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가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쏘가리과는 검정우럭목에 속하는 어류 과이다. 꺽지속, 쏘가리속, 멸종된 이마바퍼카속을 포함하며, 쏘가리, 꺽지 등 여러 종이 속한다. 쏘가리과 어류는 유전적 적응에 따라 성장, 포식 섭식 습성, 공격성 등이 다르며, 주로 살아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쏘가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Sinipercidae |
과 명명자 | D.S. Jordan & R.E. Richardson, 1910 |
모식종 | Siniperca chuatsi |
모식종 명명자 | Basilewsky, 1855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상목 | 극기상목 |
미분류 | 에우페르카리아류 |
목 | 검정우럭목 |
아목 | 검정우럭아목 |
2. 하위 분류
쏘가리과에는 현존하는 2개의 속과 멸종된 1개의 속이 있다.[1][5]
- 꺽지속 (''Coreoperca''): 헤르첸슈타인이 1896년에 명명하였다.
- 쏘가리속 (''Siniperca''): 길이 1862년에 명명하였다.
- †''이마바퍼카속'' (''Inabaperca''): 야부모토와 우에노가 2000년에 명명한 멸종된 속이다.[4][8]
2. 1. 꺽지속 (''Coreoperca'')
꺽지속(''Coreoperca'')은 Herzenstein이 1896년에 명명한 속이다. 꺽지속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국명 | 학명 | 명명자 | 연도 |
---|---|---|---|
꺽지 | Coreoperca herzi | Herzenstein | 1896 |
꺽저기 | Coreoperca kawamebari | Temminck, Schlegel | 1843 |
Coreoperca liui | Cao, Liang | 2013 | |
Coreoperca loona | Wu | 1939 | |
Coreoperca whiteheadi | Boulenger | 1900 |
2. 2. 쏘가리속 (''Siniperca'')
쏘가리속(''Siniperca'')은 길(Gill)이 1862년에 명명하였다. 다음 종들을 포함한다.- ''Siniperca chuatsi'' (Basilewsky, 1855)
- ''Siniperca fortis'' (Lin, 1932)
- ''Siniperca kneri'' (Garman, 1912)
- ''Siniperca liuzhouensis'' (Zhou, Kong & Zhu, 1987)
- ''Siniperca obscura'' (Nichols, 1930)
- ''Siniperca roulei'' (Wu, 1930)
-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Steindachner, 1892)
- ''Siniperca undulata'' (Fang & Chong, 1932)
- ''Siniperca vietnamensis'' (Mai, 1978)
2. 3. 이마바퍼카속 (''†Inabaperca'')
†''Inabaperca''는 멸종한 속으로, 2000년 야부모토 요시타카와 우에노 테루야가 명명하였다.[4][8]3. 계통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9][10] 쏘가리과는 검정우럭목에 속하며, 목 내에서는 검정우럭아목으로 분류된다. 검정우럭아목 안에서 쏘가리과는 이노플로수스과와 가장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지며, 이 두 과는 검정우럭과 및 엘라소마과로 이루어진 그룹과 자매군을 형성한다. 검정우럭아목은 페르키크티스아목과 함께 상위 분류군을 이루며, 이 그룹은 검정우럭목 내에서 가시돔아목, 살벤자리아목, 페르칼라테스아목 등 다른 아목들과 함께 분류된다.
4. 생태
쏘가리과 어류는 유전적 적응을 통해 성장 속도, 먹이를 사냥하는 방식, 공격성, 그리고 소화 기관인 유문수의 발달 정도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들은 외배엽 이형성증 A 수용체(EDAR) 유전자의 발현이 낮고 아가미 갈퀴 수가 매우 적은 특징을 가지는데, 이는 주로 살아있는 물고기를 잡아먹는 식성과 관련이 있다. 일부 쏘가리과 어종의 경우, 어린 유충 시기에 처음 먹이를 먹을 때 같은 종의 다른 유충을 잡아먹는 동족 포식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3]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3]
논문
Mandarin fish (Sinipercidae) genomes provide insights into innate predatory feeding
2020-07-09
[4]
논문
Inabaperca taniurai, a new genus and species of Miocene percoid fish from Tottori Prefecture, Japan
https://www.research[...]
[5]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6]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7]
논문
Mandarin fish (Sinipercidae) genomes provide insights into innate predatory feeding
2020-07-09
[8]
논문
Inabaperca taniurai, a new genus and species of Miocene percoid fish from Tottori Prefecture, Japan
https://www.research[...]
[9]
간행물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http://currents.plos[...]
2013-04-18
[10]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3
http://www.deepfi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