마찬가지로 이뇨제로 사용하며, 잎은 벌레 물린 곳 등에 민간약으로 사용한다.
실고사리의 덩굴 모양 잎은 중축을 사용하여 바구니 재료로 사용하며, 축제 때 장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오키나와현에서는 간시나라고 불리는 머리띠에 긴실고사리를 사용한다.
6. 침입종 문제
실고사리속의 일부 종은 미국 남동부에서 매우 심각한 침입 외래종으로 간주된다. 특히 일본 원산의 실고사리(''Lygodium japonicum'')는 미국 남동부에서 침입성이 강하며, 단풍실고사리(''Lygodium palmatum'')는 동아메리카 애팔래치아 지역에 고유하지만 일부 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알프스산맥이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실고사리속을 포함한 여러 종들의 남쪽 이동을 막아 유럽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2] 반면, 애팔래치아 산맥과 일본 알프스는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어 이러한 이동을 허용했기 때문에 미국과 일본에서는 실고사리속 개체군이 살아남았다.[2]
6. 1. 침입종 방제
실고사리는 1999년 플로리다 유해 잡초 목록에 추가되었다. 소나무 농장에서 주요 문제이며, 소나무 잎 산업에 오염 및 수확 문제를 일으킨다.[6] 덩굴 실고사리(''Lygodium microphyllum'')는 사이프러스 늪과 기타 습윤 지역을 침범하여 단일 식생을 형성한다. 이 대규모 침입은 모든 토착 식물과 동물을 몰아내고 해당 지역의 생태계를 완전히 변화시킨다.[6] 플로리다 식량농업과학연구소에 따르면, 실고사리속의 개체 수는 지난 10년 동안 12배 이상 증가했다.[5]7. 하위 분류
8. 화석 기록
중생대 후기 백악기 또는 신생대 고제3기 이후, 실고사리속의 대형 화석이 알려져 있다.[1]
후기 백악기에는 Lygodium creataceumla, Lygodium bierhorstianala 등의 종이 보고되었으며, 고제3기부터는 Lygodium kaulfussila, Lygodium skottsbergiila, Lygodium dinmorphyllumla 등이 발견되었다.[1] 시신세에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했으며,[2] 예를 들어 Lygodium kaulfussila는 미국 와이오밍주의 브리지어 층 상부 시신세에서 산출되었다.[3] 포자낭을 가진 최초의 확실한 화석 기록은 일본의 신세에서 발견되었다.[1][4]
참조
[1]
논문
rbcL gene sequences provide evidence for the evolutionary lineages of leptosporangiate ferns.
1994-06-07
[2]
서적
A monographic study of Lygodium Swartz (Pteridophyta: Lygodiaceae)
University of Michigan
[3]
서적
Salakot and Other Headgear
https://www.unesco-i[...]
ICHCAP, UNESCO
[4]
웹사이트
"Lygodium\" (PROSEA)"
https://uses.plantne[...]
2020-03-03
[5]
웹사이트
"SS-AGR-21/AG122: Natural Area Weeds: Old World Climbing Fern (''Lygodium microphyllum'')"
http://edis.ifas.ufl[...]
Edis.ifas.ufl.edu
2014-07-15
[6]
웹사이트
"Japanese climbing fern—Lygodium japonicum | Center for Aquatic and Invasive Plants"
http://plants.ifas.u[...]
Plants.ifas.ufl.edu
2014-07-15
[7]
논문
An Open and Continuously Updated Fern Tree of Life
[8]
웹사이트
Tree viewer: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FTOL
https://fernphy.gith[...]
2024-08-17
[9]
웹사이트
"Flora of New Zealand | General Profile | Lygodium articulatum"
http://www.nzflora.i[...]
Nzflora.info
2014-07-15
[10]
웹인용
"Flora of New Zealand | General Profile | Lygodium articulatum"
http://www.nzflora.i[...]
Nzflora.info
2014-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