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초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초등학교는 만 6세에서 12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6년제 의무교육 과정으로,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한국의 초등학교는 일제강점기의 국민학교를 개칭한 것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과 한국 문화 교육을 중요하게 여긴다. 교육 과정은 국가 수준에서 정해지며, 1~2학년은 학교 적응에 중점을 두고, 3학년부터는 교과목이 세분화되어 영어 교육이 시작된다. 초등학교는 교실, 운동장, 특별 교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교육 제도와 학년제가 다르다. 초등학교는 학생들의 진로 발달을 돕기 위한 진로 교육을 실시하며, 체험 중심의 교육 과정 운영, 진로 정보 제공 등이 과제로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 단계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교육 단계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초등학교 - 오클랜드 걸스 그래머 스쿨
    오클랜드 걸스 그래머 스쿨은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로, 뉴질랜드 교육과정을 따르며 STEM 교육과 특별 활동으로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고, 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에게는 학비가 무료이다.
  • 초등학교 - 허치슨 스쿨
    허치슨 스쿨은 메리 그라임스 허치슨이 1902년에 설립한 학교로, 예술, 운동,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의 대학 준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가수 겸 뮤지컬 배우 장덕이 초등부를 수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교육사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교육사 - 중세 대학
    중세 대학은 대성당학교와 수도원학교에서 발전하여 전문 성직자 수요 증가에 따라 교수와 학생들의 학문적 길드로 발전, 7자유과 중심의 교과 과정과 학위 제도를 통해 학문적 위계를 확립하고 법학, 신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발전시키며 과학 혁명에도 기여한 교육기관이다.
초등학교
학교 정보
개요
학교 종류초등교육 기관
대상 연령4세부터 11세까지 (국가별 차이 존재)
교육 단계유아원, 유치원 다음 단계
다음 단계중등학교 또는 고등학교
교육 목표읽기, 쓰기, 셈하기 등 기초 능력 함양 및 사회성 발달 도모
명칭
일반 명칭초등학교
기타 명칭국민학교 (과거)
소학교 (일본, 북한)
이초등학교 (중국)
국교 (영국)
기초 학교 (일부 국가)
교육 과정
주요 과목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예체능 (음악, 미술, 체육 등)
외국어 (일부 국가)
평가 방식시험
수행평가
관찰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학교 유형
공립학교정부에서 운영하는 학교
사립학교사립 재단에서 운영하는 학교
국제학교국제적인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학교
대안학교기존 학교와 다른 교육 방식을 제공하는 학교
특수학교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위한 학교
국가별 정보
대한민국초등학교는 6년제 의무 교육 과정
만 6세에 입학
초등학교 (대한민국) 참조
일본소학교는 6년제 의무 교육 과정
만 6세에 입학
小学校 (일본) 참조
영국Primary school, junior school로 불림
5세에 시작하여 11세에 마침
초등학교 (영국) 참조
미국elementary school로 불림
유치원(Kindergarten) 다음 단계
호주Primary school, junior school로 불림
Prep(준비과정) ~ 6학년으로 구성
뉴질랜드Primary school로 불림
1학년부터 6학년 또는 8학년까지
싱가포르Primary school로 불림
6년제 과정
시설 및 환경
주요 시설교실
운동장
강당
도서관
급식 시설
보건실
컴퓨터실
기타 정보
학교 문화다양한 특별활동
학교 행사 (운동회, 학예회 등)
급식 제공

2.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대한민국에서는 만 6세부터 12세까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6년제 의무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초등학교는 공립이며, 전국적으로 5384개의 초등학교가 있다.[19]

한국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국가가 사라졌던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에서는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과 한국 문화를 심어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다른 나라와 달리 초등학교에서는 모든 교과서가 국가에서 정한 국정 교과서를 사용한다.

1976년 경복초등학교 교실의 수업 광경(당시에는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했었음)

2. 1. 역사

한국의 초등학교 교육은 고구려의 경당, 고려·조선서당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근대적인 초등학교 제도는 갑오개혁 이후 도입되었으며, 1895년 '소학교령' 공포 이후 서울에 여러 소학교가 설립되었다.[33]

1906년 8월 27일 공포된 '보통학교령'에 따라 소학교의 명칭은 보통학교로 변경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도 그대로 계승되어 일본 학제를 따른 일본인들의 '소학교'와 구분되었다.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에 따라 보통학교 제도가 폐지되고 심상소학교로 모두 바뀌었다.

1941년 3월 31일 쇼와 천황의 칙령 국민학교령에 따라 심상소학교는 모두 국민학교 초등과로 통합되었다. 국민학교라는 명칭은 광복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어 오다가 1996년 김영삼 정부가 민족정기 회복 차원에서 초등학교로 개칭하여 오늘날에 이른다. 이는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2. 2. 교육 과정

초등학교 교육 과정은 국가 수준에서 정해지며, 주기적으로 개정된다.[49] 1~2학년은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안전한 생활, 즐거운 생활 등을 배우며, 학교 적응에 중점을 둔다.[49] 3학년부터는 교과목이 세분화되며, 영어 교육이 시작된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자치 활동, 동아리 활동, 진로 활동으로 구성된다. 과거에는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의 시험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폐지되었고 수행 평가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진다.[49] 일부 학교에서는 단원 평가를 실시하기도 하지만, 담임 교사의 재량에 따라 시행 여부가 결정된다.

내용1~2학년 (초등학교 적응 단계)3학년 이후 (본격적인 학습 단계)
과목
교실 위치대부분 저층부(1~2층)에 위치한다.상층부(3층 이상)에 위치한다.
반장 선거없다.학급별로 반장과 부반장을 투표로 선출한다.
수업 시간최대 5교시이다.최대 7교시이다.
시험사지선다(한 문제당 네 개의 문항 가운데 한 개의 정답을 찍는 방식으로, 25% 확률) 방식으로 출제된다.오지선다(한 문제당 다섯 문항 가운데 한 개의 정답을 찍는 방식으로, 20% 확률) 방식으로 변경된다.
특별 수업운동장, 강당, 체육관 같은 곳에서만 한다.특별 교실(어학실, 미술실, 과학실 등)로의 이동이 많다.
특별활동시행하지 않는다.각 학년, 학급별로 시행한다.
하루 일과2시 이전에 모두 끝난다.최대 3시 30분까지 늘어난다(4시 이전에는 모두 끝남).



2024년 현재 초등학교는 교내 중간, 기말고사는 폐지되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받아쓰기도 교육부에서 폐지시킨 상태다. 수행 평가는 있지만 도달, 미도달 등으로 기재하고,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되도록 좋은 내용만을 적도록 지시하고 있어 학부모가 자녀의 교육 도달 수준을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 공식적인 교내 시험이 없어 최근 임용된 초등 교사는 시험문제를 출제한 적도 없는 경우가 많으며 담임 교사도 반 학생들의 교육 도달 수준을 정확히 모르고, 교사별, 반별 교육 수준 차이도 알기 어렵다. 단원평가는 있는 경우가 많으나 아이스크림 등 기타 학습지 앱과 자료에서 프린트한 검증이 부족한 자료로 치는 경우가 많고 그조차 담임 교사의 재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별 학업 정도를 알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과목(부과목)1~2학년 과목3~6학년 주요 학습 내용
국어(읽기ㆍ말하기ㆍ듣기ㆍ쓰기)국어 : 국어 가, 나·국어활동.
수학 : 수학익힘.
1학기 통합교과 : , 여름.
2학기 통합교과 : 가을, 겨울.[50]안전한 생활 : 일상에서 안전한 생활 익히기.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과학(실험 관찰)실험 관찰,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도덕자신 및 타인과의 관계, 사회ㆍ공동체와의 관계, 자연·초월과의 관계.
미술감상, 체험, 표현.
사회(사회과 부도)지리, 일반사회, 역사.
수학(수학 익힘ㆍ셈하기)수와 연산, 도형, 측정, 규칙성, 통계, 그래프, 자료와 가능성.
실과의식주, 의 올바른 착용 방법, 음식 만들기, 건강한 식생활, 가정 생활, 가전제품 다루기, 바느질의 기초, 기술직업의 세계, 반려동물 기르기.
음악음의 표현, 생활화, 감상.
체육건강, 경쟁, 생활 안전, 도전, 표현
영어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 수업 방식하고 동일)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서 자율/자치 활동, 동아리 활동, 진로 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며, 학교는 영역과 활동을 토대로 학교급과 학년(군) 및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활동을 영역별로 제시하거나 영역 통합적인 활동, 교과와 연계한 활동 등을 창의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과 활동은 다음과 같다.

영역활동교육의 중점
자율/자치 활동자율활동
자치활동
동아리 활동학술/문화 및
봉사활동
진로 활동진로 탐색 활동
진로 설계 및


2. 3. 입학 준비

어린이가 유치원졸업하고 나서 초등학생으로 첫걸음마를 떼는 것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학부모로서도 매우 기쁜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걱정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이제 부모님의 품을 떠나 사회의 어엿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만큼, 학부모들은 아이들이 기쁘고 즐거운 마음으로 학교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유치원 졸업 전부터 가정에서 미리 격려하고 준비해야 한다.

  • '''(복장)'''
  • * 학교생활에 불편하지 않도록 비싸고 화려한 옷보다는 간편하고 활동적인 옷을 입혀 등교시킨다.
  • * 체육복은 학교 앞 문구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 '''가방'''
  • * 가방은 등에 멜 수 있으며 너무 크지 않은 것으로 준비한다.
  • * 무늬가 복잡하거나 잠시 유행하는 캐릭터 가방보다는 단순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깔끔한 가방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 * 캐릭터 가방은 저학년(1~2학년) 때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연필, 지우개, 필통'''
  • * 필통은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것이 좋으며, 게임기, 피아노, 계산기 등이 달려있는 필통은 정신이 산만해질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 * 학년 초에는 2B 연필(진한 심)을 쓰는 것이 좋으며,(HB 기본심도 된다.) 두세 자루 정도 미리 준비하고 지우개는 1개만 준비하면 된다.
  • * 은 위험하므로 휴대 금지.
  • * 샤프펜슬은 중학년(3학년 이상)부터 사용하는 것이 좋다.

  • '''공책'''
  • * 저학년(1~2학년)용으로 준비한다.
  • * 책과 공책에는 본인의 이름을 반드시 적어야 한다(가방, 소지품 포함).
  • * 알림장, 종합장은 미리 준비한다.
  • * 다른 종류의 공책은 담임선생님의 브리핑을 듣고 나서 준비하는 것이 좋다(예: 받아쓰기 공책, 알림장, 종합장 등).

  • '''크레파스 & 색연필'''
  • * 1학년에게는 열두 색 정도가 적당하다.

  • '''신발 주머니 & 실내화'''
  • * 신발 주머니는 운동화가 들어갈 정도의 크기가 적당하다.
  • * 실내화는 흰색, 분홍색, 밝은 하늘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 걷기가 불편하거나 너무 큰 실내화는 피해야 하며, 학교 앞 문구점이나 마트,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할 수 있다(단, 실내화를 사물함에 넣고 다니는 경우에는 신발 주머니가 필요 없다).

2. 4. 학교 환경

초등학교는 학생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인 교실 외에도 학생 수와 면적을 고려하여 다양한 목적의 공간이 필요하다. 영국에서는 30명 정원의 1학년(Keystage 1) 교실은 62m2, 저학년(Keystage 2) 교실은 55m2를 표준으로 한다.[21]

최적의 학교 환경은 다음과 같은 시설을 포함한다:

  • 적절한 크기의 교실 (유치원은 80m2, 일반 교실은 60m2가 최적)[24]
  • 특수 교육 공간
  • 교직원 준비실 및 복지 시설
  • 행정실
  • 다목적 교실 및 강당
  • 학생 화장실
  • 적절한 장비 및 보관 시설
  • 도서관 또는 도서 자료
  • 컴퓨터실 또는 미디어센터
  • 상담실, 의무실, 건강 검진실[24]


미국의 교실 도서관


말레이시아 산다칸에 있는 SJK(C) 치화 에코-네이처 초등학교


고도경제성장기의 초등학교는 지역 사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학교 시설을 지역에 개방하고, 란도셀, 반바지, 명찰, 통학모, 통학반, 녹색 어머니, 급식, 체육복, 악대 등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과거에는 학교에서 토끼, 닭 등 Classroom pet영어을 사육하는 경우가 많았다. 1907년 교육학자 棚橋源太郎(타나하시 겐타로)는 시가현의 한 초등학교(부속 유치원)에서 교육 목적으로 닭을 사육하는 것을 기록했다.[41] 1908년에는 도쿄 고등사범학교 부속 초등학교에서 토끼를 사육했다는 기록도 있다.[41] 그러나 2007년 79%의 초등학교에서 동물을 사육했지만, 2022년에는 21%로 감소했다.[42]

버블 붕괴 이후, 특히 2001년 오사카교육대학 부속 이케다 소학교 사건 이후 학교 침입 사건 등이 발생하면서 학교와 사회의 관계, 프라이버시 의식 등에 대한 변화가 있었다. 남녀 공동 참여 사회와 젠더리스의 영향으로 란도셀 색상(남자는 검정, 여자는 빨강)과 같은 성 고정관념도 2000년대 이후 점차 사라졌다.

3. 다른 나라의 초등학교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초등 교육은 의무 교육의 첫 단계이며, 일반적으로 무료로 제공되지만 유료 사립학교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호주 빅토리아주 머럼비나(Murrumbeena, Victoria)에 있는 세인트 패트릭스 스쿨(St Patrick's School): 세계 여러 곳에 있는 많은 종교계 초등학교 중 하나


스위스의 6~7세 어린이를 위한 현재의 교실


독일 오버팔츠 노이마르크트(Neumarkt in der Oberpfalz)에 있는 사립 가톨릭 초등학교의 교실


"primary school"이라는 용어는 1802년 영어 텍스트에서 처음 사용된 프랑스어 "école primaire"에서 유래했다.[10]

대한민국에서는 '''초등학교'''라고 부른다.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등에서는 초등학교를 '''소학교'''(小學校)라고 부른다. 그래서 대한민국은 초등학교를 소학교라 지칭하지 않는 유일한 동아시아 국가가 되었다.[1]

프랑스에서는 초등학교를 '에콜 프리메르'(école primaire)라고 부르며, 이는 영어의 "primary school"에 해당한다.[10] 독일에서는 초등학교를 '기초학교'(Grundschule)라고 부른다.

  • '''일본''': 일본의 초등학교는 대부분 지방공공단체가 설립한 공립학교이다. 2023년 기준, 일본 전역에는 18,980개의 초등학교가 있으며, 이 중 국립은 67개, 공립은 18,669개, 사립은 244개이다. 전체 초등학생 수는 6,049,685명이며, 국립 초등학교에는 35,721명, 공립 초등학교에는 5,933,907명, 사립 초등학교에는 80,057명이 재적하고 있다.[28]

  • '''미국''': 미국에서 초등학교는 Elementary school라고 불리며, 5~6세에 시작하는 유치원(Kindergarten)과 1학년부터 5학년(또는 6학년)까지의 과정으로 구성된 의무 교육 과정이다.
  • '''영국''': 영국의 초등학교는 5세부터 11세까지 6년 과정이며, 의무 교육이다.[37]
  •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초등학교를 '''에콜 프리메르'''(école primaire프랑스어)라고 부르며, 6세부터 11세까지 5년 과정의 의무 교육이다.[38]
  • '''독일''': 독일의 초등학교는 '''기초학교'''(Grundschule)라고 부르며, 6세에서 10세까지 4년 과정의 의무 교육이다.[39]

3. 1. 교육 제도 비교 (OECD, EU, NATO 회원국 기준)

OECD, EU, NATO 회원국 기준으로 국가별 초등학교 학년제는 5~12학년제로 다양하다. 대부분의 국가는 초등학교 교육을 의무 교육으로 지정하고 있다. 국가별 교육 과정 및 학기 시작일, 종료일은 차이가 있으며, 일부 국가는 중학교, 고등학교 입학 시험을 실시하기도 한다.

국가학년제의무교육과정(입학연령)비고
2-6-4(6)유아 2년(4~5세) - 초등 6년(6~12세) - 중등교육학교 4~6년(12~16/18세)초등학교 졸업 학년(8학년)에 중·고등학교 입학시험(CITO)을 치르고 나서 진학할 중·고등학교를 정한다.
7-3-3(4)초등학교(Barneskole) 7년(1년 적응기간 포함) - 중학교(Ungdomsskole) 8~10학년, 총 10년 - 고등학교 3(4)년고등학교는 인문계 3년, 직업학교 4년(2년 이론, 2년 실습) 과정이다.
6-2-5초등학교(Primary School) 6(7)년 - 중학교(Intermediate School) 2(13)년 (의무) - 고등학교(High School) 5(15)년
, , , , , , , , , ,6-3-3초등학교 6(7)년 - 중학교 3(13)년 (총 9년) - 고등학교 3(16)년대한민국과 같은 6-3-3학년제. 중국 일부 지역은 5-4-3학년제. 멕시코는 8월~12월이 1학기, 이듬해 1월~7월이 2학기로 다른 나라와 차이가 있다(초·중학교는 의무교육 과정).
8-4-3초등학교 8(7)년 - 중학교 4(15)년 (총 12년) - 고등학교 3(19)년2017년 교육제도 개혁으로 8-4-3학년제로 개편(9월 학기제).
4-84(6)년 - 5(10)년만 6세에 초등학교(Grundschule) 4년, 중·고등학교 8년(김나지움, 하우프트슐레, 레알슐레 중 선택). 기본 의무교육 기간은 9년이며, 만 10~18세는 직업교육 의무기간이다.
3(4)-5-2(3)초등학교 3(4)년 - 중학교 5년 - 고등학교 2(3)년 (총 11년)
,6-3-3 & 8-4초등학교 6년 - 중학교 3년 - 고등학교 3년 & 초·중학교 8년 - 고등학교 4년연방 정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캘리포니아주 등 대부분 주에서는 5-3-4학년제(초등학교 5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4년), 초·중학교 8년, 고등학교 4년(총 12년) 등 주별로 약간씩 다르지만 모두 12년 과정이다.
5-4-3초등학교(장소학) 5년 - 중학교(기초중학) 4년 (총 9년) - 고등학교(보통중학) 3년
5-4-3초등학교 5년(6~7세) - 중학교 4년 (총 9년) - 고등학교 3년
6-3-3초등학교(Primary School) 6(6)년 - 중학교(Lower Secondary) 3(12)년 - 고등학교(Upper Secondary) 3(15)년만 7세에 Primary School Lever 1~6(한국 초등학교 1~6학년) - 만 13세에 Lower Secondary Lever 1~3(한국 중학교 1~3학년) (총 9년) - 만 16세에 Upper Secondary Lever 1~3(한국 고등학교 1~3학년)
6-4-2초등학교(Primaria School) 1~6(6)년 - 중학교(Secundaria) 1~4(13)년 (총 10년) - 고등학교(Secundaria) 1~2(17)년
6-4-2초등학교 6년 - 중학교 4년 (총 10년) - 고등학교 2년
2-6(7)-6(5)유치원 2년 - 초등학교 6(7)년, 중·고등학교 5(6)년 (총 13년)
6-3-4초등학교 6(6)년 - 중학교 3(12)년 (총 9년) - 고등학교 4(15)년
6-5-2초등학교 6(7)년 - 중학교 5(13)년 (총 11년) - 고등학교 2(16)년스코틀랜드는 7-4-2 학년제
6-4-2 & 7-3-2초등학교 6(7)년 - 중학교 4(13)년 (총 10년) - 고등학교 2(17)년연방 정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6-4-2 또는 7-3-2학년제
5-3-5초등학교 5(6)년 - 중학교 3(11)년 (총 8년) - 고등학교 5(14)년
1-4-6유치원 1(5)년 - 인민학교 4(6)년 - 고등중학교 6(10)년 (총 11년)
9-4초·중학교 9년(의무) - 고등학교 4년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 통합(9년제)
온타리오주,8-4초·중학교 8년(의무) - 고등학교 4년캐나다 B.C.주는 7-5학년제
5-4-3초등학교 5(6)년 - 중학교 4(11)년 (총 9년) - 고등학교 3(15)년
1-9(10)-3유치원 1(6)년 - 초·중학교(페루스코울루) 9(7)년 - 고등학교 3(13, 14)년7세에 페루스코울루 입학(한국의 초등학교(1~6학년) + 중학교(7~9학년) 통합, 총 9년 과정. 10학년은 선택 사항이며, 10학년 이수 시 대학 진학에 유리)


3. 2. 명칭

대한민국에서는 '''초등학교'''라고 부른다.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등에서는 초등학교를 '''소학교'''(小學校)라고 부른다. 그래서 대한민국은 초등학교를 소학교라 지칭하지 않는 유일한 동아시아 국가가 되었다.[1] 대부분의 경우 초등학교를 마치면 중학교로 넘어간다.

영어권에서는 초등 교육을 지칭할 때, "primary school"과 "elementary school" 두 가지 용어를 사용한다. 영국, 아일랜드, 많은 영연방 국가, 그리고 유네스코(UNESCO)에서는 "primary school"을 선호하는 반면,[12] 미국캐나다에서는 "elementary school"이 주로 사용된다.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primary school"이 유치원부터 2학년 또는 3학년까지를, "elementary school"은 3학년부터 5학년 또는 4학년부터 6학년까지를 의미하기도 한다.

프랑스에서는 초등학교를 '에콜 프리메르'(école primaire)라고 부르며, 이는 영어의 "primary school"에 해당한다.[10] 독일에서는 초등학교를 '기초학교'(Grundschule)라고 부른다.

3. 3. 국가별 특징



초중등교육법에는 해당 학년 또는 전체 초등교육을 마치지 않고 바로 다음 학년으로 진급하거나 고등학교로 진학할 수 있는 제도가 있다.[48] 그러나 대상 학생이 어릴 경우에는 예체능 수업은 해당 나이에 맞는 학교에서 일부 진행하고 있다.

초등학교 이외에 초등교육 대상 시기를 지난 초등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에 한해 3년제의 공민학교를 설립할 수 있다. 공민학교는 국어, 기초 수학 등을 수업하며, 학교 건물이 따로 필요하지 않고 마을회관 등 공공장소의 개방된 공간이라면 대부분 수업이 가능하다.

일본의 초등학교 교육은 「학교교육법」(쇼와 22년 법률 제26호) 제30조 제1항에 따라 의무교육으로서 이루어지는 보통교육의 목표(학교교육법 제21조 각호에 열거된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고 있다. 헤이세이 19년 법률 제98호(2008년(헤이세이 20년) 4월 1일 시행)에 의한 학교교육법 개정 전에는, 동법 제18조에 초등학교 교육의 목표가 규정되어 있었으나, 개정 후에는 초등학교별로 목표를 열거하지 않고 “의무교육으로서 이루어지는 보통교육의 목표(학교교육법 제21조)”로 수정하여 다시 규정되었다.

일본 초등학교의 각 교과는 다음과 같다.

  • 1학년~6학년: 국어(서예 포함), 산수, 음악, 미술, 체육, 도덕
  • 1학년~2학년: 슬기로운생활
  • 3학년~6학년: 사회, 과학
  • 5학년~6학년: 가정
  • 도덕 - 영국에서는 이것을 종합적인 학습처럼 개괄하여, the Personal Social and Health Education (PSHE) - “건강 교육”이라는 교과로 하고 있다. 단, 행동의 선악이나 가치관에 대해서는, 종교라는 교과가 종파별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유럽의 나라들도 거의 같다.
  • 건강 교육은 WHO도 청소년 교육의 과제로서 프로그램 작성 등을 하고 있다.
  • 특별활동 -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정규 교육 과정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전후 교육 과정에 포함되었다.
  • * 학급 활동(약칭 학활), 어린이회 활동, 클럽 활동, 학교 행사
  • 종합적인 학습의 시간
  • 종교(사립학교만, 학교에 따라 “예배”, “성경”이라고 함)

3. 3. 1. 미국

미국에서 초등학교는 Elementary school라고 불리며, 5~6세에 시작하는 유치원(Kindergarten)과 1학년부터 5학년(또는 6학년)까지의 과정으로 구성된 의무 교육 과정이다. 초등학교의 처음 1~2년은 유아 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이라고도 한다. 매년 약 370만 명의 아동이 초등학교에 입학한다.[16]

초등학교의 학년 구성은 주마다 다르다. 유치원이 의무 교육이고 초등학교가 6학년까지 있는 학군에서는 7년, 유치원이 의무 교육이 아니고 6학년부터 중학교에 진학하는 학군에서는 5년 과정이다. 조기 진급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교육 과정이 더 짧아질 수 있다. 9학년부터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학군에서는 중학교 2학년(8학년)까지를 초등 교육으로 보기도 한다.

3. 3. 2. 영국

영국의 초등학교는 5세부터 11세까지 6년 과정이며, 의무 교육이다.[37] 국립학교(State School)와 사립학교(Public School)가 있다. 학기는 3학기제로 9월에 시작하여 이듬해 7월에 끝난다. 영국에서는 학년별로 정해진 교과서가 없고, 키 스테이지(Key Stage)라고 불리는 2~3학년 단위로 묶인 교육과정을 개인의 수준에 맞춰 진행하는 교육 방침을 취하고 있다.

3. 3. 3. 일본

일본의 초등학교는 6년제이며, 중학교 3년과 합쳐 9년의 의무교육 기간을 구성한다. 졸업 후에는 중학교나 중등교육학교 등에 진학한다. 초등학교와 동등한 과정으로 특수학교의 초등부가 있으며, 취학아동검진에서 특수학교가 적절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해당 학교에 취학한다.[19]

일본의 초등학교는 대부분 지방공공단체(시정촌, 특별구, 일부사무조합 및 광역연합)가 설립한 공립학교이다. 지방독립행정법인에 의한 초등학교 설치 및 관리는 지방독립행정법인법(헤이세이 15년 법률 제118호) 제21조 제2항에 의해 인정되지 않는다.

공립 초등학교에서는 의무교육 제도에 따라 주민기본대장에 기초하여 만 6세 생일 전날[29] 이후 첫 번째 4월 1일에 자동적으로 입학(취학)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미숙아나 병약아 등의 이유로 취학유예가 허가된 경우에는 1년 이상 경과 후에 취학하지만, 1학년을 이수하지 않더라도 2학년에 편입학하는 등의 취급(뛰어넘기)도 가능하다. 의무교육 대상이 아닌 사람이 입학을 희망하는 경우, 일본 국적이 아니면 나이가 맞을 때 문제없이 입학할 수 있으며, 학령 초과자는 입학이 어렵다. 국립·사립 초등학교는 입학 희망 가정이 개별적으로 입학 허가를 받아 입학한다(취학업무·초등학교 입시 참조).

일본 초등학교는 연령주의로 운영되기 때문에 재적자 대부분이 만 6~12세이다. 그러나 학교교육법상으로는 적어도 15세까지 재학이 상정되어 있으며, 명확한 상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재적자는 연령에 관계없이 “아동”이라고 불린다.

사립이나 국립 초등학교에 응시하는 초등학교 입시가 있다.

대부분 초등학교에서는 란도셀을 메고 등교한다. 사립이나 국립 초등학교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복 통학이다.

2023년(레이와 5년) 기준, 학교교육법에 따른 초등학교 수 및 재적 아동 수[28]
국립공립사립합계
학교 수67개교18,669개교244개교18,980개교
재적 아동 수35,721명5,933,907명80,057명6,049,685명


3. 3. 4. 중국

중국 본토에서 초등학교는 "소학교(小学)"라고 불린다. 과거에는 초급소학교(4년), 고급소학교(2년), 완전소학교(5년)로 나누었지만, 현재는 6~12세의 6년제이며 의무 교육 과정이다.

3. 3. 5.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초등학교를 '''에콜 프리메르'''(école primaire프랑스어)라고 부르며, 6세부터 11세까지 5년 과정의 의무 교육이다.[38] 새 학기는 9월에 시작하여 이듬해 7월에 끝난다. 수업은 주 5일이며, 매주 수요일은 오전 수업만 하는 반일 수업이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는 조기 진급 제도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학생에게는 유급 제도가 있다. 교과서는 구입할 필요 없이 대여한다. 시나 학교가 교과서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학급 담임이 결정권을 갖는다. 정해진 시간표는 없고 담임 선생님이 1일 일정을 결정한다.

3. 3. 6. 독일

독일의 초등학교는 '''기초학교'''(Grundschule)라고 부르며, 6세에서 10세까지 4년 과정의 의무 교육이다.[39] 원칙적으로 입학 시험은 없고, 졸업이라는 형식 없이 상급 학교 5학년으로 편입하는 형식으로 학업을 계속하게 된다.

4. 초등학교 진로 교육

초등학교 진로 교육은 학생들의 진로 발달을 돕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진로 발달에 도움이 되는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 진로 교육 전담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 체험과 실천 중심의 교육 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진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양질의 진로 교육 운영을 위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 관련 기관 간의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 법적, 제도적 지원 체제를 정비해야 한다.
  • 다양한 교과를 통해 진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rimary education (4 to 11 years) https://cambridgeshi[...] 2024-08-25
[2] 웹사이트 Education system overview https://web.archive.[...] 2021-02-21
[3] 웹사이트 Changes to schools and the network: Options for managing changes in growth https://www.educatio[...] 2023-05-25
[4] 웹사이트 Singapore https://ncee.org/cou[...] 2024-06-23
[5] 웹아카이브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SCED) https://web.archive.[...] 2018-12-25
[6] 웹사이트 British and American Systems (Grades) https://trans4mind.c[...] 2017-03-30
[7] 웹사이트 Definition of GRADE SCHOOL https://www.merriam-[...] 2024-04-09
[8] 웹사이트 Definition of ELEMENTARY SCHOOL https://www.merriam-[...] 2024-04-05
[9] 웹사이트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Entry https://www.ahdictio[...] Ahdictionary.com 2022-02-12
[10]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07-11-09
[11] 웹사이트 Hadow Report (1926) https://web.archive.[...] educationengland.org.uk 2019-04-17
[12] 웹사이트 Britannica Academic https://academic.eb.[...] 2019-11-01
[13] 서적 A History of the Western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Waveland Press 2019-04-16
[14] 뉴스 Historical Timeline of Public Education in the US https://www.raceforw[...] 2018-02-08
[15] 웹사이트 Digest of Education Statistics, 2001 http://nces.ed.gov/p[...] 2017-08-12
[16] 서적 Digest of Education Statistics 2001 http://nces.ed.gov/p[...]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17-08-19
[17] 웹사이트 Secretary Riley Reignites the Math Wars http://www.hoover.or[...] Hoover Institution 2018-03-28
[18] 웹사이트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https://web.archive.[...] 2018-03-28
[19] 웹사이트 The Establishment of Elementary Schools and Attendance http://www.mext.go.j[...]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Japan 2017-08-12
[20] 웹사이트 The design of secondary schools:Singapore a case study http://unesdoc.unesc[...] UNESCO 1981
[21] 웹사이트 Mainstream schools: area guidelines https://www.gov.uk/g[...] 2019-04-18
[22] 웹사이트 Baseline design: 210 place primary school with a 26 place nursery https://www.gov.uk/g[...] 2019-04-18
[23] 웹사이트 Baseline design: 420 place primary school with 26 place nursery https://www.gov.uk/g[...] 2019-04-18
[24] 웹사이트 Guidelines relating to planning for public school infrastructure http://www.education[...] Department of Basic Education, Republic of South Africa 2012
[25] 웹사이트 Baseline designs for schools: guidance - GOV.UK https://www.gov.uk/g[...] Education Funding Agency 2014-03-11
[26] 웹사이트 Standards and Testing Agency https://www.gov.uk/g[...] 2020-01-28
[27] 보고서 Education at a Glance 2014 2014
[28] 웹사이트 令和5年度学校基本調査(確定値)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4-08-04
[29] 일반텍스트
[30] 일반텍스트
[31] 일반텍스트
[32] 웹사이트 戸畑小学校発祥之地 https://840.gnpp.jp/[...]
[33] 서적 教科書でみる 近現代日本の教育 東京書籍 1999
[34] 서적 日本教育史
[35] 서적 事典 昭和戦前期の日本
[36] 법률 義務教育諸学校等の施設費の国庫負担等に関する法律施行令 第4条
[37] 웹사이트 ISCED mapping -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http://www.uis.unesc[...] UNESCO 2015-11-13
[38] 웹사이트 ISCED mapping - France http://www.uis.unesc[...] UNESCO 2015-11-13
[39] 웹사이트 Mapping of National education programmes - Germany http://www.uis.unesc[...] UNESCO 2015-11-02
[40] 논문 台湾の九年一貫課程における教育と国際的な学力調査での学力向上策の研究 2008
[41] 논문 昭和初期の理科教育における学校飼育動物の位置づけ https://doi.org/10.2[...] 東京未来大学研究紀要 2012
[42] 뉴스 消えたウサギ 働き方改革と命を学ぶ意義とのはざまで https://www.nhk.or.j[...] NHK 2023-12-05
[43] 뉴스 学校のプールが廃止に?老朽化や費用問題などで変わる水泳授業 https://www3.nhk.or.[...] NHK 2023-12-05
[44] 웹인용 Primary education (4 to 11 years) http://cambridgeshir[...] 2021-02-21
[45] 웹인용 Education system overview https://www.studyina[...] 2021-02-21
[46] 웹인용 Learning for today. Thinking for tomorrow. https://www.barker.c[...] 2021-02-21
[47] 웹인용 Early Years: Prep to Year 3 https://www.ormiston[...] 2021-02-21
[48] 뉴스 대법, "중입 검정고시 나이 제한 정당" https://news.naver.c[...] KBS 2014-08-29
[49] 기타
[50]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