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화 (신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내화는 실내에서 신는 신발을 의미하며, 우와바키, 발레 슈즈, 앞 고무 신발, 스니커즈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주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사무실, 병원, 공장, 학원 등에서 사용되며, 학교에서는 학교 규정에 따라 지정된 실내화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도 학교나 병원 등에서 실내화를 사용한다.
2. 우와바키의 종류
발레 슈즈는 갑 부분을 통과한 2cm 정도 폭의 고무 테이프로 사이즈를 조절하여 발을 밀어 넣어 신는 슬립온 타입의 신발이다. 소재는 한때 캔버스지였지만, 현재는 비닐(PVC)제의 것이 중심이다. 일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색은 보통 흰색이지만, 반을 나누는 등을 하기 쉽도록 앞 부분에 컬러 고무를 사용하거나 하고 있는 것도 있다. 대표적인 것은 파란색(코발트 블루)과 빨간색이 가장 많고, 이어서 노란색, 초록색, 하늘색 등이 이어진다.
발끝과 발 주위와 발바닥의 바닥의 부분이 모두 같은 색의 칼라 고무를 사용하고, 공기가 통과하기 쉬운 '통기성 타입의 우와바키'도 있다. 이것은 주로 발이 땀이 차기 쉬운 사람들(특히 여자의 사용이 많다)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990년대 정도부터는 이 타입이 주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 타입은, 세탁이나 걸을 때의 마모 등에 의한 컬러 고무의 열화가 심하고 앞 고무 슈즈에 비해 사용 수명이 짧다.
앞 고무 슈즈는 슬립온 타입의 신발이다. 발등 부분에 반원형의 엘라스틱 고무가 들어가 있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발레 슈즈보다는 튼튼한 구조로 튼튼하고 오래 지속되며 상당한 기간의 사용을 견딜 수 있다. 1975년경까지는 초중학생이 널리 사용하고 있어, 실내화 뿐만 아니라, 밖에서 신는 신발에도 많은 수요가 있었기 때문에, 흰색 이외에도 코발트, 빨강, 노랑, 감색, 초록 등 각종 색이 제조되고 있었다. 현재는 흰색, 코발트가 중심이지만, 다른 색도 조금씩 제조되고 있다. 소재는 비닐이 중심이지만 천제도 제조되고 있다. 혼방에 폴리우레탄이 함유되어 있는 것도 있다.
최근에는 하이테크 스니커 등의 등장으로 앞 고무 슈즈를, 아이들이 밖에서 신는 신발로서는 빠진 것 같지만, 다리의 건강면에서 봐도, 매우 착용감이 좋은 앞 고무 슈즈는, 성인의 일부에도 큰 인기가 있는 것도 사실이며, 젊은 여성이 패션으로 이 앞 고무 슈즈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또, 같은 앞 고무 슈즈에서도 앞 고무의 디자인을 삼각형으로 하고, 소재도 통기성이 좋은 메쉬가 된 타입이 등장했으며, 이 타입도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실내화로서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말 그대로의 스니커즈다. 일반적인 스니커즈이지만, 흰색 밑창이 일반적이다.
2. 1. 발레 슈즈
발레 슈즈는 갑 부분을 통과한 2cm 정도 폭의 고무 테이프로 사이즈를 조절하여 발을 밀어 넣어 신는 슬립온 타입의 신발이다. 소재는 한때 캔버스지였지만, 현재는 비닐(PVC)제의 것이 중심이다. 일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색은 보통 흰색이지만, 반을 나누는 등을 하기 쉽도록 앞 부분에 컬러 고무를 사용하거나 하고 있는 것도 있다. 대표적인 것은 파란색(코발트 블루)과 빨간색이 가장 많고, 이어서 노란색, 초록색, 하늘색 등이 이어진다.
발끝과 발 주위와 발바닥의 바닥의 부분이 모두 같은 색의 칼라 고무를 사용하고, 공기가 통과하기 쉬운 '통기성 타입의 우와바키'도 있다. 이것은 주로 발이 땀이 차기 쉬운 사람들(특히 여자의 사용이 많다)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990년대 정도부터는 이 타입이 주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 타입은, 세탁이나 걸을 때의 마모 등에 의한 컬러 고무의 열화가 심하고 앞 고무 슈즈에 비해 사용 수명이 짧다.
2. 2. 앞 고무 신발
앞 고무 슈즈는 슬립온 타입의 신발이다. 발등 부분에 반원형의 엘라스틱 고무가 들어가 있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발레 슈즈보다는 튼튼한 구조로 튼튼하고 오래 지속되며 상당한 기간의 사용을 견딜 수 있다. 1975년경까지는 초중학생이 널리 사용하고 있어, 실내화 뿐만 아니라, 밖에서 신는 신발에도 많은 수요가 있었기 때문에, 흰색 이외에도 코발트, 빨강, 노랑, 감색, 초록 등 각종 색이 제조되고 있었다. 현재는 흰색, 코발트가 중심이지만, 다른 색도 조금씩 제조되고 있다. 소재는 비닐이 중심이지만 천제도 제조되고 있다. 혼방에 폴리우레탄이 함유되어 있는 것도 있다.
최근에는 하이테크 스니커 등의 등장으로 앞 고무 슈즈를, 아이들이 밖에서 신는 신발로서는 빠진 것 같지만, 다리의 건강면에서 봐도, 매우 착용감이 좋은 앞 고무 슈즈는, 성인의 일부에도 큰 인기가 있는 것도 사실이며, 젊은 여성이 패션으로 이 앞 고무 슈즈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 또, 같은 앞 고무 슈즈에서도 앞 고무의 디자인을 삼각형으로 하고, 소재도 통기성이 좋은 메쉬가 된 타입이 등장했으며, 이 타입도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실내화로서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2. 3. 스니커즈
말 그대로의 스니커즈다. 일반적인 스니커즈이지만, 흰색 밑창이 일반적이다.
3. 우와바키가 사용되는 장소
3. 1. 유치원, 초등학교, 홀, 체육관 등
일반적으로는 전용 신발이 많이 판매된다. 실내화 특유의 메쉬 소재도 있지만, 보통은 흰색 천 또는 비닐제로 갑피에 고무 테이프를 통과시킨 것(발레 슈즈), 갑피 부분에 반원형 탄성 고무가 들어간 것(앞고무 신발), 앞고무 부분이 삼각형으로 발가락 부분과 옆면에 색깔 고무가 붙어있는 것 등이 사용된다.
학교에 따라서는 실내화가 발을 조이는 것이므로 신겨서는 안 된다고 하여, 실내화를 사용하지 않고 맨발로 생활하거나, 맨발에 코가 달린 신발을 신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하여 비치 샌들이나 슬리퍼(속칭 '변슬리'라고 함) 그리고 짚신(다다미 표면 학교용 건강 짚신, 천으로 만든 수제 짚신, 죽피 짚신, 짚 짚신) 등을 사용하는 곳도 있다. 이를 맨발 교육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학교에서는 운동장에서의 체육 등 때에도 맨발로 생활하는 예가 많다. 농촌부 등의 학교 일부는 전통적으로 실내화 습관이 없거나, 실내화를 싫어하는 어린이가 있기 때문에, 전원 또는 대부분의 어린이가 맨발로 생활하는 학교도 많다. 학교 내에서는 신발을 신지 않음으로써 발이 개방되는 셈이다.
홋카이도 외에도 도호쿠 지방이나 호쿠리쿠 지방 일부 등의 초등학교나 유치원은 밖에서 신는 일반적인 스니커즈나 운동화 등을 "실내화"로 하고 있다. 도쿄도에서도 특별구에 따라서는 교실에서는 실내화를 사용하지 않고, 체육관에서만 전용 신발을 사용하는 초등학교가 있다. 효고현(고베시)와 오키나와현에서도 학교에 따라서는 실내화가 없고, 토족인 곳이 있다.
3. 2. 중학교, 고등학교 등
기본적으로 실내화는 초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것과 큰 차이는 없지만, 대부분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학교에서 지정된 실내화를 사용한다. 또한, 학년별로 색상을 구분하는 학교가 많다.
도쿄 지역의 학교에서는 공립학교의 경우 발레 슈즈와 앞코 삼각 고무 타입의 실내화가 많고, 슬리퍼 등은 적다. 사립 여자고등학교에서는 앞코 고무 타입이 많으며, 흰색뿐만 아니라 파란색(코발트색) 앞코 고무 운동화를 지정하는 학교도 많다. 최근 몇 년 동안, 여학생들 중 발에 땀이 차거나, 미리 발 땀 방지를 위해 통기성 타입의 발레 슈즈(「실내화 종류」 참조)를 신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발가락과 뒤꿈치를 덮지 않는 샌들형 실내화를 채택하는 곳도 있다. 신고 벗기 편하며, 신체의 성장에 따라 발이 커져도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으며, 더욱이 교내를 뛰어다니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실내화는 학교 매점에서 지정된 것을 판매하거나, 입학 시기에 업체가 교내에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반 신발 가게에서는 상시 비치하지 않아, 바로 추가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또한, 학교에 따라서는 신발을 신고 다녀도 되는 곳도 있지만, 맨발로 다니는 학교는 별로 없다.
3. 3. 사무실, 병원, 공장 등
청결함을 유지해야 하는 장소, 예를 들어 컴퓨터 작업 현장, 병원, 급식 센터 등에서는 모래나 먼지가 치명적이므로, 대부분의 경우 실내화를 사용한다. 컴퓨터실에서는 슬리퍼나 샌들, 병원의 간호사는 샌들, 발레 슈즈, 앞 고무 신발 등, 끈이 없는 종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장 등에서 기계나 전기를 조작하는 경우, 안전화라고 불리는 실내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감전이나 물건 낙하로부터 발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3. 4. 학원, 예체능 교습소 등
기본적으로는 공용 슬리퍼를 사용해도 되지만, 야마하나 가와이 등의 음악 교실이나 댄스 스튜디오 등에서 실내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발레 슈즈, 앞 고무 신발, 운동화 등 어떤 종류든 괜찮다.
4. 한국에서
한국에서도 비슷한 신발을 실내화로 사용한다. 학교나 병원 등에서 사용하며 그 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Japanese Girls Selling Used Shoes On High Prices
https://www.animesen[...]
2021-08-20
[2]
웹사이트
Slippers in Japan
https://www.nippon.c[...]
2021-05-03
[3]
뉴스
【なるほど!ルーツ調査隊】学校の上履き、バレエ靴に発送脱ぎ履きが容易、安価で定着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11-07
[4]
뉴스
학교에 상履き 何で?
朝日新聞
2008-03-31
[5]
서적
白木屋三百年史
[6]
서적
白木屋三百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