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판 (농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구 심판은 농구 경기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경기 규칙을 적용하고, 선수 보호 및 경기 환경 관리를 담당한다. 심판은 복장 규정을 따르며, 호루라기와 손 신호를 사용하여 판정을 내린다. 심판은 경기의 속도, 제한된 시야, 관중과의 근접성 등 어려움을 겪는다. 농구 심판 시스템은 2인 또는 3인 메커니즘으로 운영되며, 각 심판은 코트 내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농구 심판은 일본 농구 협회의 등급 체계를 참고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심판 (농구)
기본 정보
농구 심판 신호
농구 심판의 일반적인 수신호
직업 분야스포츠
분야농구
다른 이름심판, 엄파이어
설명농구 경기 규칙을 집행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사람
역할
역할경기 시작 전 코인 토스
파울 선언 및 기록
바이얼레이션 선언
득점 인정
선수 교체 승인
경기 시간 관리
경기 종료 후 최종 점수 확인
기타 경기 운영 관련 결정
자격
자격 요건농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뛰어난 판단력과 결단력
침착하고 공정한 태도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체력
교육 및 훈련대한농구협회 심판 강습회 이수
심판 자격 시험 합격
지속적인 심판 교육 참여
장비
복장검은색 또는 회색 상의
검은색 바지
검은색 운동화
장비호루라기
파울 기록 카드
필기도구
경기 시계
추가 정보
참고 자료NHK 농구 심판 해설 (일본어)
관련 직업농구 코치, 농구 선수, 스포츠 해설가

2. 복장

농구 심판은 선수와 쉽게 구별되도록 특별한 복장을 착용한다. 심판 복장은 리그나 대회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NBA 심판 댄 크로포드


리플레이를 보고 있는 NBA 심판 몽티 맥커친(중앙) 등 3명의 심판


일본의 경우 심판은 회색 반소매 셔츠(옷깃이 있거나 없음)와 검은 바지, 검은 양말신발을 착용한다. 공인 심판은 왼쪽 가슴에 와펜을 단다.[4]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 농구 심판은 일반적으로 검정과 흰색 줄무늬 셔츠, 검정색 바지, 검정색 신발을 착용한다. 일부 주 고등학교 협회에서는 검정색 핀 줄무늬가 있는 회색 셔츠 착용을 허용하기도 한다.[4]

2. 2. NBA/WNBA

NBA 심판은 옅은 회색 셔츠에 검정색 바지, 검정색 신발을 착용한다. NBA 셔츠는 옅은 회색 바탕에 얇은 흰색 줄무늬, 검정색 소매, 양쪽에 검정색 줄무늬, 빨간색과 파란색 칼라를 가졌으며, 심판 번호가 뒷면 상단 중앙에 위치한다. 왼쪽 가슴 위에는 NBA 로고, 오른쪽에는 나이키 스우시가 있다. NBA 서머 리그 심판은 동일한 옅은 회색 셔츠를 착용하지만 검정색 칼라를 사용한다. WNBA 심판 셔츠는 NBA 심판 셔츠와 거의 동일하지만 칼라가 주황색이고 WNBA 로고가 NBA 로고를 대체한다.[4]

2. 3. FIBA

국제 농구 연맹(FIBA) 심판은 회색(몸통)과 검정색(소매) 셔츠, 검정색 바지, 검정색 양말, 검정색 신발을 착용한다.[4] 유로리그 농구가 주최하는 유로리그 및 유로컵 대회 심판은 주황색 셔츠를 착용한다.[4] 이스라엘 농구 협회 심판은 유로리그의 주황색 셔츠를 착용하지만, 두 이스라엘 팀 간의 경기에서는 로열 블루 셔츠를 착용하기도 한다.[4] 호주 NBL 심판은 검정색 어깨와 옆면에 줄무늬가 있는 녹색 셔츠에 검정색 바지를 착용한다. NBL 로고는 가슴 위에 있고, 스폰서 이름은 뒷면에 있다. 셔츠는 칼라가 없는 V넥이며, 바지에는 벨트가 없다.[4]

2. 4. 공통

모든 심판은 반칙이나 위반 발생 시 경기를 중단하기 위해 호루라기를 사용하며, 손 신호를 통해 반칙의 성격을 나타내거나 경기를 운영한다.[4] 대학 및 프로 농구 상위 레벨에서는 심판이 정밀 타이밍 시스템(PTS)을 허리 벨트에 착용하여 게임 시계를 정확하게 제어한다.

3. 역할 및 책임

심판은 경기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경기 운영, 선수 및 관중 관리 등 다양한 책임을 수행한다.[3] 또한 선수 보호 의무가 있으며, 코트와 장비가 안전한지 확인해야 한다.[3] 안전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면 심판이 해결해야 하며, 예기치 못한 상황에도 대처해야 한다.[3]

농구 경기를 심판하는 표준 방식에는 "2인" 또는 "3인" 메커니즘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고)

3인 메커니즘에서 농구 심판의 상대적 위치. 리드 심판(L)은 베이스라인, 트레일 심판(T)은 3점 라인 상단, 센터 심판(C)은 자유투 라인 근처에 위치한다.

3. 1. 경기 운영

심판은 경기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규칙을 적용하고, 반칙이나 위반 사항을 판정한다.[3] 선수 간의 충돌이나 경기 중 발생하는 문제 상황을 중재하며, 경기 시간, 점수, 선수 교체 등을 관리한다. 심판은 경기 중 수백 건의 결정을 내리며, 위반이나 파울이 발생했을 때 경기를 중단하고 적절한 벌칙을 부과한다.[3]

반칙이 발생하면 즉시 경기가 중단된다. 여기에는 트래블링, 불법 드리블, 아웃 오브 바운드 및 기타 반칙이 포함된다. 심판은 호루라기를 불어 즉시 경기를 중단하고 상대 팀에게 볼 소유권을 넘겨 공정한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신체 접촉 파울이 선언될 경우, 상대에게 자유투 기회가 주어진다.

농구 경기를 심판하는 데는 심판의 수에 따라 "2인" 또는 "3인" 메커니즘의 두 가지 표준 방식이 있다.

  • 2인 메커니즘: 각 심판은 '리드' 또는 '트레일' 위치에서 활동한다. 리드는 코트 베이스라인, 트레일은 자유투 라인에서 시작한다. 심판은 경기 중 위치를 변경하며 코트를 커버한다.
  • 3인 메커니즘: 리드 심판은 베이스라인에 위치하고, 다른 두 심판은 트레일(3점 라인 상단)과 센터(자유투 라인 근처) 위치에 선다. 리드 심판의 위치에 따라 삼각형 구도로 코트를 커버한다.


일본 농구 협회에서는 심판원의 기술에 따라 E급, D급, C급, B급, A급, S급의 6개 랭크로 나눈다.[4] 각 랭크별로 주심을 맡을 수 있는 경기가 다르며, 엄격한 심사를 통해 승급한다. B.LEAGUE 심판은 S급 또는 A급 중에서 심사에 합격해야 한다. 35세 이하의 S급 심판 중에서 FIBA 국제 공인 심판으로 추천한다.[5]

과거 일본 농구 협회 공인 심판원은 공인(현 B급), A급, AA급(현 S급)의 3개 랭크로 나뉘어 있었고, 2016년에 개편되어 초심자도 E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심판의 복장은 선수와 구별하기 위해 일본의 경우 회색 반소매 셔츠, 검은 바지, 검은 양말, 검은 신발을 착용한다. 공인 심판은 왼쪽 가슴에 와펜을 착용한다. 주심과 부심은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호루라기제스처를 사용하여 판정을 나타낸다. 국제 경기에서는 영어를 사용하므로 국제 공인 심판에게는 영어 능력도 요구된다.

농구 심판은 선수처럼 코트 안을 달리면서 순간적인 판단을 해야 하고, 선수들의 움직임을 모두 파악해야 하므로 체력적으로 힘들다. 그래서 2인제 심판에서 3인제 심판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여성 심판도 늘어나고 있지만, 심판 인원은 항상 부족하다.

3. 2. 선수 보호

심판은 선수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심판은 위험한 플레이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예방해야 한다. 선수 간 과도한 신체 접촉이나 스포츠맨십에 어긋나는 행위는 심판의 제재 대상이다.[3]

3. 3. 경기 환경 관리

심판은 코트와 경기 장비의 안전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3] 관중의 안전을 확보하고, 경기 진행에 방해가 되는 행위를 제지해야 한다. 심판은 경기뿐만 아니라 경기 중 예기치 못한 상황 발생에도 대처해야 한다.[3]

4. 심판의 어려움

농구는 경기 속도가 빠르고 선수들의 움직임이 복잡하여 심판이 판정을 내리기 어려운 스포츠 중 하나이다.[2] 농구가 비접촉 스포츠라는 오해에도 불구하고, 심판은 종종 미미하거나 부수적인 접촉을 많이 무시한다.

4. 1. 순간적인 판단

농구는 많은 팬들에게 심판이 판정하기 가장 어려운 스포츠 중 하나로 여겨진다.[2] 일반적으로 농구 심판은 경기의 속도와 심판의 행동 반경 때문에 반칙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데 단 몇 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특히 판정이 어려운 경우는 "차징/블로킹" 콜과 슈팅 파울/블로킹 시도이다. 심판은 종종 플레이를 검토하기 위해 인스턴트 리플레이에 의존한다. 최근에야 코치가 심판의 판정이나 놓친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는 특정 시간대에만 유효하다.

4. 2. 제한된 시야

농구는 많은 팬들에게 심판이 판정하기 가장 어려운 스포츠 중 하나로 여겨진다.[2] 심판은 공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뿐만 아니라 코트 전체에서 발생하는 거친 플레이도 항상 인식해야 한다. 선수들의 움직임 때문에 심판의 시야가 가려져 반칙 상황을 놓치기 쉽다.

4. 3. 관중과의 근접성

농구는 풋볼이나 야구와 달리 관중석이 경기장과 매우 가까이 붙어있다. 코치와 벤치의 다른 선수들도 마찬가지로 심판과 불과 몇 피트 거리에 있는 경우가 많다.[2] 이러한 환경 때문에 심판은 관중들의 압박을 받기 쉽다. 심판은 필요에 따라 퇴장을 통해 경기장에서 팬을 내보낼 수 있다.

5. 심판 시스템

농구 경기는 일반적으로 2인 또는 3인 심판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5. 1. 2인 심판 시스템

2인 심판 시스템에서 두 명의 심판은 각각 리드(Lead)트레일(Trail) 위치에서 경기를 운영한다. 리드 심판은 주로 코트의 베이스라인을 따라 움직이며, 트레일 심판은 바스켓을 바라보는 코트 왼쪽 측면의 자유투 라인에서 시작한다. 두 심판은 경기 상황에 따라 위치를 바꿔가며 코트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담당한다.[1]

공격 방향이 바뀌면 리드 심판과 트레일 심판의 역할도 서로 바뀐다. 각 심판은 코트의 특정 구역과 측면, 베이스라인, 백코트 라인 등을 책임진다. 특정 반칙이 선언된 후(주로 리드 심판이 수비 반칙을 선언할 때)에는 심판들이 위치를 교대하여 경기 속도를 높이기도 한다.[1]

벤치에 가까이 있는 심판이 벤치 쪽으로 이동하면, 다른 심판(주로 그 시점에 벤치에서 가장 가까운 심판)이 그 자리를 메운다. 이러한 위치 변경은 한 심판이 경기 내내 특정 팀의 바스켓만 담당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1]

5. 2. 3인 심판 시스템



3인 심판 시스템에서는 세 명의 심판이 코트를 분담하여 판정한다. 리드 심판은 주로 베이스라인에 위치하고, 공이 있는 코트 측면(스트롱 사이드)으로 이동한다. 특히 해당 위치에 "포스트업" 선수가 있으면 더욱 그렇다. 트레일 심판은 3점 라인 상단 부근에 위치하며, 센터 심판은 자유투 라인 맞은편에 위치한다. 이 시스템은 코트를 삼각형으로 커버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판정의 정확성을 높인다.

공이 코트 반대편으로 넘어가면 리드 심판과 트레일 심판의 역할이 바뀌고, 센터 심판은 위치를 유지한다. 새로운 리드 심판이 스트롱 사이드를 커버하기 위해 베이스라인을 가로지르면 센터 심판과 트레일 심판이 위치를 변경한다.

국제농구연맹(FIBA) 주최 국제 대회는 3인 심판 시스템으로 진행된다.

일본에서는 B.리그 (남자 프로 농구) 모든 경기, W.리그 (여자 프로 농구) 파이널 및 세미파이널, 그리고 일본농구협회 공식 대회의 상위 경기에서 3인 심판 시스템을 적용한다. 그 외에는 2인 심판 시스템을 사용한다.

해외에서는 NBA가 3인 심판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6. 대한민국 농구 심판의 등급 (일본 농구 협회 참고)

일본 농구 협회는 심판의 기술 수준에 따라 E, D, C, B, A, S의 6개 등급으로 분류한다.[4] 각 등급별 주심 가능 경기 수준이 다르며, 엄격한 심사를 거쳐 승급한다. B.LEAGUE 심판은 S급 또는 A급 중 심사 합격자가 맡는다. 35세 이하 S급 심판 중 FIBA 국제 공인 심판을 일본 농구 협회가 추천한다.[5]

과거 일본 농구 협회 공인 심판은 공인(현 B급), A급, AA급(현 S급) 3등급이었다. 2016년 개편으로 도도부현/연맹별 독자 자격이 일본 농구 협회 공인 심판(주로 C, D급)으로 통합, 초심자/미경험자도 강습만으로 E급을 받게 되었다.

7. 주요 NBA 심판 (2014-15 시즌 기준, 일본어 위키 참고)

번호이름영문 표기경력
9데릭 스태포드Derrick Stafford영어27시즌
10론 개릿슨Ron Garretson영어28시즌
12바이올렛 팔머18시즌
13몬티 매커친22시즌
15베넷 살바토레Bennett Salvatore영어33시즌
17조이 크로포드38시즌
25토니 브라더스Tony Brothers영어21시즌
28자크 자르바Zach Zarba영어12시즌
32에디 래쉬Eddie F. Rush영어28시즌
41켄 마우어29시즌
43댄 크로포드30시즌
56마크 아요테Mark Ayotte영어11시즌
66헤이우드 워크먼Haywoode Workman영어7시즌
71로니 모트Rodney Mott영어18시즌
74커티스 블레어Curtis Blair영어7시즌
76스티븐 앤더슨 (농구 심판)Steve Anderson (basketball referee)영어2시즌
27딕 바베타은퇴, 명예의 전당


8. 기타

국제 경기에서는 영어를 사용한다. 그 때문에 국제 공인 심판에게는 일상 회화 수준의 영어 능력이 요구된다.[4]

최근에는 여성 심판의 진출도 두드러지며, 상급(S급·A급) 공인 심판도 다수 탄생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ule 2, Section I, a https://official.nba[...] 2020-01-16
[2] 웹사이트 Basketball among toughest sports to officiate https://wcfcourier.c[...] 2006-01-03
[3] 웹사이트 Technical Officials | Basketball Australia https://australia.ba[...] 2019-04-05
[4] 웹사이트 審判新ライセンス制度(2016年度改訂) http://www.japanbask[...] 公益財団法人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協会 2016-12
[5] 웹사이트 JBA公認審判 http://www.japanbask[...] 公益財団法人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協会 201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